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오사카
    2025-08-08
    검색기록 지우기
  • BTS
    2025-08-08
    검색기록 지우기
  • 양산
    2025-08-08
    검색기록 지우기
  • 이상민
    2025-08-08
    검색기록 지우기
  • 삼성
    2025-08-08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6,501
  • “머리카락 나왔다” 日국민 76% 반대한 ‘아베 마스크’ 논란 확산

    “머리카락 나왔다” 日국민 76% 반대한 ‘아베 마스크’ 논란 확산

    “작아서 귀 아프다” “빨면 줄어든다”임신부 마스크 불량품 1900장 발견일본 정부가 5000억원이 넘는 거액을 들여 추진하는 ‘천 마스크’ 배포 사업에 비판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너무 크기가 작아 끈이 끊어진다는 지적부터 잇따른 불량품 발생으로 일본 국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NHK는 일본 정부가 임신부를 위해 배포를 시작한 천 마스크 중 일부에 오염 물질이 묻어 있는 등 불량품이 발견됐다고 19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달 17일까지 80개 기초자치단체에서 일본 정부가 제공한 임신부용 천 마스크 중 일부에 ‘오염물이 묻어 있다’, ‘머리카락이나 먼지가 들어 있다’는 등의 보고가 이어졌다. 당국이 확인한 결과 실제로 1900여장의 불량품이 발견됐다. 임신부를 위해 배포한 천 마스크는 여러 업체가 제조한 것으로, 후생노동성은 제조업체에 재발 방지 대책을 요구했으며 불량품을 새 제품으로 교환하도록 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밀어붙여 ‘아베의 마스크’라고 불리는 일본 정부의 천 마스크는 감염 방지 효과에 대한 의문은 물론 사용의 편의성 등에 관해서도 문제 제기가 이어지고 있다. 교도통신이 지난 10~13일 일본 유권자를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76.2%가 아베 총리의 천 마스크 지급 방침을 부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답했다.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21.6%에 그쳤다. 요양시설과 복지시설 등에서 먼저 마스크를 받은 이들은 ‘마스크가 작아서 말할 때 끈이 풀어진다’, ‘귀가 아프다’, ‘빨면 줄어든다’는 등의 문제를 제기했다고 마이니치신문이 보도했다. 후생노동성은 19일 홈페이지에 올린 천 마스크와 관련한 질문과 답에서 천 마스크의 규격이 ‘세로 9.5㎝, 가로 13.5㎝의 시판품 성인용이며 입과 코를 덮기 위해 충분한 크기’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아베 총리가 먼저 착용한 모습을 보면 천 마스크는 통상적인 일회용 마스크보다 상당히 작게 보인다. 한 일본 업체가 도쿄에서 판매한 여성 및 아동용 일회용 마스크의 규격이 세로 9.5㎝, 가로 14.5㎝이고 또 다른 업체가 도쿄에서 판매한 성인용 마스크 규격이 세로 9.5㎝, 가로 17.5㎝인 점에 비춰보면 일본 정부가 배포하는 마스크의 크기는 여성이나 아동용에 가깝다. 후생노동성은 고무로 된 마스크 끈(귀에 거는 부분)이 끊어진 경우 “테이프 끈 등으로 연결해 사용하라”는 설명을 올리기도 했다.아사히 신문은 갑자기 코로나19 환자 대응을 지시받아 자비로 의료용 고글 대신 쓸 안경을 구매하고 서류용 투명 파일을 잘라서 감염 방지용 안면 보호대를 만든 오사카의 한 간호사 사례를 최근 소개했다. 이 간호사는 ‘선진국인데 왜 의료물자를 가장 필요한 곳에 보내지 못하는 것이냐’는 생각을 하고 있으며 일본 정부가 거액을 들여 마스크를 배포한다는 소식에 동료들 사이에 실망감이 확산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일본 정부는 17일부터 전국 모든 가구에 천 마스크를 2장씩 배포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앞서 14일부터 임신부용 마스크를 약 50만장을 배포하고 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전 가구에 천 마스크를 배포하는 사업 비용으로 예산 466억엔(약 5260억원)을 책정했다. 이 가운데 천 마스크 1억 3000만장을 마련하는 비용이 338억엔(1장당 260엔)이고 나머지는 배송 및 포장 비용이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 일본 스타벅스 매장 70% 문 닫기로…코로나 직격탄

    일본 스타벅스 매장 70% 문 닫기로…코로나 직격탄

    일본에서 스타벅스 매장 대부분이 문을 닫거나 영업시간을 단축하기로 했다. 18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스타벅스 커피 재팬은 오는 20일부터 홋카이도, 이바라키현, 이시카와현, 기후현, 아이치현, 교토부 등 6개 도부현에 있는 매장 영업을 당분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들 6개 지자체는 아베 신조 총리가 지난 16일 코로나19 긴급사태 선언을 전국으로 확대하면서 기존 대상지역이던 도쿄도 등 7개 지자체와 함께 ‘특정 경계도시’로 지정한 지역이다. 스타벅스는 앞서 긴급사태가 선언됐던 도쿄도 등 7개 지자체에선 이미 매장 운영을 중단한 상태다. 일본 전체 스타벅스 매장의 70%에 달하는 약 1100개 점포가 휴업에 돌입하게 됐다. 스타벅스는 이들 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자체의 매장에 대해선 영업시간을 오후 7시까지 단축하고, 고객의 매장 사용을 제한할 방침이다. 테이크아웃이나 드라이브스루 방식으로만 이용이 가능하다. 일본의 코로나19 확진자는 한국보다 확연히 적은 검사에도 1만명을 넘어서며 심상치 않은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17일 하루 도쿄도에서만 201명, 오사카부에서 55명 등 일본 전국에서 555명의 확진자가 추가됐다.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크루즈선 탑승자를 포함하면 총 1만561명으로 이날 중 한국의 확진자 수를 넘을 것으로 보인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 日 코로나19 확진자, 한국보다 많아질 듯 ‘내일 추월’

    日 코로나19 확진자, 한국보다 많아질 듯 ‘내일 추월’

