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영화
    2025-09-0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04,780
  • 韩流偶像BTS成员田柾国为《K-pop猎魔女团》动画电影感动落泪

    韩流偶像BTS成员田柾国为《K-pop猎魔女团》动画电影感动落泪

    近日,韩国超人气偶像组合BTS成员田柾国在粉丝社区平台Weverse的直播中,与全球粉丝分享了他观看Netflix动画电影《K-pop猎魔女团》(以下简称《Kedehun》)后的感受,并透露自己被电影情节深深打动,甚至流下了热泪。 在直播中,田柾国激动地表示:“我看了《Kedehun》后直接泪崩。”他特别提到电影中的一个燃爆场景:当主角大喊“我要创造属于自己的魂门!”并冲向表演舞台时,他的眼眶瞬间湿润了。 田柾国还与粉丝们一起实时观看了电影中主角为了保护Lumi而勇敢牺牲自己的感人情节。他一边观看一边感叹:“为什么要独自承受呢?一起并肩作战不就好了吗?为什么要转过身去挡呢?”他感慨道:“既然已经付出了灵魂,两个人就应该好好活下去,为什么要这么做呢?”说到这里,他不禁流下了眼泪。 田柾国还提到:”最近一感到那种激动的心情,我就会心里满满的...”他哽咽着,无法继续说下去,只能用手势表达自己的情感。随后,他向粉丝们说道:“你们懂的。”以此来分享自己的感受。 《Kedehun》是一部将K-pop女团与驱魔故事完美结合的Netflix动画电影。影片巧妙地将韩国传统文化与K-pop偶像世界无缝融合,凭借其高质量的制作和独特的创意在年轻观众中获得了超高人气。 此外,电影的原声带(OST)也火到不行。其中有7首歌曲成功进入了美国Billboard单曲榜“Hot 100”,并且在Spotify美国日榜上直接登顶。 这部电影不仅在韩国国内引发了强烈反响,也在全球范围内收获了大量年轻粉丝的喜爱。田柾国的真情流露更是让这部电影在粉丝群体中引发了新一轮的讨论热潮。 周雅雯 通讯员 BTS정국, ‘케데헌’ 시청 중 감동의 눈물… “벅차오를 때마다 울컥” 솔직 고백 글로벌 슈퍼스타 방탄소년단(BTS) 멤버 정국이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을 감상하며 깊은 감동의 눈물을 흘린 사실이 알려져 화제다. 정국은 최근 팬 커뮤니티 플랫폼 위버스 라이브 방송을 통해 영화 시청 후기를 공유하며 팬들과 진솔하게 소통했다. 정국은 방송에서 “케데헌을 보고 그냥 눈물이 터졌어요”라고 밝히며 영화의 핵심 감동 포인트를 짚었다. 특히 주인공이 “나만의 혼문을 만들 거야!”라고 외치며 공연장으로 달려드는 장면에서 “눈가가 금방 촉촉해졌다”고 털어놨다. 정국은 또 극 중 주인공 진우가 루미를 보호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장면을 팬들과 함께 시청하는 등 극도로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몸 던지지 말지, 같이 싸우면 되지. 왜 굳이 등져서 그걸 막냐”라고 탄식한 뒤 “영혼까지 줬으면 둘이 열심히 살 생각을 해야지, 뭐 하는 짓이야”라며 감정이 북받쳐 눈물을 흘리는 모습은 팬들에게 공감을 안겼다. 정국은 이내 “요즘 벅차면…”이라며 말을 잇지 못하며 손짓으로 감정을 대신 표현했다. 이후 그는 팬들에게 “뭔지 알지”라고 말하며 자신의 복잡한 심경을 내비치기도 했다. 케데헌은 K-pop 걸그룹과 퇴마 이야기를 결합한 독특한 설정의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다. 한국 전통문화와 K-pop 아이돌 세계관을 성공적으로 융합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폭발적 인기를 얻고 있다. 오리지널 사운드트랙(OST) 역시 큰 성공을 거두며 인기를 증명했다. OST 수록곡 중 7곡이 미국 빌보드 싱글 순위 “Hot 100”에 진입하는 등 음원 시장에서도 강력한 파급력을 보여주고 있다.
  • 韩流偶像BTS成员田柾国为《K-pop猎魔女团》动画电影感动落泪

    韩流偶像BTS成员田柾国为《K-pop猎魔女团》动画电影感动落泪

    近日,韩国超人气偶像组合BTS成员田柾国在粉丝社区平台Weverse的直播中,与全球粉丝分享了他观看Netflix动画电影《K-pop猎魔女团》(以下简称《Kedehun》)后的感受,并透露自己被电影情节深深打动,甚至流下了热泪。 在直播中,田柾国激动地表示:“我看了《Kedehun》后直接泪崩。”他特别提到电影中的一个燃爆场景:当主角大喊“我要创造属于自己的魂门!”并冲向表演舞台时,他的眼眶瞬间湿润了。 田柾国还与粉丝们一起实时观看了电影中主角为了保护Lumi而勇敢牺牲自己的感人情节。他一边观看一边感叹:“为什么要独自承受呢?一起并肩作战不就好了吗?为什么要转过身去挡呢?”他感慨道:“既然已经付出了灵魂,两个人就应该好好活下去,为什么要这么做呢?”说到这里,他不禁流下了眼泪。 田柾国还提到:”最近一感到那种激动的心情,我就会心里满满的...”他哽咽着,无法继续说下去,只能用手势表达自己的情感。随后,他向粉丝们说道:“你们懂的。”以此来分享自己的感受。 《Kedehun》是一部将K-pop女团与驱魔故事完美结合的Netflix动画电影。影片巧妙地将韩国传统文化与K-pop偶像世界无缝融合,凭借其高质量的制作和独特的创意在年轻观众中获得了超高人气。 此外,电影的原声带(OST)也火到不行。其中有7首歌曲成功进入了美国Billboard单曲榜“Hot 100”,并且在Spotify美国日榜上直接登顶。 这部电影不仅在韩国国内引发了强烈反响,也在全球范围内收获了大量年轻粉丝的喜爱。田柾国的真情流露更是让这部电影在粉丝群体中引发了新一轮的讨论热潮。 周雅雯 通讯员 주아문 통신원 BTS정국, ‘케데헌’ 시청 중 감동의 눈물… “벅차오를 때마다 울컥” 솔직 고백 글로벌 슈퍼스타 방탄소년단(BTS) 멤버 정국이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를 감상하며 감동의 눈물을 흘린 사실이 알려져 화제다. 정국은 최근 팬 커뮤니티 플랫폼 위버스 라이브 방송을 통해 영화 시청 후기를 공유하며 팬들과 진솔하게 소통했다. 정국은 방송에서 “케데헌을 보고 그냥 눈물이 터졌어요”라고 밝히며 영화의 감동 포인트를 짚었다. 특히 주인공이 “나만의 혼문을 만들 거야!”라고 외치며 공연장으로 달려드는 장면에서 “눈가가 금방 촉촉해졌다”고 털어놨다. 정국은 또 극중 주인공 진우가 루미를 보호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장면을 팬들과 함께 시청하는 등 극도로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몸 던지지 말지, 같이 싸우면 되지. 왜 굳이 등져서 그걸 막냐”라고 탄식한 뒤 “영혼까지 줬으면 둘이 열심히 살 생각을 해야지, 뭐 하는 짓이야”라며 감정이 북받쳐 눈물을 흘리는 모습은 팬들에게 공감을 안겼다. 정국은 이내 “요즘 벅차면…”이라며 말을 잇지 못하며 손짓으로 감정을 대신 표현했다. 이후 그는 팬들에게 “뭔지 알지”라고 말하며 자신의 복잡한 심경을 내비치기도 했다. 케데헌은 K팝 걸그룹과 퇴마 이야기를 결합한 독특한 설정의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다. 한국 전통문화와 K팝 아이돌 세계관을 성공적으로 융합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폭발적 인기를 얻고 있다. 오리지널 사운드트랙(OST) 역시 큰 성공을 거두며 인기를 증명했다. OST 수록곡 중 7곡이 미국 빌보드 싱글 순위 “Hot 100”에 진입하는 등 음원 시장에서도 강력한 파급력을 보여주고 있다.
  • “내 위치 SNS 공유 안 해요”…美 ‘경호요원 딸’이 배운 일상의 안전 습관

