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우체국
    2025-10-02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521
  • [경제정책 돋보기] 공산품 관세 개방안 골격 마련 주력

    [경제정책 돋보기] 공산품 관세 개방안 골격 마련 주력

    23일부터 닷새동안 제주도 중문단지에서 열리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4차 협상은 오는 12월 초 미국에서 열릴 5차 협상에서의 핵심쟁점 타결에 앞선 ‘가지치기’ 협상이 될 전망이다. 한·미 양국은 이번 협상에서 쌀과 개성공단 등 핵심 쟁점을 제외한 비교적 이견이 크지 않은 사항들에서 최대한 합의를 이끌어냄으로써 5차 협상에서의 빅딜(핵심쟁점 주고받기)에 대비한다는 전략이다. 우리 대표단은 공산품 중심의 상품 개방안 골격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둘 방침이다. 우리측은 개성공단 생산품의 한국산 인정을 계속 주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북한 핵실험에 따른 한반도 긴장 고조로 미국측의 ‘반대 입장’이 더욱 거세져 난항이 예상된다. ●정부, 비민감품목 우선 절충 시도 우리 정부는 21일 국회 한·미 FTA 특위에 제출한 ‘한·미 FTA 4차 협상 대응방향’ 보고서에서 “이번 협상에서는 상품에 대한 관세 양허(개방)안의 골격을 마련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면서 “이견이 크지 않은 쟁점 위주로 ‘가지치기’ 작업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양측 협상단은 따라서 농산물과 공산품·섬유 등에서 상호 민감성을 최대한 반영, 개방요구 수준을 낮추고 합의 도출이 비교적 쉬운 항목들부터 본격적인 주고받기 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우리측 협상단은 이미 1531개 농산물 품목 가운데 284개를 개방 예외 품목으로 지정했던 당초 양허안을 수정, 개방 품목을 늘린 양허안을 마련했다. 미국측도 지나치게 보수적이라는 우리측 요구를 받아들여 두 차례에 걸쳐 섬유 개방품목이 확대된 수정 양허안을 제출했다. 하지만 역시 관건은 양측이 얼마나 진전된 수정안을 제시하느냐인데, 낙관하기는 이르다. 한·미 양국은 우리측 민감 분야인 농산물과 미국측의 취약 분야인 섬유 분야에 대해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를 설정한다는 데 의견접근을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우리측 협상단은 미국의 자동차 관련 세제 폐지 요구에 반대 입장을 견지할 방침이다. 아울러 한국에서 미리 검사받은 화물은 미국에서 신속하게 통관할 수 있도록 촉구할 계획이다. 미국이 한국산 철강이나 반도체 등을 대상으로 반덤핑 조치를 취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실질적인 개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미국측으로부터 ‘긍정적인 검토’ 답변을 끌어낸다는 복안이다. ●서비스·투자, 개방유보 분야 추려내 실질적 진전에 주력 서비스·투자 분야에서도 실질적으로 개방이 어려운 분야를 가려낸 뒤 세부 유보내용에 대한 협의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우리측의 관심사항인 항공, 해운, 어업, 통신, 방송, 전문직 자격 상호인정 등을 미국에 적극적으로 요구한다는 방침이다. 미국측도 법률·회계·통신·우체국택배 시장에 대한 개방과 방송·항공사 등에 대한 외국인 투자지분 제한 폐지를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서비스 국경간거래, 신금융서비스에 대한 양측간 합의사항을 협정문에 반영하는 방안을 집중적으로 협의할 계획이다. ●의약품 이견차 커 4차 협상을 앞두고 두 나라가 별도 화상회의까지 가진 의약품 분야의 경우 종전처럼 입장차를 좁히지 못해 난항이 예상된다. 그동안 두나라의 입장이 날카롭게 대립해온 무역구제, 자동차, 지적재산권 등에서 진전을 이뤄낼 수 있을지도 관심이다. 더욱이 다른 분야와는 달리 무역구제의 경우 12월 5차 협상까지는 어떤 식으로든 결론을 내야 하기 때문에 이번 협상 결과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핵실험으로 한·미 FTA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어 개성공단 문제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협상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협상시한이 가까워짐에 따라 양국 협상단 모두 실질적인 진전을 이뤄내야 한다는 부담이 적지 않아 합의 도출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제주 김균미기자 kmkim@seoul.co.kr
  • [경찰의 날 2題] 산마을 선생님

    [경찰의 날 2題] 산마을 선생님

    “아저씨, 학교 다녀왔습니다.” 17일 경북 성주군 성주경찰서 금수분소. 분소는 작은 파출소다. 오후 2시 통학용 승합차가 분소 앞에 서자 아이들 10여명이 우르르 내려 인사를 한다. 취학 전인 아이들은 익숙한 몸놀림으로 분소 앞에 돗자리를 깔고 소꿉장난을 시작하고 초등학생들은 저마다 먼저 인터넷을 하겠다며 2층으로 올라간다. 성주군 금수면 광산리에서 도규태(38) 경장은 ‘애 보는 경찰’로 통한다. 광산리는 대구에서 굽이굽이 산길을 1시간30분 이상 달려야 도착하는 산골 오지. 면 소재지이기는 하지만 초등학교도 유치원도 없다.‘번화가’라 할 수 있는 분소 앞길에 있는 건 우체국과 식당 2곳, 다방 1곳이 전부다.2003년 이곳으로 발령받은 도 경장과 부인 임은조(35)씨는 오자마자 어린이방과 공부방 선생님이 됐다. “이곳엔 부모 없이 할아버지, 할머니와 살거나 낮엔 부모가 일 나가는 아이들이 많은데 마땅한 교육시설도 없어요.” 그래서 분소를 놀이방 겸 공부방으로 만들었다.1층 문서창고는 아이들 공부방으로,2층 숙직실은 놀이방으로 리모델링했다. 매일 분소를 찾는 아이들은 취학 전인 5살 기원이부터 6학년 혜영이까지 모두 13명.2층 공부방은 방과 후 아이들의 공부를 도와주는 유일한 장소다. 동화책 1000여권과 컴퓨터 2대도 있어 그런대로 공부방으로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 부부가 애쓴 결과다. 하지만 정부 지원금으론 운영비가 모자라 빠듯한 월급봉투를 털 때도 많다. 도 경장은 공을 부인에게 돌린다.“두 아이 키우는 것도 벅찰 텐데 고생이죠. 한번도 싫은 내색 없이 아이들을 챙겨 주니 고마울 뿐입니다.” 마을 노인들은 보답으로 직접 기른 호박이며 가지 등 채소를 건네곤 한다.“사양할 수 없어 받는데 덕분에 밥상은 늘 풍성해요. 흥부네 집처럼 항상 바글바글해도 사람 사는 정을 느낍니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 천의 얼굴을 한 인도의 우편제도