    사흘 연속 500명 이상…누적 사망자 217명 NHK 보도에 따르면 17일 오후 기준 일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은 1만536명이다. 일본의 하루 신규 확진자는 15일부터 사흘 연속 500명을 웃돌았다. 전날까지 파악된 확진자보다 530명 늘어난 수준이다. 감염 확산 추세에 큰 변화가 없다면 일본의 확진자는 18일 이후에는 한국보다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17일 일본의 코로나19 확진자 중에 14명이 사망했다. 이로써 누적 사망자는 217명이 됐다. 또 이날 수도 도쿄도(東京都)에서 코로나19 확진자 201명이 새로 파악됐다. 도쿄에서만 하루 신규 확진자가 200명을 넘은 것은 처음이다. 애초 도쿄의 누적 확진자는 2796명으로 집계됐으나 15·16일 신규 확진자가 앞서 발표한 것보다 한 명씩 적은 것으로 파악 돼 도쿄도가 집계치를 2794명으로 수정했다.아베 “의료 현장에서 비명…제발 외출 자제” 아베 총리는 17일 기자회견을 열어 “의료 현장에서 비명이 나오고 있다”며 “제발 외출을 자제해달라”고 호소했다. 이어 “가능한 한 사람과의 접촉을 피해달라”며 “그것이 의료현장을 지키고 많은 생명을 지키는 것이 된다”고 강조했다. 또 “나아가 여러분이나 여러분이 사랑하는 사람을 지키는 것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 확진자가 도쿄도에서 3000명에 육박하고 오사카부에서는 1000명을 넘은 상황을 거론하며 “의료 현장에서는 비명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나아가 “지킬 수 있는 목숨도 지킬 수 없게 된다”며 “감염 위험과 등을 맞대는 가운데 현장 의사나 간호사의 육체적·정신적 부담은 한계에 달하고 있다”고 상황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또 긴급사태 선언 기간인 내달 6일까지 20일 동안 코로나19와 싸워 이기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는 뜻도 표명했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 日 오늘 중 코로나19 확진 韓 넘는다, ‘왜 이런 어리석은’

    日 오늘 중 코로나19 확진 韓 넘는다, ‘왜 이런 어리석은’

    일본의 코로나19 확진자가 18일 한국을 앞지를 전망이다. 공영 NHK 방송이 지자체들의 발표를 종합한 결과에 따르면, 이날 0시 현재 코로나19 감염자는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탑승자(712명)를 포함해 1만 561명이다. 전날 555명이 늘어 사흘 연속 500명을 웃돌았다. 도쿄도에서 201명, 오사카부에서 55명이 새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일본의 코로나19 사망자는 16명 늘어 크루즈선 탑승자를 포함해 220명이 됐다. 감염 확산 추세에 큰 변화가 없다면 일본의 코로나19 확진자는 18일 한국보다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전날 0시 기준 한국의 코로나19 확진자는 전일 대비 22명 늘어난 1만 635명이다.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의 18일 오전 8시 30분(한국시간) 집계에 따르면 일본은 크루즈선 탑승자를 제외하고 감염자 9787명, 사망자 190명으로 표시돼 있다. 전 세계 185개 나라의 확진자는 222만 4426명, 희생자는 15만 3177명이다. 지난해 12월 31일 중국 우한에서 첫 환자가 발생하고, 84일 만인 이달 2일 5만명을 넘긴 사망자는 8일 만에 10만명을 넘겼고, 다시 7일 만에 15만명을 넘었다. 첫 사망자가 나온 때부터 15만명으로 불어나는 데는 99일이 걸렸다. 물론 두 나라 인구를 감안하면 일본 감염자가 2만 5000명은 돼야 한국과 엇비슷한 수준이 된다는 반론도 있고, 또 올림픽 메달 따는 것처럼 두 나라 감염자 수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한국이 초기 방역에 실패한 것처럼 보였을 때 일본 정부 등이 보인 태도에 문제가 있었고, 두 나라의 대처 방식을 비교하며 반면교사로 삼을 대목이 없나 들여다보고 있다고 본다. 일본은 도쿄올림픽 연기 결정 전후 코로나19 검사 건수가 확연히 달라졌다. 후생노동성 자료를 보면 2월 18일부터 3월 29일까지 하루 검사 건수는 505건~2542건이었지만, 3월 30일부터 4월 14일까지는 하루 3161건~7841건이었다. 검사 건수를 늘리자 확진자 수가 급격히 늘어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NHK 집계를 보면, 크루즈선 탑승자를 제외한 일본의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지난달 29일 1894명에서 4월 16일 9296명으로, 다섯 배가 됐다. 하지만 여전히 코로나19 검사를 적극적으로 실시하지 않는 편이다. 지난 1월 15일부터 4월 15일까지 일본에서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사람은 8만 1825명으로 한국(53만 8775명)의 15% 수준이다. 더 적극적으로 검사하면 코로나19 감염자가 더 드러나겠지만, 이제는 감염증 대응에 취약한 일본 의료체계가 발목을 잡고 있다. 지금까지 일본 코로나19 검사의 70% 가까이는 보건소에서 이뤄졌다. 일본의 보건소는 1992년 852곳에 달했지만, 지난해 472곳으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공공부문 개혁 등을 이유로 공적 의료기관을 통폐합해 현재 감염증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베 지지 성향으로 알려진 정치 저널리스트 타사키 시로는 지난 6일 아사히 TV에 출연해 “(코로나19) 검사 장소는 보건소가 중심이 돼 나누고 있다. 지금 가장 힘든 곳은 보건소”라며 “(보건소 수는) 정점과 비교해 절반 정도 줄었다. 일본 전체가 반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건소 통폐합은 2012년 2차 아베 정권 출범 이전부터 시작된 것이지만 코로나19 확산에 위기감을 갖고 이에 대응해 의료체계를 정비하지 않은 것은 아베 총리의 책임이다. 한국에선 진작부터 보건소와 대학병원 등에 선별 진료소를 설치해 적극적으로 코로나19 검사를 하고, 경증자를 생활치료센터로 보내 격리하는 조치 등을 취했지만, 일본 정부는 이런 정책을 채택하지 않았다. 그 결과 일본 정부가 그토록 우려했던 의료체계 붕괴가 시작됐다는 평가가 많다. 보건소가 감염자의 이송처를 조정하는 시스템은 사실상 파탄 났고, 코로나19 감염자를 수용하는 감염증 지정 병원과 대형 병원도 밀려드는 환자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병원 내 감염을 우려해 코로나19 의심 환자 수용을 거절하는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요라 마사오 마이니치신문 편집위원은 지난 8일 ‘왜 이런 어리석은 대책을’이란 제목의 칼럼에서 아베 총리의 긴급사태 선언과 긴급 경제대책 등에 대해 “모두 늦었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아베 총리가 올림픽 연기 결정 전까지 “일본은 괜찮다”라는 점을 어필하기 위해 고의로 코로나19 상황에 대해 낙관적 입장을 보인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했다. 이어 적어도 아베 총리의 어정쩡한 태도가 일본 국민 사이에 코로나19의 위기감이 퍼지지 않게 한 요인이 된 것은 틀림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 아베 “전국민에 1인당 10만엔 지급하기로”

    아베 “전국민에 1인당 10만엔 지급하기로”

