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영화 관객수
    2025-07-16
    검색기록 지우기
  • 이혜영
    2025-07-16
    검색기록 지우기
  • 이영자
    2025-07-16
    검색기록 지우기
  • 음주운전
    2025-07-16
    검색기록 지우기
  • 공상
    2025-07-16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92
  • “명량” 관객수 1174만 돌파! ‘경악할 만한 매출액, 대체 얼마야?’

    “명량” 관객수 1174만 돌파! ‘경악할 만한 매출액, 대체 얼마야?’

    명량 관객수 1174만 돌파 영화 ‘명량’이 1174만 관객을 돌파했다. 13일 영화진흥위원회 집계에 따르면 ‘명량’은 지난 12일 44만 2808명의 관객 동원에 성공하면서 누적관객수 1174만 6786을 돌파했다. 이로써 ‘명량’은 영화 ‘변호인’(1137만5944명), ‘해운대’(1145만3338명), ‘태극기 휘날리며’(1174만6135명)를 제치며 한국 영화 역대 흥행 7위에 안착했다. 현재 국내 박스오피스 사상 최다 관객 수를 가지고 있는 영화는 영화 ‘아바타’로 1330만을 기록하고 있다. 영화 전문가들은 이정도의 추세라면 영화 ‘명량’이 영화 ‘아바타’의 기록을 깨고 국내 박스오피스 사상 최다 관객 수를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 입을 모으고 있다. 특히 이번 주말은 15일 광복절이 끼어 있어서 1300만을 넘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크다. 매출액은 얼마나 될까. 총 제작비 200억원을 들인 ‘명량’은 초고속 흥행으로 손익분기점(BEP)인 650만 관객을 일찌감치 넘어섰다. 이번 주말 ‘명량’이 ‘아바타’의 고지인 1300만 관객을 넘을 경우, 한국영화 사상 첫 번째 1000억원대 매출 영화가 된다. ‘명량’ 감독인 김한민 감독에게 돌아가는 순수익은 100억원을 훌쩍 넘어서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네티즌들은 “명량 관객수 넘겨라”, “명량 관객수 매출액 쩐다” “명량 관객수 1174만 돌파 축하”, “명량 쭉쭉 가자”, “명량 아바타 날려버려”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사진=명량 스틸컷 김민지 인턴기자 seoulen@seoul.co.kr
  • 허지웅 명량 평가 반박에 진중권 대답이 “미안” 공식 사과?

    허지웅 명량 평가 반박에 진중권 대답이 “미안” 공식 사과?

    허지웅 명량 평가 반박에 진중권 대답이 “미안” 공식 사과? 영화평론가 겸 방송인 허지웅이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명량’을 혹평한 진중권 동양대 교수에게 일침을 가해 화제다. 허지웅은 13일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진(중권) 선생이나 저나 어그로 전문가지만 이건 아니죠. 저는 ‘명량’이 전쟁 장면이 1시간이라서 훌륭하다고 평가한 적이 없습니다. 최소한 ‘졸작’이라거나 ‘수작’이라거나 한 마디만 툭 던져 평가될 영화가 아니라는 건 확실하죠. 장점도 단점도 워낙에 뚜렷하니”라는 글을 남겼다. 이어 “저는 이미 그 단점과 장점을 간단히 글로 정리해 게시한 바 있는데도 정확한 소스 확인 없이 본인 주장을 위해 대충 눙쳐 왜곡하면서 심지어 자질 운운한 건 진 선생이 너무 멀리 간 듯”이라면서 “저는 자질 언급은 안하겠고 판을 깔고 싶으실 땐 조금만 더 정교하게”라고 덧붙였다. 진 교수는 둘 사이의 설전이 화제가 되자 자신의 트위터에 “허지웅이 자세히 썼다는 글은 아직 못 읽어봤고, 그저 뉴스검색에 이런 기사가 걸리길래 어이가 없어서 한 말. 그의 발언 취지가 왜곡된 거라면, ‘자질’ 운운한 것은 그의 말대로 불필요한 어그로. 미안”이라는 글을 남겼다. 앞서 진 교수는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짜증나네. 그냥 명량은 영화적 완성도가 떨어집니다. 그 이야기 했을 뿐인데, 애국심이니 486이니 육갑들을 떨어요”라면서 “명량이 훌륭하다고 생각한다면, 영화적으로 어떤 면이 뛰어난지 이야기하면 됩니다. 하다 못해 허지웅처럼 전쟁 장면을 1시간 이상 끌고 갔다는 둥 물론 자질을 의심케 하는 뻘소리지만”이라는 글을 남겨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또 진 교수는 지난 6일 “영화 ‘명량’은 솔직히 졸작이다. 흥행은 영화의 인기라기보다 이순신 장군의 인기로 해석해야 할 듯. ‘활’은 참 괜찮았는데”라는 글로 혹평한 바 있다. ‘명량’은 개봉 12일 만에 누적 관객수 1000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네티즌들은 “진중권 허지웅, 참 볼만한 설전이네”, “진중권 허지웅, 내가 봐도 명량 이정도 비판할 수 있는 것 같은데”, “진중권 허지웅, 영화는 그냥 영화로 보고 싸우지들 마세요. 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진중권 허지웅 ‘명량’ 평가 설전 “자질 운운 미안” vs “조금만 더 정교하게”

    진중권 허지웅 ‘명량’ 평가 설전 “자질 운운 미안” vs “조금만 더 정교하게”