    천의 얼굴을 한 인도의 우편제도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큰 면적과 11억에 가까운 인구가 살아가는 인도의 우편제도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을까? 흔히들 인도는 ‘다양성diversity’이라는 개념을 배제하고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나라라고 하는데, 인도의 우편제도 역시 천의 얼굴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우체국을 운영하고 있다. 그 수가 무려 155,516개(2006년 현재 기준)에 이르며 우편행정에 종사하는 인력만 60만 명에 달한다. 1774년 4월 1일 우편업무가 공식적으로 시작되어 1852년부터 당시 인도식민을 담당했던 동인도회사의 관리 하에 우표가 발행되기 시작했다고 하니 인도의 우편 역사는 결코 짧지 않다. 하지만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인도 우편행정은 정부 투자가 시급한 분야 중 하나로 꼽힌다. 자료에 의하면 지난 2005년까지 전산화 작업을 마친 우체국은 전국을 통틀어 800여 개 정도로, 전체 우체국 수의 1%에도 못 미치고 있다. 배달방식은 우체부가 걸어 다니며 가가호호 우편물을 배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인도 전역을 통틀어 그나마 1,200대 정도 된다는 우편배달용 오토바이는 인구가 밀집한 대도시 위주로 배당되어 있다 보니 시골에 사는 사람들은 그저 우체부 아저씨가 병이 나지 않게 해달라고 기도해야 할 판국. 독특한 배달방식도 있다. 인도 동북부 나갈랜드주의 우체부들은 자신의 도착을 알리기 위해 양쪽 다리에 방울을 묶고 다닌다. 주요 도시인 코히마와 디마푸르를 제외하고는 오로지 봉투 위에 적힌 이름만으로 우편물 수취인을 찾아가야 하는데 상당수의 주민들이 부족, 씨족 단위로 여전히 정글에서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문패가 없는 지역에서 우체부가 수취인을 찾아가는 그 특별한 기술과 고충은 신문기사화 되었을 정도다. 인도의 우편제도와 관련하여 두 가지가 눈에 띈다. 하나는 네 가지 색깔의 우체통이고, 또 하나는 인도 체신부가 규정한 소포 포장 방법이다. 인도의 길거리를 걷다 보면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노란색의 네 가지 우체통이 세워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초록색은 지역 내에 배달되는 우편물, 파란색은 인도의 대도시로 배달되는 우편물, 노란색은 지방정부의 수도로 배달되어 가는 우편물, 빨간색은 기타 지역으로 가는 우편물들을 넣게 되어 있다. 인도의 체신부가 1년에 90억 통 이상의 우편물을 취급한다고 하니 일차적인 분류의 필요성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외국인들에게는 인도의 소포포장 방식이 좀 유별나 보인다. 무게 200g 이상의 소포는 단단한 박스에 담거나 천으로 씌운 후 바느질까지 해가야 접수를 받아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체국 건물 옆에는 소포 포장만을 담당하는 가게들이 하나씩 붙어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소포 포장규정은 내용물의 파손과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는데 대부분의 인도인들은 분실 방지 목적이 더 크다고 입을 모은다. 인도에서는 우편물이 아예 도착하지 않거나 내용물 중 일부가 사라진 채 배달되는 경우가 많다. 소포뿐만 아니라 편지나 엽서도 우체국에 직접 가서 우표에 소인이 찍히는 것까지 직접 확인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인데, 이는 우체국 직원들이 우표를 떼어내서 다시 파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인도의 우편제도와 관련하여 최근에도 웃지 못할 일이 하나 있었다. 얼마 전 어머니의 생신 즈음이었다. 엽서로 축하인사를 보내고 얼마 후 어머니와 전화통화를 하는데 엽서와 인도과자를 잘 받았다고 하시는 것이다. ‘내가 인도 과자를 보냈던가?’ 아무리 생각해도 과자를 보낸 적이 없기에 어머니께 출처를 알 수 없는 그 과자를 드시지 말라고 당부했지만 어머니께서는 “우리 아들이 공부하느라 힘들어서 과자 보낸 것도 기억하지를 못하는구나” 하시며 오히려 나를 안쓰러워하시는 것이 아닌가. 추정컨대, 과자를 담은 어느 인도인의 소포에 내가 보낸 엽서가 딱 달라붙어버려서는 한국까지 배달된 것이다. 언제부턴가 ‘IT 강국’이라는 칭호가 인도를 수식하는 말로 자리를 잡으면서 마치 인도가 첨단화, 디지털화 된 것 같이 비춰지기도 하지만 말도 많고 탈도 잦은 인도의 우체국에는 오늘도 손으로 직접 쓴 편지와 엽서를 부치러 온 수많은 사람이 밝은 표정으로 줄을 서있다. 가끔은 그런 인간적인 냄새가 그리워서 엽서 한 장을 들고 인도의 우체국으로 달려가곤 한다. 신민하_한국외대 인도어과를 졸업하고 인도 델리대학교 대학원에서 인도근대사를 전공하고 있습니다. 미운 정 고운 정이 흠뻑 든 인도와의 연애에서 당분간 빠져나올 생각이 없어 보이는 스물여덟 청년입니다. 월간<샘터> 2006.07
  • [부고]

