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고·과학고 특성화고교로 전환 주기적 평가뒤 재지정·해제”
외국어고와 과학고 등 특수목적고를 특성화고로 전환, 주기적인 평가를 거쳐 재지정하거나 해제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일부 특목고가 설립 취지를 벗어나 파행 운영되면서 사교육을 부채질하거나 공교육 정상화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음에 따라 부분적으로 손질을 하겠다는 것이다.
한국교육개발원은 12일 오후 서울 삼청동 교원소청심사위원회 대강당에서 열린 정책 토론회에서 이런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특수목적고 정책의 적합성 연구’의 중간 결과를 바탕으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자리였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이날 중간 보고를 바탕으로 다음달 특목고 종합 대책을 확정, 발표할 계획이다.
●과학·예술·체육 분야는 영재교육기관 별도 지정
보고서는 우선 특목고의 법적 위상을 특성화고로 전환할 것을 제안했다. 특목고와 특성화고의 차이는 없다. 단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상 근거 규정이 다를 뿐이다. 목적도 특목고는 ‘특수 분야의 전문교육’, 특성화고는 ‘소질과 적성 및 능력이 우수한 학생 대상 특정 분야 인재 양성’으로 구분이 애매모호하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현재 특목고 조항을 없애는 대신 특성화고 관련 조항을 보강할 것을 제안했다.
단 객관적으로 영재 판별이 가능한 과학과 예술, 체육 분야는 영재교육기관으로 별도로 지정, 영재교육진흥법에서 관리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최근 관심을 모으고 있는 국제고도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세계 어느 고교나 대학에서도 호환·통용되는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표를 한정했다.
핵심은 주기적인 평가다. 특성화고로 전환한 뒤 정기적으로 평가를 거쳐 특성화고로 재지정하거나, 지정을 해제해 일반계고로 전환시켜야 한다는 내용이다. 보고서는 외국어고의 경우 특성화 학교 운영 원칙을 참고하되, 학교 헌장과 원어민 강사 및 외국어 수업 기반, 학생 구성의 다양성, 동일계 대학 진학률 등을 평가 지표로 활용하는 방안을 예로 들었다. 이렇게 되면 설립 취지와는 달리 이른바 ‘명문대’ 진학을 위한 수단으로 왜곡돼 운영되어온 서울·경기 지역 외고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성화고로 전환된 특목고의 학생 선발 개선안은 과학고와 외고의 경우 지원 자격에 내신성적 기준을 크게 완화하도록 했다.
●외고 교육효과 거의 없어
보고서는 특목고 실태 조사 결과를 이런 개선안의 근거로 들었다. 외고 학생들의 진학 동기는 ‘우수한 교육환경’이 67.2%,‘명문대 진학’ 49.4%,‘명문고의 이점’ 10.7% 등인 반면,‘어학적성과 소질계발’이라는 응답은 33.7%에 불과했다.
특목고의 교육 효과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를 발표한 강영혜 박사는 “과학고의 효과는 어느 정도 확인된 반면, 외고의 효과는 거의 없었으며, 학생 및 학교 수준의 변인을 빼면 외고와 일반고간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면서 “특목고의 효과는 학교교육의 효과라기보다 좋은 배경과 학구열이 높은 학생을 선발해 생기는 선발 효과”라고 분석했다.
특목고가 사교육을 더욱 부추긴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특목고 진학을 준비할 때는 물론 진학한 뒤에도 일반고 학생들에 비해 더 많은 사교육비를 쓴다는 지적이다. 수도권의 경우 사교육을 받은 학생 비율이 외고는 83.4%, 과학고는 83.9%로 나타났다.
김재천기자 patric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