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영화 관객수
    2025-07-16
    검색기록 지우기
  • 이영자
    2025-07-16
    검색기록 지우기
  • 음주운전
    2025-07-16
    검색기록 지우기
  • 공상
    2025-07-16
    검색기록 지우기
  • 취업자
    2025-07-16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92
  • [주말 박스오피스] 브래드 피트 ‘월드워 Z’ 개봉 첫 주 1위

    브래드 피트 주연의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월드워 Z’가 개봉 첫 주 박스오피스(흥행 수익) 1위에 올랐다. 24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지난 20일 개봉한 ‘월드워 Z’는 21~23일 전국 962개 상영관에서 130만 3675명(누적 관객수 154만 6717명)을 모으며 정상을 차지했다. 좀비물 특유의 B급 영화 정서를 깨고 오락 영화로 탈바꿈해 관객몰이에 성공했다. 김수현 주연의 ‘은밀하게 위대하게’는 649개 상영관에서 50만 4997명을 동원해 누적 관객수 617만 6193명을 기록했다. ‘7번방의 선물’, ‘아이언맨3’, ‘베를린’에 이어 올해 개봉작 중 흥행 4위에 해당하는 성적이다. 개봉 첫 주 박스오피스 2위를 차지했던 슈퍼맨 시리즈 ‘맨 오브 스틸’은 610개 상영관에서 34만 7278명(누적 관객수 189만 9615명)을 동원하며 3위로 내려앉았다.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
  • ‘은밀하게… ’ 600만 관객 바라본다

    영화 ‘은밀하게 위대하게’가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맨 오브 스틸’을 간발의 차이로 누르고 주말 박스오피스 정상을 지켰다. 17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지난 14~16일 ‘은밀하게’는 전국 925개 상영관에서 105만 3989명을 동원했다. 반면 ‘맨 오브 스틸’은 998개 상영관에서 102만 5796명의 관객을 모았다. ‘은밀하게’는 개봉 12일 만에 누적관객수 526만 7937명을 기록해 600만 관객까지 바라보게 됐다. 하지만 매출액으로는 ‘맨 오브 스틸’이 3D 상영에 힘입어 82억 6000만원을 벌어들여 ‘은밀하게’(75억 3000만원)를 상당한 차이로 눌렀다. 지난 13일 개봉한 ‘맨 오브 스틸’은 4일간 누적관객 120만 5692명을 모으며 할리우드 블록버스터다운 흥행 파워를 과시했다. 두 영화 ‘은밀하게 위대하게’와 ‘맨 오브 스틸’이 1900개가 넘는 상영관을 차지하는 등 90% 가까운 점유율로 시장을 싹쓸이하며 세 대결을 펼치는 바람에 상대적으로 다른 영화들의 성적은 저조했다. ‘스타트렉 다크니스’가 308개 관에서 9만 7185명을 모아 3위를 차지했고 한국 공포영화 ‘무서운 이야기 2’가 281개 관에서 6만 2485명을 모아 4위에 올랐다. 5위는 4만 4976명을 동원한 할리우드 애니메이션 ‘크루즈 패밀리’가 차지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 [주말 박스오피스] 개봉 5일만에 300만 돌파 ‘은밀하게’ 신기록

    [주말 박스오피스] 개봉 5일만에 300만 돌파 ‘은밀하게’ 신기록

    김수현 주연의 ‘은밀하게 위대하게’가 연일 기록을 경신하며 주말 박스오피스(흥행수익) 1위를 차지했다. 10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은밀하게 위대하게’는 지난 7~9일 전국 1341개 상영관에서 206만 4586명을 끌어모으며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다. 개봉 5일 만에 누적 관객수 349만 1507명을 기록하며 국내 개봉 영화 사상 가장 빠른 흥행 속도를 보이고 있다. ‘은밀하게 위대하게’는 개봉 이틀째 100만 관객을 동원하며 최단 기간 100만명 돌파 기록을 세웠다. 지난주 1위였던 ‘스타트렉 다크니스’는 412개관에서 28만 4133명(누적 관객수 126만 1088명)을 모으며 2위로 밀렸다. 한국영화 ‘무서운 이야기 2’가 337개관에서 17만 2776명(34만 7311명)을 동원하며 개봉 첫주 3위에 올랐다. 이어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분노의 질주: 더 맥시멈’이 9만 7707명(170만 8497명), 드림웍스의 애니메이션 ‘크루즈 패밀리’가 8만 2563명(81만 9621명)을 모아 박스오피스 상위권을 차지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 곤룡포 벗고 ‘추리닝’ 입은, 바보가 된 임금님

