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에볼루션
    2025-08-08
    검색기록 지우기
  • 자유한국당
    2025-08-08
    검색기록 지우기
  • 제주항공
    2025-08-08
    검색기록 지우기
  • 필리핀
    2025-08-08
    검색기록 지우기
  • 하정우
    2025-08-08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866
  • GS주유소 하반기부터 스마트폰 결제

    GS주유소 하반기부터 스마트폰 결제

    LG유플러스가 올 하반기부터 전국 4000여개의 GS칼텍스 주유소 및 가스충전소에서 스마트폰으로 결제하고 100Mbps 속도의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LG유플러스와 GS칼텍스는 21일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를 위한 전략적 제휴를 하고 공동으로 근거리 무선통신(NFC)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결제와 전자지갑 서비스를 선보이기로 했다. LG유플러스는 10월부터 롱텀에볼루션(LTE) 스마트폰의 NFC 결제서비스를 구축하고 GS칼텍스는 전국 4000여개 주유소 및 가스 충전소의 모든 결제 단말기를 모바일 결제가 가능하도록 업그레이드한다. NFC 결제서비스는 LTE 스마트폰의 유심(USIM·범용가입자 인증모듈) 기능에 신용카드, 선불카드, 멤버십카드, 쿠폰 등을 탑재해 GS칼텍스의 주유소 단말기에 LG유플러스의 NFC 스마트폰만 갖다 대면 결제와 할인 혜택 등이 통합적으로 처리된다. LTE 스마트폰은 무선인식 전자태그(RFID)도 인식해 스마트폰을 통해 할인 및 이벤트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양사는 ‘GS&Point 멤버십’ 서비스와 각종 할인 쿠폰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나 유심카드에 저장해 이용할 수 있는 전자지갑 서비스도 출시한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 LGU+ 황금주파수 배정 유력

    LGU+ 황금주파수 배정 유력

    국내 첫 주파수 경매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경매에 나오는 주파수는 2.1기가헤르츠(㎓), 1.8㎓, 800메가헤르츠(㎒)의 세 개 대역. 이 가운데 황금 주파수로 이동통신 3사가 치열한 물밑 경쟁을 해온 2.1㎓ 대역은 LG유플러스의 단독 응찰 자격 부여로, 나머지 1.8㎓와 800㎒는 단계적으로 최고가를 가리는 ‘오름 입찰’ 방식이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21일 방송통신위원회 등에 따르면 22일 전체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주파수 할당 계획을 의결하고 경매 세부 방안도 공고할 계획이다. 이통 3사 간 첨예한 입장 차를 드러낸 2.1㎓ 경매에서 SK텔레콤과 KT가 배제되는 방안이 확정적이다. 이번 경매 대상 주파수는 2.1㎓ 대역 20㎒, 1.8㎓ 대역 20㎒, 800㎒ 대역 10㎒ 등 모두 3개 대역 50㎒이다. 특정 사업자의 경매 제한 조치는 시장 경쟁을 촉진해야 한다는 현실적 이유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2.1㎓의 전체 가용대역 120㎒ 중 현재 SKT가 60㎒, KT가 40㎒를 보유하고 있고 LG유플러스만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SKT와 KT가 이미 2.1㎓ 대역의 80%를 점유해 경매 제한을 두지 않으면 주파수 독과점 현상도 피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LG유플러스는 3세대(3G) 서비스에서 외산 스마트폰 수급에 불이익을 견뎌야 했고 가입자 경쟁에서도 고전을 면치 못했다.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이 주파수 부족으로 인한 ‘가난의 대물림’을 앞세우며 반발해 온 점도 고려됐다는 후문이다. LG유플러스는 다음 달 상용화되는 800㎒ 대역의 롱텀에볼루션(LTE) 서비스를 2.1㎓에서 활용해 4G 시장에서는 선발 사업자와 제대로 한판 전쟁을 벌이겠다는 입장이다. SKT와 KT는 나머지 1.8㎓와 800㎒ 대역을 놓고 치열한 눈치작전을 벌일 가능성도 적지 않다. 양사 모두 3G 서비스의 주력 대역이 2.1㎓여서 폭증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해소하려면 2.1㎓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경매 배제가 확정될 경우 차선책을 따져야 하는 상황이다. SKT와 KT는 우선 1.8㎓ 대역을 두고 선점 경쟁을 벌일 수 있다. 유럽연합이 1.8㎓를 LTE의 로밍 대역으로 권고하면서 글로벌 대역으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SKT는 현재 유일하게 1.8㎓ 대역은 확보하지 않고 있다. KT도 2.1㎓의 차선책으로 1.8㎓를 LTE 대역으로 활용하는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1.8㎓의 경우 이미 20㎒를 확보하고 있어 추가로 낙찰받게 되면 더 넓은 대역에서 안정적으로 4G 서비스를 운용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방통위로서는 1.8㎓ 대역에서 ‘오름 입찰을 통해 최고가 입찰’의 흥행이 연출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주파수공용통신(TRS)용으로 쓰이는 800㎒ 대역까지 경매에 나옴에 따라 LG유플러스 2.1㎓, SKT 1.8㎓, KT 800㎒로 고르게 나눠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국내 통신 3사가 모두 3개 대역을 확보하는 상황이 빚어져 ‘경쟁이 없는 경매’가 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방통위는 이르면 8월 이전에 3개 주파수 대역의 주인이 가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 삼성, 日서 LTE 상용서비스 추진

