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오케스트라
    2025-10-04
    검색기록 지우기
  • 디지털 정부
    2025-10-04
    검색기록 지우기
  • 한일 정상회담
    2025-10-0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890
  • 왕년 스타들이 꾸민 ‘추억의 무대’

    왕년 스타들이 꾸민 ‘추억의 무대’

    왕년의 ‘언니·오빠부대’를 들뜨게 만들 공연이 기다리고 있다. 동시대 가요계를 활보하며 지금은 중년이 된 세대들에게 뜨거운 사랑을 받았던 전영록, 혜은이, 이은하, 조용필의 연말 콘서트가 앞다퉈 열릴 예정이다. 대중과 꾸준히 교감해온 조용필을 제외하곤 세 가수 모두 오랜만의 무대 나들이다. 추억이 일년 내내 화두가 되고 있는 콘서트 현장에 이보다 더 큰 이벤트는 없을 듯. 가수 전영록은 12년 만에 무대로 돌아온다.27일 오후 4시,7시 세종대학교 대양홀에서 연말 장애인 돕기 콘서트를 연다. 한국지체장애인협회가 주최하는 이번 공연 수익의 10%는 장애인들을 위해 쓰인다. 트레이드 마크였던 검은 색 선글라스와 타이트한 청바지를 입고 ‘아직도 어두운 밤인가봐’를 열창하던 그의 모습이 어떻게 변해 있을지 기대된다.12월25일에는 대전 목원대학교 대덕문화센터에서 두 번째 공연이 준비돼 있다. 70∼80년대 ‘가요계의 디바’ 혜은이와 이은하는 전영록으로부터 바톤을 이어받아 28일 같은 장소에서 열리는 콘서트에 나란히 등장한다. 그룹 사랑과 평화가 함께하는 이들의 공연에는 히트곡 제조기로 불리던 두 여가수의 노래가 쉬지 않고 이어진다. 이은하의 ‘봄비’‘아직도 그대는 내사랑’ 등과 혜은이의 ‘열정’‘당신만을 사랑해’ 등은 세대와 상관없이 사랑받는 애창곡들이다. 전영록, 혜은이, 이은하는 이번 콘서트를 계기로 본격 활동을 펼치며 내년 초 나란히 새 앨범도 선보일 계획이다. 지칠 줄 모르는 활동으로 끊임없는 변신을 보여주고 있는 가수 조용필은 12월3일부터 14일까지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 자리를 마련했다.6년째를 맞고 있는 이 공연은 매년 매진을 기록할 정도로 인기다. ‘지울 수 없는 꿈’을 주제로 한 이번 공연은 1부에서는 뮤지컬,2부에서는 그의 히트곡 퍼레이드가 펼쳐진다. 영원한 음악파트너 ‘위대한 탄생’과 오케스트라, 어린이 합창단이 동원돼 웅장한 사운드를 선사하며, 첨단 특수효과와 무대장치는 보는 재미를 더한다.(02)580-1300.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 [보러갑시다]

    ■ 울림전 16일까지 학고재(02)739-4937. 한국 미술의 한 특징인 ‘울림의 미학’을 주제로 한 문혜정 유근택 황인기 3인의 그룹전. ■ 2004화랑미술제 11일까지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02)733-3706. 국내외 170여명의 작가의 작품 1800여점. ■ 고승유묵전 30일까지 국립청주박물관(043)255-1632. 통일신라에서 고려, 조선, 근·현대에 이르는 1500여년 한국 서예의 역사를 고승들의 선필(禪筆)을 통해 조명. ■ 황인혜 작품전 20일까지 인데코화랑(02)511-0032. 단추모양의 오브제를 사용한 자연주의 경향의 작품. ■ 에바 헤세 작품전 19일까지. 국제갤러리(02)735-8449. 미국 현대미술에 큰 영향을 끼친 여성작가 헤세가 독일에 머물며 제작한 회화와 드로잉, 콜라주, 조각. ■ 이응노 아틀리에전 12월 31일까지 이응노미술관(02)3217-5672.‘통일목침’‘군상’‘문자추상’ 시리즈 등의 작품과 100여 점의 기록사진 등. ■ 문자향전 12월5일까지 김종영미술관(02)3217-6484.‘문자의 향기’를 주제로 한 김영대 김종구 노주환 정광호 최인수 등의 작품. 조각가 김종영의 서예작품도 전시. ■ 2004 이병우의 야간비행 12일 오후 8시 세종문화회관 대극장(02)399-1111. ■ 강산에 라이브 콘서트 13일 오후 7시,14일 오후 5시 서울교육문화회관 대극장 (02)2166-2881. ■ 고은희 & 이정란 콘서트 13일 오후 7시 연세대 대강당 (02)784-3884. ■ 넥스트 콘서트 13일 오후 7시 대구 경북대 대강당 (053)626-1980. ■ 척 맨지오니 내한공연 14일 오후 7시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02)751-9606∼10. ■ 몸의 만유인력,2인무 12일 오후8시,13일 오후5시 호암아트홀(02)2263-4680. 공연기획사 MCT의 ‘우리시대의 무용가’시리즈. ■ 선택 11·12일 오후8시,13·14일 오후4시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02)2263-4680. 안무가 안성수 픽업그룹의 신작. ■ 파두 12일 오후7시30분,13일 오후4시·7시 포스트극장(02)338-6420. 육십나무무용단. ■ 덴마크 티볼리 팬터마임 발레시어터 13일 오후3시,14일 오후5시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02)541-6234. ■ 김지연과 MIK 앙상블의 스토리가 있는 클래식 여정 11일 오후8시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12일 오후7시30분 대전 문화예술의전당 아트홀,15일 오후7시30분 부산 시민회관 대극장,16일 오후7시30분 대구 동구문화체육회관 대공연장(02)720-3933. ■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피아노 독주회 13일 오후7시30분 예술의전당 콘서트홀(02)541-6234. ■ 부천필의 ‘바그너의 오페라를 콘서트로 만난다’ 12일 오후8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02)580-1300. ■ 프라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43회 정기연주회 16일 오후8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031)392-6422. ■ 사이버 명화 콘서트 14일까지 인터파크(www.interpark.com)(02)790-9000. ■ 이상재 클라리넷 독주회 16일 오후8시 금호아트홀(02)497-1973. ■ 모스키토 12월23일까지 백암아트홀(02)763-8233. 김민기 번안·연출, 김희원 민대식 출연. 청소년에게 선거권이 주어지는 가상의 상황을 바탕으로 교육과 정치현실을 풍자. ■ 브로드웨이 42번가 무기한 팝콘하우스(02)766-8551. 박해미 전수경 출연. 코러스 걸의 스타 탄생기를 그린 탭뮤지컬. ■ 사랑하면 춤을 춰라 12월31일까지 메사팝콘홀(02)2128-7616. 최광일 연출, 함태영 박성준 출연.100분간 쉴새없이 펼쳐지는 춤의 향연. ■ 범성 박범훈 교수 소리연 40주년 기념의 밤 11일 오후6시 센트럴시티 밀레니엄홀(02)825-9916. ■ 열두살에 부자가 된 키라 무기한 목동브로드웨이홀(02)3273-6885. 인기높은 어린이 경제교육서를 가족 뮤지컬로 각색. ■ 버자이너 모놀로그 12일∼12월31일 우림청담시어터(02)516-1501. 최진아 연출, 서주희 출연. 여성의 성에 관한 독백. ■ 쓰러질때까지 21일까지 정보소극장(02)745-0308. 류주연 연출, 신덕호 최광일 출연. 같은 시각, 다른 장소에서 벌어지는 여섯 남녀의 술자리 이야기. ■ 아를르깽, 의사가 되다 12일∼28일 인켈아트홀2관(02)338-6420. 김태용 각색·연출, 김동곤 이은아 출연. 몰리에르의 원작을 각색한 코러스 뮤지컬. ■ 플라스틱 오렌지 12월5일까지 알과핵소극장(02)743-2274. 이난영 작·윤우영 연출, 최일화 김선화 출연. 월남전 참전용사 가족의 비극. ■ 청춘예찬 14일까지 동숭아트센터 소극장(02)762-0010. 박근형 작·연출, 김영민 고수희 출연. 남루한 일상에서 희망을 잃지 않는 청춘에 대한 예찬.
  • [이경기의 스크린1인치]감독님은 아무도 못말려

