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전자·인테리어 ‘퍼놀로지’ 바람
사람들은 웃음을 원한다. 각박한 일상에서 잠시라도 벗어나게 하고, 무표정한 얼굴에 입꼬리가 살짝 올라간 미소를 머금게 하는 유머를 찾는다. 다른 어떤 프로그램보다 개그프로그램이 관심의 중심에 서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하루에도 수백개씩 쏟아지는 제품들 사이에서 눈길을 끌고, 사랑을 받고, 결국 베스트셀러 대열에 들어서기 위해서는 이런 사람들의 입맛에 딱 맞아야 한다. 소비자가 요구하는 기능(technology)은 기본으로, 시선을 당기기 위한 ‘재미(fun)’라는 요소를 첨가해 소비자를 공략한다. 재미와 기능을 합친 ‘퍼놀로지(funology)’는 거스를 수 없는 마케팅의 트렌드인 것은 이런 이유다. 그래서 패션, 인테리어, 전자제품 등 모든 가능한 소비재에서는 퍼놀로지를 지향하고 있다.
●재미없으면 외면당한다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각광받으면서 ‘재미’는 디자인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았다. 트렌드정보컨설팅업체인 아이에프네트워크의 김해련 사장은 “언제 어디서나 재미있게, 즐겁게 지내려는 욕구는 신선한 아이디어와 결합해 더욱 행복하고 즐거운 삶을 추구하게 된다. 유머가 넘치는 상품을 선보이거나 고객의 창의력을 발휘하게끔 하는 제품이 주목받고 있는 것은 이런 이유”라고 설명했다. 김 사장은 화려하고 유머러스한 그래픽을 응용한 ‘크리스챤 디올’, 자기와 똑같이 생긴 인형을 주문 판매하는 ‘마이트윈’, 올해의 디자이너로 선정된 폴 콕세시의 램프 등을 대표적으로 꼽았다.
‘크리스챤 디올’의 수석디자이너 존 갈리아노는 빨강 초록 오렌지 등 온갖 원색을 이용한 티셔츠를 선보이는가하면 커다란 주먹을 그려 넣은 ‘반전’ 티셔츠로 올해 봄·여름 패션쇼를 장식했다. 영국에서 올해의 디자이너로 꼽힌 폴 콕시지는 램프 받침에 전구와 선을 그려넣고, 펜으로 선을 잇거나 지우개로 지우면 전등이 켜졌다 꺼지는 재미있는 제품을 개발해 주목을 받았다.
미국의 인형 브랜드 ‘마이트윈’은 눈색깔부터 속눈썹 색깔까지 원하는 것을 선택하거나, 자신의 사진과 머리카락 견본을 보내면 쌍둥이 같은 인형을 만들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유러머스한 일러스트 티셔츠 바람
퍼놀로지 트렌드에 따라 재미있는 캐릭터가 티셔츠에 담겼다.‘쿨하스’는 트위티, 벅스버니, 실버스타 등 미국 워너브러더스의 루니툰 캐릭터를 의류, 가방 등에 다양하게 그려 넣었다. 트래디셔널브랜드 ‘노튼’은 클레이애니메이션 ‘월러스와 그로밋’을 이용해 티셔츠와 니트, 모자, 가방 등의 라인을 출시했다. 매장 디스플레이와 윈도 쇼핑백, 가격표까지 모두 이 캐릭터를 활용할 계획이다.‘1492마일즈’는 연인들을 위해 커플 별자리로 알려진 게자리(남자)와 전갈자리(여자)를 캐릭터화했고,‘후부’는 팝아트 작가인 ‘키스 하링’의 미키마우스 형상을 티셔츠에 옮겼다.
●생활에 녹아든 퍼놀로지
패션소품이나 생활소품, 인테리어 전반에도 퍼놀로지가 흐른다. 최근 런칭한 이탈리아의 깔가로는 목걸이, 벨트, 팔찌 등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고급스러우면서 재미있는 주얼리 브랜드로 유명하다.
서울 압구정동의 이노디자인 직영점에서는 퍼놀로지의 의미를 느낄 수 있다. 이노디자인의 랍스터 버너, 카림 라시드가 디자인한 3단계 원형 배낭, 보드부츠의 버클에 방수기능을 갖춘 다채로운 컬러의 브래니 패션 벨트 등 퍼놀로지 성향의 제품을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다. 바닷가재 모양을 닮은 재미있는 모양의 랍스터 버너는 실용성과 안정성을 갖춰 세계적인 디자인상 ‘아이디어(IDEA)’의 금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최근 이탈리아에서 열린 밀라노 가구박람회에서도 퍼놀로지 무드가 흘렀다. 주방용품으로 유명한 ‘알레시’는 디자이너 알렉산드로 멘디니의 대표작인 여자모양 와인오프너 안나시리즈와 커플을 이루는 남자모양의 알렉산드로 시리즈를 소개했다. 실험전시관 ‘살로네 사텔리테’에서는 머그컵을 엎어 놓은 의자와 녹차 티백 같은 쿠션, 그림 퍼즐판을 엎어 놓은 테이블 등 다양한 퍼놀로지 디자인이 등장했다.
최여경기자 kid@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