    “내 위치 SNS 공유 안 해요”…美 ‘경호요원 딸’이 배운 일상의 안전 습관

    가장 중요한 생활 습관은 ‘상황 인식’중고 거래 등 낯선 사람과 만남은 공공장소‘괜찮겠지’ 안일함 안 돼늘 앞서 준비하는 자세 필요 미국 대통령 등 주요 인사를 25년간 지켜온 비밀경호국 요원을 아버지로 둔 30대 여성이 어릴 때부터 배운 ‘안전을 위한 생활 습관’을 공개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자신의 성을 밝히지 말아 달라고 요청한 워싱턴 DC 출신의 애슐리(36)는 13일(현지시간) 공개된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과의 인터뷰에서 아버지가 대통령 등 고위 인사를 경호하는 임무뿐 아니라 국가 금융 인프라 관련 위협 수사도 담당했었다면서 “어릴 때부터 가족에게도 똑같은 수준의 안전 원칙을 가르쳤고 지금도 나는 그 원칙을 지키며 살고 있다”고 말했다. 애슐리가 가장 강조한 생활 습관은 ‘상황 인식’이다. 어떤 장소에 들어갔을 때 출입구가 어디에 있고 주변에 누가 있는지 몇 초 안에 파악하는 것이다. 이는 한국에서도 지하철역, 영화관, 백화점 등 사람이 많은 곳에서 유사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필요한 습관이 될 수 있다. 또 실시간으로 자신의 위치를 소셜미디어(SNS) 등에 공유하지 않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 내가 어디 있는지를 누군가가 실시간으로 아는 건 나를 직접 따라오라는 초대장과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 특히 여행 중에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실시간 위치를 올리는 등 SNS에 위치 태그를 남기는 사람들에게는 경각심을 주는 대목일 수 있다. 애슐리는 어두워진 시간대에는 혼자서 달리기와 같은 운동을 하지 않으며, 차에 탑승할 때는 주차장에서 머무는 시간도 최소화한다고 밝혔다. 차에 타면 곧장 문을 잠그고 즉시 출발하며 차 안이나 주차장에 혼자 오래 머물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최근 한국 내 아파트 지하 주차장이나 외진 공용 주차장 등에서 발생한 여성 대상 범죄 사건들과도 연결되는 실질적 대처 방안일 수 있다. 데이트나 개인 간 중고 거래 상황에서도 그의 원칙은 확고하다. 낯선 사람을 집 앞으로 부르는 일은 없으며 누군가를 처음 만날 땐 반드시 “공공장소에서 만나자”고 한다. 그는 “첫 데이트 때 상대가 집으로 데리러 오는 게 자연스럽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상대의 의도를 아직 모르는 상황에서 집 주소를 먼저 알게 해선 안 된다”고 설명했다. 물론 한국에서는 첫 데이트 때부터 집으로 상대를 초대하는 경우는 없겠지만, 중고 거래 플랫폼을 통한 직거래가 활발해진 만큼 지하철역 등 사람 많은 장소에서의 거래를 권장하는 분위기도 확산하는 추세다. 특히 애슐리는 “나는 괜찮을 거야, 나만은 안 당할 거야”라는 안일한 생각이 가장 위험하다고 언급했다. 아무리 젊고 힘이 세고 영리하더라도 범죄 상황은 예고 없이 찾아오며 예외가 없다는 사실을 자신의 아버지가 늘 강조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두려움 탓에 내가 좋아하는 일들을 멈추진 않는다”면서 “범죄 피해 확률은 통계적으로 낮지만 대비된 사람은 위기 상황에서도 침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준비와 경계는 삶을 위축시키는 게 아니라 자유를 확장하는 조건이라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어릴 적 아버지가 대통령 경호를 맡느라 졸업식이나 생일 같은 중요한 순간들을 자주 함께하지 못했던 점에 대해서는 아쉬움도 있지만, “은퇴 후에는 그 시간을 10배로 채워줬다”며 웃었다. 현재 두 아이의 어머니가 된 애슐리는 아이들에게도 아버지에게 배운 원칙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 아이 이름은 가방에 쓰지 않고 공공장소에서는 출입구를 볼 수 있는 자리에 앉도록 지도한다. 낯선 사람이 다가와 “엄마가 보냈다”고 하는 말을 곧이곧대로 믿지 않도록 가족끼리만 아는 ‘암호’ 같은 단어를 정해두는 방법도 실천 중이다. 애슐리의 조언은 미국 내 특수한 보안 사례에 머무르지 않는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SNS 실시간 노출, 혼자 있는 여성 대상 범죄, 1인 중고 거래 증가 등 한국 사회의 일상 위험 요소와도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 가장 중요한 건 단 하나다. “나는 괜찮을 거야”라는 안심보다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자”는 자세다.
  • “내 위치 SNS 공유 안 해요”…美 ‘경호요원 딸’이 배운 일상의 안전 습관

    “내 위치 SNS 공유 안 해요”…美 ‘경호요원 딸’이 배운 일상의 안전 습관

    가장 중요한 생활 습관은 ‘상황 인식’중고 거래 등 낯선 사람과 만남은 공공장소‘괜찮겠지’ 안일함 안 돼늘 앞서 준비하는 자세 필요 미국 대통령 등 주요 인사를 25년간 지켜온 비밀경호국 요원을 아버지로 둔 30대 여성이 어릴 때부터 배운 ‘안전을 위한 생활 습관’을 공개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자신의 성을 밝히지 말아 달라고 요청한 워싱턴 DC 출신의 애슐리(36)는 13일(현지시간) 공개된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과의 인터뷰에서 아버지가 대통령 등 고위 인사를 경호하는 임무뿐 아니라 국가 금융 인프라 관련 위협 수사도 담당했었다면서 “어릴 때부터 가족에게도 똑같은 수준의 안전 원칙을 가르쳤고 지금도 나는 그 원칙을 지키며 살고 있다”고 말했다. 애슐리가 가장 강조한 생활 습관은 ‘상황 인식’이다. 어떤 장소에 들어갔을 때 출입구가 어디에 있고 주변에 누가 있는지 몇 초 안에 파악하는 것이다. 이는 한국에서도 지하철역, 영화관, 백화점 등 사람이 많은 곳에서 유사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필요한 습관이 될 수 있다. 또 실시간으로 자신의 위치를 소셜미디어(SNS) 등에 공유하지 않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 내가 어디 있는지를 누군가가 실시간으로 아는 건 나를 직접 따라오라는 초대장과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 특히 여행 중에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실시간 위치를 올리는 등 SNS에 위치 태그를 남기는 사람들에게는 경각심을 주는 대목일 수 있다. 애슐리는 어두워진 시간대에는 혼자서 달리기와 같은 운동을 하지 않으며, 차에 탑승할 때는 주차장에서 머무는 시간도 최소화한다고 밝혔다. 차에 타면 곧장 문을 잠그고 즉시 출발하며 차 안이나 주차장에 혼자 오래 머물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최근 한국 내 아파트 지하 주차장이나 외진 공용 주차장 등에서 발생한 여성 대상 범죄 사건들과도 연결되는 실질적 대처 방안일 수 있다. 데이트나 개인 간 중고 거래 상황에서도 그의 원칙은 확고하다. 낯선 사람을 집 앞으로 부르는 일은 없으며 누군가를 처음 만날 땐 반드시 “공공장소에서 만나자”고 한다. 그는 “첫 데이트 때 상대가 집으로 데리러 오는 게 자연스럽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상대의 의도를 아직 모르는 상황에서 집 주소를 먼저 알게 해선 안 된다”고 설명했다. 물론 한국에서는 첫 데이트 때부터 집으로 상대를 초대하는 경우는 없겠지만, 중고 거래 플랫폼을 통한 직거래가 활발해진 만큼 지하철역 등 사람 많은 장소에서의 거래를 권장하는 분위기도 확산하는 추세다. 특히 애슐리는 “나는 괜찮을 거야, 나만은 안 당할 거야”라는 안일한 생각이 가장 위험하다고 언급했다. 아무리 젊고 힘이 세고 영리하더라도 범죄 상황은 예고 없이 찾아오며 예외가 없다는 사실을 자신의 아버지가 늘 강조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두려움 탓에 내가 좋아하는 일들을 멈추진 않는다”면서 “범죄 피해 확률은 통계적으로 낮지만 대비된 사람은 위기 상황에서도 침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준비와 경계는 삶을 위축시키는 게 아니라 자유를 확장하는 조건이라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어릴 적 아버지가 대통령 경호를 맡느라 졸업식이나 생일 같은 중요한 순간들을 자주 함께하지 못했던 점에 대해서는 아쉬움도 있지만, “은퇴 후에는 그 시간을 10배로 채워줬다”며 웃었다. 현재 두 아이의 어머니가 된 애슐리는 아이들에게도 아버지에게 배운 원칙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 아이 이름은 가방에 쓰지 않고 공공장소에서는 출입구를 볼 수 있는 자리에 앉도록 지도한다. 낯선 사람이 다가와 “엄마가 보냈다”고 하는 말을 곧이곧대로 믿지 않도록 가족끼리만 아는 ‘암호’ 같은 단어를 정해두는 방법도 실천 중이다. 애슐리의 조언은 미국 내 특수한 보안 사례에 머무르지 않는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SNS 실시간 노출, 혼자 있는 여성 대상 범죄, 1인 중고 거래 증가 등 한국 사회의 일상 위험 요소와도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 가장 중요한 건 단 하나다. “나는 괜찮을 거야”라는 안심보다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자”는 자세다.
  • 노원구, 어르신 문화공간 ‘청춘카페’ 공연·강좌 인기