    진중권 허지웅 ‘명량’ 평가 설전 “자질 운운 미안” vs “조금만 더 정교하게” 영화평론가 겸 방송인 허지웅이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명량’을 혹평한 진중권 동양대 교수에게 일침을 가해 화제다. 허지웅은 13일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진(중권) 선생이나 저나 어그로 전문가지만 이건 아니죠. 저는 ‘명량’이 전쟁 장면이 1시간이라서 훌륭하다고 평가한 적이 없습니다. 최소한 ‘졸작’이라거나 ‘수작’이라거나 한 마디만 툭 던져 평가될 영화가 아니라는 건 확실하죠. 장점도 단점도 워낙에 뚜렷하니”라는 글을 남겼다. 이어 “저는 이미 그 단점과 장점을 간단히 글로 정리해 게시한 바 있는데도 정확한 소스 확인 없이 본인 주장을 위해 대충 눙쳐 왜곡하면서 심지어 자질 운운한 건 진 선생이 너무 멀리 간 듯”이라면서 “저는 자질 언급은 안하겠고 판을 깔고 싶으실 땐 조금만 더 정교하게”라고 덧붙였다. 진 교수는 둘 사이의 설전이 화제가 되자 자신의 트위터에 “허지웅이 자세히 썼다는 글은 아직 못 읽어봤고, 그저 뉴스검색에 이런 기사가 걸리길래 어이가 없어서 한 말. 그의 발언 취지가 왜곡된 거라면, ‘자질’ 운운한 것은 그의 말대로 불필요한 어그로. 미안”이라는 글을 남겼다. 앞서 진 교수는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짜증나네. 그냥 명량은 영화적 완성도가 떨어집니다. 그 이야기 했을 뿐인데, 애국심이니 486이니 육갑들을 떨어요”라면서 “명량이 훌륭하다고 생각한다면, 영화적으로 어떤 면이 뛰어난지 이야기하면 됩니다. 하다 못해 허지웅처럼 전쟁 장면을 1시간 이상 끌고 갔다는 둥 물론 자질을 의심케 하는 뻘소리지만”이라는 글을 남겨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또 진 교수는 지난 6일 “영화 ‘명량’은 솔직히 졸작이다. 흥행은 영화의 인기라기보다 이순신 장군의 인기로 해석해야 할 듯. ‘활’은 참 괜찮았는데”라는 글로 혹평한 바 있다. ‘명량’은 개봉 12일 만에 누적 관객수 1000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네티즌들은 “진중권 허지웅, 이제 말싸움 더 안할 듯”, “진중권 허지웅, 그냥 재미로 보는 사람도 있는데 왠 설전?”, “진중권 허지웅, 트윗 설전 재밌네. 두 사람 말 사실 어떻게 보면 다 맞는 말 아닌가”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진중권 허지웅 명량 놓고 설전 왜? “짜증나네. 그냥 명량은 영화적 완성도가 떨어집니다”

    진중권 허지웅 명량 놓고 설전 왜? “짜증나네. 그냥 명량은 영화적 완성도가 떨어집니다”

    진중권 허지웅 명량 놓고 설전 왜? “짜증나네. 그냥 명량은 영화적 완성도가 떨어집니다” 영화평론가 겸 방송인 허지웅이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명량’을 혹평한 진중권 동양대 교수에게 일침을 가해 화제다. 허지웅은 13일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진(중권) 선생이나 저나 어그로 전문가지만 이건 아니죠. 저는 ‘명량’이 전쟁 장면이 1시간이라서 훌륭하다고 평가한 적이 없습니다. 최소한 ‘졸작’이라거나 ‘수작’이라거나 한 마디만 툭 던져 평가될 영화가 아니라는 건 확실하죠. 장점도 단점도 워낙에 뚜렷하니”라는 글을 남겼다. 이어 “저는 이미 그 단점과 장점을 간단히 글로 정리해 게시한 바 있는데도 정확한 소스 확인 없이 본인 주장을 위해 대충 눙쳐 왜곡하면서 심지어 자질 운운한 건 진 선생이 너무 멀리 간 듯”이라면서 “저는 자질 언급은 안하겠고 판을 깔고 싶으실 땐 조금만 더 정교하게”라고 덧붙였다. 진 교수는 둘 사이의 설전이 화제가 되자 자신의 트위터에 “허지웅이 자세히 썼다는 글은 아직 못 읽어봤고, 그저 뉴스검색에 이런 기사가 걸리길래 어이가 없어서 한 말. 그의 발언 취지가 왜곡된 거라면, ‘자질’ 운운한 것은 그의 말대로 불필요한 어그로. 미안”이라는 글을 남겼다. 앞서 진 교수는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짜증나네. 그냥 명량은 영화적 완성도가 떨어집니다. 그 이야기 했을 뿐인데, 애국심이니 486이니 육갑들을 떨어요”라면서 “명량이 훌륭하다고 생각한다면, 영화적으로 어떤 면이 뛰어난지 이야기하면 됩니다. 하다 못해 허지웅처럼 전쟁 장면을 1시간 이상 끌고 갔다는 둥 물론 자질을 의심케 하는 뻘소리지만”이라는 글을 남겨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또 진 교수는 지난 6일 “영화 ‘명량’은 솔직히 졸작이다. 흥행은 영화의 인기라기보다 이순신 장군의 인기로 해석해야 할 듯. ‘활’은 참 괜찮았는데”라는 글로 혹평한 바 있다. ‘명량’은 개봉 12일 만에 누적 관객수 1000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네티즌들은 “진중권 허지웅, 명량 평가 재밌네”, “진중권 허지웅, 그냥 서로 관점이 다른 것 같은데 존중해주면 됐지 왜 싸워”, “진중권 허지웅, 미안이라는 말로 이제 설전은 끝난 듯”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진중권, 명량 평가 놓고 허지웅 도발 “자질을 의심케하는 뻘소리”…허지웅 반응은?