    ●서항석(전 왕십리2동장)일석(종로구청 계장)강석(성동구청 부구청장)씨 모친상 송남의(개인사업)정운립(워커힐호텔 마케팅부장)씨 빙모상 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1일 오전 9시 (02)3010-2262●문영한(전 서울고 교장)씨 별세 문신행(전 천문우주연구소 소장)신효(서인조경 대표)신용(서울대 의대 교수)신범(자영업)신관(빈림에프디 대표)씨 부친상 김성수(인산통상 대표)씨 빙부상 3일 서울대병원, 발인 11일 오전 9시 (02)2072-2091●박재현(경향신문 산업부 기자)재성(경성무역 개발부장)씨 부친상 박신영(시흥 매화초등학교 교사)씨 시부상 8일 여의도 성모병원, 발인 10일 오전 7시30분 (02)3779-2195●육창균(낙서우체국장)재희(전 현대아산 상무)씨 모친상 박대수(여주 제일중 교사)김진우(상주시청 근무)씨 빙모상 7일 상주장례식장, 발인 9일 오전 7시30분 (054)523-4444●강용구(한성합동법률사무소 변호사)씨 상배 강제상(경희대 정경대 교수)준상(SK네트웍스 MD 기획팀 과장)혜원(강남대 사회복지학과 강사)정원(신흥대학 영유아보육학과 교수)씨 모친상 임시규(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최영진(연세드림비뇨기과의원 원장)씨 빙모상 8일 서울대병원, 발인 11일 오전 7시 (02)2072-2016●신희직(현대오일뱅크㈜ 상무)씨빙부상 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0일 오전 8시 (02)3010-2295●이한구(수출입은행 부산지점 부지점장)인구(오성식품 대표)씨 부친상 8일 보라매병원, 발인 10일 오전 5시30분 (02)831-1899●정의연(남양철강 대표이사)두곤(원진상사 대표)두준(목사)두연(한창종합배관 대표이사)씨 모친상 윤진옥(전 성진철강 대표)이지은(인천대 교수)씨 빙모상 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0일 오전 8시 (02)3010-2233●손상목(도서출판 인디북 사장)씨 별세 손범준 지원 정민씨 부친상 8일 일산 백병원, 발인 10일 오전 6시 (031)919-2099●박은덕(아주대학교 교수)씨 부친상 이정국(한국씨티은행 신설동지점장)최성규(공군대령)임원일(SK텔레콤 상무)하충식(열린치과 원장)씨 빙부상 7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9일 오전 6시 (02)3410-6915●배노식(충북 영동군 새마을지회장)씨 별세 8일 충북 영동병원 장례식장, 발인 11일 오전 8시 (043)74-6499●황호진(SK건설 MUD프로젝트팀 팀장)치성(자영업)종국(한국전통문화학교 교수)씨 모친상 6일 강남성모병원, 발인 10일 오전 7시 (02)590-2697
  • [부고]

    ●김형신(자영업)형인(한국외국어대 교수)씨 부친상 김경진(삼원플라스틱 회장)씨 빙부상 1일 분당 서울대병원, 발인 3일 오전 8시 (031)787-1503●조성원(SBS 도쿄특파원)씨 부친상 30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3일 오전 9시 (02)392-3499●김재명(미국 거주)씨 모친상 안재식(전 북인천세무서장)이종석(전 농협 지점장)최봉규(전 대우 이사)류성연(충남대 교수)씨 빙모상 30일 중앙대병원, 발인 3일 오전 6시 (02)860-3510●정옥녀(불교합창단 지휘자)씨 별세 호경(세인I&F 대표)호영(축산연구소 연구사)씨 누님상 30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일 오전 11시40분 (02)3010-2292●이만도(전 해운대초등학교 교장)씨 별세 진오(전 원자력병원 원장)성오(SK E&S 상무)씨 부친상 30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일 오전 8시30분 (02)3410-6917●김미경(숙명여대 교수)씨 모친상 김태환(제일민원 대표)이효성(세진물산 대표)장영출(공군 대령)이인수(이인수회계사무소 대표)씨 빙모상 29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일 오전 7시30분 (02)3410-6916●박인교(전 성남시 부시장)씨 상배 종찬(영도건설산업 토목이사)종홍(엑셀테크 경영팀 차장)씨 모친상 송군호(NH투자증권 투신영업팀 부장)장형만(엑셀테크 대표)씨 빙모상 1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3일 오전 8시 (02)392-0299●김진범(전 한국외환은행 상무·전 참아름종합금융사장)진문(미국 거주)진형(사업)씨 모친상 최은주(경기대 교수)씨 시모상 30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3일 오전 9시 (02)3410-6914●임형택(무역업)춘택(창원지검 차장검사)씨 모친상 권태형(변호사)씨 빙모상 1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3일 오전 8시 (02)3410-6912●차혜경(전 과학기술대 교수)씨 별세 김우현(동문교역 대표)씨 상배 1일 분당서울대병원, 발인 3일 오전 6시30분 (031)787-1506●소대영(대구백화점 부사장)학영(SC제일은행 금호동지점장)씨 모친상 30일 경북대병원, 발인 2일 오전 8시 (053)420-6151●정상복(신한은행 부부장)상을(동성화학 대만지사장)상현(우체국 보험보상부 대리)은주(부산연산도서관 사서)씨 부친상 원경상(국방부 군무원)씨 빙부상 29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일 오전 8시 (02)3410-6919●조정휘(경희대부속병원 순환기내과장·대한고혈압학회 이사)씨 별세 30일 경희의료원, 발인 3일 오전 9시30분 011-9709-7942●정재필(인투디에스 대표)씨 부친상 1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3일 오전 6시 (02)3010-2294●김문회(건국대 교수)씨 별세 광회(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교수)갑회(신한은행 지점장)씨 제씨상 30일 건국대병원, 발인 3일 오전 7시 (02)2030-7901●조대송(전 한국자유총연맹 조직부 국장)씨 별세 1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3일 오전 10시30분 (02)3410-6911
  • [Local] 울산, 태극기 달기 캠페인

    ‘울산의 10월은 태극기 물결’ 울산시는 29일 나라사랑 마음을 되새기기 위해 경축일이 가장 많은 달인 10월에 태극기 달기 캠페인을 벌인다고 밝혔다. 게양기간은 국군의 날·개천절·한글날로 이어지는 10월1일부터 9일까지다. 이 기간 가정과 직장에서 계속 국기를 달아놓도록 하고 시가지 주요 간선도로에도 태극기를 내걸어 태극기 거리를 만든다. 집에서 국기를 게양하는 방법은 집 밖에서 볼 때 단독주택은 대문 중앙이나 왼쪽, 공동주택은 각 가정마다 난간 중앙이나 왼쪽에 달면 된다. 비·바람 등으로 국기가 훼손될 우려가 있으면 내렸다가 날씨가 좋아지면 다시 걸면 된다. 태극기를 구입하려면 우체국에 방문하거나 전화, 또는 인터넷 우체국을 이용하면 된다.울산 강원식기자 kws@seoul.co.kr
  • 크리스마스 실 1일부터 판매