    삼성전자가 차세대 통신망인 롱텀에볼루션(LTE) 장비를 미국과 중동에 이어 일본에도 공급하게 됐다. 삼성전자는 일본의 2대 통신사업자인 KDDI의 LTE 장비 공급업체로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KDDI는 2012년부터 LTE 상용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급증하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 차별화된 기술과 품질을 인정받아 사업자로 선정됐다고 업체는 설명했다. 삼성은 일본시장에서 일부 도심 지역의 집중적인 데이터 트래픽에 대응하고 네트워크 신호가 미약한 지역에서 통신 품질을 높이는 솔루션을 업계 최초로 소개할 예정이다. KDDI는 2002년부터 간토, 도호쿠, 홋카이도 지역의 CDMA 시스템을 삼성으로부터 공급받으며 전략적 파트너십을 유지해 왔다. 삼성 관계자는 “통신사업자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 모두의 만족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주력해 왔다.”며 “본격 확대되고 있는 LTE 시장에서 리더십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 LGU+ “LTE전국망 내년 7월 완료”

    LGU+ “LTE전국망 내년 7월 완료”

    LG유플러스가 4세대(4G) 이동통신인 롱텀에볼루션(LTE) 전국망을 내년 7월까지 구축하기로 했다. 전 세계 LTE 사업자 중 최단기간에 전국망을 완성하는 기록에 도전한다. LG유플러스는 다음 달 서울 및 수도권, 부산, 광주 지역의 LTE 서비스를 위해 본격적으로 LTE 상용 장비를 구축하기 시작했다고 14일 밝혔다. LTE는 기존 3세대(다운로드 속도 14.4Mbps) 이동통신보다 데이터 전송속도가 최대 5배 빠른 73Mbps다. 7월 초부터 서울과 수도권, 부산, 광주 지역에서 LTE 상용 서비스에 나서고, 오는 9월 말까지는 서울, 수도권, 전국 대부분 광역시를 포함한 지역으로 LTE망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내년 7월에는 상용서비스 개시 1년 만에 전국망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이 경우 LG유플러스는 전 세계에서 최단 기간 내 전국을 LTE로 구축하는 사업자가 된다. 현재 LG유플러스는 서울 광화문과 경기 오산, 부산 서면 등에 LTE 시험망을 운영하고 있고 LTE 장비의 성능을 점검하는 등 망 최적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LTE 전체 대상 기지국의 40%를 클라우드 개념의 뱅크기지국으로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LG유플러스의 단말기 출시 계획도 윤곽을 드러냈다. 7월 상용 서비스와 동시에 우선 LTE 모뎀 등이 출시된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 IT업계 LTE로 ‘애플 타도’ 나선다