    아베, 국민에 “외출 자제해달라” 호소“의료 현장에서는 비명 나와” 일본 내 코로나19 확산으로 긴급사태가 전국으로 확대된 가운데,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의료 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해 외출을 자제해달라고 호소했다. 17일 아베 총리는 NHK를 통해 생중계된 기자회견에서 “여러분에게 다시 부탁드린다. 제발 외출을 자제해달라. 가능한 한 사람과의 접촉을 피해달라”며 “그것이 의료현장을 지키고 많은 생명을 지키는 것이 된다. 나아가 여러분이나 여러분이 사랑하는 사람을 지키는 것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도쿄도(東京都)에서 확진자가 3000명에 육박하며, 오사카부(大阪府)는 1000명이 넘는 상황을 언급하며 “의료현장에서는 비명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지킬 수 있는 목숨도 지킬 수 없게 된다. 감염 위험과 등을 맞대는 가운데 현장의 의사나 간호사의 육체적·정신적 부담은 한계에 달하고 있다”고 상황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전국민에 1인당 10만엔 지급하기로” 아베 총리는 긴급사태 선언 기간인 오는 5월 6일까지 20일 동안 코로나19와 싸워 이기기 위해 전국 지자체와 협력,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고도 밝혔다. 특히 “장기전이 예상되는 가운데 바이러스와의 싸움에서 이겨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민 여러분과의 일체감이 중요하다”며 “국민 여러분과 함께 극복한다는 생각으로 전국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일률적으로 한명당 10만엔(약 113만원)을 지급하기로 결단했다”고 밝혔다. 앞서 일본 정부는 소득이 감소한 가구에 30만엔(약 339만원)을 지급하기로 했으나 조건이 까다롭다는 비판이 나오고 여당 내에서도 수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자 추경 예산안까지 마련한 상황에서 정책을 변경했다. 이와 관련 아베 총리는 “혼란을 초래한 것은 나 자신의 책임이며,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하고 싶다”고 말했다. 의료 현장 보호구 부족에 “죄송하게 생각” 그는 의료 현장에 마스크, 고글, 보호복 등이 부족한 것에 대해 “총리로서 매우 죄송하게 생각한다”고도 말했다. 아베 총리는 긴급사태를 먼저 선언한 도쿄 등 7개 광역지자체에 이번 주에 수술용 마스크 1000만장, 의료용 가운과 감염 방지용 안면 보호대를 각각 10만장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N95 마스크·KN95 마스크를 이번 주에 약 7만장 공급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일본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이날 0시를 기준으로 1만명이 넘었다. 임효진 기자 3a5a7a6a@seoul.co.kr
  • 아베 ‘코로나 긴급사태’ 47개 전 지역 발령… 골든위크 이동 최소화

    아베 ‘코로나 긴급사태’ 47개 전 지역 발령… 골든위크 이동 최소화

    모든 국민에게 1인당 10만엔 지급 추진 日 확진 9000명 넘어… 도쿄도 2595명 아베 부인, 이동 자제 속 신사 방문 논란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도쿄도 등 7개 주요 광역자치단체에 발령했던 ‘긴급사태’를 16일 전국 모든 지역으로 확대했다. 앞서 7개 지역에 긴급사태를 선언한 이후에도 전국적으로 감염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아베 총리는 이날 밤 대책본부 회의를 열어 특별조치법에 따른 긴급사태의 전국 확대 발령을 결정했다. 그는 앞서 지난 7일 도쿄도, 가나가와현, 사이타마현, 지바현 등 수도권 1도 3현과 오사카부, 효고현, 후쿠오카현 등 7개 대형 광역단체를 대상으로 긴급사태를 선언했다. 이번에 나머지 40개 광역단체를 추가해 전국 47개 도도부현 전역으로 대상을 넓힌 것이다. 선언의 효력은 골든위크(황금연휴)가 끝나는 다음달 6일까지다. 아베 총리는 “홋카이도, 이바라키현, 이시카와현, 기후현, 아이치현, 교토부 등 6개 지역에서는 기존 긴급사태 선언 지역과 비슷한 수준의 감염 확산이 진행되고 있으며, 나머지 지역에서도 도시 지역으로부터의 이동 증가 등에 따른 집단감염이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긴급사태 확대 발령의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특히 이달 말 시작되는 골든위크 기간 중 이동을 최소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했다. 이에 따라 전국 모든 광역단체지사들이 법률에 근거해 주민들에게 외출 자제 등을 요청할 수 있게 됐다. 학교, 보육원, 복지시설, 극장, 백화점 등 많은 사람이 모이는 시설에 사용 정지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거부하면 ‘지시’도 가능하다. 아베 총리는 또 긴급 경제대책으로 모든 국민에 대해 일률적으로 1인당 10만엔(약 114만원)을 지급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기존에 마련했던 ‘소득 감소 가구에 30만엔씩 지급’ 방안에 대해 미흡하다는 국민들의 비판이 이어지고 연립여당 파트너인 공명당이 1인당 10만엔 지급 방안을 강하게 요구하고 나선 데 따른 것이다. 일본 국내 감염자 수가 9000명을 넘어선 가운데 ‘제2의 뉴욕’ 가능성이 우려되는 도쿄도에서는 이날도 149명의 확진환자가 새로 나왔다. 도쿄도의 누적 감염자는 2595명에 이른다. 이런 가운데 아베 총리의 부인 아키에(58)가 전국적인 이동 자제 분위기 속에 도쿄로부터 직선거리로 800㎞나 떨어져 있는 곳에 여행을 다녀온 사실이 드러났다. 일본 주간지 슈칸분에 따르면 아키에는 일요일인 지난달 15일 50명 정도의 사람들과 함께 오이타현 우사시에 있는 대형 신사 우사진구에 다녀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임은 한 유명 의사가 주최한 의학 강연 투어로, 아키에 본인이 직접 의사에게 “코로나19 때문에 일정이 모두 없어져 어디에든 가보려고 한다. 이번 투어 일정에 포함된 우사진구 참배에 내가 합류해도 되겠느냐”고 연락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아키에가 여행을 한 날은 아베 총리가 기자회견을 열어 국민들에게 각별한 이동 자제를 촉구한 바로 다음날이었다. 아키에는 앞서 지난달 말에도 10명 이상의 남녀 연예계 관계자들과 도쿄 시내에서 벚꽃놀이를 즐기는 사진이 공개돼 물의를 빚은 바 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 아베, 코로나19 긴급사태 선언 오늘 전국으로 확대할 듯