    곤룡포 벗고 ‘추리닝’ 입은, 바보가 된 임금님

    “아직도 ‘대세남’이라는 말을 들으면 손발이 오그라들어요. 아무래도 그때보다는 (인기가) 좀 사그라지지 않았을까요. 시간도 흘렀구요….” ‘해품달 전하’ 김수현(25)이 쑥스러운 듯 미소를 지었다. 지난해 초 드라마 ‘해를 품은 달’로 신드롬을 일으킨 지 1년여. 그는 여전히 “스타로서의 삶에 익숙지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를 향한 세상의 시선은 뜨겁다. 그가 첫 주인공을 맡은 영화 ‘은밀하게 위대하게’(새달 5일 개봉)는 티저 예고편의 클릭수가 100만뷰를 기록했다. 영화 포스터와 스틸 사진이 공개되는 족족 큰 화제를 몰고 다녔다. 200만 독자를 거느린 인기 웹툰이 원작인 덕도 물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쉽게 짐작이나 되는가. 은은한 달빛 아래 곤룡포 자락을 끌며 ‘국민 여심’을 흔들었던 해품달의 그 전하가 스크린에서 동네 바보로 위장한 남파 간첩을 연기하는 장면이. 첫 주연작의 개봉을 눈앞에 두고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만난 그도 그런 부담감을 적잖이 느끼고 있었다. “맡은 숙제가 참 많았어요. 사투리 구사는 기본이고 1인 2역, 액션, 바보 연기까지 소화해야 했으니까요. 정말 호되게 훈련받은 기분입니다.” 극중 주인공 원류환은 2만대1의 경쟁률을 뚫고 남파된 북한의 최정예 엘리트 요원. 조국통일의 임무를 띠고 남한에 침투한 그가 2년간 수행한 임무는 달동네 슈퍼집 바보. 꼬마들에게 놀림받는 것은 기본이고 하루 세 번 이상 넘어지기, 한 달에 한 번 두 명 이상이 보는 앞에서 노상에 소변도 봐야 했다. ‘해품달’의 조선 왕에서 동네 바보, 급전직하한 캐릭터에 그는 어색하지 않았을까. “한번쯤 바보가 돼 보고 싶었어요. 카메라 앞에서만큼은 한없이 풀어져도 되잖아요. 배우이기에 앞서 연예인으로서 사람들 앞에서 따져야 할 격식 같은 게 생기는데, 그런 것들을 한꺼번에 내려놓고 바보로 있어도 용서가 되니까 참 좋았죠.” 지난해 드라마로 ‘벼락스타’가 된 뒤 쏟아진 관심에 부담은 없었는지 물었다. “사실 갑작스러운 인기가 부담스럽기도 했고 겁도 많이 났어요. 책임감이 어깨를 누르는 것 같았구요. 아직도 그런 상황에 적응중이에요. 길거리에서 팬들이 알아보면 도망치게 되구요. 이 작품을 통해 그런 어색함이 해소된 것 같아 후련해요.” 이번 영화에서는 ‘힘 빼기’를 해야 했다. 맹구, 영구, 영화 ‘7번방의 선물’의 용구를 연구하며 간첩 ‘바보 동구’를 만들어갔다. 인터뷰 도중 즉석에서 선보이는 바보 캐릭터의 성대모사 실력이 수준급이다. “처음엔 혼자 거울을 보며 바보 표정을 연습하다 나중엔 카메라를 보면서 힘빼기 작업에 몰두했다”는 그다. 바보 연기 못지않게 눈길을 끄는 것은 후반부에 냉혈한 엘리트 요원으로 선보이는 ‘맨손 액션’이다. 슬리퍼를 신고 지붕위를 날아다니는 와이어 액션을 선보였는가 하면 자신을 가르친 5446부대 총책임교관 김태원(손현주)과의 빗속 대결 장면에서도 난이도 높은 액션을 구사했다. “촬영에 들어가기 2개월 전부터 액션스쿨에서 구르기, 낙법 등 강도 높은 훈련을 받았어요. 겨울에 촬영하다 보니 건조해서 와이어에 피부가 까지고 발이 자꾸 얼어서 육체적으로 힘들었는데 후반에는 배우들과 합을 짜는 과정이 즐거웠어요. 빗속 대결 장면을 찍을 때는 찬물 세례를 받으며 2주일 넘게 온몸이 젖어 있다시피 했는데, 참 힘든 작업이었어요. 정말 찰지게 맞아보기도 했구요.” 웹툰에서 큰 인기를 모은, 길에서 대변을 보는 장면도 무리 없이 촬영했다. “찍을 때는 민망했지만 워낙 유명한 장면이라 정말 욕심이 났던 장면”이라는 그는 “바보 동구를 묘사하기 위해 나를 어디까지 망가뜨리고 포기할 수 있는지 시험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남파 초기에 얼음장처럼 차가웠던 원류환은 점차 달동네의 일상에 익숙해져 이웃과 정을 쌓아간다. 하지만 그와 함께 남파된 5446부대원들에게 자결하라는 명령이 내려지면서 극은 절정으로 치닫는다. “원칙주의자 류환이 무너지고 완전히 망가져버린 모습을 표현해 보고 싶었어요. 교관 김태원에게 얻어맞고 걷어차이는 장면에서는 제 연기인데도 불쌍하다는 생각이 들어 울컥하더라구요.” 자신의 연기를 보고 감정이 일렁일 만큼 연기에 물이 오르는 걸까. 이번 작품의 연기에 평점을 얼마나 주겠냐는 질문에 고민 끝에 내놓은 답은 ‘B’였다. ‘해품달’ 직후의 인터뷰에서는 C+라고 답했던 그다. 자가진단 점수가 확실히 올랐다. “이 작품을 통해 새로운 카드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캐릭터의 영역 확장에 성공했다는 조심스러운 자평인 셈이다. 그의 다음 목표는 무엇일까. “드라마를 좀 더 하고 싶기도 한데 어떤 작품이든 제 매력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작품을 눈여겨보고 있어요. 일단 지금 목표는 관객들이 ‘은밀하게 위대하게’의 동구에게 흠뻑 정이 들었으면 좋겠어요. 목표 관객수요? 1000만명을 돌파했던 전작(도둑들)만큼 나오면 좋겠는데요(웃음).”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 [주말 박스오피스] 분노의 질주, 아이언맨3 제치고 1위