    강력계 형사를 둘러싸고 있는 3명의 미녀의 얽히고 설킨 치정 사건과 불륜은 반드시 죄과를 받게 된다는 도덕적 메시지를 담은 것이 ‘주홍글씨’. 사랑의 낙인으로 인식된 ‘주홍글씨’가 갖고 있는 어두운 이미지를 다소 완화시켜 주는 설정이 있는데 그것은 감독의 카메오 출연이다. 형사 기훈(한석규)의 임신한 아내 수현(엄지원)이 열정적인 첼로 연주를 보여주는 장면에서 오케스트라 단원을 능수능란하게 리드하는 검은 정장을 입은 지휘자가 바로 변혁 감독이다. ‘사이코’ ‘새’ 등의 명작을 통해 심리 스릴러의 대가로 인정 받고 있는 영국 출신의 앨프리드 히치콕은 ‘감독의 단역 출연을 상설화(?)한 주역’. 배가 불룩 튀어 나오고 챙없는 검은 모자를 눌러 쓴 히치콕은 개를 끌고 유유자적하게 도로를 걷는 노인이나 공중전화 박스 등에서 전화 걸기를 기다리는 행인, 강력 사건 현장에서 궁금증을 드러내는 노신사 등으로 얼굴을 내밀어 그의 정체를 알고 있는 영화 마니아들의 시선을 잡아 끌었다. 마틴 스코시스는 ‘택시 드라이버’에서 로버트 드 니로가 몰고 있는 택시 승객으로 탑승한 뒤 ‘아내가 외도를 하고 있는 것 같다.’며 푸념하는 소심한 남편 모습을 보여주었다.‘플래툰’ ‘7월4일생’ ‘하늘과 땅’ 등 베트남 3부작을 잇달아 발표해 묵직한 평가를 얻었던 올리버 스톤은 풋볼을 소재로 한 ‘애니 기븐 선데이’에서 치열한 프로 스포츠 승부 세계를 중계 방송하는 TV 해설자로 입담을 과시했다. 출연보다는 소품 창작자로 숨은 재능을 드러내는 경우도 있다. 일본의 기타노 다케시는 주연 겸 연출을 겸하고 있는 감독 중 한명.‘하나비’ 중 오프닝에서 보여주는, 햇빛이 강렬하게 내리쪼이는 해바라기 등 여러 유화 등은 기타노 감독이 그린 것. ‘타이타닉’에서 디캐프리오가 사랑에 빠지는 케이트 윈즐릿의 누드화를 스케치하는 장면에서 보여주는 손가락 주인공은 제임스 카메론. 스케치 북에 그려지는 그림 역시 제임스 카메론의 작품. 한국 감독들의 카메오 출연 역사는 1980년대부터 본격화됐다.‘고래사냥’ ‘적도의 꽃’을 연속 히트시키면서 흥행 감독 타이틀을 얻었던 배창호 감독은 ‘우리 기쁜 젊은 날’에서는 조감독인 이명세와 결혼식 하객으로 출연했다. 감성적인 멜로물에서 장점을 드러내고 있는 곽재용 감독은 ‘엽기적인 그녀’에서 전지현과 차태현이 포장마차에 들렀을 때 옆 좌석에서 술을 홀짝이는 취객으로 등장했다. ‘신라의 달밤’의 김상진 감독은 라스트에서 벌어지는 야유회 장면에서 흰 모자를 쓰고 직원들을 통솔하는 사람으로 얼굴을 내밀었다. 비디오 점원 출신의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은 ‘저수지의 개들’ ‘포룸’ ‘황혼에서 새벽까지’ 등에서 아예 조연급으로 출연해 특유의 주걱턱을 드러내면서 수다떠는 중년 아저씨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 [정보뱅크] 학교소식

    ●초등·중학생 선착순 모집 대안학교인 간디학교(gandhischool.net)에서 올겨울방학을 맞아 계절학교 참가자를 모집하고 있다. 계절학교는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이 간디학교를 경험할 수 있도록 마련한 프로그램으로 경남 산청 지리산 자락에 있는 간디학교 교정에서 5박6일간 펼쳐진다. 학생들은 일주일 동안 농사와 음식 만들기, 숲과 친구되기, 목공, 수화 배우기, 뮤지컬, 풍물, 등산, 우리꽃 공부, 별자리 공부, 연극, 민속놀이 등을 경험하게 된다. 기간은 ▲중등 1기 12월30일∼내년 1월4일▲중등 2기 내년 1월7∼12일▲초등1기 내년 1월16∼21일▲초등2기 내년 1월24∼29일이다. 모집 인원은 초등과 중등이 각 60명,45명이며 참가비는 23만원이다. 초등학생 3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 참가할 수 있다. 선착순 모집.(055)973-2191,011-9441-4205. ●내일 강남어린이 토론대회 10일(수) 오후 2시 서울 서초구 잠원동 신동초등학교에서 ‘제5회 강남 어린이 토의·토론대회’가 열린다. 강남교육청의 특색 사업의 하나로 열리는 이 대회에는 지구별 예선대회를 통과한 10개교에서 30명이 참가해 토론 실력을 겨루게 된다. ●남부교원 미술작품 전시회 서울 남부교육청은 15일(월)∼19일(금) 금천구 금천구민 문화체육센터 금천갤러리에서 ‘제1회 남부교원미술작품전시회’를 개최한다. 관내 초등·중학교 교원 40명의 작품을 볼 수 있다. ●서울교육연수원서 뮤직콘서트 서울 리라컴퓨터고는 12일(금) 오후 6시 서울 방배동 서울교육연수원 강당에서 ‘2004 리라 뮤직콘서트’를 연다. 실용음악과 학생들이 1년 동안 갈고 닦은 실력을 뽐내는 자리로 뮤직비디오 상영과 록 밴드 공연을 펼친다. 선착순 입장. 무료. ●10일 특수학교 학예발표회 2004 특수학교 종합학예발표회가 10일(수) 오후 2시 서울 방배동 서울교육연수원 대강당에서 열린다.‘아름다운 도전’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에는 서울 시내 특수학교에 다니고 있는 시각·청각장애, 정신지체, 지체부자유, 정서장애 학생들과 학부모 교사 등 270여명이 출연해 실력을 선보인다. 주몽학교의 휠체어댄스를 비롯해 서울농학교의 부채춤, 밀알학교의 핸드벨연주 등 10여개의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고1·2학년 연합학력평가 경기도교육청은 9일(화) 전국 고1·2학년을 대상으로 전국연합학력평가를 실시한다. 고1은 전국 1686개교에서 49만 733명이, 고2는 1736개교에서 49만 1322명이 치른다. ●고3 격려 브라스밴드 공연 지난 2일 점심시간에 건대부고 교정에서 고3학생을 위한 브라스밴드의 깜짝 라이브 공연이 펼쳐졌다. 수능을 앞두고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는 고3 수험생들을 위한 공연이었다. 무대와 객석도 없이 교정 한복판에서 깜짝 공연을 펼친 밴드는 서울퓨전오케스트라 소속 여성 금관 5인조인 ‘부니’(BOONI)였다. 점심식사를 마친 학생들은 언니·누나들의 신나는 퓨전 음악 공연에 모처럼 웃음꽂을 피웠다. 이 학교 오성삼 교장은 “시험이 다가오면서 점심을 먹을 때조차 긴장하는 모습을 보면서 마음의 안정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 공연을 마련했다.”면서 “앞으로도 점심시간을 활용한 야외 음악회를 마련해 학생들의 머리를 식혀줄 계획”이라고 말했다.
  • 예술의전당 클래식 연주회 풍성