    노원구, 어르신 문화공간 ‘청춘카페’ 공연·강좌 인기

    서울 노원구는 어르신들의 문화·여가생활을 지원하는 ‘청춘카페’가 호응을 얻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청춘카페는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아메리카노 500원, 토스트 1000원과 같이 저렴한 가격으로 음료와 간식을 제공하는 복합 문화 공간이다. 2010년 중계역 인근에 조성한 노원실버카페를 시작으로 현재 공릉·월계·중계 등 4곳에서 운영 중이다. 지난해 누적 이용객 수는 약 27만명에 달했다. 민요·트로트·악기 연주·댄스 공연도 선보인다. 지난해 832회 공연에 하루 평균 약 580명의 관람객이 몰렸다. 아울러 시낭송치유·웃음체조 등 교양강좌와 영화 상영도 하고 있다. 바리스타와 홀서빙 등 운영 인력도 어르신으로 구성해 103명이 참여 중이다. 2028년 완공을 목표로 상계평생교육원 1층에 신규 청춘카페 개점을 검토하고 있다. 수락노인종합복지관에서는 건강증진 시설부터 일자리 교육실, 어르신상담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지역 내 노인여가복지시설은 265곳이다. 서울시 자치구 중 가장 많다. 오승록 노원구청장은 “급속한 고령화 시대에 어르신이 존중받고 활기찬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다채로운 복지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14년만에 TV시리즈로 돌아온 ‘해리 포터’…호그와트 교복 입은 주인공 공개했다

    14년만에 TV시리즈로 돌아온 ‘해리 포터’…호그와트 교복 입은 주인공 공개했다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었던 베스트셀러 ‘해리 포터’를 원작으로 한 TV 시리즈가 제작에 들어간 가운데, 새로운 해리 포터의 모습이 공개됐다. 14일(현지시간) 워너브러더스 디스커버리는 자사의 영국 스튜디오에서 HBO 오리지널 해리 포터 시리즈 제작을 시작했다고 전했다. 영화 해리 포터 시리즈 완결 14년 만에 새롭게 제작되는 이번 시리즈는 2027년에 HBO 채널과 스트리밍 플랫폼 HBO 맥스 등을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이날 새 시리즈에서 주인공 해리 포터 역을 맡은 아역 배우 도미닉 매클로플린이 분장한 모습도 공개됐다. 이마의 흉터와 동그란 테의 안경, 반곱슬머리, 호그와트 교복 등이 원작 속 해리 포터의 모습을 연상시켰다. 앞서 지난 5월 워너브러더스는 해리 포터 역의 매클로플린을 비롯해 헤르미온느 그레인저 역의 배우 아라벨라 스탠턴, 론 위즐리 역의 배우 알라스테어 스투트를 캐스팅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진행된 공개 오디션에 3만여 명의 지원자가 몰린 가운데, 이 경쟁을 뚫고 주인공 역을 쟁취한 배우들이다. 한편 해리 포터 시리즈는 영국 작가 조앤 롤링이 집필한 소설로 1997년 발간된 이후 4억 5000만부 이상 판매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다.
  • 이렇게 시원한데 ‘모두 무료’…서울 도심 피서 ‘북캉스’, 요즘 어디가 뜰까 [뚜벅뚜벅 대한민국]

    이렇게 시원한데 ‘모두 무료’…서울 도심 피서 ‘북캉스’, 요즘 어디가 뜰까 [뚜벅뚜벅 대한민국]

    예년보다 빨리 찾아온 무더위 탓에 올여름에는 일찍부터 에어컨을 켰다는 가정이 많다. 더위를 식히려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지만, 곧 날아올 전기요금 청구서에 어떤 액수가 적혀 있을지 걱정이 만만찮다. 서울시는 시민들의 여름철 고민을 덜기 위해 공공도서관을 ‘도심 속 피서지’로 가꿨다. 최근 눈길을 사로잡는 형태의 도서관이 여럿 문을 열면서 시민들의 관심도 높아진 터다. 지난해 기준 212곳의 공공도서관을 보유한 서울에서는 숲속도서관, 성곽도서관 등 다양한 도서관을 만나볼 수 있다. 단순히 특이한 것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 지어진 곳들이라 더욱 눈길을 끈다. 특히 시는 이달부터 다음 달 31일까지 두 달간 중구 서울도서관을 비롯해 관내 공공도서관 190곳에서 ‘도서관은 쿨하다’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가정 냉방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독서문화를 활성화하는 게 목표다. ‘더위를 물리칠 공포 이야기’, ‘여름 바다 케이크 만들기’, ‘가족 영화 상영회’ 등 총 1210개의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여름맞이 피서 캠페인이 열리는 도서관들은 형태도 각양각색이다. 볼거리, 읽을거리, 즐길 거리를 모두 갖춘 ‘무료 피서지’, 서울의 이색 공공도서관들을 소개한다. 한옥과 산이 주는 여유, 서울 청운문학도서관○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36길 40 (청운동) 청와대 뒤편 북악산자락 청운동에는 고즈넉한 ‘한옥 도서관’이 있다. 청운문학도서관이다. 수제 기와를 사용해 지은 전통 한옥을 도서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시나 소설, 수필 위주의 다양한 문학 서적을 소장하고 있다. 한옥 안에 있는 자료실과 열람실은 네모나고 딱딱한 도서관의 이미지를 금세 지워준다. 마루 너머로 작은 폭포가 시원하게 떨어지는 모습도 감상할 수 있으니 여름 명소로 제격이다. 각종 독서 모임 등을 위한 장소도 제공하고, 문학작품 기획전시와 인문학 강연도 주기적으로 열리는 만큼 관심을 가져볼 법하다. 청운문학도서관 전통 따라 걷다 보니, 서울 다산성곽도서관○ 서울 중구 동호로17길 173 (신당동) 서울 신라호텔 뒤편 남산자락 성곽길에 있는 다산성곽도서관은 공영주차장 위쪽 공간을 꾸며 만든 도서관이다. 빽빽한 도심과 한적한 동네의 전망이 한데 어우러진다. 이곳 도서관의 가장 큰 특징은 자연의 이미지를 살린 내부 공간이다. 곡선을 살린 원형 책장, 바깥 풍경을 한눈에 담을 수 있는 폴딩 도어가 여유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내부 곳곳에서는 실내 정원도 눈에 띈다. 도서관이니만큼 책을 읽는 것도 좋지만, 그저 앉아서 쉬는 것만으로도 휴식이 된다. 더위를 피해 건물 안으로 들어왔지만 마치 나들이를 떠나온 것 같은 느낌을 준다. 다산성곽도서관 숲속에 둘러싸인 편안함, 오동숲속도서관○ 서울 성북구 화랑로13가길 110-10 (하월곡동) 월곡동 동덕여자대학교 뒤편 월곡산자락에는 지은 지 약 2년 된 ‘숲속 도서관’이 있다. 숲속에 있는 커다란 오두막처럼 생긴 건물인지라 도서관이라는 안내가 없다면 도서관인 줄도 모를 듯 독특한 형태다. 친환경 목재로 지어진 오동숲속도서관은 ‘독서와 치유’, ‘조화’ 등이 핵심이다. 주변이 아파트로 둘러싸인 공원 한가운데 있음에도 이곳만큼은 한적하다. 장서도 7600여권으로 부족하지 않다. 단층 건물이지만 층고가 7.5m로 높아 내부로 들어서면 탁 트여 있다는 인상을 준다. 사방이 숲으로 둘러싸여 있어 한여름에도 시각적으로 시원하다고 느끼게 하고, 주변 풍광이 목조 건물과 어우러져 지친 심신을 달래준다. 자연 속에 있다는 특징을 잘 살려 주기적으로 어린이들을 위한 체험 행사도 여는 만큼 가족 단위로 방문하기에 좋다. 오동숲속도서관 보는 재미가 있는, 내를 건너서 숲으로 도서관○ 서울 은평구 증산로17길 50 (신사동) 이름부터 마치 동요 가사와 같은 내를건너서숲으로도서관(내숲도서관)은 은평 신사동 봉산자락 동네에 자리를 잡고 있다. 구립 도서관이라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역동적인 외형이 특징이다. ‘도서관을 매개로 도시와 숲을 연결한다’는 철학으로 지은 건축가 조진만의 작품이다. 고(故) 윤동주(1917~1945) 시인 탄생 100주년 기념을 위해 설립된 내숲도서관에서는 그를 기리는 전시도 열리고 있다. 도서관 위치 역시 윤동주 시인이 학창 시절을 보낸 평양 숭실중학교의 후신인 숭실중·고등학교 인근이다. 넓게 구성된 창과 천장에 달린 채광창은 날이 좋은 날이라면 전등이 필요치 않게 만들어준다. 시원한 개방감을 즐기며 여름철 시원하게 시 문학을 음미하고 싶다면 마음 먹고 방문해봄직한 이색 공간이다. 내를 건너서 숲으로 도서관
  • 美 F-16, ‘정체불명 비행체’와 충돌…“러·중국도 아냐, 첨단 UFO?”