    할리우드 배우 빈 디젤 주연의 ‘분노의 질주:더 맥시멈’이 ‘아이언맨3’를 밀어내고 개봉 첫 주말 박스오피스 정상을 차지했다. 27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지난 22일 개봉한 ‘분노의 질주:더 맥시멈’은 24∼26일 전국 656개 상영관에서 관객 62만 5056명을 동원해 1위에 올랐다. 누적 관객수는 81만 7741명이다. 엄정화·김상경 주연의 ‘몽타주’는 전국 544개 관에서 관객 45만 2488명을 모아 2위를 지켰다. ‘몽타주’는 개봉 9일 만에 100만 관객을 넘은데 이어 전날까지 누적 관객수 138만 7867명으로 이번 달 개봉한 한국 영화 중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스콧 피츠제럴드의 동명 소설을 바탕으로 한 리어나도 디캐프리오 주연의 영화 ‘위대한 개츠비’도 전 주에 이어 3위를 유지했다. ‘위대한 개츠비’는 주말 3일 간 427개 관에서 23만 2693명을 동원해 누적 관객수 104만 7453명을 기록했다. 4주간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지켰던 ‘아이언맨3’는 주말 3일 간 21만 7244명을 보태는 데 그쳐 4위로 밀려났다. 누적 관객수는 881만 9030명이다. 할리우드 애니메이션 명가 드림웍스의 신작 ‘크루즈 패밀리’는 492개 관에서 14만 22명을 모아 5위를 차지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 [주말 박스오피스] 800만 돌파 ‘아이언맨3’ 4주째 정상

    할리우드 영화 ‘아이언맨3’가 4주째 주말 박스오피스 정상을 지켰다. 20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아이언맨3’는 지난 17∼19일 전국 633개 상영관에서 관객 69만 6310명을 모았다. 전주보다 흥행 열기는 한풀 꺾였지만 여전히 1위다. 누적 관객수는 846만 9571명이다. 엄정화·김상경 주연의 ‘몽타주’는 539개 관에서 55만 6161명의 관객을 동원해 2위를 차지했다. 지난 16일 개봉한 ‘몽타주는’ 개봉 4일 만에 누적 관객수 64만 9665명을 기록했다. 스콧 피츠제럴드의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한 리어나도 디캐프리오 주연의 영화 ‘위대한 개츠비’는 561개 관에서 52만 5255명을 모아 3위에 진입했다. 누적 관객수는 61만 8988명이다. 할리우드 애니메이션 명가 드림웍스의 신작 ‘크루즈 패밀리’는 30만 5467명을 모아 4위를 유지했다. 신작들의 개봉으로 박해일·윤제문·공효진 주연의 ‘고령화가족’은 24만 1899명을 모아 전주보다 3계단 떨어진 5위로 하락했다. 누적 관객수는 98만 6516명으로 개봉 10여일 만에 100만명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 40대 이상 티켓파워 2030 넘는다

    40대 이상 티켓파워 2030 넘는다

    “저기 나오는 ‘박치’ 할아버지 꼭 우리 영감 같네. 호호호~.” 지난 15일 오전 10시 서울 노원구 상계동의 한 복합상영관. 관객석은 머리가 희끗희끗한 노인들로 북적였다. 노년층 관객을 붙잡기 위해 영화 ‘전국노래자랑’의 제작사가 대한노인회 노원지구 회원 100여명을 초청해 상영회를 가진 자리였다. 제작사 인앤인픽쳐스의 관계자는 “평소 영화 관람 기회가 드문 노년층 관객을 초청했는데 이른 시간인데도 참석률 100%를 기록했다”면서 “22일에도 부산에서 60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버 시사회’를 가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영화계에서도 주요 관객들의 연령층은 뚜렷이 높아지는 추세다. 올해 들어서만도 40대 이상이 20~30대 관객들보다 강력한 티켓 파워로 주요 영화의 흥행을 이끌었다. 17일 인터넷 예매 사이트 맥스무비에 따르면 상반기 관객수 상위 20개 영화 중 40대 이상이 예매율 1위를 차지한 작품은 절반에 가까웠다. 흥행 1위인 ‘7번방의 선물’(누적관객수 1280만명)은 40대 이상 관객이 42%로 가장 많았고 30대(37%)와 20대(18%), 10대(3%)가 뒤를 이었다. 흥행 2위와 3위인 ‘아이언맨3’(773만명·41%)와 ‘베를린’(716만명·41%)에서도 40대 이상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파파로티’(171만명·47%)와 ‘잭 더 자이언트 킬러’(95만명·48%)에서는 관객의 절반에 가까웠고, ‘박수건달’(389만명)과 ‘라이프 오브 파이’(158만명), ‘오블리비언’(151만명)도 모두 40% 이상을 차지했다. 특히 50대 관객은 2006년 전체의 2.0%에서 올 상반기 전체의 약 7.0%로 3배 이상 뛰었다. 김형호 맥스무비 실장은 “지금까지는 부모가 자녀를 데리고 영화관을 찾는 형태가 많았지만 최근엔 반대 사례가 눈에 띄게 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노년층으로 확대되는 관객을 붙잡기 위한 상영관들의 전략도 다양해졌다. CGV는 45세 이상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노블레스 프로그램’을 만들어 시사회를 열거나 할인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영화표 검수원, 영화관 매점 인력을 노년층으로 채용하는 등 맞춤형 시장 전략도 선보인다. 메가박스는 지난 4월, CGV는 지난 1월 각각 한국노인인력개발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해 고령 인력 채용을 늘리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CGV 관계자는 “노년층 관객을 위해 ‘눈높이형 채용’을 하는 것”이라면서 “5060 관객들을 겨냥해 앞으로도 꾸준히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
  • [주말박스 오피스] ‘아이언맨3’ 3주째 1위