    아베, 코로나19 긴급사태 선언 오늘 전국으로 확대할 듯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도쿄도 등 7개 도부현에 발령했던 긴급사태 선언을 전국으로 확대하는 방침을 정했다고 16일 교도통신과 NHK가 보도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 7일 도쿄도와 가나가와현, 지바현, 사이타마현 등 수도권과 오사카부, 효고현, 후쿠오카현 등을 대상으로 긴급사태를 선언한 바 있다. 이들 지역 외 40개 광역지자체에도 추가로 긴급사태 선언을 확대해 전국 47개 도도부현(광역자치단체)에 전부 긴급사태를 적용한다는 것이다. 일본 정부는 긴급사태 전국 확대에 앞서 이날 전문가들로 구성된 ‘기본적 대처 방침 등 자문위원회’를 열고 자문을 받는다.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재생담당상은 자문위에 기존 7개 지자체와 마찬가지로 40개 지자체에도 내달 6일까지 긴급사태를 선언하는 방침을 자문위에 설명했다. 아베 총리는 자문위의 자문 결과를 보고 받은 뒤 니사무라 담당상의 국회 사전보고 절차를 거쳐 이날 밤 열리는 정부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에서 긴급사태 선언 전국 확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NHK는 덧붙였다. 여야는 긴급사태 선포 대상 지역 확대와 관련해 정부의 보고를 받기 위해 운영위원회를 중의원은 오후 7시부터, 참의원은 8시부터 여는 방향으로 조율에 들어갔다고 교도통신이 여당 간부를 인용해 전했다. 한편, 일본 정부는 코로나19에 대응한 긴급 경제대책의 하나로 1인당 현금 10만엔(약 114만원)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NHK에 따르면 공동 여당인 공명당의 야마구치 나쓰오 대표는 아베 총리에게 소득 제한을 두지 않고 국민 1인당 10만엔을 지급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아베 총리는 긴급 경제대책을 위한 보정예산(추가경정예산)을 1인당 10만엔 지급안을 반영해 다시 짜는 방향으로 검토하라고 기시다 후미오 자민당 정조회장에게 지시했다. 이미 각의(우리의 국무회의격)를 통과한 추경예산을 재조정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일률적으로 1인당 10만엔을 지급할 경우 12조엔(약 136조 500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 정부와 여당은 1인당 10만엔을 지급하게 되면 추경예산에 포함됐던 소득 감소 세대에 30만엔을 지급하는 방안은 취소할 방침이라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 [속보] 日언론 “아베, 긴급사태 전국 확대 선언 준비”

    [속보] 日언론 “아베, 긴급사태 전국 확대 선언 준비”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도쿄도 등 7개 도부현에 발령했던 긴급사태 선언을 전국으로 확대하는 방향으로 조율에 들어갔다고 요미우리신문이 16일 보도했다. 앞서 아베 총리는 지난 7일 도쿄도와 가나가와현, 지바현, 사이타마현 등 수도권과 오사카부, 효고현, 후쿠오카현 등을 대상으로 긴급사태를 선언한 바 있다. 이들 지역 외 40개 광역지자체에도 추가로 긴급사태를 선언해 전국 47개 도도부현(광역자치단체)으로 대상 지역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조율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베 총리는 긴급사태 선언 전국 확대에 앞서 전문가들로 구성된 ‘기본적 대처 방침 등 자문위원회’에 자문할 예정이라고 요미우리는 덧붙였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 3월 일본 방문한 외국인 93% 급감…6개월 연속 전년 대비 줄어

    3월 일본 방문한 외국인 93% 급감…6개월 연속 전년 대비 줄어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 속에서 감염자가 급증하고 있는 일본의 지난달 외국인 방문이 90%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정부관광국(JNTO)의 15일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일본에 온 외국인 여행객은 19만 3700명으로 작년 3월(276만 136명)보다 93.0%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여러 나라가 해외여행 제한 및 외출 금지 등의 조치를 한 것과 일본이 검역 강화·비자(사증) 무효 등의 조치를 한 것이 외래 여행객 급감의 주요 원인이라고 일본정부관광국은 풀이했다. 그러나 최근 6개월간 추세를 보면 코로나19 때문만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6개월 연속 전년 동월보다 감소하는 추세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지난달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 여행객은 1년 전보다 97.1% 감소한 1만 6700명이었다. 올해 1분기 한국에서 일본을 찾은 여행객은 47만 7400명으로, 작년 1분기보다 77.1%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 외에도 대부분의 국가에서 일본 방문 여행객이 급감했다. 지난달 중국(홍콩·대만 등 제외)에서 일본을 찾은 여행객은 98.5% 감소한 1만 400명이었고, 미국에서 일본을 방문한 여행객은 87% 줄어든 2만 3000명이었다. 동일본대지진이 발생한 다음 달인 2011년 4월에 외래 관광객이 전년 동월보다 62% 감소했는데, 지난달 감소율은 이보다 훨씬 커 사상 최대라고 NHK는 전했다. 또 한 달 동안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 여행자 수가 20만명 밑으로 떨어진 것은 1989년 2월에 이어 약 31년 만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1분기 일본을 찾은 외국인 여행객은 작년 1분기보다 51.1% 감소한 393만 9800명으로 추산됐다. 외국인 여행객이 급감한 가운데 서일본 최대 관문인 오사카 소재 간사이공항은 15일 국제선 출발 및 도착이 ‘제로’(0)가 됐다고 NHK는 전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 “안쓰는 우비 달라…방호복 없어 쓰레기봉지” 日오사카 시장

    “안쓰는 우비 달라…방호복 없어 쓰레기봉지” 日오사카 시장

    日 의료용품 부족 심각“안 쓴 비옷 있으면 연락 달라” 호소손소독용 알코올 부족에 “고농도 술 사용 가능” 일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의료용품 부족이 심각한 상황이다. 긴급사태가 선언된 일본의 한 지방자치단체장이 쓰레기봉투를 방호복 대신 쓸 정도로 의료 물자 부족이 심각하다고 호소했다. 오사카 민영방송 MBS TV에 따르면 마쓰이 이치로 오사카 시장은 14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쓰레기 봉지를 뒤집어쓰고 의료현장의 사람들이 치료하는 상황”이라며 “의료 현장에 현재 마스크, 방호복, 장갑 등이 모두 부족한 상황이다”고 전했다. 또 “비옷 재고품이 있거나 집에 사용하지 않은 비옷이 있으면 사들일 것이니 꼭 연락을 달라”고 밝혔다. 오사카시는 긴급사태가 선포된 7개 광역자치단체 중 하나인 오사카부(大阪府)에 속한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14일(현지시간) 일본 후생노동성은 소독용 알코올 대신 도수가 높은 술이나 공업용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라고 각 도도부현(都道府縣·광역자치단체)에 통지했다. 사용 할때는 주세법에서 규정한 양조회사나 알코올 사업법의 허가를 받은 사업자로부터 산 제품을 사용하라고 당부했다. 또 에탄올 농도가 70∼83%가 되도록 해야 하며 이보다 농도가 진한 경우 정제수를 섞어 도수를 낮추라고 설명했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 일본 하루에만 19명 사망, 확진 다시 증가 9000명 육박