    美 F-16, ‘정체불명 비행체’와 충돌…“러·중국도 아냐, 첨단 UFO?”

    미국에서 훈련 비행하던 F-16 전투기가 정체불명의 비행체와 충돌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돼 첨단 미확인비행물체(UFO)에 대한 논란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미국 폭스뉴스는 13일(현지시간) 미 국방부의 최근 기밀 해제 문서를 미 공군 측에 확인하고 2023년 1월 애리조나주 힐라 벤드 상공에서 훈련하던 F-16 바이퍼 전투기의 조종석 투명 덮개에 알 수 없는 비행체가 충돌했다고 보도했다. 당시 뒷좌석에 탑승한 교관 조종사가 이를 처음 목격했으며 초기 조사에서 조류 충돌 가능성은 없다고 판단됐다. 이 전투기는 7000만 달러(약 940억원)에 달하는 고가의 장비로 투명 덮개에 금이 갔을 뿐 기체 손상은 없다고 보고됐다. 다만 실제 파손된 사진은 공개되지 않았다. 미 공군 대변인은 이 전투기에 충돌한 비행체가 드론으로 판단됐으나 어느 곳에서 어떤 경로로 날아왔는지, 누가 조종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사건은 이후 하루 동안 보고된 미확인 비행현상(UAP) 사례 4건 중 첫 번째로 기록됐다고 미국 군사 전문 매체 워존(TWZ)이 연방항공청(FAA)으로부터 입수한 문서를 인용해 보도한 바 있다. UAP는 미 정부가 UFO 대신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다. 미 국방부 산하 ‘전영역 이상현상 조사국’(AARO)이 공개한 비밀 해제 문서에는 2023년 5월 1일부터 2024년 6월 1일까지 1년간 미국 전역에서 UAP 관련 사건이 757건 발생했다고 기록돼 있다. 이 중 708건은 공중에서 발생했으며 49건만이 ‘사건 종결’로 분류됐다. 또한 핵시설과 발사장, 무기 배치 장소 인근에서 UAP가 목격된 사례도 18건에 달한다. 이 보고서는 “이들 사례 중 어느 것도 외국의 첨단 군사 기술이나 비약적인 항공우주 기술로 확인된 바는 없다”고 밝혔다. “2차대전 때부터 목격된 현상, 열 흔적 없거나 정지 비행”다큐멘터리 영화감독이자 UFO 전문가로 알려진 제임스 폭스 감독은 폭스뉴스에 “내가 직접 만난 군 관계자들의 증언으로는 미 동부 해안에서 약 320㎞ 떨어진 해상 상공에 눈에 보이는 추진 장치가 없는 물체들이 광범위하게 떠돌고 있었다”며 “그러니 2023년에 UAP와의 실제 충돌에 대한 보도가 나와도 크게 놀랍지는 않다”고 말했다. 폭스 감독의 말로는 군사 시설 근처에서 UAP를 목격하는 사례는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그는 이런 UAP 현상이 1930~40년대에도 보고된 적이 있다면서 “2차 세계대전 당시 신비롭고 빛나는 구형 물체들이 매우 밝은 빛을 내뿜으며 군용기 주변을 맴돌았다는 보고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런 목격 사례에서 드러난 엄청난 첨단 기술을 지적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열 흔적을 내지 않거나 강풍 속에서도 정지 비행이 가능한 비행체 등이다. 미 의회도 공개 압박… “미 정부, 오랜 침묵이 회의론 불러” 미 국방부는 2020년 미 상공 전역에서 발견된 다양한 UAP에 대한 추가 연구 및 조사를 위해 UAP 특별조사단(TF)을 발족시키며 본격적인 조사를 시작했다. 당시 성명에는 “TF의 임무는 잠재적으로 미국의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는 UAP를 탐지, 분석, 분류하는 것”이라고 명시됐다. 폭스 감독은 또 이 TF가 UAP의 위치와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최신 기술을 사용했다면서 이것이 최근 몇 년간 신고가 급증한 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2022년에는 수십 년 만에 처음으로 미 의회에서 관련 청문회가 열리기도 했다. 이는 점차 투명성을 요구하는 국민 여론과도 맞물려 있다. 폭스 감독은 미 정부가 수십 년간 이 문제를 숨겨온 탓에 대중의 회의가 깊어졌다면서 이 존재들을 제대로 파악하지도 못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런 물체 중 극소수는 지구상의 우리나 다른 누군가 보유한 것보다도 몇 광년이나 앞선 기술을 보여준다”면서 “그들은 우리의 가장 빠른 전투기 주변을 맴돌고 있는데, (미 정부는) 그들이 누구인지 어디에서 왔는지 무엇을 원하는지 알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만일 이 비행체들이 중국도 러시아도 심지어 미국도 아니라면 남는 것 하나밖에 없다면서 ‘비인간적 지능’(NHI), 즉 외계 지능생명체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 美 F-16, ‘정체불명 비행체’와 충돌…“러·중국도 아냐, 첨단 UFO?”

    美 F-16, ‘정체불명 비행체’와 충돌…“러·중국도 아냐, 첨단 UFO?”