    우정사업본부는 대한결핵협회와 함께 10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전국 2800여개 우체국(우편취급소 제외)에서 크리스마스 실을 판매한다고 29일 밝혔다.2006년 크리스마스 실은 일반인 대상 도안 공모에서 독도의 생물을 주제로 대상을 받은 ‘아이러브 독도’ 작품이다. 크리스마스 실은 10장 1세트로 구성됐다.1장당 판매가격은 300원.
  • 서울중앙우체국 새 청사 이름 ‘포스트 타워’로

    우정사업본부는 2007년 하반기 준공 예정인 서울중앙우체국 신청사의 새 명칭 공모 결과,‘포스트 타워’가 최우수작으로 선정됐다고 29일 발표했다. 우수작에는 ‘센트럴 포스트빌딩’과 ‘우정 타워’가, 가작에는 ‘글로벌 포스트타워’ 등 5건이 각각 선정됐다. 최우수작(1명) 상금은 100만원, 우수작(2명) 상금은 각 50만원, 가작(5명)은 각 10만원이다. 서울 명동 중앙우체국 신청사는 2만 2000평 규모(지하 7층∼지상 21층)다.
  • [Local] 부안군 “집까지 여권 배달합니다”

    “집에 앉아서 여권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전북 부안군이 25일부터 여권을 신청인의 주소지까지 배송하는 특별수송서비스를 도입했다. 부안우체국과 협약을 맺어 여권 훼손과 도난 등을 막도록 내부에 특수코팅된 여권 배송용 전용봉투를 제작해 다른 우편물과 별도 취급한다. 배송료는 1건당 2500원으로 민원인이 부담한다. 같은 주소지로 배달될 경우 여권 매수와 상관없이 1건으로 인정한다.
  • [추석이다! 전쟁이다!] 업체 내주 비상근무 돌입

    택배업계가 본격적인 ‘추석 전쟁’에 들어갔다. 추석을 1주일여 앞둔 이 달 28∼29일 추석 선물 물량이 최고조에 이를 것으로 보고 일제히 추석맞이 비상근무 체제를 마련했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우정사업본부는 추석을 맞아 소포우편물 등이 폭주할 것으로 예상, 오는 18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추석특수 우편물 특별소통기간으로 정했다. 우정사업본부와 8개 체신청, 전국 우체국에 ‘추석 우편물 특별소통대책본부’를 설치한다. 최근 명절때는 우체국 택배를 이용한 소포 물량이 7∼9%씩 늘어났다. 관계자는 “지난해 추석땐 120여년 우정역사상 배달 최고 기록을 갈아치우기도 했다.”면서 “올해는 연휴가 길어 2만∼3만원 정도의 선물을 주고 받는 횟수가 폭주할 것으로 예상돼 추석 1주일전에 신청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PDA로 접수에서 배달까지 전 과정을 관리돼 분실 염려가 없다. 이용 전화는 1588-1300. 대한통운도 18일부터 다음달 4일까지 보름간을 추석특수 수송 기간으로 정하고 비상근무 체제에 들어간다. 대한통운 관계자는 “불황기에 중·저가 선물 물량이 늘어났던 예년의 추세에 비추어볼 때 올 추석에는 지난해 추석에 비해 30% 이상 물량이 증가할 것 같다.”면서 “1일 최대 55만 박스를 돌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택배도 추석 배송 물량을 원활히 처리하기 위해 18일부터 10월2일까지 추석 특별수송 기간으로 정했다.1500여대의 차량을 추가 투입하고, 터미널 분류인력을 40% 증원한다. 콜센터에도 상담 인력을 추가 투입할 예정이다. 한진택배도 올 추석에는 평상시의 150∼200%까지 택배 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원활한 배송을 위해 890여대의 임시 차량을 준비했다. 또 전국 터미널에 현장 분류작업 인원을 추가 배치할 계획이다. 한진택배 관계자는 “25일부터 개인택배 예약 접수를 제한할 예정”이라며 “추석 물량 예약이 집중되는 넷째주(18∼22일)를 피해 16일 이전에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CJ GLS도 전국 터미널을 운행하는 11t 차량을 15% 가량 늘린다. 터미널에서 선물을 분류하는 아르바이트 인력과 배송 보조원 등도 10% 추가 모집해 투입할 계획이다.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 ‘美 펀드 직접판매 불허’ 성과

    ‘美 펀드 직접판매 불허’ 성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단은 시애틀 3차 협상을 통해 핵심분야에 대한 실질적인 진전을 이뤄내지는 못했지만 상대방의 ‘패’를 펴놓고 속내를 읽는 자리였다. 협상 쟁점들이 보다 명확해지고 구체화됐으며 상대방의 진짜 의도를 파악하는 기회가 됐다. 미국이 연내 타결 의지를 분명히 강하게 밝힘에 따라 양측은 앞으로 남은 4·5차 두차례 협상을 통해 합의안을 이끌어내기 위해 협상속도를 높여나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용 가능한 대안을 모색, 내놓아야 하는 만큼 보수적으로 짜여진 1차 관세양허안과 서비스 유보안에서 거품을 걷어내는 실질적인 협상이 진행된다.‘진짜 협상’은 지금부터다. ●금융·통신·환경 등에서 일부 성과 금융서비스의 경우 국경간 거래 허용 대상으로 비소비자 금융 중 수출입 적하보험, 재보험, 우주선 발사보험 등만 논의하기로 한 것도 성과다. 또 미국 자산운용사가 국내에서 직접 펀드를 설립하고 모집·광고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로 한 것도 성과로 평가된다. 아울러 농협 공제(보험상품)에 대해 미국측은 더 이상 문제삼지 않기로 한 대신 우체국 공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불만이다. 양국은 해당 국책금융기관을 선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협상 초반 불거진 독점·공기업에 대해 이견은 FTA협정상의 의무를 매우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부과하기로 의견접근을 보았다. 통신분야의 경우 우리측 요구로 규제기구가 정부로부터 독립돼야 한다는 미국측의 문안을 삭제키로 해 정부의 통신산업에 대한 관리·감독이 종전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무역구제·자동차등선 이견 여전 ‘산넘어 산´ 일부 분야의 세부사항에서 진전이 있었지만 농산물·섬유, 무역구제, 자동차, 개성공단 문제 등 핵심사안에서는 실질적인 진전이 거의 없었다. 미국은 무역구제 완화를 요구한 우리측 제안을 거부했다. 미국은 우리의 배기량별 자동차세제의 폐지도 계속 요구했다. 개성공단 원산지 인정에 대해서는 정치적 성격으로 인해 논의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투자 분과에서 일시 세이프가드 조항 도입과 분쟁 해결절차의 적용대상을 제한하자는 우리측 제안에 대해서도 미국은 기존의 반대입장을 고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김균미기자 kmkim@seoul.co.kr
  • 한·미 FTA 3차협상 쟁점 및 전망

