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에서 놀고 직장에서 놀자
■젊은이를 위한 희망대담
▶이번주 손님
국제「레크리에이션」한국협회장 김욱(金旭)씨
▶애독자 쪽 <나가다 차례>
김경희(金慶姬)<홍익대 미술학부>
김홍열(金弘烈)<신탁은행 업무부>
윤옥자(尹玉子)<서울은행 중앙지점>
전광선(田光宣)<서울은행 중앙지점섭외계장>
술집·契판만 쏘다녀서야 휴식은 새힘을 북돋워줘
옛날과 달라 나날이 변하는 세계에 살고있는 현대인, 그 중에서도 정신노동에 종사하고 있는「샐러리맨」들은 과거 어느때 보다도 정신의 안정이 요망되는것은 세계적인 추세.
이번주 희망대담은「샐러리맨」과「레크리에이션」이라는 화제로 김욱씨를 모셨다.
국제「레크리에이션」한국협회장인 김욱씨는 작년 10월 세계「레크리에이션」협회를 순방하고 돌아온바 있다.
전=선생님 처음 뵙습니다.
우선 국제「레크리에이션」협회에 대한 얘기부터 해주셨으면 합니다. 솔직이 말씀드려 우리나라에도 이 협회가 있는줄은 미처 몰랐읍니다. (웃음)
김욱=이거 선전을 제대로 하지 못해 미안하게 되었군요. 본래 이 협회가 생긴것은 세계「레크리에이션」회의라는 이름으로 1932년「로스앤젤리스」에서 25개국 대표 1백1명에 의해 싹이 텄어요. 제2회는 36년「함부르크」에서 열렸었는데「히틀러」가 축사까지 했지요. 그러다 국제「레크리에이션」협회로 정식으로 창설된 것은 1956년 9월 미국협회의 주창에 의해 발족되었어요. 우리 한국은 60년에 창립, 65년에 국제「레크리에이션」협회에 들어갔읍니다.
김홍=「레크리에이션」하면 피로를, 기쁨이나 즐거움에 의해 풀어 정신적, 육체적으로 새로운 힘을 북돋우는 일, 휴양이나 오락이라는 정도의 사전적 풀이밖엔 모르고 있는데요. 창설동기라 할까 그런것부터 알려주십시오.
김욱=옛날에는 생활이 극히 단순했어요. 의 식 주 이거면 충분했잖았어요. 그러나 지금의 세상은 어떻습니까? 세상은 극히 복잡해졌읍니다. 그래서 의 식 주 밖에도 정신의 안정 하나를 더 첨가하기에 이르지 않았읍니까? 또 현대는 모든 일이 기계화되어 시간의 여유가 많아졌읍니다. 그래서 공간의 처리가 문제 되는 겁니다. 자 그러니 건전한 오락이 없는 우리는 남은 시간에 남자들은 술집으로, 여자들은 계판이나 벌이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래서는 안되겠다 이겁니다. 한마디로 건전한 오락으로 휴식을 취하자 하는게「레크리에이션」협회의 목적입니다. 지금 미국에서는 모든 공원, 그리고 어린이들의 장난감까지「레크리에이션」협회의 자문을 받고 있읍니다.
서먹서먹한 장벽 깨려면 온 사원「레크리에이션」을
윤=사실 가만히 보면 우리에겐 공동의 오락이 없는것 같아요. 또 하나 섭섭한건 식당에 가 보면 가족 동반이 별로 없고 남자들만 우르르 모여앉아 갈비를 뜯고 있는데 이건 정말 너무해요.
우리 나라는 남자들은 포식하고 가정의 여자들은 고기맛보는 날이 극히 드문 형편이니….(웃음)
김홍=그래도 이제는「토요일은 가족과 함께」라는 말이 나돈 이후로 많이 개선되지 않았읍니까?
