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 개방(외언내언)
프랑스의 패션스쿨과 제휴한 국내 한 패션전문학원의 입학자격은 고등학교 졸업.그러나 대학졸업자까지 몰려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엄격한 품질관리를 하는 이곳 교육의 질이 좋기도 하지만 같은 이름의 프랑스 학교로의 유학이 입학과 함께 자동 허용되기 때문이다.
내년부터 예체능계를 제외한 기술계 전문학원과 외국어학원이 개방된다.국내에 이미 진출한 프랑스 패션학원 뿐만아니라 앞으로 이탈리아 요리학원,프랑스 디자인학원,미국·영국 영어학원등이 우리나라에 들어서게 되는 것이다.
「황금어장」으로 불리는 우리의 학원시장은 연간 2조원이 넘는 방대한 규모.93년 6월말 현재 약 5만개(기술 및 예체능계등 전문강습소 4만여개,어학 및 입시계등 일반강습소 4천여개)의 학원에 3백40여만명의 수강자가 등록해 있다.여기에 각 대학의 평생교육센터와 언론기관,백화점,각종 사회단체들이 운영하고 있는 문화·스포츠센터,전문 및 교양강좌까지 포함하면 우리나라 학원시장은 상상을 초월하는 규모가 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국내학원들은 영세한 규모에열악한 교육여건(평균수강생 64명,강사 1.9명)으로 국제경쟁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따라서 풍부한 자본과 질 높은 강사진,앞선 경영능력을 지닌 외국학원들이 몰려 올 경우 외제선호 습관이 있는 우리 사회에서 국내학원의 도산사태는 불을 보듯 뻔한 일.동네 구멍가게가 외국 소매체인점에 밀려 사라졌듯이 우리 학원들도 하나 둘 사라질 운명이다.
물론 학원개방은 교육기회의 다양화,경쟁력 강화,국제화 촉진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학원경영자의 생존권 차원에서 교육수요자의 학습권 차원으로 눈을 돌리면 바람직한 일일수도 있다.
그러나 비록 학원교육이라 할지라도 교육은 그 속성상 국가의 핵심적인 문화영역이란 점에서 개방의 결과를 낙관할 수 만은 없다.학원개방의 긍정적 측면을 최대화 하고 부정적 측면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혜를 정책당국과 학원경영자가 함께 짜내야 할 듯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