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설지만 매혹적인 선율 속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교향악단은 최근 성황리에 공연을 마친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세계 3대 오케스트라를 거론할 때 늘 포함되는 베를린 필하모닉이나 빈 필하모닉 등 보통 북미나 서유럽 중심이다. 하지만 수준 높은 실력을 자랑하는 세계의 오케스트라는 이곳만이 아니다.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은, 그러나 최고의 기량을 뽐내는 동유럽과 남미의 오케스트라를 만날 기회가 다가왔다.
‘장수의 나라’ 정도로 알려진 불가리아를 대표하는 교향악단인 소피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새달 서울, 고양, 성남에서 연주회를 갖는다. 1928년에 창단된 이 교향악단이 한국에서 정식으로 내한공연을 갖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소피아 필하모닉은 세계 20개국에서 연주활동을 하고 있으며 지휘자 쿠르트 마주어와 유리 테미르카노프, 첼리스트 로스트로포비치, 바이올리니스트 레오니드 코간과 줄리안 라클린 등 세계적 연주자들과 협연했다.
특히 이번 공연은 클래식의 본고장인 러시아, 우크라이나, 체코 등 북유럽을 종횡무진 누빈 지휘자 이영칠이 처음 국내 무대에 서는 자리이기도 하다. 지난 7월에는 한국인 최초로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지휘봉을 잡은 이영칠은 “유럽에서 활동하다 고국에서 공연하게 돼 감회가 새롭다.”면서 “세계 최정상의 연주자들과 함께 최고의 공연을 만들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공연 프로그램은 임준희의 ‘댄싱 아리랑’, 차이콥스키의 바이올린 협주곡과 교향곡 4번, 라이네케의 플루트 협주곡이다 김윤진(바이올린), 바딤 루덴코·김은하(피아노), 윤현임·박의경(플루트)이 협연한다. 연주일정은 2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5일 예술의전당, 6일 고양아람누리, 8일 성남아트센터, 11일 KBS홀이다. (02)461-6712.
앞서 20~21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는 브라질 국립극장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첫 내한공연을 갖는다. 국립극장이 진행하는 ‘세계국립극장 페스티벌’의 해외 초청작이자 올해 한·브라질 수교 50주년을 기념한 무대. 교향악단의 정식 명칭은 브라질 클라우디오 산토로 국립극장 심포니 오케스트라다. 1979년 재개관한 빌라 로보스 홀 기념 연주회를 기점으로 창단됐다. 창단 당시부터 공연 중 심장마비로 사망한 1989년까지, 상임지휘자를 맡았던 클라우디오 산토로를 기리기 위해 국립극장에 그의 이름이 붙었다.
이번 공연에는 지휘자 아이라 레빈과 80여명의 오케스트라 단원이 마이클 콜리나의 ‘로스 카프리초스’(아시아 초연), 멘델스존 교향곡 5번 ‘종교개혁’, 브라질 최고의 작곡가 빌라 로보스의 ‘브라질풍의 바흐’, 차이콥스키의 교향시 ‘프란체스카 디 리미니’를 연주한다. (02)2280-4115~6.
최여경기자 kid@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