    진중권, 명량 평가 놓고 허지웅 도발 “자질을 의심케하는 뻘소리”…허지웅 반응은?

    진중권, 명량 평가 놓고 허지웅 도발 “자질을 의심케하는 뻘소리”…허지웅 반응은? 영화평론가 겸 방송인 허지웅이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명량’을 혹평한 진중권 동양대 교수에게 일침을 가해 화제다. 허지웅은 13일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진(중권) 선생이나 저나 어그로 전문가지만 이건 아니죠. 저는 ‘명량’이 전쟁 장면이 1시간이라서 훌륭하다고 평가한 적이 없습니다. 최소한 ‘졸작’이라거나 ‘수작’이라거나 한 마디만 툭 던져 평가될 영화가 아니라는 건 확실하죠. 장점도 단점도 워낙에 뚜렷하니”라는 글을 남겼다. 이어 “저는 이미 그 단점과 장점을 간단히 글로 정리해 게시한 바 있는데도 정확한 소스 확인 없이 본인 주장을 위해 대충 눙쳐 왜곡하면서 심지어 자질 운운한 건 진 선생이 너무 멀리 간 듯”이라면서 “저는 자질 언급은 안하겠고 판을 깔고 싶으실 땐 조금만 더 정교하게”라고 덧붙였다. 앞서 진 교수는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짜증나네. 그냥 명량은 영화적 완성도가 떨어집니다. 그 이야기 했을 뿐인데, 애국심이니 486이니 육갑들을 떨어요”라면서 “명량이 훌륭하다고 생각한다면, 영화적으로 어떤 면이 뛰어난지 이야기하면 됩니다. 하다 못해 허지웅처럼 전쟁 장면을 1시간 이상 끌고 갔다는 둥 물론 자질을 의심케 하는 뻘소리지만”이라는 글을 남겨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또 진 교수는 지난 6일 “영화 ‘명량’은 솔직히 졸작이다. 흥행은 영화의 인기라기보다 이순신 장군의 인기로 해석해야 할 듯. ‘활’은 참 괜찮았는데”라는 글로 혹평한 바 있다. ‘명량’은 개봉 12일 만에 누적 관객수 1000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네티즌들은 “진중권 허지웅, 이게 왜 싸움거리가 되지?”, “진중권 허지웅, 상업영화인데 그냥 재미로 보면 안되나”, “진중권 허지웅, 진중권 말도 맞는 것 같고 허지웅 말도 맞는 것 같고”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허지웅 진중권 1000만 돌파 ‘명량’ 평가 설전…양쪽 주장 자세히 살펴보니

    허지웅 진중권 1000만 돌파 ‘명량’ 평가 설전…양쪽 주장 자세히 살펴보니

    허지웅 진중권 1000만 돌파 ‘명량’ 평가 설전…양쪽 주장 자세히 살펴보니 영화평론가 겸 방송인 허지웅이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명량’을 혹평한 진중권 동양대 교수에게 일침을 가해 화제다. 허지웅은 13일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진(중권) 선생이나 저나 어그로 전문가지만 이건 아니죠. 저는 ‘명량’이 전쟁 장면이 1시간이라서 훌륭하다고 평가한 적이 없습니다. 최소한 ‘졸작’이라거나 ‘수작’이라거나 한 마디만 툭 던져 평가될 영화가 아니라는 건 확실하죠. 장점도 단점도 워낙에 뚜렷하니”라는 글을 남겼다. 이어 “저는 이미 그 단점과 장점을 간단히 글로 정리해 게시한 바 있는데도 정확한 소스 확인 없이 본인 주장을 위해 대충 눙쳐 왜곡하면서 심지어 자질 운운한 건 진 선생이 너무 멀리 간 듯”이라면서 “저는 자질 언급은 안하겠고 판을 깔고 싶으실 땐 조금만 더 정교하게”라고 덧붙였다. 진 교수는 둘 사이의 설전이 화제가 되자 자신의 트위터에 “허지웅이 자세히 썼다는 글은 아직 못 읽어봤고, 그저 뉴스검색에 이런 기사가 걸리길래 어이가 없어서 한 말. 그의 발언 취지가 왜곡된 거라면, ‘자질’ 운운한 것은 그의 말대로 불필요한 어그로. 미안”이라는 글을 남겼다. 앞서 진 교수는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짜증나네. 그냥 명량은 영화적 완성도가 떨어집니다. 그 이야기 했을 뿐인데, 애국심이니 486이니 육갑들을 떨어요”라면서 “명량이 훌륭하다고 생각한다면, 영화적으로 어떤 면이 뛰어난지 이야기하면 됩니다. 하다 못해 허지웅처럼 전쟁 장면을 1시간 이상 끌고 갔다는 둥 물론 자질을 의심케 하는 뻘소리지만”이라는 글을 남겨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또 진 교수는 지난 6일 “영화 ‘명량’은 솔직히 졸작이다. 흥행은 영화의 인기라기보다 이순신 장군의 인기로 해석해야 할 듯. ‘활’은 참 괜찮았는데”라는 글로 혹평한 바 있다. ‘명량’은 개봉 12일 만에 누적 관객수 1000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네티즌들은 “진중권 허지웅, 참 황당하네. 왜 이런 일로 말싸움을 하나”, “진중권 허지웅, 고정하시고 그냥 영화를 영화로 즐기시길”, “진중권 허지웅, 자질 운운한 건 솔직히 좀 거북할 수도 있겠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명량’ 관객수 1130만 돌파, 흥행 쾌속선타고 이번 주말 ‘아바타’고지 넘을 듯