    한·미 FTA 3차협상 쟁점 및 전망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3차 협상이 6일 새벽(한국시간) 미국 시애틀에서 닷새간의 일정으로 시작됐다. 양국 협상단은 공식적인 협상일(7일, 현지시간 6일)보다 하루 앞서 개성공단 한국산 인정 문제 등을 논의하는 원산지·통관 협상을 시작으로 사실상 3차 협상에 돌입했다. 양국간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개성공단 생산제품의 한국산 인정 문제가 첫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4일 시애틀에 도착한 김종훈 수석대표는 공항에서 “3차 협상에서는 양허(개방)안과 서비스·투자 유보(개방 제외)안, 통합협정문 쟁점 사항에 대한 논의 진전 등 3가지가 초점이 될 것”이라면서 “특히 개방안과 서비스 유보안에 대한 논의가 집중될 것”이라고 말했다. 진동수 재정경제부 제2차관도 5일 3차 협상 개막에 맞춰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원산지 규정이나 섬유 세이프가드를 현행처럼 유지하겠다는 미국 입장은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쌀과 섬유, 의약품, 자동차, 개성공단 등 기존 쟁점 이외에 지적재산권, 반덤핑, 공기업, 통신 등 분야에서 새 쟁점들이 협상장을 달굴 전망이다. 한편 한·미 FTA 저지 범국민운동본부 소속 회원 60여명도 시애틀 현지에서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지재권 보호기간 70년 vs 50년 지적재산권 문제는 출판물 등 저작물은 물론 특허권 등 의약품 협상 등과도 맞물려 있어 뜨거운 불씨가 될 전망이다. 미국은 1998년 통과된 이른바 ‘미키마우스법’에 따라 저작권 보호기간을 70년으로 연장하는 등 자국 수준의 엄격한 저작권 보호를 요구하고 있다. 디지털 저작물을 잠시 내려 받는 것도 저작권 침해로 간주하는 ‘일시적 복제권’도 주장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국내법 대로 ‘저작자 사후 50년’을 유지할 것을 고수하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반(反)덤핑 제재 문제도 핫이슈다. 한국측은 국내 산업에 엄청난 피해를 주고 있는 미국의 반덤핑 제재를 완화하고 긴급수입제한조치(세이프가드)도 철회하라고 미국측을 강하게 압박한다는 입장이다. 독점·공기업을 포함한 공공부문 개방 문제도 ‘뜨거운 감자’로 떠오를 전망이다.2차 협상때 우체국 보험 등 정부 지원 문제를 언급한 미국측은 산업은행, 기업은행 등 국책은행과 농협 공제 등 정부 지원과 독점적 지위 등도 문제삼을 것으로 예상된다. 통신기술표준 정부지정 문제도 시비를 걸어올 것으로 보인다. 전기·수도·가스 등 국민기초생활 관련 분야도 미국측이 문제를 제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쌀, 섬유, 개성공단 제자리 예상 미국측은 한국의 대표적 취약산업인 농산물, 그중에서도 쌀 문제를 집요하게 파고들 것으로 보인다. 이를 지렛대로 뼈 없는 쇠고기의 재수입, 낙농가공품 관세의 대폭 삭감 등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두 나라는 농산물의 관세철폐 기간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해 결국 각각의 양허안을 제시했다. 따라서 협상 과정에서 한국이 ‘예외 취급’을 요구한 284개 농산물 품목 중 미국이 얼마나 양보할지가 관건이다. 입장차이만 확인한 자동차 분야도 난항이 예상된다. 배기량을 기준으로 부과하는 국내 자동차세제 기준을 가격이나 연비로 바꿀 것을 요구해온 미국은 여기에다 자동차 표준 제정시 ‘작업반’ 구성 등 공세의 고삐를 한층 조일 태세다. 한국은 미국이 20% 수준의 높은 관세로 보호하는 픽업트럭의 관세 폐지를 물고 늘어진다는 입장이다. 우리의 몇 안되는 공략 분야인 섬유는 미국측이 원산지 규정(얀 포워드)을 내세워 중국산 원사(原絲)를 쓴 상당수 한국산 제품을 관세 철폐 대상에서 제외하려 하고 있어 협상 진전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개성공단 한국산 인정 문제는 북한 미사일·핵문제 등 정치적 변수까지 가세, 전망이 불투명하다. 단 한국측은 재료의 60% 이상이 한국산(남한산)으로 이뤄지면 한국산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첫날부터 강하게 요구할 방침이다. 이영표기자 tomcat@seoul.co.kr
  • [인사]