    예술의전당은 11∼13일 다양한 클래식 프로그램을 선보인다.11일 오전 11시에는 ‘목요일의 브런치-예술의전당 11시 콘서트’의 세번째 무대가 열린다. 강남심포니오케스트라(지휘 김덕기)가 라흐마니노프, 쇼스타코비치 등의 곡을 선사하고 피아니스트 구자은, 바이올리니스트 백주영이 협연한다. 콘서트홀.1만 5000원.(02)780-6400.12일 오후 8시에는 ‘예술의전당 심포닉 시리즈’의 일환으로 부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지휘 임헌정)가 ‘바그너의 오페라를 콘서트로 만난다’라는 주제로 ‘탄호이저’ ‘로엔그린’등을 연주한다. 콘서트홀.2만∼3만원.‘예술의전당 이야기 콘서트’는 13일 오후 8시 리사이틀홀에서 이어진다.‘우정’이라는 제목으로, 바이올리니스트 피호영과 함께 활동했던 비르투오조 현악4중주단 멤버들이 사라사테, 헨델, 코다이 등의 음악과 함께 이야기가 있는 연주회를 꾸민다.2만∼3만원.(02)580-1300.
  • 차세대 바이올린 주자와 젊은 클래식스타의 만남

    차세대 바이올린 주자와 젊은 클래식스타의 만남

    바이올리니스트 김지연과 젊은 연주자들로 구성된 프로젝트 그룹 MIK 앙상블이 10∼16일 전국 5개 도시에서 순회 연주회를 갖는다. 줄리어드 음대에서 도로시 딜레이, 강효, 펠릭스 갈리머 등에게 사사한 김지연은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 실내악단과 협연한 차세대 바이올린 주자. 이번 무대에 함께 설 MIK 앙상블의 구성원 4명도 만만찮다. 김상진(비올라), 송영훈(첼로), 김정원(피아노), 김수빈(바이올린) 등 클래식계에서는 떠오르는 젊은 스타들이다. 악단 이름을 ‘Made in Korea’의 약자에서 따온 이들은 지난해 호암아트홀 신년음악회에서 첫 모습을 드러낸 뒤 폭넓은 지지를 얻어냈다. 이번 무대의 주제는 ‘열정’. 모즈코프스키의 ‘두 대의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g단조’, 브람스의 ‘바이올린 소나타 3번’, 제임스 라의 ‘피아노 4중주를 위한 조곡’(한국 초연)등을 연주하고 곡 모두에 간략한 해설이 곁들여진다. 공연 수익금은 아토피 질환을 앓고 있는 아이들을 돕는 데 쓰인다. 공연일정은 10일 오후 7시30분 광주 5·18기념관 민주홀,11일 오후 8시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12일 오후 7시30분 대전 문화예술의전당 아트홀,15일 오후 7시30분 부산 시민회관 대극장,16일 오후 7시30분 대구 동구문화체육회관 대공연장.2만∼4만원.(02)720-3933. 김소연기자 purple@seoul.co.kr
  • 본사주최 ‘가을밤 콘서트’ 성황

    가을비 우산들이 우면산 단풍과 겨루듯 예술의전당 주변을 울긋불긋 물들였다. 이내 콘서트홀 안 객석은 차곡차곡 채워지기 시작했다. 일찌감치 전석이 매진돼 아쉽게 발길을 돌리는 시민들도 있었다. 서울신문이 주최하고 KT&G가 협찬한 ‘2004 가을밤 콘서트’가 5일 밤 성황리에 막을 올렸다.1부는 최선용이 지휘하는 모스틀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엘가의 ‘위풍당당 행진곡’으로 힘차게 서두를 열었다. 이어 피아니스트 박혜영이 리스트의 ‘헝가리안 판타지’로 경쾌한 분위기를 이어갔다. 다시 모스틀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중 ‘인터메초’를 들려주며 아름다운 가을밤의 정취를 느끼게 했다. 남성중창단 이깐딴띠는 ‘저 구름 흘러가는 곳’ ‘코스모스를 노래함’ ‘상모’ ‘백학’ 등 가곡 메들리를 불러 남성 특유의 중후한 하모니로 객석을 깊게 울렸다.1부는 모든 연령을 아우르는 품위 있고도 경쾌한 무대로 청중을 사로잡았다. 비가 와 늦게 도착하는 청중들이 있었지만,2부가 시작되자 2600여 객석은 모두 메워졌다.2부는 보다 젊고 활기찬 뮤지컬 갈라 콘서트로 꾸며졌다. 뮤지컬 배우 김소현이 ‘오페라의 유령’의 ‘Think of Me’ 등을, 조승우가 ‘레미제라블’의 ‘Stars’ 등을 각각 선사했다. 특히 듀엣으로 ‘미스 사이공’과 ‘지킬 앤드 하이드’의 삽입곡을 부를 때는 청아한 음색과 힘있는 목소리가 어우러져 청중들을 환호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다. 영화배우로도 활동하는 톱스타 조승우를 보기 위해 찾아온 일본팬들도 눈에 띄었다. 박수가 끝없이 이어지자 김소현과 조승우는 ‘오페라의 유령’의 ‘All I Ask of You’를 앙코르로 불렀고, 둘은 이깐딴띠와 함께 ‘Oh! Happy Day’를 부르며 가을밤의 음악회를 마무리지었다. 공연이 끝난 뒤 로비에서는 연인, 가족 등 청중들이 삼삼오오 모여 해태제과에서 협찬한 사탕을 먹으며 공연에 대한 이야기꽃을 피웠다. 김소연기자 purple@seoul.co.kr
  • 이공연 놓치면 후회