    일본 하루에만 19명 사망, 확진 다시 증가 9000명 육박

    일본에서 하루에만 코로나19 환자가 19명 숨졌다. 일본 공영방송 NHK 집계에 따르면 14일 하루 동안 도쿄도 161명, 오사카부 59명 등 전국 도도부현(都道府縣·광역자치단체)별로 모두 482명의 신규 감염이 발표됐다. 하루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지난 11일 719명을 기록하기까지 나흘 연속 최다치를 경신했다. 다음날 500명, 13일 294명으로 증가세가 둔화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14일 다시 482명으로 급증했다. 광역 지역별 감염자는 도쿄도가 2319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오사카부 894명이다. 이밖에 수도권인 가나가와(579명), 지바(502명), 사이타마(452명)와 후쿠오카(406명), 효고(403명) 등 5개 현이 400~500명대를 기록하고 있다. 전국 47개 도도부현 가운데 아직 감염자가 나오지 않은 곳은 이와테현 한 곳뿐이다. 일본에서 코로나19 감염이 확인된 사람은 이날까지 누적 8173명(공항 검역단계 확인자와 전세기편 귀국자 포함)이 됐고 크루즈 유람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승선자 712명을 더하면 전체 감염자는 8885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는 14일 하루 동안 도쿄 5명을 포함해 전국에서 하루 기준으로 가장 많은 19명이 증가했다. 누적 사망자는 국내 감염자 162명과 유람선 승선자 12명 등 174명이 됐다. 증상이 호전돼 퇴원하거나 격리가 해제된 사람은 1497명이다. 한편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의 15일 오전 7시(한국시간) 집계에 따르면 세계 185개 나라와 지역의 감염자는 196만 1965명, 사망자는 12만 5476명이다. 미국이 각각 59만 4207명, 2만 5402명으로 60만명을 앞두고 있다. 영국도 9만 4845명으로 세계 여섯 번째로 10만명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집단 면역을 주장하며 느슨한 사회 통제를 실시했던 스웨덴은 각각 1만 1445명, 1033명으로 한국(1만 564명, 222명)을 넘어섰다. 특히 희생된 이들의 숫자는 다섯 배에 가까워졌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 日오사카 시장 “방호복 대신 쓰레기봉지 입고” 확진 9천명 육박

    日오사카 시장 “방호복 대신 쓰레기봉지 입고” 확진 9천명 육박

    일본 내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9000명에 육박한 가운데 일본의 의료 시스템 붕괴가 가속화되고 있다. 긴급 사태가 선언된 한 지방자치단체장은 방호복이 부족해 쓰레기 투입용 비닐봉지를 방호복 대신 쓸 정도로 의료 물자 부족이 심각하다고 호소했다. 오사카 민영방송인 MBS TV에 따르면 마쓰이 이치로 오사카 시장은 14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쓰레기 봉지를 뒤집어쓰고 의료현장의 사람들이 치료하는 상황”이라며 방호복 수급 비상 상황을 설명했다. 마쓰이 시장은 “의료 현장에 현재 마스크, 방호복, 장갑 등이 모두 부족한 상황”이라면서 “비옷 재고품이 있거나 집에 사용하지 않은 비옷이 있으면 사들일 것이니 꼭 연락을 달라”고 호소했다. 오사카시는 긴급 사태가 선포된 7개 광역자치단체 중 하나인 오사카부에 속한다.후생성 “소독용 알코올 대신 도수 높은 술·공업용 에탄올 써라” 이런 가운데 일본 후생노동성은 소독용 알코올이 부족해지자 대신 도수가 높은 술이나 공업용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라고 각 도도부현(광역자치단체)에 통지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후생노동성은 주세법에서 규정한 양조회사나 알코올 사업법의 허가를 받은 사업자로부터 산 제품을 사용하라고 당부했다. 또 에탄올 농도가 70∼83%가 되도록 해야 하며 이보다 농도가 진한 경우 정제수를 섞어 도수를 낮추라고 설명했다. 도야마현의 양조업체인 와카쓰루 주조는 소독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알코올 농도가 77%인 고농도 제품을 생산해 판매하기 시작했다고 NHK가 전했다.도쿄도, 일주일새 확진자 2배로 日, 하루새 476명 늘어 총 8879명 NHK에 따르면 일본 내 코로나19 감염자는 14일 오후 10시 기준 전날보다 476명이 늘어난 8879명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여기에는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호에 탑승한 후 일본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이들이 포함됐다. 각 지방자치단체의 확진자 집계가 완료되면 14일 신규 확진자 규모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역별 누적 확진자는 긴급 사태가 선언된 도쿄도가 161명이 신규 확진되며 2319명으로 가장 많았다. 도쿄의 하루 신규 확진자는 8∼12일 닷새 연속 100명을 웃돌다가 전날 91명으로 축소했으나 14일 다시 늘었다. 이달 7일 누적 확진자가 1194명이었던 점에 비춰보면 1주일 사이에 누적 확진자가 거의 두배로 늘어난 셈이다.긴급사태가 선언된 오사카부의 누적 확진자는 894명을 기록했다. NHK에 의하면 전국 47개 광역자치단체 중 코로나19 병상의 환자 입원 비율이 50%를 넘긴 광역자치단체는 17개였다. 입원환자가 코로나19 병상의 80% 이상인 광역자치단체는 9곳이었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 “죽을 정도로 괴로워야 검사”…일본 코로나19 검사 실태