    ‘명량’ 관객수 1130만 돌파, 흥행 쾌속선타고 이번 주말 ‘아바타’고지 넘을 듯

    명량 관객수 1130만 돌파, 아바타 고지 넘나초고속 흥행 쾌속선을 타고 한국 영화계 신기록을 수립하고 있는 영화 ‘명량’이 이번 주말 영화 ‘아바타’의 자리를 노린다.영화 ‘명량’은 7월 30일에 개봉한 이후 역대 최고 오프닝 스코어 68만명 기록을 시작으로, 최다 일일관객 동원에서 최단 1000만 돌파까지 한국 영화의 흥행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현재 국내 박스오피스 사상 최다 관객 수를 가지고 있는 영화는 영화 ‘아바타’로 1330만을 기록하고 있다. 누적 관객 수 1130만을 돌파하며 한국 영화 톱 10위자리에 안착한 영화 ‘명량’은 이제 ‘아바타’의 고지만을 남겨두고 있다. 영화 전문가들은 개봉 2주가 지나도 여전히 높은 좌석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영화 ‘명량’이 영화 ‘아바타’의 기록을 깨고 국내 박스오피스 사상 최다 관객 수를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입을 모으고 있다.영화 ‘명량’의 주말 성적표(8월 8일~8월 10일)를 보면, 관객 수는 280만명, 좌석점유율은 68%, 실시간 예매율 역시 49.4%로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이번 주말에는 8월 15일 광복절 공휴일이 끼어 있어 영화 ‘명량’이 ‘아바타’의 벽을 넘어설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영화 ‘명량’은 단 12척의 배로 330척에 달하는 왜군의 공격에 맞서 승리한 이순신 장군의 명량해전을 그린 영화이다. 영화 ‘최종병기 활’을 연출한 김한민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고, 국민배우 최민식을 비롯, 류승룡, 조진웅, 진구, 오타니 료헤이, 고경표 등이 ‘명량’ 쾌속선에 함께 몸을 실었다. 네티즌들은 “명량 관객수 아바타 넘겨라”, “명량 관객수 아바타 넘을 듯” “명량 관객수 1130만 돌파 축하”, “명량 쭉쭉 가자”, “명량 아바타 날려버려” 등의 반응을 보이며 영화 ‘명량’이 ‘아바타’의 고지를 넘길 것을 응원했다.사진=영화 명량 공식 포스터김민지 인턴기자 seoulen@seoul.co.kr
  • 진중권·허지웅 ‘명량’ 두고 설전 “자질을 의심케 하는 뻘소리” vs “진 선생이 멀리 간 듯”

    진중권·허지웅 ‘명량’ 두고 설전 “자질을 의심케 하는 뻘소리” vs “진 선생이 멀리 간 듯”

    영화평론가 겸 방송인 허지웅이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명량’을 혹평한 진중권 동양대 교수에게 일침을 가해 화제다. 허지웅은 13일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진(중권) 선생이나 저나 어그로 전문가지만 이건 아니죠. 저는 ‘명량’이 전쟁 장면이 1시간이라서 훌륭하다고 평가한 적이 없습니다. 최소한 ‘졸작’이라거나 ‘수작’이라거나 한 마디만 툭 던져 평가될 영화가 아니라는 건 확실하죠. 장점도 단점도 워낙에 뚜렷하니”라는 글을 남겼다. 이어 “저는 이미 그 단점과 장점을 간단히 글로 정리해 게시한 바 있는데도 정확한 소스 확인 없이 본인 주장을 위해 대충 눙쳐 왜곡하면서 심지어 자질 운운한 건 진 선생이 너무 멀리 간 듯”이라면서 “저는 자질 언급은 안하겠고 판을 깔고 싶으실 땐 조금만 더 정교하게”라고 덧붙였다. 앞서 진 교수는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짜증나네. 그냥 명량은 영화적 완성도가 떨어집니다. 그 이야기 했을 뿐인데, 애국심이니 486이니 육갑들을 떨어요”라면서 “명량이 훌륭하다고 생각한다면, 영화적으로 어떤 면이 뛰어난지 이야기하면 됩니다. 하다 못해 허지웅처럼 전쟁 장면을 1시간 이상 끌고 갔다는 둥 물론 자질을 의심케 하는 뻘소리지만”이라는 글을 남겨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또 진 교수는 지난 6일 “영화 ‘명량’은 솔직히 졸작이다. 흥행은 영화의 인기라기보다 이순신 장군의 인기로 해석해야 할 듯. ‘활’은 참 괜찮았는데”라는 글로 혹평한 바 있다. ‘명량’은 개봉 12일 만에 누적 관객수 1000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네티즌들은 “진중권 허지웅, 제대로 맞붙었네”, “진중권 허지웅, 그냥 자기가 좋아하는 스타일로 영화 보는 거지”, “진중권 허지웅, 어그로 제대로 끄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허지웅 명량 평가 놓고 진중권 트윗 설전…양측 돌직구 대결 결과는?

    허지웅 명량 평가 놓고 진중권 트윗 설전…양측 돌직구 대결 결과는?