    이공연 놓치면 후회

    ●마누엘 바루에코 기타 리사이틀 살아있는 클래식 기타계의 신화 마누엘 바루에코가 5일 오후 8시 호암아트홀에서 내한 연주회를 갖는다. 바루에코는 바흐부터 비틀스까지 클래식과 대중음악의 벽을 넘나들며 다양한 음악적 교류를 시도한 기타리스트로 이번이 세번째 내한공연이다. 쿠바 출신으로 미국 피바디 음악원에서 기타 수업을 받았고,1974년 뉴욕 카네기홀에서 데뷔 연주회를 가졌다. 초기에는 클래식 아티스트로서 정규 코스를 밟아갔지만,2000년대에 들어 장르의 경계를 허물기 시작했다. 스티브 모스, 알 디 메올라와 프로젝트 음반을 발표했고, 비틀스의 곡을 편곡한 음반, 재즈곡 모음집 등을 선보였다. 최근엔 플라시도 도밍고와 함께 협연한 음반도 내놓았다. 2년만에 다시 한국을 찾은 이번 무대에서는 클래식의 고전 스카를라티에서부터 바이스의 기타 모음곡, 그라나도스의 스페인 무곡 등을 선사한다. 피아졸라의 탱고와 재즈 아티스트 칙 코리아의 곡까지 아우르며 또 다른 클래식 기타의 세계를 들려줄 예정.3만∼5만원.1544-1555. ●브르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내한공연 브르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7일 오후 3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무대에 선다. 체코 중동부 도시 브르노의 대표적 교향악단인 브르노 필은 1956년 브르노 라디오방송 오케스트라를 창단하면서 공식적인 역사가 시작됐다. 브르노 국제음악제와 ‘프라하의 봄’ 등 체코의 대표적 축제에 해마다 정기적으로 참가했으며 지금까지 유럽 전역과 미국, 일본, 남미 등에서 순회공연을 가졌다. 레오슈 스바로프스키(프라하 오페라단 음악감독)가 지휘하는 이번 공연에서는 스메타나의 ‘승리의 교향곡’, 드보르자크의 ‘신세계 교향곡’ 등 체코 작곡가들의 작품과 차이코프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연주할 예정. 피아니스트 박종훈이 협연자로 나선다. 한국도요타자동차가 문화마케팅의 일환으로 주최하는 무대로, 공연 수익금은 연말 전국 5개 병원에서 열리게 될 병원콘서트에 사용된다.2만∼6만원.(02)720-3933. 김소연기자 purple@seoul.co.kr
  • 서울신문 주최 ‘2004 가을밤콘서트’

    서울신문 주최 ‘2004 가을밤콘서트’

    서울신문이 주최하고 KT&G가 협찬하는 ‘2004 가을밤 콘서트’가 5일 오후 8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린다. 서울신문이 해마다 개최하는 가을밤 콘서트는 올해로 5회째. 가족, 연인과 함께 손을 잡고 찾아오는 편안한 음악회로 자리잡았다. 올해 무대 역시 다양하고 푸짐한 레퍼토리로 가을밤을 잊지 못할 추억으로 물들인다. ●5일 오후 8시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 이번 공연의 특징은 서정과 흥겨움이 공존하는 다양한 음악 장르가 펼쳐진다는 것. 국내 정상의 연주자, 남성중창단, 뮤지컬 배우들이 출연해 경쾌한 피아노협주곡에서 가을에 맞는 가곡메들리와 뮤지컬 테마곡까지 풍성한 음악을 선사한다. 1부를 여는 음악은 서울심포니오케스트라(지휘 최선용)의 힘찬 ‘경기병 서곡’. 서울심포니오케스트라는 1987년에 창단돼 고전주의 음악부터 현대음악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레퍼토리를 소화하며 국내와 해외무대에서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 단체다. 이들의 수준높은 관현악의 향연에 이어 프랑스 등 해외에서 활동하는 피아니스트 박혜영이 친숙한 ‘헝가리안 판타지’로 가을밤의 분위기를 이어간다. 남성중창단 ‘이깐딴띠’는 가을에 어울릴 만한 가곡메들리로 남성 특유의 깊고 중후한 하모니를 들려줄 예정. 이탈리아어로 노래하는 사람들이란 뜻을 가진 ‘이깐딴띠’는, 해외 유학파인 성악가들이 모여 지난해 출범한 보기 드문 실력파 남성중창단이다. ●가곡·피아노·뮤지컬협주곡까지 2부는 보다 대중적인 뮤지컬 갈라 콘서트로 꾸며진다. 서울심포니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애니메이션 주제가 모음곡에 이어 뮤지컬 배우 김소현과 조승우가 뮤지컬 삽입곡들을 들려준다.‘지킬 앤 하이드’ 가운데 ‘Once upon a Dream’‘This is Moment’‘Take Me As I am’,‘오페라의 유령’ 가운데 ‘Think of Me’‘The Music of the Night’‘All I Ask of You’가 각각 김소현, 조승우의 솔로와 듀엣으로 이어진다. 성악도 출신인 김소현은 ‘오페라의 유령’의 크리스틴,‘지킬 앤 하이드’의 엠마 역을 맡으며 특유의 청아하고 맑은 목소리로 국내 뮤지컬계의 샛별로 떠오른 인물. 뮤지컬·연극배우로 활동하다 영화로 옮겨 ‘춘향뎐’‘클래식’‘하류인생’ 등을 통해 국내 최고의 연기파 배우로 자리매김한 조승우는 올해 다시 돌아온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로 뮤지컬대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하기도 했다.3만∼7만원.(02)2000-9754. 김소연기자 purple@seoul.co.kr
  • 5일 ‘가을밤콘서트’ 피아니스트 박혜영 씨

    |파리 함혜리특파원|“화려하고 열정적인 리스트의 음악세계를 서울신문 애독자 여러분께 선사하겠습니다.” 서울신문이 주최하고 KT&G가 협찬하는 ‘2004 가을밤콘서트’(5일 하오 8시 서초동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에서 연주하는 피아니스트 박혜영(42)씨. 파리 근교 낭테르에 있는 개인 스튜디오에서 연습에 열중하고 있는 그녀는 “가을밤에 어울리는 환상적 연주를 기대해 달라.”고 말했다. 그녀가 들려줄 곡은 19세기 낭만파 음악의 대가 프란츠 리스트의 ‘헝가리안 판타지 협주곡’.‘헝가리 광시곡’보다 덜 알려져 있지만 역시 낭만적이고 정열적인 헝가리 전통음악의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판타지는 문학작품으로 치면 에세이와 같은 것입니다.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맘껏 상상의 나래를 펴듯 화려한 분위기로 피아노라는 악기의 가능성을 최대한 살리는 곡입니다.” 리스트는 헝가리 출신으로 당대 유럽을 무대로 활약했던 피아노 음악의 거장. 그의 대부분 곡들이 그렇듯이 어려운 연주 기교를 필요로 한다. 박씨는 “특이한 박자를 익혀 판타지의 분위기를 내는 것이 어렵기는 하지만 연습에 몰입하다 보면 새 생명을 탄생시키는듯한 기쁨을 느낀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대학교 음악대학과 벨기에 브뤼셀 왕립음악원을 차례로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의 에콜노르말 음악원에서 제르맨 무니에의 지도로 최고 연주자 과정을 이수, 전문연주자 학위를 취득했다.‘텍스트에 대한 풍부하고 지적인 해석과 다중의 감성을 함께 갖추고 있다.’는 평을 듣는 그녀는 바하에서 최근의 창작곡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연주 영역을 소화해내며 파리, 브뤼셀, 잘츠부르크, 모스크바 등 유럽 각지에서 독주회 및 창작곡 연주에 초청되고 있다. 프랑코 이탈리아노 국제 피아노 콩쿠르 1위, 프랑스 노르망디 포름 뮤지컬 콩쿠르 1위를 비롯해 불가리아 소피아 국제 피아노 콩쿠르 입상 등의 수상 경력과 함께 에콜노르말의 조교수로서 소피아 및 일본 오사카 국제콩쿠르의 심사위원을 맡고 있다. 오는 13일에는 한전아트홀에서 카잔심포니오케스트라와 협연으로 베토벤 트리플콘체르토를 연주할 예정이다. lotus@seoul.co.kr
  • 청순가련 깜찍발랄 엄지원