    [주말박스 오피스] ‘아이언맨3’ 3주째 1위

    ‘아이언맨3’가 3주째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13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아이언맨3’는 지난 10~12일 전국 1129개 상영관에서 103만 9876명(매출액 점유율 58.2%)을 모아 흥행을 이어갔다. 누적관객수는 744만 2908명이다. 이어 박해일·윤제문·공효진 주연의 ‘고령화가족’이 583개 관에서 44만 2058명을 모아 2위로 뛰어올랐다. 지난 9일 개봉해 4일 만에 51만 6641명을 모았다. 이경규 제작의 ‘전국노래자랑’은 422개 관에서 17만 4048명을 모아 3위로 한 계단 떨어졌다. 누적관객수는 79만 4601명이다. 오는 16일 개봉 예정인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크루즈 패밀리’는 유료시사회로 267개 관에서 5만 3031명을 모아 4위로 진입했다. 할리우드 영화 ‘스니치’는 153개 관에서 2만 3902명을 동원해 5위를 차지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 ‘아이언맨3’ 트랜스포머 제치고 역대 외화 4위

    ‘아이언맨3’ 트랜스포머 제치고 역대 외화 4위

    아이언맨 시리즈 가운데 완성도가 가장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헐리우드 블록버스터 ‘아이언맨3’가 국내 관객 740만명을 돌파하며 트랜스포머를 제치고 역대 외화 흥행 4위에 올랐다. 12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입장권 통합전산망 집계에 따르면 아이언맨은 일일관객 38만 9895명을 모아 개봉 18일 만에 누적 관객수 744만 2908명을 기록했다. 액션을 가미한 공상과학영화 ‘트랜스포머’가 세운 740만명과 ‘어벤져스’의 707만명을 넘어 역대 외화 흥행 순위 4위다. 이변이 없는 한 3위인 ‘미션 임파서블:고스트 프로토콜’(755만명)과 2위인 ‘트랜스포머3’(778만명)를 제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여전히 1300만명의 기록을 가진 ’아바타’와의 격차는 크다. 한편 한국영화 ‘고령화 가족’은 누적 관객 51만명, 전국노래자랑은 79만명으로 각각 박스오피스 2·3위에 올랐다. 온라인뉴스팀 iseoul@seoul.co.kr
  • ‘괴물’ 보다 빠른 ‘아이언맨3’… 12일만에 600만명 돌파

    ‘괴물’ 보다 빠른 ‘아이언맨3’… 12일만에 600만명 돌파

    ‘아이언맨’ 토니 스타크가 2주째 박스오피스(흥행수익) 정상을 차지했다. 6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아이언맨3’는 지난 3~5일 3일간 전국 1388개 상영관에서 186만 5109명을 모아 1위를 지켰다. 지난달 25일 개봉해 12일 만인 6일 오후 6시 누적관객수 600만명을 돌파했다. ‘아이언맨3’의 이 같은 흥행 속도는 역대 가장 빠른 흥행 속도를 보인 ‘괴물’이 10일 만에 514만 5681명, 11일 만에 571만 1648명을 동원한 것보다 더 빠른 기록이다. ‘아이언맨’이 2008년 같은 기간 동안 217만 3903명, ‘아이언맨2’가 2010년 315만 2200명을 동원한 것에 비해서도 급증했다. ‘아이언맨3’의 관객몰이는 다른 국내외 영화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상영관수와 기존 시리즈에 대한 높은 충성도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지난 3~5일 ‘아이언맨3’의 상영횟수(2만 794회)는 나머지 10위권 영화의 상영횟수를 모두 합한 것(1만 6441회)보다도 20% 이상 많다. 김유정 영화평론가는 “한국 영화 산업 구조 특유의 상영관 독점과 프랜차이즈물에 대한 높은 충성도가 맞아떨어진 사례”라면서 “영웅에 초점을 맞췄던 ‘배트맨 다크나이트 라이즈’(누적관객수 639만명) 등 다른 시리즈 3편에 비해 토니 스타크라는 주인공의 인간적 고민에 초점을 맞춘 것도 관객들의 공감을 이끌어낸 요인”이라고 ‘아이언맨3’의 돌풍 이유를 설명했다. 트로트 가수 박상철의 사연을 바탕으로 지난 1일 개봉한 이경규 제작의 ‘전국노래자랑’은 3일간 582개 관에서 30만 6179명을 모아 2위에 올랐다. 누적관객수는 45만 7599명이다. 어린이날이 낀 덕에 애니메이션이 강세를 보였다.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태풍을 부르는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가 328개 관에서 9만 5528명을 모아 3위, ‘니모를 찾아서 3D’가 212개 관에서 5만 2187명을 모아 4위에 올랐다. 강우석 감독의 ‘전설의 주먹’은 5만 651명을 모아 5위를 차지했다. ‘1000만 영화’ 세 편을 잇달아 내놓으며 잘나가던 한국영화는 3월 이후 급격히 내리막을 달리고 있다. 지난 2월 21일 개봉한 ‘신세계’가 486만 명을 동원한 이후 한국영화 개봉작 중 200만 관객을 넘은 작품은 단 한 편도 없다. 더욱이 4월부터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들의 공세에 밀려 4월 한국영화 시장점유율이 39.8%에 그치며 1년 4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
  • [주말박스 오피스] 신하균 ‘런닝맨’ ‘지.아이.조2’ 추월

