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일 후지산호 선원 2명 석방/억류 7년만에 귀국
◎자민ㆍ사회당선 평양에 “감사”표시
【도쿄=강수웅특파원】 7년간 북한에 억류되어 있던 일본의 냉동화물선 제18후지산(부사산)호의 베니코이사무(홍분용ㆍ60)선장과 구리우라 요시오(율포호웅ㆍ59)기관장이 11일 상오 11시40분 전일공 특별기 편으로 자민ㆍ사회 양당 북한 방문단과 함께 하네다(우전)공항에 도착,귀국했다.
이들 2명은 하네다 도착 직후 기내에서 가족들과 대면한 후 건강진단을 위해 도쿄 신주쿠(신숙)에 있는 국립병원 의료센터에 입원했다.
평양 출발에 앞서 자민ㆍ사회 양당 대표단은 이들의 석방에 감사한다는 취지를 기재한 「예장」을 조선로동당에 수교했다.
북한ㆍ일본 사이의 최대현안이었던 제18후지산호 문제가 해결됨에 따라 오는 11월부터 시작될 국교정상화 교섭도 한층 더 가속화할 것으로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북한측에 의해 간첩혐의로 15년 교화노동형을 선고 받았던 베니코선장과 구리우라 기관장은 이날 아침 북한당국에 의한 「대사령」형식으로 석방되어 상오 9시30분쯤 평양 순안공항 특별기 트랩 앞에서 자민ㆍ사회 양당 대표에 인도되어 그대로 기내로 들어갔다.
이들의 석방과 관련,북한측은 당초 각서를 써 줄 것을 요구했으나 일본측이 반발,철야협의 끝에 조선로동당이 북한 사법당국에 작용해 준 것에 감사한다는 내용의 「예장」형식으로 바뀌었다.
도이 다카코(토정다하자) 사회당 위원장과 오자와 이치로(소택일랑) 자민당 간사장은 이날 상오 8시쯤 이 문서에 서명했다.
이 문서에는 『자민ㆍ사회 양당의 요청을 고려한 조선 로동당의 권고에 따라 공화국 정부는 공화국 법률을 침해한 죄로 형벌을 받고 복역중인 2명을 인도주의적 견지에서 대사령을 실시,석방해 일본에 돌아가도록 했다』고 밝혔다.
이날 베니코선장은 기내에서 『일본에 돌아간다고 생각하니 감개무량하다. 비행기도 일본 것이라고 생각하니… 』라며 눈물을 흘렸으며,구리우라 기관장도 『아직 실감이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민홍구 하사 교환과 맞물려 난항/김일성,가네마루 방북때 “송환선심”(해설)
제18후지산(부사산)호 사건은 일본으로 탈출한 전북한군 하사 민홍구 망명사건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발단은 7년전인 83년 11월1일,오사카(대판)의 1백80t급 작은 냉동화물선 제18후지산호(승조원 5명)는 북한의 남포항을 출항했다. 이 배에는 민하사가 잠입해 있었다. 선원들이 민하사를 발견한 것은 출항 이틀뒤인 3일 이었으며,4일에는 후쿠오카켄(복강현) 도지(문사)항에 입항했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민하사를 체포했으나 그는 정치적 망명을 희망했다.
후쿠오카 출입국 관리국은 민하사에 대해 불법입국자로 규정,강제퇴거 판정을 내리고 요코하마(횡빈) 수용소로 이송했다. 이 사이 후지산호는 11월15일 남포항에 재입항했다. 베니코 이사무(홍분용)선장 등 선원 5명은 모두 스파이 혐의로 체포됐다. 조선중앙통신은 당시 『선장과 기관장이 북한수역에서 정찰행위를 했으며,일본의 지령으로 민하사를 데려갔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베니코 선장과 구리우라 요시오(율포호웅) 기관장을 제외한 선원 3명은 석방되어 84년 2월7일 귀국할 수 있었다.
공교롭게도 민하사가 망명하고 후지산호 선원들이 억류된 시점은 버마의 랑군폭파사건이 터진직후여서 일본은 대 북한 제재조치를 발표했다.
일본이 이 제재조치를 해제한 뒤 북한은 이들 2명의 석방에 대해 「민하사와의 교환」을 통고해 왔으나 일본정부는 민하사의 송환을 거부,교섭은 난항에 빠졌다. 그동안 일본 사회당 대표단은 84년 4월30일 처음으로 베니코 선장 등 2명과 면회하고 사진을 갖고 왔으며,86년 9월에는 일본 외무성 직원이 빈 등지에서 북한측과 비밀접촉을 벌였다.
그러나 87년 1월20일 북한의 의사 김만철씨 일가 11명이 배를 몰고 후쿠이(복정)해상에 도착,대만을 거쳐 한국에 망명하는 사건이 터지는 바람에 북한ㆍ일본 관계는 다시 냉각됐다.
일본 정부는 87년 11월2일 민하사에 대해 가석방 결정을 내려 사실상 망명을 인정했으며,북한측은 이에 대항해 12월24일 후지산호 선원 2명에게 15년의 교화노동형을 내렸다. 나아가 87년 11월29일 대한항공기 폭파사건이 터졌으며,일본은 88년 1월26일 대 북한 제재조치를 발표했다. 여기에 북한측은 2월2일 또다시 대항조치를 발표,선원석방 교섭은 단절상태에 들어갔다. 이 사건이 타개의 조짐을 보이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부터였다.
지난해 3월 다케시타 노보루(죽하등) 당시 총리가 국회에서 대 북한 관계개선의 의향을 표명했으며,자민당의 실력자 가네마루 신(금환신) 전 부총리가 다나베 마코도(전변성) 사회당부위원장편에 김일성 주석 앞으로 친서를 보내는 등 접근을 꾀했다. 결정적인 계기는 지난 여름 사회당 대표단이 북한을 방문했을 때 북한측이 자민당과의 직접대화를 결정한 사실이며,9월 자민ㆍ사회 양당 대표단의 북한 방문때 김주석이 가네마루 전 부총리에게 관계개선을 위한 극적인 제안을 하는 바람에 이들 선원 2명이 7년만에 귀국할 수 있었다.
한편 이 사건의 당사자 민홍구씨(37)는 88년 12월16일 일본 법무성으로부터 특별체류허가를 받아 일본에 영주할 수 있게 되어 현재 우스노미야(우도궁)시에 살고 있다. 그는 11일 후지산호 선원 2명의 귀국에 대해 『정말로 기쁘다. 이들 2명과 가족은 물론,일본 국민들에게 폐를 끼쳤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무엇이든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