    청순가련 깜찍발랄 엄지원

    진지함과 귀여움. 인터뷰 때는 영화에 대한 생각들을 차분하게 하나하나 말하는 진지한 배우의 모습을 보여줬다면, 인터뷰가 끝난 뒤 함께 점심식사를 할 때부터는 깜찍발랄한 모습으로 모두를 즐겁게 했다. 아침을 늦게 먹었다며 수프에 토마토주스, 녹차 등 ‘물’만 먹던 그녀는 “이러다 하마되겠네.”라며 깜찍하게 웃었다. “혹시 막내죠?”“아닌데…”“그럼 가족관계가 어떻게 돼요?”“언니 하나 있어요.”“그럼 막내네요.”“둘째가 어떻게 막내예요?(입 삐죽)” 그러고는 언니 옷을 물려입어야 했던 둘째의 서러움에 대해 한창 수다를 떨었다. 귀여운 막내동생처럼. 점심식사의 하이라이트. 식사가 끝날 즈음 조심스러운 표정으로 기자에게 말을 건넸다.“뭐 하나 물어봐도 돼요?”“…”“정말 서울에서 테러가 일어날 수도 있어요?” 순간 당황한 기자. 일간지 기자의 체면에도 불구하고 별로 아는 게 없어서 “안 일어날 거예요. 걱정마세요.”정도로 얼버무렸다. 그래도 “무섭다.”면서 겁에 질린 토끼눈을 뜬 그녀. 언제쯤 스크린에서 이런 귀여운 모습을 마주할 수 있을까. 오락프로 코너 MC를 맡다가 1998년 MBC 시트콤 ‘아니 벌써’로 데뷔한 뒤 2000년 영화 ‘똥개’의 날라리 여고생으로 스타덤에 올랐고, 그 뒤 SBS ‘폭풍 속으로’‘매직’, 영화 ‘주홍글씨’등에서 줄곧 착하고도 어두운 여인들만 연기한 엄지원.“이제는 밝은 역할을 하고 싶다.”는 그녀의 소망대로, 팬들도 엄지원만의 깜찍발랄함을 보게됐으면 좋겠다. 김소연기자 purple@seoul.co.kr 어딘지 모르게 얼굴에 깊은 그늘이 서려있고, 눈동자에 촉촉한 이슬이 항상 맺혀있을 것 같은 청순가련형 배우 엄지원(27). 하지만 그것은 작품이 만들어놓은 이미지에 불과했다. 어두운 배역들을 잇따라 끝낸 뒤여서 조금은 가라앉아있었지만, 인터뷰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귀엽고 솔직하고 천진난만한 모습들이 툭툭 이미지의 껍질을 깨고 튀어나왔다. ●“저 청순가련형 여인 절대 아니에요.” 이 귀여운 아가씨에게 청순가련형 여인의 역할은 “대단한 연기의 하나”란다.“사람들은 제 실제 모습이라고 생각하지만, 원래 여성스러운 성격이 아니라서 제게는 무척 어려운 연기예요.” 특히 영화 ‘주홍글씨’(제작 LJ필름)에서 엄지원은 기존 드라마에서 보여준 이미지 위에 비밀스러운 도발성을 덧입혔다. 핵심적 반전이라 밝힐 수는 없지만, 힘든 도전이었음에 틀림없다. “사람들은 드라마 ‘매직’의 여성스러움과 비슷하다며 어떻게 구분해서 연기하느냐고 묻지만 저는 전혀 다른 사람이라고 생각해요. 인물에 대한 이해가 다르니까 부수적으로 따라오는 감정이나 행동도 모두 다르고요. 충분히 이중적인 복선들을 배려하고 연기했다고 생각합니다.” 겉으로 보기에 엄지원이 맡은 수현은 기훈(한석규)의 순종적인 아내로, 착하지만 고교 동창 가희(이은주)와 남편의 불륜관계를 눈치챈 듯 늘 얼굴에 그늘이 있는 역할이다. SBS 드라마 ‘폭풍속으로’나 ‘매직’에서의 엄지원을 떠올릴 만도 하지만, 수현의 비밀이 드러나는 순간 모든 것은 뒤집힌다. 영화 ‘식스센스’의 반전이 브루스 윌리스의 이전 행동들을 곱씹게 했듯, 그녀의 눈빛이나 행동이 그 순간 섬광처럼 다른 의미로 관객의 가슴을 서늘하게 하는 것. 그 이중성을 연기해야 했으니 얼마나 어려웠을까 싶다. ●“첼로 연주는 또다른 연기에 대한 도전” 힘든 연기 가운데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첼로 연기. 유라시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첼리스트 조윤선씨의 지도로 6개월동안 “죽기살기로” 연습했단다. 보통사람들은 6개월이면 겨우 활로 소리를 내는 정도인데, 그녀는 첼리스트들도 어려워한다는 쇼스타코비치 첼로 협주곡과 브람스의 첼로 소나타를 영화 속에서 직접 연주해냈다. 러시아혁명 이후를 살아간 쇼스타코비치는 자유에 대한 강한 욕망을 곡에 담았고, 제자의 부인을 짝사랑하던 브람스는 사랑의 애절함을 곡에 표현해내서 수현의 감정과도 잘 어울린다고 했다.“첼로 연주는 기존의 눈, 입으로 표현하는 연기와는 또 다른 표현수단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잘해내고 싶었습니다.” 감정적으로 가장 견디기 힘들었던 장면은 신부에게 자신의 비밀을 고해성사한 뒤 은밀한 사랑을 반추하는 장면.“인간 엄지원이라면 정말 싫었겠지만 그녀이니까 연기했다.”는 ‘비밀스러운’장면은 위험한 유혹이 그렇듯 매혹적인 이미지들로 채워졌다.“갑자기 감정이 소용돌이치며 파국을 맞는 장면”이라는 그녀의 설명 속에도 그 절절함이 배어 있었다. 하지만 수현이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해주는 많은 장면들이 편집과정에서 잘려나가 아쉽단다. 대선배 한석규와의 연기 호흡이 어땠는지도 궁금했다. 혹시 연기지도도 하고 그랬느냐고 물었더니 ‘뭐 그런 질문이 다 있나’라는 표정으로 쳐다본다.“10년간 확고부동한 위치를 차지할 만한 이유가 있는 배울 점이 많은 배우”라면서도 “연기는 동등한 입장에서 하는 것이고, 슛이 들어가면 그도 나도 한석규, 엄지원이 아니기 때문에 부담감은 없었다.”고 딱 잘라 말하는 그녀. 연기자로서의 자존심이 보기 좋았다. 김소연기자 purple@seoul.co.kr 사진 강성남기자 snk@seoul.co.kr
  • [보러갑시다]