    ■ 중앙인사위원회 ◇과장급 전보 △성과후생국 직무분석과장 朴宰民◇서기관 승진△혁신인사기획관실 尹炳日 李璟聲△정책총괄과 劉承周△임용관리과 梁允奎△인재기획과 徐周鉉△능력발전과 房順東■ 교육인적자원부 ◇서기관 △교원정책혁신추진팀장 金光豪◇사무관△정책홍보관리실 이선우△평생학습국 배동인△교육인적자원부(규제개혁기획단) 정오채■ 외교통상부 △전라남도 국제관계자문대사 申國昊■ 보건복지부 ◇부이사관 승진△혁신인사기획팀장 주정미△사회복지정책본부 장애인정책〃 김강립△보건의료정책본부 보건정책〃 전병율△보험연금정책본부 연금정책〃 조기원△보건산업육성사업단 보건산업정책〃 김정석■ 산림청 ◇4급 승진 △산림항공관리본부 산림항공과장 千世旭■ 우정사업본부 △우편사업단소포사업팀장 사호선△남울산우체국장 조용환△마산우체국장 김장성△창원우체국장 김용일△천안우체국장 변상기△서대구우체국장 배중섭△원주우편집중국장 최상국 ■ 한국철도공사 (본사) △비서팀장 尹重漢△기획조정본부 전략기획팀장 金弘載△〃 국제철도〃 金光模(수도권북부지사)△성북역장 金福煥(강원지사)△경영관리팀장 崔德律■ 대한지적공사 ◇1급 승진 △본사 사업개발팀장 金泰勳△지적연수원 교육지원팀장 申哲淳◇2급 승진△광주·전남본부 총무팀장 崔洪燦◇본사 팀장 전보△지적재조사팀장 曺秉鉉△총무〃 韓又正◇본부 팀장 전보△서울본부 총무팀장 尹光洙△부산본부 〃 姜相和△인천본부 〃 姜鎬雄△경기본부 〃 金英植△대전·충남본부 〃 崔昌奎△울산·경남본부 〃 文柄洙◇지사장 전보△충북본부 옥천군 지사장 金用培△〃 단양군 〃 韓容煥 ■ 산재의료관리원 ◇전보 △의료지원팀장 河鍾浩△인천중앙병원 관리부장 李亨錫△안산중앙병원 〃 具滋雲△대전중앙병원 원무부장 吳憲燮■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조정실장 조성봉△기업연구본부장 황인학 ■ MBC플러스 △방송본부장 徐正塤■ 세계일보 ◇승진 △사회부 대구주재 국장 文鍾奎 △〃 경남주재 부국장 安元俊△〃 울산주재 부장대우 劉載權◇전보△문화체육부 문화전문기자 曺龍鎬△〃 종교〃 丁成洙■ 남양유업 ◇승진 △상무이사 한현근(자재) 성장경(홍보)△상무(보) 장치훈(중앙연구소장)■ STX조선 ◇승진 △기술본부장 전무 신성수△해외 프로젝트팀 부상무 최차갑 ■ 우림건설 ◇이사 전보 △금융지원실 박준홍△개발기획실 정복동△개발사업 1실 한태성 ■ 우리투자증권 △AI팀장 姜炳周■ 국민대 △대학원 교학팀 및 대학원 총괄행정팀장 실장 孫幸哲△교무팀장 부장 張昌壽△구매팀장 부장 林東範△평생교육원 및 보육교사교육원 교학팀장 부장 李承輝△관재팀장 부장 金昌淑△교육대학원 및 사범대 교학팀장 부장 金泰石△언어교육원 부장 金眞珠■ 세종대 △기획처장 이원우△교무〃 서차영△입학〃 정규엽△학생지원〃 박주혁△대외협력〃 전의찬△총무〃 이선홍△관리〃 박정호△연구산학협력〃 이경태△전산정보원장 최석림■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본원) ◇본부장△경영혁신본부 洪性桂△기술안전본부 嚴龍基◇팀장△감사팀 康鉉明△홍보팀 權純傑△경영지원팀 李侑相△정보관리팀 盧庚男△사고조사연구팀 姜信千△안전교육팀 南基敏△기술사업팀 曺官培◇파트리더(PL)△경영혁신본부 朴永鎭△기술안전본부 元鎭奉△기술사업팀 李昌鎔(지원) ◇지원장△서울 崔一燮△서울북부 朴正勳△서울동부 李東熙△서울서부 具陽會△경기 韓仁鐸△경기북부 表漢敎△경기동부 林康燮△경기서부 李大永△인천 林昌洙△강원 洪性敏△대전 張鎭模△충북 金鐘緖△천안 李在熙△부산 金鐘浩△대구 黃秀哲△구미 具香會△울산 張鉉淑△경남 柳炳鎬△광주 鄭泰勉△전북 許允燮△제주 林成勇
  • 고로면사무소 이전 郡·주민 줄다리기

    고로면사무소 이전 郡·주민 줄다리기

    경북 군위군 고로면 화북댐 건설로 수몰될 면소재지 이전부지 선정을 놓고 자치단체와 주민들이 갈등을 빚고 있다. 군위군은 발전 가능성을 들어 특정지역 이전을 강행하려고 하나 정작 주민들은 여론을 무시한 ‘독선행정’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30일 수자원공사 화북댐건설단에 따르면 9월중 댐 건설로 수몰될 고로면 학성리 현 면소재지와 주민 이주단지를 화북3리(동산지구)로 이전하기 위한 실시설계 용역계약을 민간업체와 체결할 계획이다. 군위군이 최근 현행 관련법에 따라 이 일대 5만 5000평을 면소재지 이전지로 최종 확정, 통보해 온 데 따른 것이라는 설명이다. 군이 동산지구를 새로운 면소재지로 확정한 것은 발전 가능성과 함께 지난해말 21개리로 구성된 이장협의회에서 20개리 이장들이 이곳에 면소재지를 개발해 달라고 건의한데 따른 것이다. 또한 수몰 이주대상 전체 135가구 중 12가구가 동산지구로 이주를 희망한 점도 반영됐다. 이에 따라 댐 건설단은 2007년말까지 이곳 2만 1400여평에 40가구 수용규모의 택지와 면사무소 등 공공기관 부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그러나 수몰 26가구는 군이 다수의사를 무시한 채 면소재지 이전을 일방 추진하고 있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나머지 97가구는 대구 등지로 이주를 희망하고 있다. 이와 함께 면사무소와 보건지소 등 공공기관을 제외한 농협지소, 우체국, 마을금고, 고로초등학교, 고로중학교 등은 이전비용 부담과 입지조건으로 동산지구 입주를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수몰지역에서 최근 동산지구로 조상묘 20여기를 이장한 일부 문중들은 재이장할 수 없다며 반대하고 있다. 게다가 일연 스님이 삼국유사를 집필한 곳으로 동산지구와 400m정도 떨어진 인각사(사적 제374호)측도 문화재 훼손 등을 우려,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전 반대측은 “군이 주민투표 실시 등 여론수렴 과정없이 동산지구에 면소재지 이전 등을 추진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며 “지금 당장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새로운 면소재지와 이주단지를 동산지구 하류 2㎞ 지점인 화수지구(화수리)에 조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동산지구에 비해 편리한 교통망과 소작이 가능한 넓은 농경지 등의 이점을 들고 있다. 강상식(57·고로면 학성1리) 화수단지이주희망자 대표는 “다수 주민들은 지금도 동산지구보다 발전 가능성이 월등한 화수지구 이주와 면소재지 이전을 강력 희망하고 있다.”면서 “군은 하루빨리 주민이 원하는 행정을 펴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동산지구로 면소재지 이전을 추진하는 것은 수몰민뿐만 아니라 비수몰민까지 감안한 것으로 중단할 수 없다.”고 맞서 추이가 주목된다. 군위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 “공동배달은 신문사·지국 둘다 윈윈”

