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매방의 승무·살풀이 왜 전통춤의 아이콘인가?
“지금 전통 춤 전승자의 80∼90%는 이매방류를 한다. 또 경연대회에도 100명에 80∼90명은 선생의 승무나 살풀이를 들고 나온다. 이런 현상이 우리 춤의 미래를 위해서 바람직스러운 일만은 아닐 것이다.”
‘제1회 우봉(宇峰) 이매방(李梅芳) 전통춤 학술세미나’가 어떻게 준비되고 있는지를 물어보느라 양종승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에게 전화를 걸었더니 뜻밖의 얘기가 돌아왔다. 한국무속학회 회장을 지낸 무속학자로, 우봉으로부터 승무를 배우기도 한 양 연구관은 31일 민속박물관 강당에서 열리는 학술세미나의 추진위원장이다. 그의 말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우봉의 춤이 ‘너무 잘나가서’ 걱정이라는 것이다.
우봉은 “대한민국 무용인의 70%가 내 제자”라고 한 적이 있지만, 제자나 제자의 제자에게 배우는 사람까지 합치면 사실상 대부분의 한국 무용 전공자가 그의 제자이다. 여기에 전남 목포에서 시작된 우봉의 전통춤은 이제 전국적으로 퍼진 것은 물론, 미국의 뉴욕, 일본의 도쿄와 오사카에서도 현지인에게 전승이 이루어지고 있다.
사실 전통춤 분야에서 독보적인 영역을 구축한 우봉의 승무와 살풀이는 일년 내내 전국의 크고 작은 무대에서 거의 끊이지 않고 공연된다. 또 그의 춤은 그동안 2편의 박사학위 논문과 30편의 석사학위 논문,13편의 학술 논문으로 발표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춤사위의 특성을 밝히거나, 다른 춤과 비교하는 연구가 아니라 그의 춤이 갖고 있는 사회적이거나 역사적인 의의를 학술적으로 밝히는 노력은 부족했다는 것이 세미나를 마련한 우봉전통춤보존회의 문제의식이었다고 한다.
이번 세미나는 전통예능 분야 학술발표회의 새로운 모델로 자리잡을 수도 있지 않을까 기대를 가질 만큼 흥미롭게 구성됐다. 오전에 간단한 개회식에 이어 학술발표회와 종합토론을 펼친 뒤 오후에는 주인공인 81세의 우봉 선생을 초청하여 좌담회를 갖고 이매방류 승무와 살풀이춤의 완판 발표회를 함께 감상하는 순서로 짜여졌다.
‘제1회’답게 주제발표는 이 시대에 우봉 춤이 갖고 있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드러내보이는 데 주안점을 둔 듯하다. 양 연구관은 무형문화재적 가치와 위상, 성기숙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는 무용예술사적 의의, 이미영 국민대 교수는 양식과 특징을 밝히게 된다.
발표회에서는 이미 일가를 이룬 제자인 채상묵 우봉전통춤보존회 회장이 승무, 우봉의 부인으로 부산에서 후진을 양성하는 김명자씨가 살풀이를 춘다.
우봉전통춤보존회는 이 학술세미나를 앞으로 한 해에 한 차례씩 연다는 계획이다. 춤을 알면 우봉춤을 출 수밖에 없다지만, 내년의 세미나는 우봉춤이 전통춤판을 사실상 ‘싹쓸이’하는 데 따른 문제점은 없는지 짚어보고,200명에 이르는 전수자들이 어떤 사회적 역할을 할 수 있는지도 생각해보는 내용이 될 것이라고 한다.(02)3704-3107.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