    국 악 ■ 2004 임준희 작곡발표회 29일 오후7시30분 국립국악원 우면당(02)599-6268. ■ 제5회 구음회 정기연주회 30일 오후5시 국립국악원 우면당(02)834-7917. 콘서트 ■ 나윤선 의정부 콘서트 30일 오후5시 의정부예술의전당 대극장(031)828-5841. ■ 솔트레인-휘성, 빅마마, 거미, 세븐 수원 콘서트 30일 오후7시 아주대체육관 1544-1555. ■ 언니네 이발관 부산 콘서트 31일 오후6시 부산가톨릭센터 소극장 1544-1555. ■ 임재범 콘서트 30·31일 오후6시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 1544-1555. ■ 투츠 틸레망스·케니 워너 콘서트 30일 오후7시30분 경희대학교 평화의전당(02)586-2722. ■ 조용필 포항 콘서트 30일 오후7시30분 포항실내체육관 1588-8477. ■ 이문세·신승훈·이수영·유키 구라모토 콘서트 30·31일 오후6시 연세대 노천극장 1544-1555. 어린이 ■ 열두살에 부자가 된 키라 무기한 목동브로드웨이홀(02)3273-6885. 인기높은 어린이 경제교육서를 가족 뮤지컬로 각색. ■ 숲속나라 울보공주 31일까지 샘터파랑새극장(02)2232-0997. 울기만 하는 공주와 자연을 사랑하는 장군의 이야기. 무 용 ■ 심청 29일 오후7시30분,30일 오후 4시·7시30분,31일 오후4시,11월2·3일 오후7시30분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1588-7890. 유니버설발레단 창단 20주년 기념공연. 강예나 황혜민 유난희 안지은 등 출연. ■ 백조의 호수 29일 오후7시30분,30일 오후 2시·7시30분,31일 오후6시30분. 세종문화회관 대극장(02)518-7343. 러시아 키로프발레단 내한 공연. 울랴나 로프트키나, 알리나 소모바 등 출연. 클래식 ■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연주회 28일 오후7시30분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극장(053)745-8920. ■ 한국피아노두오협회 30회 정기연주회 29일 오후8시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02)497-1973. ■ 현대앙상블 Eclat 연주회 11월2일 오후8시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02)586-0945. ■ 독일 Aleph 기타 4중주 11월3일 오후7시30분 영산아트홀,4일 오후7시30분 창원 성산아트홀(02)586-0945. ■ 쇼스타코비치 현악 4중주단 내한공연 11월4일 오후8시,6일 오후5시 호암아트홀(02)543-3482. ■ 서울챔버오케스트라 65회 정기연주회 11월4일 오후8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02)2263-3620. 미 술 ■ 이정훈 개인전 11월9일까지 아티누스 갤러리(02)3141-4090. 자아정체성을 주제로 한 ‘미로’‘공간’등 설치작품 5점. ■ 2004화랑미술제 11월11일까지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02)733-3706. 국내외 작가 170여명의 작품 1800여점. ■ 고승유묵전 11월30일까지 국립청주박물관(043)255-1632. 통일신라에서 고려, 조선, 근·현대에 이르는 1500여년 한국 서예의 역사를 고승들의 선필(禪筆)을 통해 조명. ■ 안영 작품전 11월2일까지 우림갤러리(02)733-3788. 수채화 작가로 널리 알려진 작가의 산수풍경 작품. ■ 에바 헤세 작품전 11월19일까지. 국제갤러리(02)735-8449. 미국 현대미술에 큰 영향을 끼친 여성작가 헤세가 독일에 머물며 제작한 회화와 드로잉, 콜라주, 조각. 뮤지컬 ■ 모스키토 29일∼12월23일 백암아트홀(02)763-8233. 김민기 번안·연출, 김희원 민대식 출연. 청소년에게 선거권이 주어지는 가상의 상황을 바탕으로 교육과 정치현실을 풍자. ■ 우모자 11월7일까지 한전아트센터(02)3472-4480. 아프리카의 원초적 음악과 춤의 향연을 만끽할 수 있는 무대. 연 극 ■ 초야 11월7일까지 상상블루소극장(02)762-0810. 박수진 작·손대원 연출, 박기선 임채용 출연. 옌볜 처녀와 외국인 노동자를 소재로 한 사회 풍자극. ■ 아름다운 여인의 작별 11월14일까지 정미소(02)744-0300. 마틴 맥도나 작·강유정 연출, 이승옥 이영란 출연. 심술궂은 노모와 신경과민인 노처녀 딸의 애증을 그린 여성연극. ■ 카페 신파 11월28일까지 산울림소극장(02)334-5915. 김명화 작·임영웅 연출, 전무송 전국환 출연. 대학로 카페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무대밖 연극인들의 인생. ■ 유다의 키스 31일까지 아룽구지극장(02)744-0300. 데이비드 해어 작·박정희 연출, 아일랜드 작가 오스카 와일드의 동성애를 소재로 한 연극. ■ 라이방 31일까지 정보소극장(02)745-0308. 송민호 작·문삼화 연출, 지대한 윤진호 출연. 인생 역전을 꿈꾸는 30대 세 남자의 좌충우돌 코믹극.
  • 서울소극장 오페라축제 새달 5일 개막

    서울소극장 오페라축제 새달 5일 개막

    관객과 직접 교감할 수 있는 쉽고 재미있는 무대로 ‘오페라의 대중화’를 꿈꾸며 시작해 올해로 여섯돌을 맞는 서울소극장오페라축제(www.chamberopera.or.kr)가 새달 5일 막을 연다. 올해는 ‘찾아가는 오페라’에 기획 초점을 맞춰 비교적 오페라 공연을 접하기 어려운 곳에 무대를 꾸몄다. 강북권에서는 드물게 오케스트라 피트가 설치된 노원문예회관과 서울퍼포밍아트홀(마포문화센터 내)을 새로운 오페라극장으로 탈바꿈시킨 것. 새달 5∼7일 노원문화예술회관 무대에 올려질 공연은 세종오페라단의 작품인 이건용의 ‘동승’(지휘 최영주, 연출 정갑균)과 코리안챔버오페라단의 작품인 페르콜레지의 ‘나의 음악선생’(지휘 양진모, 연출 최지형).‘동승’은 어머니를 찾는 꼬마승의 이야기를 다룬 창작오페라로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박성규, 박광원 등이 출연한다. 제자를 사랑하는 음악선생의 유쾌한 질투극 ‘나의‘에는 장신권, 박찬우, 이은순 등이 캐스팅됐다. 새달 12∼14일 서울퍼포밍아트홀에서는 서울오페라앙상블이 국내 초연작으로 꾸미는 도니제티의 ‘내 사랑 리타’(지휘 방성욱, 연출 이호현)와, 캄머오퍼21이 올리는 하이든의 코믹오페라 ‘사랑의 약제사’(지휘 박명기, 연출 안호원)가 이어진다. 네 공연 모두 금·일 오후 7시30분, 토 오후 3시30분·7시30분. 12월12일 한전아트센터에서는 창작오페라의 어제와 오늘을 조망하는 ‘2004 한국창작오페라 갈라콘서트’가 특별공연으로 펼쳐진다. 원로 작곡가 김동진의 ‘심청전’에서부터 신예작곡가 김경중의 ‘사랑의 변주곡’까지 중요 장면을 한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는 무대다.(02)741-7389. 김소연기자 purple@seoul.co.kr
  • 개관 4개월 맞은 서울 노원문화예술회관 문화기근 동북권에 ‘단비’