    IT업계 LTE로 ‘애플 타도’ 나선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이르면 7월부터 차세대 통신망인 롱텀에볼루션(LTE)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국내 정보기술(IT) 업체들도 하반기부터 본격화될 ‘4세대(4G) 기기 대전’을 준비하고 있다. 4G 기반 제품에 기존 자사 브랜드와 차별화된 새 브랜드를 채택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어 LTE 서비스를 지렛대 삼아 ‘애플 타도’를 가시화하겠다는 생각이다. 3일 통신업계 등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르면 9월 말쯤 SK텔레콤을 통해 LTE 기반의 ‘갤럭시S 2’(가칭)를 내놓을 계획이다. 이 제품은 1.7㎓(기가헤르츠) 듀얼코어 칩셋에 4.5인치 대화면을 탑재할 것으로 알려져 현재 출시된 갤럭시S 2(1.2㎓ 듀얼코어·4.3인치 디스플레이)보다 하드웨어 사양에서 한 단계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다분히 애플 아이폰의 후속 모델을 겨냥한 포석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다. 하반기에 출시될 것으로 보이는 아이폰 후속 모델(아이폰4S 또는 아이폰5)의 경우 아이폰4에 적용된 4인치 디스플레이를 그대로 쓰되 프로세서를 1.5㎓ 듀얼코어로 업그레이드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LTE 기반의 갤럭시S 2는 하드웨어 경쟁에서 아이폰 후속 모델을 크게 앞서게 돼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신종균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도 외신 인터뷰에서 “4G 경쟁은 이미 시작됐다.”면서 “사용자들이 많은 용량의 콘텐츠를 더 빠르게 내려받기를 원하면서 태블릿 PC도 (3G 기반에서) 4G로의 전환이 불가피해졌다.”고 밝혔다. 자사 태블릿 PC인 ‘갤럭시탭’의 LTE 버전 제품을 늦어도 하반기에는 내놓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LG전자도 10월쯤 LTE 기반의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통신사에 공급하기로 하고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미 지난달부터 미국 최대 통신사인 버라이즌을 통해 LTE 스마트폰인 ‘레볼루션’을 내놓기도 했다. 이 제품은 LG전자가 독자 개발한 LTE 단말 모뎀칩 ‘L2000’을 적용한 첫 번째 4세대 스마트폰으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2.2 버전(프로요)에 1㎓ 스냅드래곤 프로세서, 4.3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 기존 3세대 제품에 비해 최대 5배가량 빠른 전송 속도를 구현한다. 이밖에도 팬택이 7월에 미국 시장에 LTE 스마트폰을 내놓는 데 이어 10월에는 국내에도 스마트폰을 출시할 계획이다. 우리보다 한 발 앞서 LTE 서비스를 시작한 미국에서는 최대 통신사인 버라이즌이 3월에 HTC의 ‘선더볼트’를 출시한 데 이어, 지난달 삼성전자(드로이드 차지)와 LG전자(레볼루션) 제품을 추가로 내놓고 바람몰이에 나서고 있다. 현재 국내 업체들은 4G 기기에 새로운 브랜드를 쓰는 방안도 고민하는 등 LTE를 앞세워 애플이 주도하는 스마트폰 시장의 판도를 바꿔 보겠다는 야심을 키워 가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삼성과 LG 등이 자사 전략 모델을 출시할 것으로 예상되는 9~10월이 돼야 우리나라에서도 본격적인 4G 기기 대전이 시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 ‘스마트폰 전자지갑’ 글로벌 쟁탈전