    미국에서 훈련 비행하던 F-16 전투기가 정체불명의 비행체와 충돌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돼 첨단 미확인비행물체(UFO)에 대한 논란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미국 폭스뉴스는 13일(현지시간) 미 국방부의 최근 기밀 해제 문서를 미 공군 측에 확인하고 2023년 1월 애리조나주 힐라 벤드 상공에서 훈련하던 F-16 바이퍼 전투기의 조종석 투명 덮개에 알 수 없는 비행체가 충돌했다고 보도했다. 당시 뒷좌석에 탑승한 교관 조종사가 이를 처음 목격했으며 초기 조사에서 조류 충돌 가능성은 없다고 판단됐다. 이 전투기는 7000만 달러(약 940억원)에 달하는 고가의 장비로 투명 덮개에 금이 갔을 뿐 기체 손상은 없다고 보고됐다. 다만 실제 파손된 사진은 공개되지 않았다. 미 공군 대변인은 이 전투기에 충돌한 비행체가 드론으로 판단됐으나 어느 곳에서 어떤 경로로 날아왔는지, 누가 조종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사건은 이후 하루 동안 보고된 미확인 비행현상(UAP) 사례 4건 중 첫 번째로 기록됐다고 미국 군사 전문 매체 워존(TWZ)이 연방항공청(FAA)으로부터 입수한 문서를 인용해 보도한 바 있다. UAP는 미 정부가 UFO 대신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다. 미 국방부 산하 ‘전영역 이상현상 조사국’(AARO)이 공개한 비밀 해제 문서에는 2023년 5월 1일부터 2024년 6월 1일까지 1년간 미국 전역에서 UAP 관련 사건이 757건 발생했다고 기록돼 있다. 이 중 708건은 공중에서 발생했으며 49건만이 ‘사건 종결’로 분류됐다. 또한 핵시설과 발사장, 무기 배치 장소 인근에서 UAP가 목격된 사례도 18건에 달한다. 이 보고서는 “이들 사례 중 어느 것도 외국의 첨단 군사 기술이나 비약적인 항공우주 기술로 확인된 바는 없다”고 밝혔다. “2차대전 때부터 목격된 현상, 열 흔적 없거나 정지 비행”다큐멘터리 영화감독이자 UFO 전문가로 알려진 제임스 폭스 감독은 폭스뉴스에 “내가 직접 만난 군 관계자들의 증언으로는 미 동부 해안에서 약 320㎞ 떨어진 해상 상공에 눈에 보이는 추진 장치가 없는 물체들이 광범위하게 떠돌고 있었다”며 “그러니 2023년에 UAP와의 실제 충돌에 대한 보도가 나와도 크게 놀랍지는 않다”고 말했다. 폭스 감독의 말로는 군사 시설 근처에서 UAP를 목격하는 사례는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그는 이런 UAP 현상이 1930~40년대에도 보고된 적이 있다면서 “2차 세계대전 당시 신비롭고 빛나는 구형 물체들이 매우 밝은 빛을 내뿜으며 군용기 주변을 맴돌았다는 보고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런 목격 사례에서 드러난 엄청난 첨단 기술을 지적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열 흔적을 내지 않거나 강풍 속에서도 정지 비행이 가능한 비행체 등이다. 미 의회도 공개 압박… “미 정부, 오랜 침묵이 회의론 불러” 미 국방부는 2020년 미 상공 전역에서 발견된 다양한 UAP에 대한 추가 연구 및 조사를 위해 UAP 특별조사단(TF)을 발족시키며 본격적인 조사를 시작했다. 당시 성명에는 “TF의 임무는 잠재적으로 미국의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는 UAP를 탐지, 분석, 분류하는 것”이라고 명시됐다. 폭스 감독은 또 이 TF가 UAP의 위치와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최신 기술을 사용했다면서 이것이 최근 몇 년간 신고가 급증한 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2022년에는 수십 년 만에 처음으로 미 의회에서 관련 청문회가 열리기도 했다. 이는 점차 투명성을 요구하는 국민 여론과도 맞물려 있다. 폭스 감독은 미 정부가 수십 년간 이 문제를 숨겨온 탓에 대중의 회의가 깊어졌다면서 이 존재들을 제대로 파악하지도 못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런 물체 중 극소수는 지구상의 우리나 다른 누군가 보유한 것보다도 몇 광년이나 앞선 기술을 보여준다”면서 “그들은 우리의 가장 빠른 전투기 주변을 맴돌고 있는데, (미 정부는) 그들이 누구인지 어디에서 왔는지 무엇을 원하는지 알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만일 이 비행체들이 중국도 러시아도 심지어 미국도 아니라면 남는 것 하나밖에 없다면서 ‘비인간적 지능’(NHI), 즉 외계 지능생명체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 [포토] 시사회 여신들의 ‘우아한 미소’

    [포토] 시사회 여신들의 ‘우아한 미소’

    할리우드 스타들이 14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브로드웨이의 유나이티드 극장에서 열린 영화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I Know What You Did Last Summer) 시사회에 참석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 “181㎝에 56㎏까지 감량”…‘극단 다이어트’ 김성오 ‘충격’ 몸매 공개

    “181㎝에 56㎏까지 감량”…‘극단 다이어트’ 김성오 ‘충격’ 몸매 공개

    배우 김성오가 극단적인 다이어트에 도전했던 경험을 털어놨다. 14일 유튜브 채널 ‘김숙티비’에는 ‘가평 사위 임형준 추천 현지 맛집부터 공사 맛집 숙이 집까지’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개그맨 김숙은 배우 임형준·김성오와 함께 가평 맛집에서 밥을 먹은 뒤 공원 벤치에서 대화를 나눴다. 김숙은 임형준에게 “연기 때문에 살을 얼마나 찌워봤냐”고 물었다. 이에 임형준은 “그런 건 주연들이나 하지 우리한테는 굳이 ‘살 좀 찌우세요’ 안 한다. 애초에 살찐 사람을 캐스팅한다”고 말해 웃음을 안겼다. 김성오는 2016년 개봉한 영화 ‘널 기다리며’ 촬영을 위해 키 181㎝에 56㎏까지 감량한 경험에 관해 이야기했다. 김성오의 당시 몸매 사진을 휴대전화로 확인한 김숙은 놀란 표정을 지으며 깜짝 놀랐다. 김성오는 “처음에는 힘들었는데 점점 욕심이 생기더라”라며 “불편한 게 하나 있었는데 내가 말하는 소리가 귀에서 울리더라”라고 했다. 이어 “이비인후과에 갔더니 의사 선생님이 ‘최근에 급격하게 살 뺐냐’고 묻더라. 귀 안에 있는 얇은 관인 이관에 있는 지방까지 빠져서 느슨해진 거라고 하더라”라고 했다. 그러면서 “약도 필요 없고 잘 먹고 쉬면 일주일 안에 괜찮아질 거라고 하더라”라며 당시 무리한 다이어트로 인한 후유증을 전했다.
  •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해외에서 사랑받는 이유...그 속엔 철저한 ‘K-고증’이 있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해외에서 사랑받는 이유...그 속엔 철저한 ‘K-고증’이 있었다