    “공동배달은 신문사·지국 둘다 윈윈”

    신문법 논란 이래 오랜만에 ‘신문유통원’이 다시 화제에 올랐다. 유진룡 전 문화관광부 차관의 경질사태와 맞물리면서, 또 다시 ‘원래부터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조직’이라는 화살이 유통원에 겨눠지고 있다. 과연 유통원은 필요없는 조직인지, 실제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안진호 신문유통원 경기북부센터장에게 직접 물었다. 경기북부센터는 유통원 직영센터인 의정부동부센터를 중심으로 의정부 서·남·북부 등의 지국장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만들어진 조직이다. 안 센터장은 일간지 지국을 운영하다 한계를 느껴 센터에 도전했다. 그 때문에 지국계약을 해지당하는 아픔이 있었지만, 그래도 공동배달사업은 이뤄져야 한다는 소신을 가지고 있다. 안 센터장은 그 이유로 일단 “지국장들이 인간답게 살게 됐다.”고 했다. 지국별로 일할 때는 신문을 받아 배달시키려면 새벽 1∼2시부터 일해야 했다. 가끔 배달원이 안 나오면 직접 배달하기도 했다. 그런데 유통원이 배달을 통째로 떠맡아 해결해주니, 지국장에겐 새벽일이 없어졌다. 대신 낮에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부수 확장 등 영업 활동에 몰두할 수 있었다. 여기다 4∼5명씩 데리고 있었던 이런 저런 직원도 경리담당 1명으로 줄였다. 인건비뿐 아니라 사무실 유지비도 아낄 수 있었다. 점점 구하기 힘들어지는 배달원도 쉽게 구할 수 있다. 일본처럼 배달원이 안정적인 직업이 될 수 있어서다. 지국별로 할 때보다 배달하는 부수가 증가하니까 수입도 늘 수 밖에 없다. 여기다 신문 외에 다른 정기간행물도 배달할 수 있다. 실제 경기북부센터는 몇종의 월간지와 주간지, 대학동창회보 같은 정기간행물배달도 맡고 있다.“요즘 우체국에서도 대량 배달에 대한 할인율을 낮추는 추세랍니다. 센터야 어차피 신문배달하는 김에 다른 것도 배달하는 거니까 가격경쟁력이 생길 수 있는거죠. 아직 시작단계이지만 꾸준히 개발할 생각입니다. 배달원들에게 하다못해 ‘산재보험’이라도 해줘야죠.” 방송과 인터넷이 대세라는, 그래서 신문이 예전만큼 팔리지 않는 시대에 공동배달은 나름대로 합리적인 대안처럼 보인다.10개 신문사가 각각 한개씩의 지국을 내고 10대의 오토바이로 구석구석 배달하려면 100대의 오토바이가 필요하지만, 유통망을 합친 뒤 지역별로 배달하면, 배달시간이 조금 길어지더라도 10대의 오토바이만으로도 충분하다. 실제 이미 어떤 방식으로든 공동배달은 이뤄져왔다. 한 지국이 여러 신문을 다루는 것이나, 아파트의 경우 신문별로가 아니라 동별에 따라 배달해왔다. 최소비용·최대효과라는 ‘시장원리’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유통원이 그렇게도 못마땅한 이유는 무엇일까. 유럽에서는 국가가 지원하는 공동배달제가 낯선 것도 아닌데 말이다. 안 센터장은 ‘부수에 가득 낀 거품’을 꼽았다.“사실 지금까지 전부 중국산 제품을 경품으로 주고 영업해왔잖아요. 솔직히 돈으로 산 독자들이잖아요. 그 거품이 사라질까봐 무서워하는거죠.” 또 구독자 명부가 영업기밀이라는 얘기에 대해서는 곁에 있던 주재호 의정부사업소 북부센터장이 거든다.“유통원은 배달망입니다. 지국은 이름하고 주소만 알려주면 돼요. 기존의 독자를 관리하고 신규독자를 늘리는 건 지국장들의 몫입니다.” 글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 [국제플러스] “바이옥스 피해” 제약사 5000만弗 배상 판결

    미국 뉴올리언스 연방 지방법원은 17일(현지시간) 제약업체가 국내에서도 판매됐던 진통제 ‘바이옥스’의 위험성을 경고하지 않았다면서 손해배상을 명령했다. 이로써 제약회사 ‘머크’는 바이옥스를 복용한 뒤 심장발작을 일으킨 전직 연방수사국(FBI) 직원에게 5000만달러를 지급해야 하게 됐다. 배심은 이날 평결에서 머크가 피해자를 치료한 의사들에게 바이옥스에 대한 정보를 고의로 잘못 전하거나 공개하지 않은 점이 인정된다며 이같이 결정했다. 이와 함께 뉴저지주 법원에서도 뉴잉글랜드 의학저널의 정정기사로 드러난 새로운 증거를 근거로 머크사의 손을 들어준 원심 결정을 파기하고 한 우체국 직원의 바이옥스 피해에 관한 재판을 새로 하라는 판결이 내려졌다. 머크사는 2004년 9월 바이옥스가 일부 환자에게 심장발작과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임상실험 결과가 나온 뒤 시장에서 약을 철수했다. 머크사는 현재 바이옥스 부작용과 관련,2만 7000여명의 원고가 관련된 1만 4000여건의 연방 및 주법원 소송에 직면해 있다.
  • 신제윤 재경부 국제금융심의관 “한미FTA 금융태스크포스팀 가동”

    재정경제부 신제윤 국제금융심의관은 16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금융협상과 관련,“미국측은 우체국보험과 민간보험사와의 동등 대우 등 기존 쟁점 이외에 3차 협상에서 보험중개업과 자산운용업의 국경간 공급 개방 등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다음달에 열릴 3차 한·미 FTA 금융협상에 대비해 금감위원회, 한국은행, 금융연구기관, 법률전문가, 금융협회 등이 참가하는 금융협상 태스크포스팀을 본격 가동하고, 업계 등의 의견을 듣는 등 민간과의 지속적인 대화 채널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 [인사]