    허지웅 명량 평가 놓고 진중권 트윗 설전…양측 돌직구 대결 결과는? 영화평론가 겸 방송인 허지웅이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명량’을 혹평한 진중권 동양대 교수에게 일침을 가해 화제다. 허지웅은 13일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진(중권) 선생이나 저나 어그로 전문가지만 이건 아니죠. 저는 ‘명량’이 전쟁 장면이 1시간이라서 훌륭하다고 평가한 적이 없습니다. 최소한 ‘졸작’이라거나 ‘수작’이라거나 한 마디만 툭 던져 평가될 영화가 아니라는 건 확실하죠. 장점도 단점도 워낙에 뚜렷하니”라는 글을 남겼다. 이어 “저는 이미 그 단점과 장점을 간단히 글로 정리해 게시한 바 있는데도 정확한 소스 확인 없이 본인 주장을 위해 대충 눙쳐 왜곡하면서 심지어 자질 운운한 건 진 선생이 너무 멀리 간 듯”이라면서 “저는 자질 언급은 안하겠고 판을 깔고 싶으실 땐 조금만 더 정교하게”라고 덧붙였다. 진 교수는 둘 사이의 설전이 화제가 되자 자신의 트위터에 “허지웅이 자세히 썼다는 글은 아직 못 읽어봤고, 그저 뉴스검색에 이런 기사가 걸리길래 어이가 없어서 한 말. 그의 발언 취지가 왜곡된 거라면, ‘자질’ 운운한 것은 그의 말대로 불필요한 어그로. 미안”이라는 글을 남겼다. 앞서 진 교수는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짜증나네. 그냥 명량은 영화적 완성도가 떨어집니다. 그 이야기 했을 뿐인데, 애국심이니 486이니 육갑들을 떨어요”라면서 “명량이 훌륭하다고 생각한다면, 영화적으로 어떤 면이 뛰어난지 이야기하면 됩니다. 하다 못해 허지웅처럼 전쟁 장면을 1시간 이상 끌고 갔다는 둥 물론 자질을 의심케 하는 뻘소리지만”이라는 글을 남겨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또 진 교수는 지난 6일 “영화 ‘명량’은 솔직히 졸작이다. 흥행은 영화의 인기라기보다 이순신 장군의 인기로 해석해야 할 듯. ‘활’은 참 괜찮았는데”라는 글로 혹평한 바 있다. ‘명량’은 개봉 12일 만에 누적 관객수 1000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네티즌들은 “진중권 허지웅, 두 사람 다 틀린 말은 아닌 듯”, “진중권 허지웅, 이런 문제로 정색하고 싸울 건 아닌 듯”, “진중권 허지웅, 서로 조금씩 양보하면서 어그로 끌기는 이제 끝나는 듯”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진중권 허지웅, 명량 평가 놓고 돌직구 발언 “도대체 무슨 얘길 했길래?”

    진중권 허지웅, 명량 평가 놓고 돌직구 발언 “도대체 무슨 얘길 했길래?”

    진중권 허지웅, 명량 평가 놓고 돌직구 발언 “도대체 무슨 얘길 했길래?” 영화평론가 겸 방송인 허지웅이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명량’을 혹평한 진중권 동양대 교수에게 일침을 가해 화제다. 허지웅은 13일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진(중권) 선생이나 저나 어그로 전문가지만 이건 아니죠. 저는 ‘명량’이 전쟁 장면이 1시간이라서 훌륭하다고 평가한 적이 없습니다. 최소한 ‘졸작’이라거나 ‘수작’이라거나 한 마디만 툭 던져 평가될 영화가 아니라는 건 확실하죠. 장점도 단점도 워낙에 뚜렷하니”라는 글을 남겼다. 이어 “저는 이미 그 단점과 장점을 간단히 글로 정리해 게시한 바 있는데도 정확한 소스 확인 없이 본인 주장을 위해 대충 눙쳐 왜곡하면서 심지어 자질 운운한 건 진 선생이 너무 멀리 간 듯”이라면서 “저는 자질 언급은 안하겠고 판을 깔고 싶으실 땐 조금만 더 정교하게”라고 덧붙였다. 앞서 진 교수는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짜증나네. 그냥 명량은 영화적 완성도가 떨어집니다. 그 이야기 했을 뿐인데, 애국심이니 486이니 육갑들을 떨어요”라면서 “명량이 훌륭하다고 생각한다면, 영화적으로 어떤 면이 뛰어난지 이야기하면 됩니다. 하다 못해 허지웅처럼 전쟁 장면을 1시간 이상 끌고 갔다는 둥 물론 자질을 의심케 하는 뻘소리지만”이라는 글을 남겨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또 진 교수는 지난 6일 “영화 ‘명량’은 솔직히 졸작이다. 흥행은 영화의 인기라기보다 이순신 장군의 인기로 해석해야 할 듯. ‘활’은 참 괜찮았는데”라는 글로 혹평한 바 있다. ‘명량’은 개봉 12일 만에 누적 관객수 1000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네티즌들은 “진중권 허지웅, 두 사람 제대로 싸우네”, “진중권 허지웅, 엄청나네. 재밌다”, “진중권 허지웅, 어떻게 이런 말을 할 수가 있지. 그냥 재미로 보는 건데”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진중권 “자질을 의심하는 뻘소리지만” 허지웅 “자질 운운하는 건 진 선생이 너무 멀리 간 듯”

    진중권 “자질을 의심하는 뻘소리지만” 허지웅 “자질 운운하는 건 진 선생이 너무 멀리 간 듯”