    “죽을 정도로 괴로워야 검사”…일본 코로나19 검사 실태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한 일본에서 중증이 아니면 코로나19 검사를 받을 수 없는 실태가 문서를 통해 폭로됐다. 14일 발매된 주간아사히(24일자)는 ‘담당의 외래진단 수순(초진의 경우)’라는 제목의 도쿄도 의사회 문서를 한 의사로부터 제보받아 관련 내용을 보도했다. 지난달 26일 작성된 이 문서는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가 처음 병원을 방문했을 때 감염 여부를 판단하는 유전자 검사(PCR)를 하는 기준을 순서도로 제시하고 있다. 이때는 감염자 폭증의 중대 국면이라는 경고가 나오고 있던 시기다. 도쿄도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24일 17명에서 25일 41명으로 늘었고, 26일에도 47명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문서를 제보한 의사는 “이것은 도쿄도 의사회가 도내 개업의에게 배포한 문서”라며 “순서도는 PCR 검사를 받는 대상을 짜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복잡한 순서도의 첫머리에는 일본 후생노동성이 홈페이지에서도 공개한 ‘발열 37.5℃ 이상’, ‘권태감’ 등의 기준이 제시돼 있다. 아울러 ‘호흡 곤란’, ‘과다 호흡’, ‘청진시 거품소리’ 등 폐렴 의심 증상이 있으면 혈액 검사와 흉부 X선 검사를 한다는 내용도 있다. 심지어 증상이 나타난 것만으로는 검사 대상이 아니었다. 이러한 증상들이 나흘 이상 개선되지 않는 경우 코로나19 검사를 받을 수 있다고 돼 있다.게다가 코로나19 검사를 받으려면 ‘발열 37.5℃ 이상’, ‘동맥혈 산소포화도(SPO2) 93% 이하’, ‘폐렴 증상’이라는 3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발열 37.5℃ 이상이고 폐렴 증상이 있어도 산소포화도가 93% 이하가 아니면 코로나19 검사를 받을 수 없다는 것이다. 문서를 제보한 의사는 산소포화도 93% 기준에 대해 “우리는 통상 98% 정도의 산소포화도로 살아가고 있다”면서 “93%는 ‘쌕쌕’, ‘하하’ 소리를 내며 죽을 정도로 괴로운 상태”라고 설명했다. 주간아사히는 “이 기준에 따르면 상당히 위험한 상태까지 증상이 악화하지 않으면 PCR 검사를 받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런 엄격한 코로나19 검사 기준을 일선 의사들에게는 제시하면서 일반 시민에게 알리지 않은 것에 대해 “이중 잣대”라고 문서를 제보한 의사는 비판했다. ‘가능하면 코로나19 검사를 하지 마라’는 후생성의 방침에 보건소도 따르고 있다고 주간아사히는 지적했다. 엄격한 기준에 따라 코로나19 검사를 하는 도쿄도의 양성 판정률은 36.7%에 달했다. 후생성 자료를 보면 지난 1월 15일부터 이달 12일까지 도쿄도에선 5660명이 코로나19 검사를 받았고, 이 중 2080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같은 기간 오사카부에선 검사자 2362명 중 812명(34.4%), 지바현에선 검사자 1743명 중 455명(26.1%)이 각각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 기간 일본 전체에선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한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탑승자를 제외하고 6만 3132명이 코로나19 검사를 받아 7123명(11.3%)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지난 2월 18일부터 이달 11일까지 일본의 전체 코로나19 검사 건수는 11만 9675건이다. 하루 1000~2000건대이던 검사 건수는 3월 말부터는 3000~7000건대로 늘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 사사건건 헛발질 日아베, 모든 여론조사에서 일제히 지지율 급락

    사사건건 헛발질 日아베, 모든 여론조사에서 일제히 지지율 급락

    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한 방역대책 수립 및 경제위기 지원 등에서 줄곧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아온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지지율이 주요 언론 여론조사에서 일제히 급락했다. 바이러스 확산 초기에는 ‘벚꽃을 보는 모임’, ‘측근 검사장 탈법 임기연장’, ‘전 법무상 부부 선거법 위반’ 등 정치적 이슈가 묻히고 정부 대책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지지율이 오르는 흐름도 나타났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실망이 커지면서 여론조사 수치로 반영되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이 14일 보도한 4월 월간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아베 정권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42%로 지난달의 48%에 비해 6%포인트 떨어졌다.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7%로 나타났다. 요미우리 조사에서 둘 사이의 역전은 2018년 5월 이후 약 2년 만이다. 또 지난 7일 도쿄도, 오사카부 등 7개 광역단체를 대상으로 이뤄진 긴급사태의 발령 시기와 관련해 응답자의 81%는 ‘너무 늦었다’고 답했다. ‘적절했다’는 사람은 15%에 그쳤다. 교도통신이 13일 공개한 조사결과에서도 아베 정권 지지율은 40.4%로 전월에 비해 5.1%포인트 하락했다. 요미우리와 마찬가지로 80.4%가 긴급사태 선언이 늦었다고 했고, 16.3%만 적절했다고 했다. 응답자의 68.9%는 긴급사태 적용 기간인 다음달 6일까지 1개월 사이에 코로나19 감염자가 감소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산케이신문 조사에서도 정권 지지율은 2.3%포인트 떨어진 39.0%로 40%선이 무너졌다. 지지하지 않는다는 답변은 3.2%포인트 오른 44.3%였다. NHK 조사에서도 아베 정권을 지지한다는 답변은 39%로 전월 대비 4%포인트 하락했다. 마이니치신문은 이날 ‘아베 총리의 계산, 헛스윙 연속’이라는 기사에서 “가구당 2장의 천마스크 배포 계획이 여론의 비난을 받은 데 이어 가수 겸 배우 호시노 겐의 노래를 이용해 만든 SNS 동영상에 비판이 쏠리는 등 아베 총리가 잇달아 헛스윙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 일본 확진 급증세 ‘주춤’…유권자 80% “긴급사태 늦었다”

    일본 확진 급증세 ‘주춤’…유권자 80% “긴급사태 늦었다”

    13일 하루 294명 감염돼 누적 8403명 확진 일본의 코로나19 확진자 수 급증세가 13일 다소 주춤한 양상을 보였다. 일본 공영방송 NHK 집계에 따르면 이날 하루 동안 도쿄도 91명 등 전국에서 총 294명의 감염이 새롭게 확인됐다. 도쿄의 하루 신규 확진자가 100명 미만을 기록한 것은 긴급사태가 선포된 지난 7일 이후 엿새 만이다. 일본의 전체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지난 11일 하루 동안 719명 급증하는 등 도쿄 지역이 크게 늘면서 나흘 연속 전일 증가세를 웃돌았다. 그러나 12일 500명, 13일 294명으로 일단 증가세가 둔화하는 모습이다.일본 정부는 지난 7일 도쿄도 등 전국 7개 도부현 광역지역에 특별법에 근거한 긴급사태를 선포하고 외출 자제를 요청하는 등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사람 간 접촉을 줄이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펴고 있다. 일본에서 코로나19 감염이 확인된 사람은 13일까지 누적 기준으로 7691명이 됐다. 여기에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했던 크루즈 유람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승선자 712명을 더한 일본의 전체 감염자 수는 8403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는 13일 하루 동안 5명이 늘어나 국내 감염자 143명과 유람선 승선자 12명 등 총 155명이다. 광역 지역별 감염자는 도쿄도가 2158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오사카부 835명이다. 이밖에 수도권인 가나가와(559명), 지바(486명), 사이타마(430명) 등 3개 현이 400~500명대를 기록하고 있다. 지금까지 증상이 호전돼 퇴원하거나 격리가 해제된 사람은 유람선 승선자 644명을 포함해 총 1443명이다.아베 내각 지지 40.4%…5.1% 포인트 하락 한편 일본 유권자 대다수는 코로나19 긴급사태 선언이 너무 늦었다고 판단하는 등 아베 신조 정권의 대응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교도통신이 지난 10~13일 일본 유권자를 상대로 실시한 전화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80.4%는 긴급사태 선언 시점이 너무 늦었다고 답했다. 선언 시점이 적절했다는 답변은 16.3%에 그쳤다. 응답자의 68.9%는 긴급사태 적용 기간인 다음달 6일까지 한 달 사이에 코로나19 감염자가 감소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아베 내각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40.4%로 지난달 26~28일 조사 때보다 5.1% 포인트 하락했다. 아베 내각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43.0%로 지지한다는 응답보다 많았다.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 세균 취급당하는 의료진… ‘코로나 이지메’ 퍼지는 일본