    신하균 주연의 영화 ‘런닝맨’이 지난 주말 박스오피스(흥행수익) 1위에 올랐다. 8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지난 4일 개봉한 ‘런닝맨’은 5~7일 전국 567개 상영관에서 50만 1908명의 관객을 모아 전주 1위였던 ‘지.아이.조 2’를 간발의 차로 누르고 1위를 차지했다. 이 영화는 살인범 누명을 쓴 남자와 경찰, 악당 간의 도심 추격전을 생동감 있게 그렸다. 3월 28일 개봉한 이병헌의 할리우드 주연작 ‘지.아이.조 2’는 사흘 동안 46만 4619명이 관람해 2위에 올랐고 누적 관객 157만 44명을 기록해 200만명 돌파를 바라보게 됐다. 김민희·이민기가 주연한 ‘연애의 온도’와 이제훈·한석규 주연의 ‘파파로티’는 같은 기간 각각 20만 6164명과 14만 6450명을 모아 나란히 3, 4위를 기록했다. 누적관객수는 ‘연애의 온도’가 165만 3496명, ‘파파로티’ 158만 8385명이다. 5위는 한국 누아르를 표방한 ‘신세계’로 6만 2591명을 동원해 누적관객수는 463만 101명을 기록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 [주말 박스 오피스] ‘타워’ 2주째 정상… 400만 돌파 눈앞

    한국형 블록버스터 재난영화 ‘타워’가 2주째 박스오피스 정상을 지켰다. 7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타워’는 지난 4~6일 전국 638개 상영관에서 81만 2841명을 모아 할리우드 영화 ‘레미제라블’을 누르고 흥행 1위를 차지했다. 누적관객수는 353만 9879명으로 이번 주 안에 400만명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레미제라블’은 전국 587개 관에서 52만 5258명을 모아 전주에 이어 2위를 지켰다. 누적관객수는 420만 7834명이다.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라이프 오브 파이’는 392개관에서 34만 5807명을 동원해 3위에 올랐다. 누적관객수는 61만 835명이다. 한효주·고수 주연의 ‘반창꼬’는 374개 관에서 24만 6937명을 모아 4위를 차지했고 누적관객수는 222만 1828명이다. 할리우드 애니메이션 ‘주먹왕 랄프’는 279개 관에서 9만 2471명(누적관객수 80만 2151명)을 동원해 5위에 올랐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 [주말 박스 오피스] 레미제라블, 개봉 첫주 1위

    [주말 박스 오피스] 레미제라블, 개봉 첫주 1위

    휴 잭맨·러셀 크로 주연의 할리우드 뮤지컬 영화 ‘레미제라블’이 박스오피스 1위로 데뷔했다. 24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레미제라블’은 지난 21~23일 전국 673개관에서 78만 8880명(매출액 점유율 30.8%)을 불러 모아 정상을 차지했다. 18일 개봉한 이 영화는 5일 만에 누적관객 126만 5747명을 기록했다. 한효주·고수 주연의 멜로 ‘반창꼬’가 41만 6873명(16.0%)으로 뒤를 이었다. ‘반지의 제왕’ 시리즈의 이전 이야기에 해당하는 피터 잭슨 감독의 ‘호빗: 뜻밖의 여정’은 39만 6948명(17.4%)에 그쳐 3위로 추락했다. 다만, 관객수는 ‘반창꼬’에 뒤졌지만, 관람료가 비싼 3차원(3D)과 아이맥스 상영에 힘입어 매출액은 2위를 기록했다. 누적관객 198만 8635명으로 200만 돌파를 눈앞에 뒀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 영화 ‘늑대소년’ 700만 돌파

    영화 ‘늑대소년’ 700만 돌파

    영화 ‘늑대소년’(포스터)이 700만 관객을 넘어서, 한국 멜로영화 흥행 기록을 매번 경신하고 있다. 투자배급사 CJ엔터테인먼트는 ‘늑대소년’과 ‘늑대소년-확장판’의 관객을 더해 16일 오후 5시 현재 누적관객수 701만명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지난 10월 31일 개봉한 이래 47일 만이다. 지난달 하순 600만 관객을 넘어서며 흥행세가 한풀 꺾이는 듯했지만, 편집된 일부 장면을 추가한 ‘늑대소년-확장판’을 지난 6일 개봉하면서 흥행세가 다시 살아나 100만 관객을 더 모았다. 늑대소년의 팬들 사이에서 ‘다시 보기’ 열풍이 일면서 두세 번씩 영화를 반복해서 보는 관객들이 많았던 덕분이다. 이런 호응으로 ‘늑대소년-확장판’은 지난 15일 하루에만 4만 3556명을 모으며 박스오피스 5위에 오르는 뒷심을 발휘했다. 500만 관객을 넘은 이후 한국 멜로영화의 흥행 기록을 새로 쓰고 있는 ‘늑대소년’은 멜로 장르에서는 불가능해 보였던 700만명 고지를 넘어서 한국영화사에 큰 획을 긋게 됐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 1000만 2편·400만이상 7편… 한국영화 ‘억소리’ 흥행