윤=그러나 아직도 개선 되려면 요원합니다. 남자들 각성 해야된다구요.(폭소)
김욱=지금 윤양의 얘기, 일리가 있는 말입니다. 우리나라는 남자는 남자끼리, 여자는 여자끼리, 이거 하루 빨리 개선되어야 할 사회적인 문제입니다. 외국은 주말이면 온 가족이 다 함께 모여「게임」을 하며 즐기는데 우리나라 가정에 이런 집이 얼마나 될까?
김=백이면 한 두집?(폭소)
전=우리 직장만 해도 개선되어야 할 점이 한 둘이 아닙니다. 상하간의 장벽시대가 아무리 발전되어도 이건 철의 장막처럼 단단히 닫혀진채 열릴줄 모르니 말입니다. 또 직장에선 점잖아야만 하는걸로 알고 있어 누구나 위축되기 마련입니다.
김욱=그거, 얘기 잘 했읍니다. 사실은 보다 친밀해져야 할 상사와 부하직원 사이가 점잔만을 고수하고 있어 서먹서먹 하고 권태롭게 되는데 이건 빨리 없어져야 할 일입니다. 그러기 위해선 전 직원이 함께 즐길 수 있는「레크리에이션」이 있어야 합니다.
김홍=앞으로「레크리에이션」협회에 기대하는바 큽니다.(웃음)
외국에선 남녀노소 없이 즐길줄 알아
김경=우리 가정만 해도 노래는 으례 어린이들만 부르게 합니다. 아빠, 엄마 다 함께「게임」에 참가해 하루를 즐길 수 있는 그런 날이 빨리 와야겠지요.
김욱=우리나라사람들, 너무 점잖아서 그래요. 외국은 남녀노소 구별없더군요. 손에 손을 잡고 철저하게 제한된 시간을 즐겨요. 그러고나면 정신이 맑아지고 불만같은게 해소 되는 법입니다.
윤=사실 가만히 보면 우리에겐 정신의 긴장을 풀 건전한 오락이 없는 것 같아요.
김욱=없는게 아니라 점잖아서 활용을 하지 않을 뿐이지요.(웃음)
김경=「레크리에이션」한국협회의 기구는 어떻게 되어있으며 활동은 어떻게 되어 있는지요?
김욱=우리 협회의「슬로건」은『보다나은 내일을 위하여』로 정하고 활동중인데 문교부 소속으로 10개 도시에 지부가 결성되어 있고 지부장은 각도 교육감으로 되어있읍니다. 운영비는 연간 1천만원정도 국고보조에 의존하고 있읍니다. 또 각 직장에서 선발된「리더」강습 수료자가 현재 2천1백41명에 이르고 있읍니다.
김=협회 본부는 어디 있읍니까?
돈만 가지곤 즐길수 없어 후생시설 인색치 않아야
김욱=서울 장충단 향군본부 1층에 있읍니다. 누구든지 방문해오면 친절하게 각종「레크리에이션」에 관한 상식을 제공하겠읍니다.
김홍=지금 우리나라에서 그래도 후생시설이 제일 잘 되어있다는 직장이 은행 정도이겠지만 기껏 1년에 2번 정도의 운동대회 정도에 그칠 뿐입니다. 앞으로 협회에서 높은 사람들에게 압력을 가해 후생비에 인색치 않도록 작용해 주셔야겠읍니다.(폭소)
김욱=이거 점점 책임이 중해지는데요.
전=그러나 건전한 오락, 휴식, 이런건 전부가 경제와 관련되어 있는 것 아닙니까.
외국처럼 철저한 여가 선용은 아직 우리로서는 요원한것 같아요.
김욱=그러나 즐긴다는 건 돈만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가령 가족끼리 가까운 곳으로 등산을 간다든가, 함께「포크·댄스」를 즐긴다든지, 합창을 한다든지 해서 한주일의 피로를 해소할 수도 있는겁니다.
김경=지금 합창 얘기가 나왔으니까 말인데 우리나라처럼 합창을 하지 않는 나라도 드물 것 같아요.
윤=장시간 유익한 말씀 감사합니다.[선데이서울 71년 1월31일호 제4권 4호 통권 제 12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