    세균 취급당하는 의료진… ‘코로나 이지메’ 퍼지는 일본

    증상 숨기는 사람 늘어 확산 가속화 우려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일본에서 감염자 및 주변 사람들에 대한 차별적 언행과 괴롭힘이 갈수록 더 확산되고 있다. 13일 도쿄신문에 따르면 후쿠시마현 고리야마여대 부속고교의 학생들은 요즘 교복 대신 사복을 입고 등교하고 있다. 이 대학 70대 교수가 코로나19에 감염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부속고교 학생들이 거리나 상점 등에서 “코로나, 코로나”라는 손가락질을 받게 된 탓이다. 학교 측은 어느 학교에 다니는지 사람들이 분간하지 못하도록 학생들에게 사복을 입으라고 했다. 그뿐만 아니라 이 학교 재단 직원들이 보육원에서 아이 돌봄을 거부당하는 등 알려진 피해 사례만 수십건이다. 또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에히메현 니하마시의 한 초등학교는 아버지가 장거리 트럭기사인 두 가정 학생 3명에 대해 지난 8일 열린 입학식·개학식에 사실상 참석하지 못하도록 해 물의를 빚었다. 아버지가 코로나19 만연 지역을 트럭으로 넘나든다는 이유에서였다. 학생들의 부모는 “운수업자의 아이는 학교에도 가지 말라는 것이냐”며 강하게 항의했고, 학교 측은 사과했다. 오사카에 사는 60대 남성은 코로나19 검사를 받았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다니던 스포츠센터에서 이용 자제를 요구받기도 했다. 의료 종사자들도 예외가 아니어서 일본재해의학회는 코로나19 환자와 접촉했던 의사, 간호사들이 직장에서 ‘세균’ 취급을 받는 데 반발해 항의성명을 낸 바 있다. 의료계는 “자신이 감염될지 모른다는 불안이 차별적 사고와 행동을 낳고, 그에 따른 배척이 두려워 증상을 숨기는 사람이 늘어나고, 이것이 추가적인 감염 확산으로 연결되는 악순환을 경계해야 한다”고 말한다. 일본적십자사 소속 의사 마루야마 요시카즈는 “진짜 적은 바이러스이지만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은 감염된 사람이나 집단감염이 일어난 지역을 적으로 간주하게 된다”며 “진짜 적이 아닌데도 배척하고 멀리함으로써 잠시나마 마음의 안정을 찾으려는 것이 차별적 언행의 메커니즘”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바이러스와 싸우는 모든 사람에게 위로와 경의의 마음을 갖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이날 도쿄도에서는 91명의 감염자가 새로 나와 전체 확진환자가 2159명이 됐다. 지금까지 일일 최다치(11일 197명)의 절반 이하로 줄어든 것이지만, 확산세 둔화의 신호인지 예단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 도심은 한산, 동네는 북적… 효과 없는 日 긴급사태

    도심은 한산, 동네는 북적… 효과 없는 日 긴급사태

    번화가 대신 주택가에 몰리는 ‘풍선효과’ 아베 “모든 기업 출근 직원 70%이상 감축”코로나19 확산 억제를 위해 지난 7일 도쿄도, 오사카부 등 일본의 주요 7개 광역단체에 ‘긴급사태’가 발령됐지만 주택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사람들의 통행이 계속되면서 외출 자제 요청의 효과가 의문시되고 있다. 긴급사태 선언 이후 첫 주말이었던 11일 낮 도쿄도 시부야구 사사즈카역 주변 지역은 언뜻 보기에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별반 차이를 느낄 수 없을 만큼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일반식당 등은 이용하는 시민이 확실히 줄어든 모습이었지만 슈퍼마켓, 약국, 잡화점 등은 식음료 등 생활필수품을 사러 나온 사람들로 오히려 전보다도 북적이는 모습이었다. 인근의 한 대형 슈퍼마켓 경비원은 “손님이 평소 주말의 1.5배 이상인 것 같다”며 “주택가를 끼고 있는 데다 재래식 상점가가 형성돼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0일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는 11일부터 영화관, 공연장, 전시장, 노래방, 나이트클럽, 파친코 등은 물론이고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 등에 대해서까지 “긴급사태 기간에는 원칙적으로 영업을 중단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 때문에 긴자, 시부야, 신주쿠, 롯폰기, 하라주쿠 등 시내 중심부는 사람들의 발길이 크게 줄었지만 반대로 주택가나 일부 부심지 등은 도심 번화가에 진출하지 못하게 된 사람들이 평소보다 더 몰리는 ‘풍선효과’가 나타났다. 아베 신조 총리는 긴급사태 선언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외출이 기대만큼 줄어들지 않자 11일 열린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를 통해 7개 긴급사태 대상 지역의 모든 기업은 출근 직원을 70% 이상 줄일 것을 요청했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확진환자 수는 연일 최고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2의 뉴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도쿄도에서는 12일 166명의 확진환자가 새로 나와 전체 감염자가 2000명대(2068명)에 올라섰다.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환자의 수도 계속 70%를 웃돌고 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 日 감염 7635명, 사망 144명인데 美 집계엔 6005명, 99명