    서울 노원문화예술회관이 예술의 전당에 견줘 손색없는 강북 문화의 전당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건우 초청 피아노 연주회가 이달 31일 열리는 것을 비롯해 금난새와 유라시안 오케스트라, 국립 헝가리 집시 오케스트라의 집시 페스티벌 등 10여 차례의 국내외 정상급 공연이 연말까지 이어진다. 개관 4개월 만에 노원구가 야심차게 유치한 백건우 피아노 연주회는 통상 세종문화회관이나 예술의 전당과 같은 공연장에서나 볼 수 있는 고품격 연주회. 이 정도 공연을 보려면 최소한 15만원 정도의 비용이 들지만 노원문화예술회관에서는 절반 가격인 5만∼7만원으로 세계 최정상급 피아니스트를 만날 수 있다. 연주회에서 백건우씨는 ▲슈만 만드레드 서곡 ▲베토벤 교향곡 제4번 ▲라흐마니노프 피아노협주곡 제2번을 65명으로 구성된 그랜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약 120분간 협연할 예정이다. 문화예술회관은 616석의 대공연장과 소공연장에 첨단시설을 갖춘 무대예술 공연 전용공간으로 지난 6월 문을 연 후 연인원 3만여명의 관객이 다녀갈 정도로 전문공연장으로 인정받는 등 서울 동북부지역 문화예술의 메카로 발돋움하고 있다. 최용규기자 ykchoi@seoul.co.kr
  • [종교 플러스] 니르바나 필하모닉 연주회

    1999년 창단된 불교계의 유일한 서양음악 연주단체 니르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는 새달 1일 오후 7시30분 리틀엔젤스예술회관에서 ‘제2회 소아암 환아(患兒)를 위한 음악회’를 연다. 니르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는 지난해에도 음악회를 통해 모은 수익금으로 5명의 어린 환자에게 500만원씩의 수술비를 지원했다.(02)415-2599.
  • [사고] 2004 가을밤 콘서트

    서울신문이 주최하고 KT&G가 협찬하는 ‘2004 가을밤콘서트’가 11월 5일 오후 8시 서울 서초동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립니다. 올해로 5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무대에는 프랑스 등 해외에서 활동하고 있는 피아니스트 박혜영, 남성중창단 이깐딴띠가 1부를 화려하게 장식하며, 우리나라 최고의 뮤지컬 배우 조승우, 김소현이 2부에 출연하여 뮤지컬 삽입곡 등을 불러줍니다. 서울심포니오케스트라(지휘 최선용)의 수준 높은 협연으로 진행될 이번 공연을 통하여 잊을 수 없는 가을의 추억을 간직하시기 바랍니다. 독자여러분의 많은 성원을 바랍니다. ●공연프로그램 1부 - 헝가리안 판타지 협주곡과 남성중창단의 가곡 메들리 2부 - 뮤지컬 갈라 콘서트 ●입장권 R석 7만원,S석 5만원,A석 3만원 B석 1만원(학생석) (티켓링크, 인터파크, 예술의전당 회원 20∼10% 할인 및 단체 30인 이상 20%할인) ●예매처 티켓링크 1588-7890 (www.ticketlink.co.kr) 인터파크 1544-1555 (www.interpark.com) 및 주요예매처 ●공연문의 서울신문 문화사업부(2000-9754) ●후 원 스포츠서울 ●협 찬 KT&G
  • 가을밤 러시아·집시 음악 속으로

    동구권 특유의 서정과 힘이 깃든 합창곡과 집시음악을 접할 수 있는 무대가 이어진다. 먼저 21일 고양시 덕양어울림누리 어울림극장과 22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첫 내한공연을 갖는 레드스타 레드아미 코러스는 러시아의 3대 합창단 가운데 하나.1977년 러시아군의 사기를 증진시킬 목적으로 창단된 이들은 러시아가 가장 사랑하고, 스탈린이 가장 아꼈다고 알려져 있다. 소련 붕괴 조짐이 보이던 1985년부터 세계 각지로 활동무대를 넓히며 음악팬들에게 보드카처럼 뜨겁고 강렬한 대륙의 소리를 전하고 있다. 숀 코너리가 주연한 영화 ‘붉은 10월’의 잠수함 출항 장면에서 배경음악으로 쓰였던, 굵직하면서도 아련한 목소리의 주인공이기도 한 이들은, 장엄하고 강렬한 저음의 음색부터 어린아이의 속삭임같은 부드러움까지 아우른다. 이번 공연은 합창인원 28명, 오케스트라 13명, 댄스앙상블 20명으로 구성된 이들의 명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무대. 러시아 고유악기와 함께 4부 혼성으로 ‘검은 눈동자’‘칼린카’‘백학’ 등의 러시아 로망스와 오페라·영화음악을 들려줄 예정이다. 영화 ‘닥터 지바고’의 ‘왈츠’도 연주한다. 서울 공연 오후 8시 2만∼12만원 (02)2187-6222, 고양 공연 오후 7시30분 2만∼9만원 1544-1559. 라지크 헝가리 국립 집시오케스트라도 20일 덕양어울림누리 어울림극장에서 집시음악의 우수와 흥겨움을 동시에 선사한다. 현악기 중심의 연주단 20여명으로 구성된 이들은 이번 무대에서 요한 스트라우스의 ‘피치카토 폴카’와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 브람스의 ‘헝가리안 댄스’, 리스트의 ‘헝가리안 랩소디’, 사라사테의 ‘집시의 달’등을 연주한다. 오후 7시30분, 2만∼9만원, 1544-1559. 김소연기자 purple@seoul.co.kr
  • [일요영화]

    [일요영화]

    ●매트릭스(SBS 오후 11시45분) 천재 형제 감독인 앤디·래리 워쇼스키가 제작자 조엘 실버와 손잡고 1999년 만든 세계적인 흥행작. 지난해 완성된 매트릭스 3부작 가운데 첫 편이다. 매트릭스는 자궁이라는 뜻으로, 영화에서 인공지능 컴퓨터에 의해 인간이 지배 당하는 가상 세계를 말한다. 이 영화에서 선보인 홍콩식 액션과 독창적인 의상, 특수효과는 이후 많은 영화와 광고에서 패러디됐다.2000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편집, 음향, 음향효과편집, 시각효과 등 4개 부문을 수상했다. 컴퓨터 프로그래머 토머스 앤더슨은 네오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활동하는 전문 해커이기도 하다. 그는 어느날 모피어스를 만나 현재는 1999년이 아니라 2199년이며, 인공지능 컴퓨터가 매트릭스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인간을 가축처럼 양육하며 생체 에너지를 자신들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는 사실을 듣게 된다. 이에 네오는 모피어스와 그의 부하들과 함께 인류를 구하는 일에 나선다. 부하 사이퍼의 배신으로 곤경에 처한 모피어스를 구하기 위해 나선 네오는 서서히 자신의 능력을 깨달아 간다.136분. ●마틴을 위한 노래(KBS1 오후 11시15분) 알츠하이머에 걸린 남자를 향한 한 여자의 헌신적인 사랑을 그린 스웨덴 영화. 남자 주인공 스벤 볼터의 열연이 돋보인다. 마틴은 유명한 오케스트라 지휘자이자 작곡가. 수석 바이올리니스트 바버라와 마틴은 사랑에 빠져 이혼한 뒤 함께 살기 시작한다.5년의 세월이 흘러 마틴이 갑작스레 알츠하이머 진단을 받는다. 증세가 악화되면서 마틴은 전혀 다른 사람처럼 변해간다. 바버라는 점점 변해가는 그의 모습에 마음이 아프지만 헌신적으로 마틴을 돌본다.111분.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 [사고] 2004 가을밤콘서트