    1000만 2편·400만이상 7편… 한국영화 ‘억소리’ 흥행

    한국영화 관객 1억명 시대가 열렸다. 영화진흥위원회는 20일 “19일까지 올 들어 한국영화를 극장에서 본 관객 수는 9980만 6634명이다. 한국영화의 평일 관객이 20만명 이상인 점을 감안하면 오늘 밤 1억명 돌파가 무난하다.”고 밝혔다. 지금껏 최고 기록이던 2006년(9174만명)을 뛰어넘는 한국영화 90년 사상 최다 관객이다. 2006년에는 전년도 12월 말에 개봉한 ‘왕의 남자’(1230만 2831명)와 ‘괴물’(1301만 9740명)이 6개월 간격으로 1000만 관객을 돌파했던 해다. 한편 19일 현재 한국영화 점유율은 59.0%로 나타났다. 2006년의 63.6%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다. ‘한국영화의 르네상스’를 말하는 까닭이다. 1억명을 돌파한 힘은 1000만명 ‘대박’ 영화와 더불어 400만명 이상의 ‘중박’ 영화들이 쏟아진 데서 찾을 수 있다. 올 초부터 ‘범죄와의 전쟁: 나쁜 놈들 전성시대’(469만명), ‘부러진 화살’(343만명), ‘건축학개론’(410만명) 등 중저예산 영화들이 극장가를 장악했다. 7월 개봉한 ‘도둑들’이 한국영화 최고 기록(1303만명·영진위 집계 1298만명)을 갈아치운 데 이어 비수기인 9월에 개봉한 ‘광해, 왕이 된 남자’도 1000만명을 돌파했다. 1000만 영화 두 편을 포함, 400만명을 돌파한 영화가 한 해에 무려 9편이나 나온 것 또한 처음이다. 2006년 호황 덕에 눈먼 돈이 영화판에 몰려들고 부실 기획들이 남발되면서 한국영화는 2007년부터 내리막길을 걸었다. 2007~2010년 점유율이 40%대를 맴돌았다. 글로벌 경제 위기까지 겹쳐 투자가 얼어붙었지만, 역설적으로 그 덕에 거품이 빠졌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최종병기 활’ ‘도가니’ ‘완득이’ 등 다양한 장르의 완성도 높은 영화가 쏟아져 나오면서 한국영화는 관객의 신뢰를 회복했다. 관객의 무게중심도 10~20대에서 30~40대로 이동하면서 저변이 확대됐다. 전찬일 영화평론가는 “한국영화의 르네상스는 불쑥 찾아온 게 아니다. 지난해부터 예견됐던 일이다. 지난해 한국 시장은 전 세계 흥행수익 10위(11억 1000만 달러·약 1조 2243억원), 관객 수 8위(1억 5972만여명), 제작편수 7위(216편)였다.”면서 “탄탄해진 산업 토대에서 1억명이 가능했던 것”이라고 밝혔다. 물론 마냥 샴페인을 터뜨릴 일은 아니다. 대기업의 수직 계열화와 스크린 독과점, 현장 스태프의 열악한 처우, 양극화 심화 등 영화산업의 그림자가 갈수록 짙어지고 있다. 돈줄과 극장을 장악한 대기업들이 투자·배급은 물론 아예 기획 단계부터 제작에 깊숙이 관여하면서 영화제작사들이 파트너가 아닌 하청업자로 전락할 우려마저 제기된다. 최근 멀티플렉스의 ‘퐁당퐁당’(오전·새벽 시간대에만 상영)에 반발해 종영을 선언한 영화 ‘터치’의 사례에서 보듯 대기업 투자·배급사 작품이 스크린의 80%를 싹쓸이하는 독과점은 여전하고, 저예산·독립영화는 존립마저 위협받고 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광해, 왕이 된 남자’ 관객 900만명 돌파

    이병헌 주연의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가 관객 900만 명을 돌파했다. 14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광해’는 전날 27만9583명(매출 점유율 36.8%)을 동원해 누적 관객수 909만1633명을 기록했다. 지난달 13일 개봉한 지 31일 만이다. 또 5주 연속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해 4주 연속 1위를 기록한 ‘도둑들’을 앞섰다.1230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 ‘왕의 남자’와 비교해 19일 먼저 900만 관객을 동원했다. ’왕의 남자’가 겨울방학 극장가 성수기에 개봉했지만 ’광해’는 역대 흥행 20위 영화 중 유일하게 비수기인 9월에 개봉해 의미를 더했다. 정기홍 기자 hong@seoul.co.kr
  • [주말 박스 오피스] 광해, 800만 돌파… 4주째 정상