    진중권 “자질을 의심하는 뻘소리지만” 허지웅 “자질 운운하는 건 진 선생이 너무 멀리 간 듯” 영화평론가 겸 방송인 허지웅이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명량’을 혹평한 진중권 동양대 교수에게 일침을 가해 화제다. 허지웅은 13일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진(중권) 선생이나 저나 어그로 전문가지만 이건 아니죠. 저는 ‘명량’이 전쟁 장면이 1시간이라서 훌륭하다고 평가한 적이 없습니다. 최소한 ‘졸작’이라거나 ‘수작’이라거나 한 마디만 툭 던져 평가될 영화가 아니라는 건 확실하죠. 장점도 단점도 워낙에 뚜렷하니”라는 글을 남겼다. 이어 “저는 이미 그 단점과 장점을 간단히 글로 정리해 게시한 바 있는데도 정확한 소스 확인 없이 본인 주장을 위해 대충 눙쳐 왜곡하면서 심지어 자질 운운한 건 진 선생이 너무 멀리 간 듯”이라면서 “저는 자질 언급은 안하겠고 판을 깔고 싶으실 땐 조금만 더 정교하게”라고 덧붙였다. 앞서 진 교수는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짜증나네. 그냥 명량은 영화적 완성도가 떨어집니다. 그 이야기 했을 뿐인데, 애국심이니 486이니 육갑들을 떨어요”라면서 “명량이 훌륭하다고 생각한다면, 영화적으로 어떤 면이 뛰어난지 이야기하면 됩니다. 하다 못해 허지웅처럼 전쟁 장면을 1시간 이상 끌고 갔다는 둥 물론 자질을 의심케 하는 뻘소리지만”이라는 글을 남겨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또 진 교수는 지난 6일 “영화 ‘명량’은 솔직히 졸작이다. 흥행은 영화의 인기라기보다 이순신 장군의 인기로 해석해야 할 듯. ‘활’은 참 괜찮았는데”라는 글로 혹평한 바 있다. ‘명량’은 개봉 12일 만에 누적 관객수 1000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네티즌들은 “진중권 허지웅, 어그로 끄는데 선수들인데 제대로 맞붙은 듯”, “진중권 허지웅, 뭐 재미있게 봤으면 됐지 너무 심하게 비판하네”, “진중권 허지웅, 난 왜 싸우는 지 도대체 이유를 모르겠어”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진중권 허지웅 반박에 “미안” 짧은 사과…허지웅 뭐라고 했길래?

    진중권 허지웅 반박에 “미안” 짧은 사과…허지웅 뭐라고 했길래?

    진중권 허지웅 반박에 “미안” 짧은 사과…허지웅 뭐라고 했길래? 영화평론가 겸 방송인 허지웅이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명량’을 혹평한 진중권 동양대 교수에게 일침을 가해 화제다. 허지웅은 13일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진(중권) 선생이나 저나 어그로 전문가지만 이건 아니죠. 저는 ‘명량’이 전쟁 장면이 1시간이라서 훌륭하다고 평가한 적이 없습니다. 최소한 ‘졸작’이라거나 ‘수작’이라거나 한 마디만 툭 던져 평가될 영화가 아니라는 건 확실하죠. 장점도 단점도 워낙에 뚜렷하니”라는 글을 남겼다. 이어 “저는 이미 그 단점과 장점을 간단히 글로 정리해 게시한 바 있는데도 정확한 소스 확인 없이 본인 주장을 위해 대충 눙쳐 왜곡하면서 심지어 자질 운운한 건 진 선생이 너무 멀리 간 듯”이라면서 “저는 자질 언급은 안하겠고 판을 깔고 싶으실 땐 조금만 더 정교하게”라고 덧붙였다. 진 교수는 둘 사이의 설전이 화제가 되자 자신의 트위터에 “허지웅이 자세히 썼다는 글은 아직 못 읽어봤고, 그저 뉴스검색에 이런 기사가 걸리길래 어이가 없어서 한 말. 그의 발언 취지가 왜곡된 거라면, ‘자질’ 운운한 것은 그의 말대로 불필요한 어그로. 미안”이라는 글을 남겼다. 앞서 진 교수는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짜증나네. 그냥 명량은 영화적 완성도가 떨어집니다. 그 이야기 했을 뿐인데, 애국심이니 486이니 육갑들을 떨어요”라면서 “명량이 훌륭하다고 생각한다면, 영화적으로 어떤 면이 뛰어난지 이야기하면 됩니다. 하다 못해 허지웅처럼 전쟁 장면을 1시간 이상 끌고 갔다는 둥 물론 자질을 의심케 하는 뻘소리지만”이라는 글을 남겨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또 진 교수는 지난 6일 “영화 ‘명량’은 솔직히 졸작이다. 흥행은 영화의 인기라기보다 이순신 장군의 인기로 해석해야 할 듯. ‘활’은 참 괜찮았는데”라는 글로 혹평한 바 있다. ‘명량’은 개봉 12일 만에 누적 관객수 1000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네티즌들은 “진중권 허지웅, 제대로 싸우네. 황당”, “진중권 허지웅, 뭐 그냥 영화 평가하는 건데 서로 생각이 다를 수도 있지”, “진중권 허지웅, 대놓고 어그로 끄네. 흥미진진한데”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진중권 허지웅 명량 감상평 트윗 설전 결론은? “자질 운운한 건 불필요한 어그로. 미안”

    진중권 허지웅 명량 감상평 트윗 설전 결론은? “자질 운운한 건 불필요한 어그로. 미안”