    K팝 걸그룹이 노래로 세상을 구하는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의 상승세가 무섭다. 전세계 90개국 이상에서 TOP10에 진입하여 40개국 이상에서 글로벌 영화 1위를 기록하는 대흥행을 거두었고, ‘Golden’(골든), ‘Your Idol’(유어 아이돌) 등 극 중 걸그룹 ‘헌트릭스’와 보이그룹 ‘사자보이즈’의 OST 곡들이 미국 빌보드가 공개한 ‘핫100’ 차트에 무려 7곡이나 이름을 올렸다. 케데헌 열풍의 원인은 단순히 ‘K팝’을 소재로 다뤘기 때문이 아니다. 케데헌은 “현미경으로 들여다본 것 같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로 세세한 부분까지 한국적 요소를 제대로 담았다. 주인공 ‘헌트릭스’는 김밥과 라면을 먹으며 ‘탄수화물 파티’를 열고, 후배 아이돌 그룹을 한국어로 ‘후배’라고 부른다. 심지어 국밥을 먹으며 휴지를 깔고 수저를 놓는 부분까지 K-문화를 철저하게 고증했다. 대중음악 평론가인 김도헌 평론가와 김윤하 평론가는 지난 10일 서울 서초구 호반파크에서 진행된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케데헌을 두고 “정말 잘 만들었다”며 입을 모아 말했다. 다음은 두 평론가와의 일문일답. - 케데헌의 글로벌 성공 요인은 도헌 : “케데헌을 한국 콘텐츠라고 많이 착각하는데, 사실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이라는 해외 할리우드의 대형 애니메이션 제작사가 제작한 해외 콘텐츠다. 자연히 해외 시장에서 반응을 얻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K팝으로 퇴마를 한다’, ‘악령들을 노래로 정화한다’는 설정에 선이 굵은 스토리 라인과 간결한 히어로물이라는 속성까지 더해져 주목을 받는 것 같다.” 윤하 : “이 영화에서 다루고 있는 거의 모든 테마들에 한국 문화나 K팝적인 요소들이 깊게 녹아 있다. 보는 이들로 하여금 거부감이나 낯선 감정보다도 K팝에 대한 친숙함이나 호감, 사랑스러움을 느끼면서 작품을 좋아하게 되는 것 같다. 더불어 K팝, K-컬처의 미래에 대한 힌트를 줄 수 있는 작품으로서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 케데헌과 같은 K팝과 한국 문화의 글로벌 영향력은 현재 어느 정도인가 도헌 : “아직 해외에서 K팝은 ‘메이저한 대중 문화’로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K팝 가수들이 해외에서 몇만 석 이상 관객들을 수용하는 돔이나 스타디움에서 공연을 하고 매진이 돼서 화제가 될 정도의 인지도는 갖추고 있다고 평가한다. 젊은 세대의 카운터 컬처로서 K팝이 하나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번에 케데헌을 통해 K팝이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 나갈 수 있겠다는 것을 해외에서도 발견하게 된 것 같다.” 윤하 : “해외에서 K-콘텐츠가 좋은 반응이 있다고 할 때 보수적으로 생각하는 편이다. 하지만 이번에 케데헌을 보면서 생각이 달라졌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K팝이나 한국 문화에 대해 익숙해져 있고 마음도 열려 있어서, 잘만 만들면 생각보다 호감을 빨리 표하고 좋아하는 것 같다.” - 케데헌에서 인상 깊었던 부분이 있다면 도헌 : “우리는 일상에서 많이 봐서 아무렇지 않게 넘기는 것들을 너무 잘 표현했다. 예를 들면 국밥을 먹으러 가서 수저 밑에 휴지를 까는 장면이나 비행기에서 김밥이나 라면을 먹는 장면 등 정말 디테일한 K-문화 고증을 보여줬다. 백스테이지 영상들을 보면 걸그룹들과 보이그룹의 분위기가 다른 것처럼, 보이그룹이라면 ‘탄수화물 파티’를 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 이런 부분을 보면 정말 감탄스럽다.” 윤하 : “케데헌을 다시 보면 볼수록 디테일이 계속 보인다. 매기 강 감독이 작품을 공개할 때 ‘한국인의 반응이 가장 궁금했다’고 인터뷰한 것이 마음에 남는다. 정말 한국 문화에서 태어나면서부터 노출이 되었던 사람들을 설득할 수 있을 정도의 디테일함을 추구했다는 게 작품 전반에 걸쳐 많이 보였다. 한국인이라면 감탄할 수밖에 없을 정도의 고증을 이뤄낸 것 같다.” - 케데헌의 OST가 빌보드 ‘핫100’ 차트는 물론 국내 멜론 차트도 섭렵하고 있는데 도헌 : “극 중 그룹인 ‘헌트릭스’와 ‘사자보이즈’의 노래를 부른 뮤지션들이 한국계 미국인들이라는 점도 눈여겨볼 만한 부분이다. 케데헌의 노래가 인기 있는 이유는 여기서 출발한다. OST들이 너무나도 ‘전형적’이라는 것이다. 서구사회가 ‘K팝’하면 떠올릴 만한 트랙들이고, 그런 전형적인 K팝 음악을 해외에서 제작했다는 점에서 국내 K팝 레이블 입장에서는 복잡한 심경이 들 것 같다.” 윤하 : “이 부분을 가지고 ‘K팝 교수님들 조별 과제’라며 네티즌들이 이야기하는 게 너무 재미있었다. 정말 K팝의 ‘꾼’들이 모여 조별 과제를 한 거라고 생각한다. 빅뱅과 블랙핑크를 만든 더블랙레이블의 테디 프로듀서는 물론 SM엔터테인먼트 프로듀서 작곡가 앤드류 최, 그룹 ‘유키스’ 출신 케빈 우 등 K팝 업계에선 우러러볼 수밖에 없는 이들이 참여해 매력적으로 OST를 제작한 것이 성공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 K팝 콘텐츠의 미래와 나아가야 할 방향은 도헌 : “잘 만들면 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여기서 이 ‘잘’은 한국인이 봤을 때도 불편하지 않고, 문화적 전유도 없는 K팝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K팝 콘텐츠로 경연 프로그램은 물론 다양한 실사 영화들이 쏟아질 수도 있다. 이러한 부분에서 우리는 K팝 종주국만이 할 수 있는 무언가를 찾아 나서야 한다고 생각한다.” 윤하 : “여태까지 K팝을 다뤘던 작품들을 보면 정말 ‘잘 만든’ 콘텐츠는 드물었다. ‘잘 만든’의 의미는 ‘웰메이드(Wellmade)’의 뜻도 있지만 작품이 다루고 있는 대상에 대해서 굉장히 깊이 있는 분석과 존중이 들어간 작품이라는 뜻도 된다. 그래서 앞으로 어떤 K팝 콘텐츠를 만드는 데 있어도 다루는 소재에 대해 세세한 부분까지 관찰하고 투영해야 한다고 본다. 그래야 좋은 K팝 팬들을 모을 수 있는 기반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싶다.”
  • ‘TV판 해리포터’ 출격…3만 대 1 경쟁률 ‘해리’역 첫 공개

    ‘TV판 해리포터’ 출격…3만 대 1 경쟁률 ‘해리’역 첫 공개

    세계적인 인기를 누렸던 ‘해리 포터’를 원작으로 한 TV 시리즈가 본격적인 제작에 돌입했다. 워너브러더스 디스커버리는 14일(현지시간) 자사의 영국 스튜디오에서 HBO 오리지널 ‘해리 포터’ 시리즈 제작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 시리즈는 2027년에 HBO 채널과 스트리밍 플랫폼 HBO 맥스 등을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회사 측은 이날 새 시리즈의 주인공을 맡은 아역 배우 도미닉 매클로플린이 극 중 모습으로 분장하고 찍은 사진도 공개했다. 동그란 테의 안경과 이마의 흉터, 반곱슬머리, 호그와트 교복 등이 눈길을 끌었다. 앞서 워너브러더스는 지난 5월 말 해리 역의 매클로플린을 비롯해 헤르미온느 역의 배우 아라벨라 스탠턴, 론 위즐리 역의 배우 알라스테어 스투트를 캐스팅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해 가을 시작된 공개 캐스팅에서 3만여 명의 지원자가 가운데 치열한 경쟁을 뚫고 주인공 역을 따냈다. AP통신 등 외신들은 영화 ‘해리 포터’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인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2’(2011)가 개봉한 지 14년 만에 새로운 시리즈 제작이 시작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해리포터 시리즈는 영국 작가 조앤 K(J.K) 롤링이 집필한 소설로, 1997년 첫 발간된 이후 4억 5000만부 이상의 판매량을 올리며 세계적인 인기 도서로 등극했다. 이 작품은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키며 영화와 연극, 게임, 테마파크, 관련 상품으로 만들어졌다.
  • [열린세상] 좋은 무속, 나쁜 무속

