[데스크시각] 유시민,전위 혹은 돌출/심재억 사회부 차장
유시민 의원이 보건복지부 장관에 내정됐습니다. 세간의 시선이나 평가가 엄혹하달 만큼 차갑습니다. 심지어는 한솥밥을 먹는 당에서조차 안 된다고들 팔을 걷어붙이는 형국이니 ‘개혁의 엔진’을 자임하며 전위(前衛)의 ‘총알받이’역을 기꺼이 감당해 온 유 내정자의 심사가 어떨까요. 대통령이 나서 추슬렀지만, 이번 인사를 둘러싼 안팎의 기류는 그가 미처 알지 못했던 새로운 사실을 가르친 계기가 됐을 수도 있습니다.
문득, 존 레넌을 생각합니다. 레넌은 음악에 관한 한 천재적 재능을 가져 비틀스의 이름으로 세상에 내놓은 숱한 노래를 직접 만들었다고 알려졌지요. 그러나 레넌은 그룹의 동료들조차 고개를 내저을 만큼 이기적이고 독선적이기도 해 결국은 비틀스를 와해시킨 장본인이라는 비난을 받았습니다. 그 레넌이 지난 1971년에 발표한 노래 ‘Imagine’에는 이런 가사가 담겨 있습니다.‘당신은 내가 몽상가라고 말할지 모르지만 난 혼자가 아니에요. 언젠가는 당신도 우리와 하나가 되고 온 세상이 하나가 될 거예요.’이 노랫말에서 읽히는 이미지가 바로 전위의 신념 아닐까요. 참, 이런 비유가 혹여 무단히 유 내정자를 비호하려는 의도로 읽히지 않았으면 합니다.
그 ‘전위’를 다시 생각해 봅니다. 내 편이 아니면 모두가 적인 살풍경한 세상, 그보다 한참은 더 험한 정치판에서 ‘신빠리’ 국회의원이 나서 자신의 신념을 드러내기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국회에 들어간 뒤 금세 꼬리를 감추고 표변했던 숱한 선량의 행적에 견줘 그는 여전히 한국 사회에서 별나고도 유효한 코드임에 틀림없습니다. 보기 나름일까요.‘핏대’와 ‘항변’이 더러는 ‘아름다운 돌출’로 여겨지기도 했던 그를 이제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만나게 되었습니다.
굳이 이름 붙이자면 ‘유시민 세대’쯤 되겠지요. 우리 사회의 뚫려야 할 곳이 마저 뚫리지 않아 조금은 답답하기도 했던 여명기, 그는 텔레비전의 토론프로그램을 이끄는 방송인으로 나서 국민들의 시선을 사로잡았습니다.
그때 많은 국민들은 ‘돌콩’만한 그가 눈꼬리를 치뜨고 가시같은 독설을 쏟아내던 모습을 기억합니다. 그 주저없는 독단이 더러는 답답한 민초의 흉금을 시원하게 씻는 해울(解鬱)의 처방전이기도 했던 시절이었지요. 그때를 기억하는 ‘유시민 세대’는 솔직히 장관, 그것도 도무지 정치적 타산으로 따져 흑자가 보장되지 않는 보건복지부 장관에 유시민 의원이 내정됐다는 사실이 내심 당혹스러울지도 모르겠습니다. 복지부 안에서도 “오면 할 수 없고, 안 오면 좋고”라는, 다분히 체념적인 반응까지 감지됩니다.
그러나 조금만 생각을 바꾸면 답은 크게 달라집니다. 적어도 신념에 뿌리가 있고, 그래서 장차 그 신념의 열매가 어떤 것일지를 걱정하는 사람이라면 주로 늙고, 병들고,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의 삶을 보듬어야 하는 보건복지 수장의 정치적 행보가 민초들에게 얼마나 면구스럽고, 황망한 일인지를 잘 가늠하리라고 믿어야지요.“이제는 장관으로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할 것”이라는 그의 말은 이런 점에서 우려의 지혈제 같은 것입니다.
확실히 지금까지의 유시민은 예각이었습니다. 그 자신 평지돌출한 돌부리였으면서도 마치 석수의 정처럼 모난 무엇에든 주저없이 몸을 던져 간단없이 크고 작은 파열음을 생산해 왔습니다. 그러나 그런 파열음조차 없는 사회의 공허를 상상해 보셨는지요. 그 적막함은 갇힌 곳의 고요이고, 유시민이 떠들어 열어젖힌 곳은 바로 공론의 광장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적지 않습니다.
1515년, 당시 중종은 알성시에서 이런 책문을 제시합니다.‘…잘 다스리기를 원한 지 10년이 되었건만 아직도 기강이 서질 않고, 법도도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만일 오늘과 같은 시대에 옛날의 이상적인 사회를 이루려면 먼저 무엇에 힘써야겠는가.’이에 젊은 조광조는 이렇게 답합니다.“하늘이 혼자 돌기만 하고 계절이 따라서 바뀌지 않으면 만물이 자랄 수 없습니다.”그러면서 젊은 개혁가 조광조는 곤순(坤順)을 말합니다. 땅처럼 순응해 백성들과 어울려서 가라는 뜻입니다.
유 내정자에게 보건복지부는 저력과 개혁의지의 또 다른 시험장입니다. 그런 만큼 마치 얼음장을 디디는 소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리라 여기는 것은 당연합니다. 나이 마흔에 꿈을 접은 레넌이나, 서른일곱에 날개가 꺾인 조광조처럼 그의 이상이 짓밟히지 않아야 한다고 믿기에 하는 말입니다.
심재억 사회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