    진중권 허지웅 명량 감상평 트윗 설전 결론은? “자질 운운한 건 불필요한 어그로. 미안” 영화평론가 겸 방송인 허지웅이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명량’을 혹평한 진중권 동양대 교수에게 일침을 가해 화제다. 허지웅은 13일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진(중권) 선생이나 저나 어그로 전문가지만 이건 아니죠. 저는 ‘명량’이 전쟁 장면이 1시간이라서 훌륭하다고 평가한 적이 없습니다. 최소한 ‘졸작’이라거나 ‘수작’이라거나 한 마디만 툭 던져 평가될 영화가 아니라는 건 확실하죠. 장점도 단점도 워낙에 뚜렷하니”라는 글을 남겼다. 이어 “저는 이미 그 단점과 장점을 간단히 글로 정리해 게시한 바 있는데도 정확한 소스 확인 없이 본인 주장을 위해 대충 눙쳐 왜곡하면서 심지어 자질 운운한 건 진 선생이 너무 멀리 간 듯”이라면서 “저는 자질 언급은 안하겠고 판을 깔고 싶으실 땐 조금만 더 정교하게”라고 덧붙였다. 진 교수는 둘 사이의 설전이 화제가 되자 자신의 트위터에 “허지웅이 자세히 썼다는 글은 아직 못 읽어봤고, 그저 뉴스검색에 이런 기사가 걸리길래 어이가 없어서 한 말. 그의 발언 취지가 왜곡된 거라면, ‘자질’ 운운한 것은 그의 말대로 불필요한 어그로. 미안”이라는 글을 남겼다. 앞서 진 교수는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짜증나네. 그냥 명량은 영화적 완성도가 떨어집니다. 그 이야기 했을 뿐인데, 애국심이니 486이니 육갑들을 떨어요”라면서 “명량이 훌륭하다고 생각한다면, 영화적으로 어떤 면이 뛰어난지 이야기하면 됩니다. 하다 못해 허지웅처럼 전쟁 장면을 1시간 이상 끌고 갔다는 둥 물론 자질을 의심케 하는 뻘소리지만”이라는 글을 남겨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또 진 교수는 지난 6일 “영화 ‘명량’은 솔직히 졸작이다. 흥행은 영화의 인기라기보다 이순신 장군의 인기로 해석해야 할 듯. ‘활’은 참 괜찮았는데”라는 글로 혹평한 바 있다. ‘명량’은 개봉 12일 만에 누적 관객수 1000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네티즌들은 “진중권 허지웅, 명량 평가 서로 생각이 다를 수도 있지”, “진중권 허지웅, 이렇게 싸울 일은 아닌 것 같은데”, “진중권 허지웅, 이제 그만하고 더 싸우지 마세요. 보기 좋지 않음”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명량 관객수 1000만 돌파한 최민식 할리우드 대박, 영화 ‘루시’ 아찔한 흥행수입액 ‘대체 얼마?’

    명량 관객수 1000만 돌파한 최민식 할리우드 대박, 영화 ‘루시’ 아찔한 흥행수입액 ‘대체 얼마?’

    최민식 영화 ’루시’ 최민식이 주연한 할리우드 영화 ‘루시’가 대박을 터뜨렸다. 할리우드 영화 ‘루시’는 미국 박스 오피스 1위를 시작으로 전세계시장에서 1억달러 이상의 흥행수입을 만들어냈다. 뤽 베송 감독이 연출한 ‘루시’는 미국 박스오피스 1위뿐만 아니라, 호주, 불가리아, 캐나다 등에서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며 흥행 가도를 이어가며 제작비의 2배가 넘는 흥행 수입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영화 ‘명량’으로 ‘천만배우’로 거듭난 최민식에게는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는 겹경사이다. 최민식은 영화 ‘루시’에서 마약 조직의 보스로 출연하여 루시와 대립하는 악역을 맡았다. 루시 역에는 섹시 미녀여배우 스칼렛 요한슨이 맡았으며, 최민식은 영화 대부분을 한국어로 연기한다. 최민식의 연이은 영화 흥행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최민식 루시 대박”, “최민식 루시까지 흥행하다니”, “최민식 명량에 이어 루시까지 다 해먹어라”, “최민식 루시로 이제 당신도 헐리우드 배우”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사진=영화 ‘루시’ 공식 포스터(최민식 루시) 김민지 인턴기자 seoulen@seoul.co.kr
  • ‘명량’ 관객수 1130만 돌파, 한국영화 톱10에 안착

    ‘명량’ 관객수 1130만 돌파, 한국영화 톱10에 안착

    명량 관객수 1130만 돌파 초고속 흥행 행진으로 연일 매진을 기록하는 영화 ‘명량’이 누적 관객수 1130만을 돌파, 영화 ‘실미도’(1108만)을 앞지르며 한국영화 톱10위 자리를 차지했다. 영화 ‘명량’은 단 12척의 배로 330척에 달하는 왜군의 공격에 맞선 이순신 장군의 명량해전을 그린 영화로, 영화 ‘최종병기 활’을 연출한 김한민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또한, 국민배우 최민식을 비롯, 류승룡, 조진웅, 진구, 오타니 료헤이, 고경표 등이 가세하며 ‘명량’ 관객수 몰이에 힘을 실었다. 특히 배우 최민식은 자신이 주연한 할리우드 영화 ‘루시’가 미국 박스오피스 1위를 시작으로 전 세계시장에서 1억달러 이상의 흥행수입을 올린 것으로 알려져 그의 배우 인생 황금기 도래를 알렸다. 개봉 첫날부터 역대 최고의 오프닝 스코어(68만)를 선두로, 역대 최고 평일 스코어(98만), 역대 최고 일일 스코어(125만) 등 진기록을 세우고 있는 영화 ‘명량’이 연일 신기록을 수립하며 한국영화 흥행역사를 다시 쓰고 있다. 한국영화의 신기록을 만들어가는 영화 ‘명량’을 본 네티즌들은 “명량 관객수 대박”, “명량 관객수 아바타 넘을 듯” “명량 관객수 1130만 돌파 축하” 등의 반응을 보이며 영화 ‘명량’의 흥행을 응원했다. 이제 영화 ‘명량’은 국내 박스오피스 사상 최다 관객수 1330만을 기록한 영화 ‘아바타’의 고지만을 남겨두고 있다. 개봉 2주가 지난 현재, 여전히 높은 좌석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영화 ‘명량’이 영화 ‘아바타’의 기록을 깨고 국내 박스오피스 사상 최다 관객 수를 수립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사진=영화 명량 포스터 (명량 관객수) 김민지 인턴기자 seoulen@seoul.co.kr
  • 영화 ‘명량’ 관객수 900만 돌파…최단기간 1000만 돌파 기록 깨뜨릴지 주목