    서울신문이 주최하고 KT&G가 협찬하는 ‘2004 가을밤콘서트’가 11월5일 오후 8시 서울 서초동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립니다. 올해로 5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무대에는 프랑스 등 해외에서 활동하고 있는 피아니스트 박혜영,남성중창단 이깐딴띠가 1부를 화려하게 장식하며,우리나라 최고의 뮤지컬 배우 조승우,김소현이 2부에 출연하여 뮤지컬 삽입곡 등을 불러줍니다.서울심포니오케스트라(지휘 최선용)의 수준 높은 협연으로 진행될 이번 공연을 통하여 잊을 수 없는 가을의 추억을 간직하시기를 바랍니다. 독자여러분의 많은 성원을 바랍니다. ●공연프로그램 1부 - 헝가리안 판타지 협주곡과 남성중창단의 가곡 메들리 2부 - 뮤지컬 갈라 콘서트 ●입장권 R석 7만원,S석 5만원,A석 3만원 B석 1만원(학생석) (티켓링크,인터파크,예술의전당 회원 20∼10% 및 단체 30인이상 20%할인) ●예매처 티켓링크 T.1588-7890 (www.ticketlink.co.kr) 인터파크 T.1544-1555 (www.inter park.com) 및 주요예매처 ●공연문의 서울신문 문화사업부(T. 2000-9754) ●후 원 스포츠서울 ●협 찬 KT&G 서울신문사
  • [보러갑시다]

    ■ 임영균 사진전 20일까지 선화랑(02)734-0458.백남준·조병화·서정주·존 케이지 등 예술가 60여명의 인물사진. ■ 김창열 작품전 17일까지 갤러리 현대(02)734-6111.‘물방울’ 시리즈와 ‘회귀’ 시리즈 40여점. ■ 색채의 마술사 샤갈전 22일까지 서울시립미술관(02)724-2904.‘도시 위에서’‘비테프스크 위의 누드’ 등 주요 유화 작품과 드로잉,판화 등 120여점. ■ 고승유묵전 11월30일까지 국립청주박물관(043-255-1632).1500여년 한국 서예의 역사를 고승들의 선필(禪筆)을 통해 조명. ■ ‘앤디 워홀의 예술신화’전 24일까지 쥴리아나 갤러리(02)514-4266.20세기 팝아트의 거장 앤디 워홀의 자화상·초상 시리즈 등 25점. ■ 양대원 작품전 화가 양대원(38)의 그림 작업은 누구보다 독특하다.먼저 캔버스를 만들어 밑그림을 그리고 색을 칠한다.그리고 다시 캔버스를 흙색으로 물들이고 거기에 인두질까지 한다.그가 “그림을 만든다.”는 얘기를 듣는 것은 그런 연유에서다. 양대원의 작품은 한마디로 ‘장인적 수공성’의 산물이다.서울 용산구 한강로 가 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는 그의 작품전에서는 ‘섬-자화상’‘가라사대Ⅰ’등 작가의 예술적 집념을 보여주는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특히 체조를 하는 인물군상의 형상이 ‘모든 것이 헛되도다’라는 문장을 만들어내는 ‘가라사대Ⅰ’은 작가 특유의 발랄한 상상력을 보여준다.20일까지.(02)792-8736. 김종면기자 jmkim@seoul.co.kr ■ 찰리 브라운 11월21일까지 한양레퍼토리시어터(02)3141-8425.클라크 게스너 작·박선희 연출,곽상원 김경식 출연.70년대 브로드웨이 뮤지컬. ■ 소나기 24일까지 건국대 새천년관 공연장(02)3445-7972.황순원 원작·유희성 연출,홍경인 최보영 출연.유년시잘 첫사랑에 대한 아련한 추억. ■ 열두살에 부자가 된 키라 무기한 목동브로드웨이홀(02)3273-6885.인기높은 어린이 경제교육서를 가족 뮤지컬로 각색. ■ 오페라 휘가로의 결혼 14·15일 오후7시30분,16·17일 오후7시 올림픽공원 내 88잔디마당 특설무대 1544-4463. ■ 뉴욕필하모닉오케스트라 초청공연 15일 오후7시30분,17일 오후4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14일 오후7시30분 세종문화회관 대극장(02)6303-1919. ■ 오페라 라 보엠 15일까지 오후7시30분 한전아트센터 대극장(02)588-9630. ■ 쇤베르크와의 만남-달에 홀린 피에로 21일 오후8시 호암아트홀(02)751-9606. ■ 환상의 선 14∼16일 안산문화예술의전당(031)481-3823.프랑스 마임연출가 필립 장티의 몽환적인 마임극. ■ 최승희 16∼18일 국립극장 달오름극장(02)747-5161.배삼식 작·손진책 연출,김성녀 정태화 출연.전설의 무용가 최승희의 삶과 예술을 무대화. ■ 유다의 키스 31일까지 아룽구지극장(02)744-0300.데이비드 해어 작·박정희 연출,아일랜드 작가 오스카 와일드의 동성애를 소재로 한 연극. ■ 라이방 31일까지 정보소극장(02)745-0308.송민호 작·문삼화 연출,지대한 윤진호 출연.인생 역전을 꿈꾸는 30대 중반 세 남자의 좌충우돌 코믹극. ■ 청춘예찬 11월14일까지 동숭아트센터 소극장(02)762-0010.박근형 작·연출,김영민 고수희 출연.남루한 일상에서도 희망을 잃지않는 청춘들에 대한 예찬. ■ 추억의 빅 콘서트 15일 오후 7시30분 울산문수축구경기장(052)271-1374. ■ 더 코리안스 내한 콘서트 15일 오후 8시,16·17일 오후 4시·7시30분 대학로 라이브극장(02)701-7511. ■ 나훈아 의정부 콘서트 16일 오후 3시30분·7시30분 의정부 실내체육관(031)828-5858. ■ 김건모 부산 콘서트 16일 오후 7시 부산KBS홀(051)622-5744. ■ 이미자 안성 콘서트 17일 오후 3시6시 안성시체육관(031)677-6004. ■ 조용필 청주 콘서트 17일 오후 7시 청주실내체육관(02)2654-4861. ■ 월인천강 19일 오후7시30분 세종문화회관 대극장(02)2263-4680.한국 전통무용계의 중진 임이조의 춤인생 50주년 기념무대. ■ 당신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일 18일 오후8시 창무포스트(02)984-7063.김길용,김형민,이인기,홍성욱 등 국내 중견 안무가 4명의 공동 프로젝트. ■ 대를 잇는 예술혼-명인의 후예들 15일까지 오후7시 삼성동 서울중요무형문화재전수회관 풍류극장(02)566-595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