    [주말 박스 오피스] 광해, 800만 돌파… 4주째 정상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가 관객 800만명을 돌파하며 4주째 박스오피스 정상을 이어갔다. 8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이병헌 주연의 ‘광해’는 지난 5~7일 전국 867개 상영관에서 84만 9657명을 동원해 흥행 순위 1위를 지켰다. 지난달 13일 개봉한 이 영화의 누적관객수는 822만 665명으로 ‘도둑들’에 이은 또 한편의 1000만 돌파 영화가 나올 것인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어 할리우드 액션 영화 ‘테이큰2’가 지난 주말 전국 507개 관에서 27만 1536명을 모아 전주에 이어 2위를 지켰다. 지난달 27일 개봉한 이 영화는 11일 만에 누적관객수 209만 4450명을 기록했다. 지난 3일 개봉한 김수로 주연의 코믹 호러 ‘점쟁이들’은 479개 관에서 26만 4857명을 모아 3위에 올랐다. 현재까지 누적 관객수는 61만 7356명이다. 이어 할리우드 애니메이션 ‘메리다와 마법의 숲’이 478개 관에서 18만 8319명을 동원해 전주에 이어 4위를 지켰으며 현재까지 총 96만 3045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김명민 주연의 첩보극 ‘간첩’은 295개관에서 7만 3398명을 모아 전주보다 두 계단 떨어진 5위를 기록했다. 지난달 20일 개봉한 이 영화의 누적관객수는 125만 5736명이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 한국영화 제2의 전성기 비결은

    한국영화 제2의 전성기 비결은

    바야흐로 한국영화 전성시대다. 올 초부터 300만~400만명을 넘어서는 ‘중박’ 영화가 잇따라 터지면서 시작된 한국 영화의 흥행 열풍은 역대 한국 영화 흥행 2위에 올라선 ‘도둑들’로 정점을 찍고 있다. 올 들어 지난달 31일까지 한국 영화의 시장 점유율은 55.7%. 2007년 이후 한동안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던 한국 영화는 지난해 점유율 51.9%로 다시 50%대를 회복한 이후 상승세를 타고 있다. 한국영화가 제2의 전성기를 맞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 영화 10년 새 양적·질적 균형 성장 한국영화의 맷집이 눈에 띄게 강해진 것은 양·질적인 면에서 동반 성장이 가능했던 덕분이다. 지난 10년 동안 한국영화는 양적(관객수 기준)으로 2배 성장했다. 지난해 한국영화 총 관객수는 1억 5972만여명. 하지만 올 들어 지난 8월까지 관객수가 이미 1억 3000여만명에 이르면서 업계에서는 올해 2억명을 돌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2002년 총 관객수 1억 513명의 2배에 이르는 셈이다. 양적 성장은 CJ, 롯데 등 대기업 자본이 유입되고 동네마다 복합상영관이 들어서면서 가속화됐지만, 커진 덩치에 비해 부족한 콘텐츠의 질이 끊임없이 문제로 지적됐다. 2012년은 그동안의 질적인 문제점을 극복한 해로 평가할 만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올해 한국영화 돌풍의 원동력은 장르의 다양화다. 장르의 쏠림 현상은 늘 한국영화의 병폐로 지적됐다. ‘추적자’로 시작돼 2년여간 불었던 스릴러 열풍처럼 특정 장르가 흥행하면 투자·제작 방향이 그쪽으로 쏠렸고, 다양성의 부재로 이어졌다. 하지만 올해 한국영화 흥행 1~10위를 보면 겹치는 장르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범죄액션’(도둑들)을 필두로 정통멜로(건축학개론), 누아르(범죄와의 전쟁:나쁜 놈들 전성시대), 법정물(부러진 화살) 등 다양한 장르가 동시에 성공을 거뒀다. 스토리 부재 등을 지적받아 온 한국영화의 콘텐츠도 약진을 보였다. 영화 관계자들은 2~3년 전부터 콘텐츠 개발에 자본과 시간을 투자한 결실을 보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CJ엔터테인먼트 등 대형 배급사들은 콘텐츠 기획팀을 내부에 두고 국내외 원작 발굴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웹툰 원작의 ‘연가시’나 일본 원작 소설을 영화로 만든 ‘화차’가 대표적이다. 중소 배급사들은 규모보다는 기발하고 독특한 기획에 집중한 결과 대중의 공감을 얻었다. ‘부러진 화살’, ‘내 아내의 모든 것’,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등을 배급한 NEW의 박준경 마케팅팀장은 “요즘 충무로에는 스타, 감독 등 흥행 보증수표를 앞세운 안이한 기획이 사라졌다.”면서 “스타캐스팅이나 제작 규모가 아니라 콘텐츠의 완성도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 증명된 상반기”라고 말했다. 영화평론가 강유정씨는 “이제는 캐릭터와 스토리 등 탄탄한 기획을 기반으로 한 작품이 성공하는 등 거품이 빠지는 것 같다.”면서 “과거 조폭 코미디 등 장르 쏠림 현상이 성공을 거두지 못한 데 따른 학습 효과로 다양한 장르 영화들이 시간 차 공격을 통해 관객들에게 식상함을 주지 않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한국영화 전성기 이끈 3040세대의 힘 3040세대의 힘도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기존 한국 영화는 20대 관객을 겨냥한 작품이 많았으나 30~40대 관객의 공감대를 끌어낸 작품이 많았고, 나아가 50대 관객까지 이어졌다. 1980년대를 배경으로 한 ‘범죄와의 전쟁: 나쁜 놈들 전성시대’(감독 윤종빈)나 1990년대의 첫사랑 이야기인 ‘건축학개론’(감독 이용주), 1990년대 X세대를 주인공으로 3040세대 주부들의 애환을 감성적으로 그린 ‘댄싱퀸’(감독 이석훈)이 대표적이다. 자신만의 감성과 연출력으로 승부수를 띄운 3040세대 감독들의 약진도 두드러졌다. 배급사 쇼박스의 최근하 과장은 “이전 영화의 흥행 패턴은 20대 초반 관객이 입소문을 내주고, 30~40대가 관람하는 것이 주된 패턴이었다면 올 상반기에는 3040세대 예매량이 부쩍 늘었다.”면서 “X세대로 불리며 문화적으로 혜택을 받고 자란 3040세대가 문화의 주체로 떠오르면서 직장 동료와 함께 관람하는 문화가 정착되는 등 관객층이 두꺼워졌다.”고 말했다. 한 영화계 관계자는 “영화 ‘내 아내의 모든 것’처럼 10~20대에 한정된 로맨틱 코미디가 30대 기혼자 이상으로 외연을 확장해 성공하는 등 영화를 다루는 3040세대 감독과 프로듀서들의 감각과 연출력이 동시대의 관객들과 잘 통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한국적 정서 점차 옅어져… 문제점은? 한국영화 흥행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신파 코드 등 한국 정서가 상당히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홍콩과 마카오를 배경으로 한 ‘도둑들’처럼 가족애와 사회적 공감대를 기반으로 한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흥행 공식도 깨졌다. 반면 지난해 ‘마이웨이’나 ‘퍼펙트게임’, 올해 ‘코리아’처럼 애국주의나 신파 요소가 들어간 영화들은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정책센터 황동미 연구원은 “관객들이 신파를 좋아한다는 믿음이 점차 깨지고 있고, 강요된 감동이나 감정 과잉을 내세운 영화에 대한 호감도가 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강 평론가는 “올해 흥행작을 보면 유머 코드가 포함된 작품이 많았고, 구성의 재미와 편집의 속도가 강조된 기획물이 많았다.”면서 “현실에 지친 관객들은 거대 담론을 다루는 데 피로감을 느끼고 영화 자체의 오락성을 즐기는 풍토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영화 전성시대라고는 하지만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거대 자본의 시장 독과점과 영화 스태프들의 열악한 처우 개선 등이 시급하다는 얘기다. 황 연구원은 “한국영화 전성시대는 2000년대 중반 한국영화의 거품이 빠지면서 투자 제작이 경직된 이후 기획 강화, 제작비 절감 등을 거쳐 나온 결과”라면서 “아직도 한해 제작되는 영화의 3분의2는 10억원 미만의 저예산 영화이고, 배우 개런티는 줄지 않는 반면 스태프 인건비는 2000년대 중반 수준에 머무는 등 영화계의 불균형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 [콜로라도 총격의 다크나이트] 韓 사흘에 171만 올 최대 흥행기록 美 관객집계 유보