    ■ 외교통상부 △북미국 SOFA 운영실장 朴鐘大■ 정보통신부 ◇3급 승진 △정책홍보관리본부 혁신기획관 金俊尙△전파방송기획단 전파방송정책팀장 朴潤賢△소프트웨어진흥단 소프트웨어정책팀장 金炳洙△우정사업본부 금융사업단 금융총괄팀장 洪萬杓 ◇4급 승진△정책홍보관리본부 李貴鉉 河銅龍△정보통신정책본부 梁淸三 林仁植 朴泳三△통신전파방송정책본부 朴亨敏△전파방송기획단 丁錫辰 宋相勳△정보보호기획단 吳尙均△우정사업본부 경영기획실 金永勛△우정사업본부 우편사업단 林明植△우정사업본부 총무팀 金鐵洙△전파연구소 지원과장 朱珽均△정보통신부 조달사무소 지원과장 李載福△서울체신청 감사관 朴夏榮△부산체신청 우정계획과장 崔道鐵△전남체신청 사업지원국 朴柱星■ 노동부 ◇부이사관 전보 △서울지방노동청 서울종합고용지원센터소장 鄭旬祜△부산〃 부산 〃 李仁圭△대구〃 대구 〃 李在興△경인〃 경인 〃 趙京元△광주〃 광주 〃 任書正△대전〃 대전 〃 崔基玹△서울지방노동위원회 사무국장 李信載△노동부 張華益◇팀장급 전보△정책홍보관리본부 홍보관리관실 정책홍보조정팀장 權五逸△〃 재정기획관실 재정기획〃 柴珉錫△고용정책본부 고용정책〃 朴鍾吉△〃 청년고용〃 金圭錫△〃 능력개발정책〃 朴炯政△〃 고령자고용〃 宋文鉉△근로기준국 임금근로시간정책〃 金良炫△〃 퇴직급여보장〃 宋鴻奭△서울지방노동청 서울강남지청장 崔阜桓△〃 의정부〃 鄭龍澤△대구〃 대구북부〃 金正浩△경인〃 인천북부〃 宋永杓△대전〃 청주〃 鄭洪南△〃 천안〃 趙健彙△산업재해보상보험심사위원회 사무국장 姜明子△중앙노동위원회 사무국 黃勇子△노동부 閔吉琇◇서기관 승진△감사관실 감사팀 金應鐸△정책홍보관리본부 혁신성과관리단 鄭元鎬△〃 재정기획관실 재정기획팀 李昌吉△고용정책본부 고용보험정책팀 張美惠△〃 능력개발지원팀 金洪燮△노사정책국 노사관계법제팀 權昌俊△국제협력국 국제노동정책팀 金煥宮△서울지방노동청 서울남부지청 서울남부종합고용지원센터소장 宋珉善△〃 의정부〃 의정부〃 趙成準△부산〃 부산동래〃 부산동래〃 李海守△〃 부산북부〃 부산북부〃 丁海永△〃 창원〃 창원〃 權昞僖△대구〃 관리과장 黃炳龍△〃 대구북부지청 대구북부종합고용지원센터소장 金連植△광주〃 관리과장 鄭彦基△〃 전주지청 전주종합고용지원센터소장 朴永吉△대전〃 청주〃 청주〃 鄭敬薰△〃 천안〃 노사지원과장 洪全杓■ 우정사업본부 ◇4급 전보 △정보통신부 조달사무소장 김재휘△서울청 영업국장 김영식△서울청 사업지원국장 김영철△서울청 정보통신국장 박성용△서울광진우체국장 이종호△서울강동우체국장 선일영△서울용산우체국장 이재설△서울국제우체국장 지규섭△의정부우체국장 전주호△수원우체국장 윤기태△동수원우체국장 공종식△부천우체국장 김정웅△구리우체국장 송홍경△수원우편집중국장 이재문△서대전우체국장 박명래■ 교보생명 △리스크관리지원실장 李學相△보험리스크관리지원팀·건강급부관리TF 담당 상무 梁卜錫△재무·운영 리스크관리지원팀장 宋奎聖△보험 〃 鄭官泳■ 하나은행 ◇지점 개설준비위원장 △수원지점 尹奎善△동압구정〃 尹碩鉉△도로공사〃 吳承建△일원동〃 辛脘善
  • 군위 ‘슈퍼옥수수’ 잘나가네

    경북 군위군이 올해 첫 본격재배에 나선 ‘슈퍼옥수수’가 수확 한달 만에 1억원의 매출을 올려 농가에 활력을 주고 있다. 군위 찰옥수수는 ‘옥수수 박사’인 경북대 김순권(61) 교수가 토종 찰옥수수 5000여종 가운데 군위지역 기후에 맞게 개발한 것으로 지난해 시험재배를 거쳐 올해 군위군 소보면 30여 농가가 11㏊가량 농사를 지었다. 첫 본격재배라 많이 알려지지 않았음에도 소비자들의 반응은 폭발적이다. 인터넷 농산물 쇼핑몰(www.cyso.co.kr)과 우체국 택배 등으로 주문이 쇄도해 지난달초 첫 수확이후 한달 만에 1억원어치가 팔렸다. 찰옥수수 작목회 이재진(43)씨는 “재배 첫해라 반응이 어떨지 궁금했는데 이 정도로 소비자들이 좋아할 줄은 예상치 못했다.”고 말했다. 그 비결은 뭘까. 농민들은 “토종 옥수수보다 2∼3배 크면서 쫄깃하고 구수한 ‘토종’의 맛을 그대로 살린 것이 소비자 입맛을 사로잡았다.”고 입을 모은다. 또한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 농법으로 재배했을 뿐 아니라 검정, 보라색 옥수수알에는 안토시아닌이 함유돼 있어 암과 골다공증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첫 수확이 성공을 거두자 ‘슈퍼옥수수’ 재배를 희망하는 농가도 늘어 찰옥수수 작목회는 내년에 재배지를 100㏊로 늘릴 계획이다. 군위군도 예산을 편성해 재배 희망농가에 종자를 무상 제공하는 등 다각적인 지원을 통해 슈퍼옥수수를 대표작물로 키워나간다는 방침이다.군위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 [경제플러스] 등기우편물 ‘e-배달증명서제’ 시행

    이달부터 등기우편물의 종이배달 확인증이 없어져 완전 전산처리된다. 우정사업본부는 31일 “배달 정보를 전산관리하는 ‘e-배달증제’를 8월부터 주요 도시 200개 우체국에서 운영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제도의 시행으로 평균 5일 정도 걸리던 등기우편물 배달 증명서가 신청 즉시 발급된다. 또 등기를 배달한 우체국에서만 확인 가능하던 수신인의 서명 이미지도 모든 우체국과 콜센터에서 조회할 수 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