    [열린세상] 좋은 무속, 나쁜 무속

    한국인은 종교적이지 않다. 한국리서치 조사에 따르면 성인 50% 이상이 현재 믿고 있는 종교가 없다고 답했다. 그런데 어쩌면 한국인은 그저 제도화된 공식 종교에서 발길을 돌리는 것일 수도 있다. 만약 ‘미신’, ‘무속’ 등 초자연적 힘의 실체를 믿는 것도 일종의 종교라고 간주한다면 어떨까. 한국인은 세계에서 가장 강렬한 종교인들로 분류될지도 모른다. 사주를 통해 운명을 들여다보려 노력하고, 풍수를 따져서 사무실을 정하고, 액운을 떨쳐내기 위해 거금을 들여 굿을 한다. 최근에는 현대사회에서 태어나고 자라 무속과 연관이 덜할 것 같은 MZ세대도 가세했다. 청년들이 신내림을 받아 무당이 되고 유튜브에 각종 무속 관련 영상을 업로드하는 등 한국인의 무속 사랑은 시대와 세대도 가리지 않는다. 당연히 무속에 대한 사회의 시선은 전혀 곱지 못하다. 남몰래 무당을 찾아가 신점을 보는 사람도 공개적으로 무속에 의지한다고 말할 수는 없는 일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의사결정 시 과학적 사고가 요구되며, 합리적 근거에 따른 분석과 추론이 침범돼서는 안 되는 공식적 대화의 규칙이기 때문이다. 사실 현대사회 이전부터 그러했다. 조선왕조는 500년의 세월에 걸쳐서 유교적 합리성을 바탕으로 무속을 공적 영역 바깥으로 추방하고자 무던히 노력했다. 대한민국 역사에서 발생한 두 건의 대통령 탄핵이 모두 직간접적으로 대통령의 무속 신봉 의혹과 연루된 것도 위와 같은 맥락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성, 과학, 법과 제도로 규율돼야 하는 공화국의 영역에 지극히 사적이고 비합리적인 무당과 도사가 개입하고 그들의 요설에 정책의 방향성이 결정됐다는 의심은 당연히 불길한 느낌을 준다. 그런데 무속을 향한 공식 영역의 불편한 시선은 유지되면서도, 한국인은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점차 한국 무속을 향한 관심은 꾸준히 늘고 있다. 이는 당연히 한국이 대중문화 영역에서 국제적으로 약진하면서 따라온 결과다. 과거 일본이 닌자와 사무라이로, 중국이 쿵후로 세계에 자국 전통문화를 알리게 된 구도와 기본적으로 같다. 실제로 ‘곡성’, ‘파묘’ 등 무속을 소재로 만든 빼어난 한국 영화들이 해외에서도 호평과 찬사를 받고 있지 않은가. 이제는 게다가 케이팝 걸그룹이 악귀를 막는 무속인의 후예라는 설정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까지 나와서 넷플릭스 영화 부문 글로벌 1위를 차지하기까지 했다. 사실 해외, 특히 서구권에서 무속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보이는 현상은 의아한 것이 아니다. 68혁명 이후 대대적인 탈종교화를 맞이한 서구 사회도 21세기 들어 그 나름의 정신적 혼란과 아노미에 직면하게 됐고, 대안적인 종교나 영성 전통을 탐색하는 시도도 꾸준히 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마을 공동체를 하나로 묶어 주고, 다양한 생물 및 사물과의 조화를 얘기하고, 악귀를 내쫓고 복을 추구하는 무속의 기본적 메시지는 서구인에게도 매력적일 수밖에 없었다. 아마 한국 사회에서는 당분간 무속에 대해 상반된 두 가지 태도가 공존하게 될 것 같다. 문화 영역에서 조명되기 시작했다고 해서 무속은 사적이고 비합리적이며, 기껏해야 ‘재미로만’ 여겨야 한다는 전통적인 이미지가 사라질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하지만 서구인의 관심에 힘입어 무속 전통을 더 진지하게 여기고, 제도권 종교를 따르지 않게 된 사회에 영감을 주는 원천으로 간주하는 흐름도 더욱 강해질 것 같다. 그렇다면 무속의 진짜 모습은 무엇일까. ‘좋은 무속’과 ‘나쁜 무속’이 따로 존재하는 것은 아닐 테다. 무속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은 모두 하나의 현상에서 딸려 나오는, 동전의 양면일 가능성이 높다. 어쩌면 다가오는 ‘무속의 시대’를 맞이할 때 가장 필요한 자세는 우선 평가를 내려놓고, 있는 그대로 그 문화와 신앙의 의미와 기제를 탐구하고 토론해 보는 것이리라. 임명묵 작가
  • [길섶에서] 한여름밤의 ‘K귀신’

    [길섶에서] 한여름밤의 ‘K귀신’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귀신을 물리치기 위해 갖은 방법을 다 썼다. 동짓날 붉은 팥죽을 끓여 집안에 뿌리거나 맨드라미를 우물가나 장독대에 심어 귀신이 접근하지 못하게 했다. ‘귀신에 복숭아나무 방망이’라는 속담도 있다. 복숭아나무는 민속신앙에서 나쁜 기운을 몰아내고 귀신을 쫓아내는 것으로 여겨졌다. 요즘처럼 수은주가 30도를 훌쩍 넘을 때는 TV 시리즈 ‘전설의 고향’에서 소복을 입은 처녀 귀신이 등장해 등골을 오싹하게 했다. 귀신이 재평가받고 있다. 넷플릭스에서 세계적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소니픽처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얘기다. 지난달 20일 넷플릭스에 공개된 후 영화 부문 글로벌 1위를 이어 가고 있다. 영화에 도깨비, 물귀신, 저승사자 같은 K귀신이 등장한다. 꽃미남 저승사자들이 검은 도포 안에 가죽 바지와 시스루 톱을 입고 등장해 뛰어난 가창력과 ‘칼군무’를 선보이며 세계 관객들을 홀린다. K팝과 K드라마로 시작된 한류 열풍이 K푸드, K뷰티로 번지더니 K귀신까지 각광받고 있다. 한국 문화의 힘을 새삼 느낀다.
  • [세종로의 아침] K라는 정체성 너머 봐야 할 것들

    [세종로의 아침] K라는 정체성 너머 봐야 할 것들

    언론이 ‘최초’, ‘최고’만큼 집착에 가까운 열의를 보이는 단어는 ‘한국계’다. 세계 곳곳에서 활약하는 이들이 한국 국적이 아니지만 조금이라도 한국인 유전자가 있다면 이런 수식어를 붙인다. 물론 잘못된 일이라고만은 할 수 없다. 다만 이들이 살아온 궤적과 감정은 전혀 생각하지 않은 채 한국계이므로 한국에 대한 애정이 충만하리라는 기대감만을 표출했다는 게 문제다. 이런 사고에 약간의 각성제를 주입한 사례가 ‘최초의 한국계 프랑스 정부 장관’이었던 플뢰르 펠르랭이 아닐까 싶다. 2012년 프랑스 대선에서 프랑수아 올랑드 사회당 후보가 당선되면서 현지에선 17년 만에 집권한 좌파 정부에 주목했다. 이때 한국 언론의 시선은 ‘한국계 입양인’ 펠르랭에게 쏠려 있었다. 한국과 프랑스 간 가교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전망도 붙었다. 그러나 중소기업디지털경제부 장관에 임명된 그는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외모는 동양인(한국인)이지만 사고방식이나 행동 양식은 프랑스인”이라고 했다. 생후 6개월에 프랑스로 보내져 39년을 그곳에서 살았으니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한국 언론은 적잖이 실망했는지 한 매체는 인터뷰 절반 이상을 ‘한국인의 정체성’을 찾아보려는 데 썼다. 펠르랭의 반응은 여러모로 의미가 있었다. 당시 한국은 다문화 사회로 가고 있었지만 거주 외국인에 대한 인식과 포용 수준이 낮았다. 한국인의 얼굴을 하고 있어도 외국인일 수 있고, 외국인이어도 한국인으로 품고 가는 사회가 돼야 한다는 점을 보여 주었다. 장황하게 펠르랭 얘기를 꺼낸 것은 그때 ‘한국계’에 대한 일방적인 애정이 지금은 ‘케이’(K)로 치환된 듯한 분위기가 감지돼서다. K팝은 말할 것도 없고 K영화, K문학, K푸드 등 모든 단어에 K를 붙인다. 이런 현상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게 한 계기가 지난달 9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제78회 토니상 시상식이었다. ‘어쩌면 해피엔딩’(미국 제목 ‘Maybe Happy Ending’)이 작품상과 음악상 등 6관왕에 오른 ‘경사’와 동시에 ‘K뮤지컬’에 대한 논쟁이 일었다. 서울 대학로에서 초연한 ‘어쩌면 해피엔딩’과 원작자가 동일하니 이 작품은 한국 뮤지컬이라는 의견과, 원작자만 같을 뿐 해외 제작진에 미국식 제작 방식을 따랐으니 한국 작품이 아니라는 반박이 있었다. 이 질문은 2주 후 열린 ‘어쩌면 해피엔딩’ 기자간담회에서도 나왔다. 원작자인 박천휴 작가는 “K팝은 이젠 (고유)명사가 된 듯하지만 K뮤지컬을 모두가 쓰지는 않는다”면서도 “관객들이 ‘이 작품은 한국이 원작이야’라거나 배우들이 한국어 공부를 하면서 한국을 매력적으로 보게 한다면 K뮤지컬이라고 해도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대답했다. 이 작품이 갖는 더 큰 의미는 한국 뮤지컬계를 텃밭 삼아 활동해 온 박천휴·윌 애런슨(음악) 콤비가 한국 뮤지컬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는 점이다. 이 작품의 탄생과 성장 과정을 들여다보면 우리 문화예술 콘텐츠를 어떻게 발전시킬 수 있는지 보인다. ‘어쩌면 해피엔딩’에 대해 설명하던 현수정 공연평론가는 우란문화재단의 역할을 거듭 강조했다. 재단의 창작지원프로그램으로 시작돼 낭독 공연과 일종의 시범 공연인 트라이아웃까지 지원받은 점을 두고 현 평론가는 “역량 있는 창작자가 지속적으로 작품을 만들도록 하는 비영리재단의 역할은 오프브로드웨이처럼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작품을 개발할 완충지대가 없는 상황에서 더욱 의미 있다”고 부연했다. 박천휴 작가는 미국 애틀랜타에서 두 달 동안 트라이아웃 공연을 하면서 극장 관계자뿐만 아니라 지역 고등학생들과 연계해 프로그램을 발전시켰던 경험도 이야기했다. 콘텐츠 개발이 서울 중심으로, 또 전문가들 중심으로 이뤄지는 현상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창작자들이 한계를 느끼지 않도록 지원하고 긴 호흡으로 작품을 숙성시킬 환경을 먼저 만들어야 한다. K는 그 뒤에 자연스럽게 붙이면 된다. 최여경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 [부고]

