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서울시 복지정책은
서울시는 올해 노인들의 일자리를 지난해에 비해 두배가량 늘리는 등 다양한 노인 고용정책을 펼친다. 또 어린이 보육서비스를 개선하고, 맞벌이 부부를 위해 보육시간 이후에도 아이들을 돌봐주는 시설을 늘린다. 장애아와 비장애아를 함께 돌볼 경우 시설비를 지원한다.
■ 노인 1만628명에 일자리 제공
고령화 시대를 맞아 서울시가 올해 1만여개의 노인 일자리를 마련한다.
서울시는 노인들에게 실질적인 경제 지원을 해주기 위해 올해 노인 1만 628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키로 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보다 두배가량 늘어난 것이다.
73만명에 이르는 서울 거주 65세 이상 노인이 대상이다. 어르신들은 공익형, 교육형, 복지형, 시장형, 인력파견형 등 모두 5개 유형의 직종에서 근무한다.
5689명을 뽑아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공익형’은 전문성이 없는 노인들을 위한 자리로 거리환경 지킴이, 불법 주·정차 계도활동을 한다.
‘교육형’은 모두 1523명으로 숲 생태 해설사, 문화재 해설사 등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강의·상담 등을 한다. 생활이 어려운 소외계층 노인에게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지형’에는 2456명을 뽑는다.
이들 3개 유형에 참여하는 노인들은 7개월 동안 일하며 시로부터 매달 20만원 정도를 받게 된다.
지하철 택배나 세탁방에 취업하는 ‘시장형’(783명)과 주유원과 운전원 등 ‘인력파견형’(207명)은 민간기업에 취업하는 일자리로 시가 제공하는 일자리보다 임금이 높고 기간도 제한이 없다. 노인 고용 업체는 시에서 인건비나 사업비 명목으로 노인 1명당 연 115만원을 지원받는다.
한편 시는 노인 취업을 상시 알선하는 고령자 취업알선센터 15곳과 재취업 적응을 돕는 노인취업훈련센터 1곳, 시니어클럽 4곳 등을 운영하고 있다. 오는 10월쯤에는 ‘실버 취업 박람회’도 열 계획이다.
조현석기자 hyun68@seoul.co.kr
■ 장애아·맞벌이 엄마 지원 확대‘국·공립 시설의 보육료는 올리고, 민간시설은 내리고.’
서울시는 여성가족부의 ‘2006년 보육료 책정안’에 따라 올해 보육료를 지난해 대비 평균 2% 인하하고, 높은 보육서비스 수준에 비해 보육료가 상대적으로 낮았던 국·공립시설의 보육료는 5000∼5만 2000원 정도 올려 현실화 했다.
반면 어린이집, 놀이방 등 서울시내 전체 보육시설의 88%를 차지하는 민간보육시설의 보육료는 전년도 수준으로 동결하거나 최대 10만 8000원 인하했다.
이에 따라 국·공립과 민간보육의 보육료 상한선이 일원화되면서 0세의 경우 35만원,1세는 30만 8000원,2세는 25만 4000원으로 동일하게 책정됐다.
그러나 올해 정부지원금이 나오지 않는 만 3세 이상 유아 보육료는 전년 대비 3%(6000원) 정도 인상, 국·공립은 15만 8000원, 민간 어린이집은 20만 4000원, 놀이방은 23만 1000원이다.
시는 이와 함께 장애아와 비장애아가 함께 하는 장애아통합보육시설을 지난해 95곳에서 올해 120곳으로 늘리기로 하고, 신규 통합시설에 1500만원씩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기준 보육시간(오전 7시30분∼오후 7시30분) 이후에도 아이들을 돌봐주는 시간연장형 보육시설을 327곳에서 올해 357곳으로 30곳 늘린다. 이밖에 보육 서비스 개선을 위해서 올해부터 교사 대 아동숫자를 0세는 1대 5에서 1대 3, 3세는 1대 20에서 1대 15로 조정했다.
김유영기자 carilip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