    ‘다크나이트 라이즈’가 개봉 첫주 올해 영화 중 최다 관객을 불러모았다. 20일(현지시간) 미국 콜로라도에서 발생한 총기 난사 사건으로 북미 흥행에 변수가 생긴 것과는 대조적이다. ●아침 7시·새벽 2시에도 상영 22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다크나이트 라이즈’는 19~21일 전국 1198개 스크린에서 171만 2031명을 불러모았다. 개봉일인 19일 44만여명, 20일 50만여명에 이어 21일에는 76만여 명을 불러모았다. 올해 오프닝 스코어(개봉 첫주 목~일요일) 1위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의 169만여명을 목~토요일 상영만으로도 넘어섰다. 심영신 워너브라더스코리아 마케팅팀 차장은 “상영시간이 2시간 44분이나 되기 때문에 하루 5회차 상영도 힘들다고 봤다. 그런데 개봉 전부터 지난해 ‘트랜스포머 3’에 육박할 만큼 예매실적이 높았기 때문인지 극장들이 아침 7시, 새벽 2시에도 상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총격 사건과 관련, 영화 홈페이지에 제작진과 제작사에 깊은 애도의 뜻을 밝힐 예정”이라면서 “광고는 이미 집행이 된 터라 축소 할 것은 없다.”고 밝혔다. ●“올 최대작 포기할 수 없는데…” 한편 제작사 워너브라더스와 미국 극장들은 이 사건으로 난처한 처지에 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비극이 발생했으니 유가족을 위로하고 조의를 표명하는 등 대응하고 있지만, 올 최대 블록버스터의 흥행을 포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워너브러더스 측은 일단 폭스 채널과 ESPN과 NBC 등에서 광고를 중단했다. 지난 20일 성명을 통해 희생자와 유가족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매일 집계하던 주말 관객수를 발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대신 월요일(23일)에 한꺼번에 공개할 예정이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주말 박스 오피스]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주말 극장가 접수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이 주말 극장가를 점령했다. 2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개봉한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은 지난달 29일부터 1일까지 142만 1163명을 동원해 박스오피스 정상을 차지했다. 누적 관객수는 169만 8392명. 2위는 12만 2703명을 모은 한국영화 ‘후궁:제왕의 첩’으로 누적 관객수는 245만 2996명이다. 이어 할리우드 애니메이션 ‘마다가스카3:이번엔 서커스다!’가 12만 476명(누적 144만 3569명)을 동원해 전주에 이어 3위를 유지했고, ‘내 아내의 모든 것’은 11만 1181명(누적 438만 5701명)으로 4위에 올랐다. 이어 미국 영화 ‘캐빈 인 더 우즈’가 9만 9847명을 모아 5위에 들었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