    ●신성인씨 별세, 안찬보씨 남편상, 신유경(㈜영화인 대표)·현경·경일(㈜플래닛픽쳐스 대표)씨 부친상, 김단비씨 시부상 = 13일 여의도성모병원 장례식장, 발인 16일. (02)3779-1526
  • ‘케이팝 데몬 헌터스’ OST, 빌보드 200 2위 올라

    악마를 퇴치하는 K팝 걸그룹을 소재로 한 넷플릭스 장편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오리지널사운드트랙(OST)이 미국 빌보드 앨범 차트 정상 등극을 앞두고 있다. 미국 빌보드는 13일(현지시간) 차트 예고 기사에서 ‘케데헌’ OST가 메인 앨범 차트 ‘빌보드 200’에서 전주보다 한 계단 오른 2위로 자체 최고 순위를 경신했다고 밝혔다. 이 앨범은 발매 첫 주 빌보드 200에 8위로 처음 진입한 뒤 둘째 주에 5계단 순위를 끌어올리는 등 상승세를 이어 가고 있다. 2020년대 들어 빌보드 200에서 ‘톱2’를 기록한 OST는 ‘케데헌’ 외에 뮤지컬 영화 ‘위키드’와 ‘바비’, 애니메이션 ‘엔칸토’까지 모두 네 장뿐이다. 
  • “너무 무섭다” 日호텔 방문한 아르헨티나女…공포에 휩싸인 이유는?

    “너무 무섭다” 日호텔 방문한 아르헨티나女…공포에 휩싸인 이유는?

    일본 도쿄의 한 로봇 호텔에 방문한 아르헨티나 출신 인플루언서가 남긴 후기가 화제를 모으고 있다. 14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출신의 한 인플루언서는 지난 6월 25일 도쿄에 위치한 ‘헨나호텔’(Henn na Hotel)에서 전 과정을 로봇이 처리하는 체크인과 체크아웃을 경험한 영상을 소셜미디어(SNS)에 공개했다. 해당 영상은 8만 8000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관심을 끌었다. 그는 영상에서 유니폼을 입은 휴머노이드 로봇들이 줄지어 서 있는 리셉션 앞에서 긴장한 듯 “날 보지 마, 날 보지 마…”라고 중얼거리며 불안한 표정을 지었다. 체크인을 도와주는 로봇에게는 “너무 무서워”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후 여권을 스캔하고 투숙 일정을 입력하자 기계에서 객실 키 카드가 발급됐다. 로봇은 “체크인이 완료되었습니다. 즐거운 투숙 되시기를 바랍니다”라는 안내 멘트를 전했다. 영상을 접한 누리꾼들은 “이렇게 시작하는 공포영화를 본 적이 있는 것 같다”, “적어도 사람처럼 불친절할 일은 없어서 다행이다”, “뭔가 소름 돋는다”, “오히려 로봇에게 안내받는 것이 편할 수도 있을 것 같다” 등 다양한 의견을 내놨다. 헨나호텔은 2015년 나가사키에 처음 문을 연 이후 도쿄·오사카·교토 등 일본 내 주요 도시에 20여개 지점을 운영 중이다. 일부 지점에서는 공룡 디자인의 로봇이 체크인을 도와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호텔은 앞서 세계 최초의 로봇 호텔로 기네스북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다만 기술적 한계도 뚜렷하다. 호텔 측은 한때 240여대에 달하던 로봇 가운데 절반 이상을 줄이고, 일부 지점에서는 사람 직원을 다시 고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음성 인식 오류, 고객 요구에 대한 미흡한 대응, 고장 등의 문제가 반복됐기 때문이다. 최근 일본에서는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무인 편의점, 무인 카페 등 자동화 서비스가 늘고 있지만, 로봇이 인간을 완전히 대체하기까지는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가 많은 상황이다.
  • 다시 신밧드의 양탄자에 오르자...제14회 아랍 영화제 개막

    다시 신밧드의 양탄자에 오르자...제14회 아랍 영화제 개막

    알리바바와 40인의 도적, 알라딘과 요술램프, 신밧드의 모험…. 아라비안나이트(천일야화)가 어렸을 때부터 우리네 전래동화 못지않게 가까웠던 시절이 있었다. 언제부터 우리는 중동과 서먹해졌을까. 오늘의 중동을 우리 곁으로 소환하는 아랍영화제가 15일부터 서울과 부산, 광주와 온라인을 주유하며 펼쳐진다. 올해 14회를 맞은 영화제는 ‘아랍의 삶 속으로 한 걸음 더’가 주제다. 레바논, 모로코,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소말리아, 아랍에미리트, 오만, 요르단, 이집트, 카타르, 튀니지, 팔레스타인 등 12개 국가의 장편 9편과 단편 3편 등 모두 12편의 작품이 상영된다. 개막작은 도둑맞은 스쿠터를 되찾기 위한 ‘싱글맘’의 여정을 통해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공존하는 레바논 사회의 현실을 엿보는 ‘아르제’(레바논·이집트)다. 파쿠르(맨 몸으로 도시의 건물과 건물 등을 이동하는 스포츠)를 하는 가자의 젊은이들을 통해 팔레스타인 청년 세대의 단면을 보여주는 ‘폐허에서 파쿠르’(팔레스타인·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스웨덴), 극단적 분파에 가담한 뒤 가족애와 공동체의 신념이 부딪히는 상황에 몰린 여성의 내적 갈등을 내밀하게 표현한 ‘내가 속한 곳은 어디인가’(튀니지·프랑스·캐나다), 도망자 신세가 된 20대 청년과 반려견의 연대를 그린 ‘람보가 쉴 곳을 찾아서’(이집트·사우디아라비아), 불편한 진실로 얽히게 된 세 여성이 서로의 차이를 극복하고 생존을 모색하는 ‘살마의 집’(요르단) 등도 한국 관객과 만난다. 비영리 공익재단법인 한국-아랍소사이어티가 주최하는 이번 영화제는 15~20일 서울 아트하우스 모모, 18~23일 부산 영화의전당, 25~27일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펼쳐진다. 28일부터 일주일 동안 네이버TV 채널을 통한 온라인 상영도 진행된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