    영화 ‘명량’ 관객수 900만 돌파…최단기간 1000만 돌파 기록 깨뜨릴지 주목

    ‘영화 명량 관객수’ 영화 명량 관객 수가 900만명을 돌파했다. 이순신의 ‘명량해전’을 바탕으로 한 영화 ‘명량’이 역대 가장 빠른 속도로 900만 관객을 돌파했다. 이 영화 투자배급사 CJ 엔터테인먼트는 ‘명량’이 9일 오전 900만 명을 넘었다고 밝혔다. 이는 개봉 11일 만에 거둔 흥행 성적으로, ‘괴물’(2006)과 ‘도둑들’(2012)보다 8일이나 빠른 역대 최단 기록이다. 영화는 역대 최단 기간 200만 돌파(3일)를 비롯해 300만(4일), 400만(5일), 500만(6일), 600만(7일), 700만(8일), 800만(10일), 900만 돌파(11일) 기록을 다시 썼다. ’명량’은 개봉 2주차를 맞았지만, 여전히 흥행 속도가 줄어들지 않아 늦어도 10일에는 1000만 관객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명량 900만 돌파 소식에 네티즌들은 “명량 900만, 대단하다”, “명량 900만, 놀랍다”, “명량 900만, 이럴 수가” 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평론가 진중권, 영화 ‘명량’ 혹평 “솔직히 졸작” 흥행 이유는..

    평론가 진중권, 영화 ‘명량’ 혹평 “솔직히 졸작” 흥행 이유는..

    진중권 명량 문화평론가 진중권 동양대 교수가 흥행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는 김한민 감독의 영화 ‘명량’을 혹평했다. 진중권 교수는 6일 자신의 트위터에 “영화 명량은 솔직히 졸작이죠. 흥행은 영화의 인기라기보다 이순신 장군의 인기로 해석해야할 듯”이라며 “영화 ‘활’은 참 괜찮았는데”라며 김한민 감독의 전작 ‘최종병기 활’과 비교했다. 이순신 장군의 명량해전을 토대로 제작된 ‘명량’은 개봉 8일 만에 누적관객수 700만 명을 돌파했다. 이는 역대 가장 빠른 속도로 천만영화들인 ‘괴물’, ‘도둑들’, ‘관상’ 보다 5일 빠른 기록이다. 네티즌들은 “진중권 ‘명량’ 보고 말한 거야?”, “진중권 ‘명량’이 졸작이라는 이유가 뭐지?”, “진중권 주관적인 생각을 트위터에 말한 것뿐”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사진 = jtbc, cj엔터테인먼트 제공(진중권 명량) 연예팀 seoulen@seoul.co.kr
  • 진중권 교수, 영화 ‘명량’ 혹평

    진중권 교수, 영화 ‘명량’ 혹평

    문화평론가 진중권 교수는 6일 자신의 트위터에 “영화 명량은 솔직히 졸작이죠. 흥행은 영화의 인기라기보다 이순신 장군의 인기로 해석해야할 듯”이라며 “영화 ‘활’은 참 괜찮았는데”라며 김한민 감독의 전작 ‘최종병기 활’과 비교했다. 이순신 장군의 명량해전을 토대로 제작된 ‘명량’은 개봉 8일 만에 누적관객수 700만 명을 돌파했다. 이는 역대 가장 빠른 속도로 천만영화들인 ‘괴물’, ‘도둑들’, ‘관상’ 보다 5일 빠른 기록이다. 연예팀 seoulen@seoul.co.kr
  • 진중권, 영화 ‘명량’ 혹평.. 흥행 잘 되는데?

    진중권, 영화 ‘명량’ 혹평.. 흥행 잘 되는데?

    문화평론가 진중권 교수는 6일 자신의 트위터에 “영화 명량은 솔직히 졸작이죠. 흥행은 영화의 인기라기보다 이순신 장군의 인기로 해석해야할 듯”이라며 “영화 ‘활’은 참 괜찮았는데”라며 김한민 감독의 전작 ‘최종병기 활’과 비교했다. 이순신 장군의 명량해전을 토대로 제작된 ‘명량’은 개봉 8일 만에 누적관객수 700만 명을 돌파했다. 이는 역대 가장 빠른 속도로 천만영화들인 ‘괴물’, ‘도둑들’, ‘관상’ 보다 5일 빠른 기록이다. 연예팀 seoulen@seoul.co.kr
  • 진중권, 영화 ‘명량’ 혹평

    진중권, 영화 ‘명량’ 혹평

    문화평론가 진중권 교수는 6일 자신의 트위터에 “영화 명량은 솔직히 졸작이죠. 흥행은 영화의 인기라기보다 이순신 장군의 인기로 해석해야할 듯”이라며 “영화 ‘활’은 참 괜찮았는데”라며 김한민 감독의 전작 ‘최종병기 활’과 비교했다. 이순신 장군의 명량해전을 토대로 제작된 ‘명량’은 개봉 8일 만에 누적관객수 700만 명을 돌파했다. 이는 역대 가장 빠른 속도로 천만영화들인 ‘괴물’, ‘도둑들’, ‘관상’ 보다 5일 빠른 기록이다. 연예팀 seoulen@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