    日 감염 7635명, 사망 144명인데 美 집계엔 6005명, 99명

    일본의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11일에도 743명이 늘어났다. 12일 공영 NHK 방송의 집계에 따르면 전날 하루 동안 도쿄도(都) 197명을 포함해 36개 도도부현(都道府縣) 광역지역에서 모두 743명의 감염이 새로 확인됐다. 도쿄와 일본 전역의 신규 확진자 수는 각각 하루 기준으로 나흘째 최다 기록을 경신했다. 일본에서 코로나19 감염이 확인된 사람은 누적 기준으로 6923명(공항 검역단계 확인자와 전세기편 귀국자 포함), 크루즈 유람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승선자 712명을 더한 일본 전체 감염자 수는 7635명으로 각각 늘어났다. 하지만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의 집계는 세계보건기구(WHO)를 좇아 국내 환자만 삼고 있다. 따라서 12일 오전 5시 29분(한국시간) 현재 일본 감염자는 6005명으로만 표시돼 있다. 일본 내 사망자는 11명이 추가돼 국내 감염자 130명과 유람선 승선 중 감염자 12명 등 144명이 됐다. 역시 같은 대학의 집계에는 99명만 포함돼 있다. 감염자 수를 광역지역별로 보면 도쿄도가 가장 많은 1902명이고, 그 다음이 오사카부(766명), 가나가와(513명), 지바(423명), 사이타마(375명), 효고(358명), 후쿠오카(332명), 아이치(349명)현 순이다. 47개 전체 도도부현 가운데 아직 확진자가 나오지 않은 곳은 이와테(岩手)현 뿐이다. 한편 일본 법무성은 도쿄 구치소에 수감돼 있던 60대 남성 피고인이 감염됐다고 11일 발표했다. 교정시설 수감자의 감염은 일본에서 첫 사례다. 이 피고인은 이달 초 도쿄구치소에 입소할 때 열이 난 적이 있다고 진술해 격리 구금된 상태에서 감염 판정을 받았다. 앞서 일본 교정시설 관련자로는 오사카 구치소에서 근무하는 교도관 4명의 감염이 확인된 일이 있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 일본 하루새 신규 확진 700명↑ 나흘째 최다…8000명 육박

    일본 하루새 신규 확진 700명↑ 나흘째 최다…8000명 육박

    “긴급사태 지역 출근자 70% 이상 감축” 지시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쏟아지면서 긴급 사태가 선포된 일본 도쿄와 오사카 등을 중심으로 감염 환자 수가 하루 만에 700명 넘게 늘어나 나흘째 최다를 기록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일본 전역에서 번화가 음식점 등의 이용을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긴급사태 지역에 출근 인원을 70% 이상 줄일 것을 지시했다. NHK 집계에 따르면 도쿄와 오사카를 포함한 일본 전역에서 새로 확인된 코로나19 감염자 수는 11일 오후 11시 현재 715명으로, 전날 수치(639명)를 넘어서며 나흘째 최다 기록을 넘어섰다. 이로써 이날까지 일본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된 확진자는 누적해서 6895명이 됐다. 이 수치는 공항 검역단계 확인자와 전세기편 귀국자를 포함한 것이다. 여기에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했던 크루즈 유람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승선자 712명을 더한 일본의 전체 감염자 수는 7608명으로 8000명대에 근접했다. 사망자는 이날 11명이 추가돼 국내 감염자 132명과 유람선 승선자 12명 등 총 144명이다.도쿄도 4일 연속 최다 확진77% 감염 경로 파악 안돼 도쿄도는 이날 새롭게 판명된 확진자가 197명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하루 기준으로 가장 많았던 전날(189명)을 웃돌면서 4일 연속 최다 기록을 갈아치운 것이다. 이로써 도쿄의 누적 확진자 수는 1902명으로 불어났다. 도쿄도는 신규 감염자 가운데 77%인 152명의 감염 경로가 파악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오사카에서도 이날 70명의 신규 확진자가 나와 지역 내 전체 감염자 수가 도쿄 다음으로 많은 766명이 됐다. 수도권인 가나가와현에서도 하루 기준으로 가장 많은 76명의 감염이 새롭게 확인됐다.아베 총리는 이날 주재한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에서 긴급사태 선포 지역뿐만 아니라 일본 전역의 번화가에 있는 음식점 등의 이용을 자제해 타인과 접촉을 줄여 달라고 요청하는 취지로 기본대응 방침을 바꾸기로 했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야간에 번화가에서 이미 많은 감염이 확인되고 있다”면서 긴급사태가 적용되지 않는 다른 지역으로 사람들이 몰려 감염을 확산시키는 일이 발생해선 안 된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또 긴급사태가 발령된 도쿄 등 7개 광역지역의 사업자들에게 재택근무를 원칙으로 해 출근 인원의 70% 이상 감축을 요청하라고 관계 각료에게 지시했다.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 [안녕? 자연] 바다에서 30일 만에 분해되는 플라스틱 개발

    [안녕? 자연] 바다에서 30일 만에 분해되는 플라스틱 개발

    일본 연구진이 바다에서 30일 만에 분해되는 신소재 플라스틱을 개발했다고 밝혀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아사이신문 등 현지 언론의 4일 보도에 따르면 오사카대학과 일본 최대 옥수수녹말 제조업체인 일본식품화공 공동 연구진은 열대지방에 주로 서식하는 카사바 나무에서 추출한 전분과 목재 펄프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섬유소)를 결합했다. 이후 이 혼합물을 수용액에 용해시킨 뒤 매우 얇은 투명시트 위에 펼치고 열을 가해 고체 형태의 플라스틱을 만들었다. 이렇게 탄생한 플라스틱은 비닐봉투 제조에 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등으로 만든 기존 플라스틱보다 내구성이 두 배에 달하는 것을 확인했다. 동시에 이 플라스틱의 친환경성을 확인하기 위해 여러 개의 용기에 각기 다른 농도의 미생물이 담긴 바닷물을 넣고 플라스틱을 담궜다. 그 결과 높은 농도의 미생물이 서식하는 해수에서는 30일 이내에 완전히 분해되는 것을 확인했다. 다만 미생물의 양이 적은 경우, 연구진이 개발한 신소재 플라스틱은 해수에서 분해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었다. 일반적으로 바다에 버려진 비닐봉투가 분해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20년, 플라스틱 병은 최대 450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매년 약 800만t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에 버려지며, 세계경제포럼은 2050년까지 바다의 미세플라스틱이 전 세계의 모든 어류보다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해양을 뒤덮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모든 종류의 해양 생물과 인류를 위협하는 가운데, 연구진의 신소재 플라스틱이 해양 쓰레기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진은 “우리는 이 신소재 플라스틱을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동시에 바다에 많이 버려지는 식품 포장재로 사용해보고 싶다”면서 “새로운 종류의 플라스틱은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공정이 단순해서 곧 실용화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가 만든 플라스틱이 해양 쓰레기 축적으로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동시에 전 사회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영국에서 발행하는 바이오 소재 관련 전문학술지 ‘카보하이드레이트 폴리머스’(Carbohydrate Polymers) 최신호에 실렸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