    ‘스마트폰 전자지갑’ 글로벌 쟁탈전

    구글이 스마트폰에 근거리무선통신(NFC) 기술을 적용한 전자지갑 서비스를 발표하면서 국내 휴대전화 업체들과 이동통신사, 신용카드사들이 모바일 결제서비스 시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조만간 애플, 리서치인모션(RIM) 등 다른 스마트폰 운영체제(OS) 업체들도 구글과 유사한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어서 플랫폼 시장을 빼앗기지 않으려는 국내 업체들의 대응이 관심을 모은다. ●하반기부터 모바일 지갑 봇물 1일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자사 스마트폰 OS인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전화를 지갑처럼 활용해 단말기에 가져가기만 하면 금융 결제가 이뤄지는 구글월릿 서비스를 8월 미국에서 선보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구글은 미국 내 주요 매장에서 모바일 결제를 시범 운영하며 본격적인 서비스 개시에 대비하고 있다. 구글은 이미 지난해 말 “새로 출시할 안드로이드 OS 2.3 버전(진저브레드)에 NFC 기술을 탑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NFC 기능을 차기 스마트폰의 표준 기능으로 자리잡게 하기 위해 구글의 모델제품이라 할 수 있는 ‘넥서스S’에 NFC 기능을 탑재하기도 했다. 구글이 모바일 결제시장에 본격적으로 나서자 경쟁 업체들도 앞다퉈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애플은 하반기 출시 예정인 ‘아이폰’ 차기작(아이폰5 혹은 아이폰4GS)에 NFC 기능을 탑재할 예정이다. 이미 지난해 NFC 관련 특허를 대량으로 출원해 충분한 기술을 확보한 상태다. 북미 시장에서 인기가 높은 ‘블랙베리’를 만드는 캐나다 RIM 역시 신제품에 NFC 기능을 탑재할 계획이어서 올 하반기에 새로 출시되는 스마트폰 3대 가운데 2대에는 NFC 기능이 들어갈 전망이다. ●국내 업체들 “시장 뺏길라” 이에 따라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휴대전화 업체들은 구글과 연계해 NFC 기기 선점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모바일결제 플랫폼 시장이 구글과 애플의 양강구도로 흐를 가능성이 커진 만큼, 구글과 손 잡고 NFC 탑재 스마트폰 판매에 나서는 게 시장점유율 확대에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NFC 기능을 탑재한 ‘넥서스S’에 이어 최근 출시한 ‘갤럭시S 2’에도 NFC 기능을 탑재했다. 새로 출시될 프리미엄 스마트폰에 NFC 기능을 탑재하기 위해 구글과 협의 중이다. LG전자도 올해 하반기부터 우선적으로 외국 수출제품에 NFC 기능을 추가할 계획이다. 반면 기존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주도해 온 국내 이동통신사들에는 전운이 감돌고 있다. 디지털 기기를 강타했던 ‘스마트폰 쇼크’가 자신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치게 됐기 때문이다. SK텔레콤은 최근 NFC 기능을 모바일 교통카드에 적용한 ‘티캐시 서비스’에 나섰다. 자신들이 최대 주주로 있는 하나SK카드뿐 아니라 삼성카드·신한카드에도 모바일 신용카드 서비스를 제공해 시장을 넓혀갈 계획이다. KT는 교통요금 등을 모바일 결제로 지불할 수 있는 ‘캐시비’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LG유플러스도 롱텀에볼루션(LTE) 서비스 개시 이후인 10월쯤을 NFC 활성화 시기로 보고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이통사 관계자는 “구글과 애플이 전자지갑 분야의 강력한 적수이지만 한국 진출 초기에는 결제에 필수적인 은행과의 제휴 등으로 론칭에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 팬택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美 첫 공급

    팬택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美 첫 공급

    팬택이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 진출하며 글로벌 스마트폰 플레이어 행보를 본격화한다. 팬택은 오는 5일(현지시간) 미국 이동통신 사업자 AT&T를 통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크로스오버’를 출시한다고 1일 밝혔다. 크로스오버는 미국 시장에 첫선을 보이는 스마트폰으로 2007년 윈도모바일 스마트폰의 미국 공급, 지난해 안드로이드 2.2를 탑재한 스마트폰의 일본 출시에 이은 본격적인 글로벌 공략이다. 크로스오버는 보급형 스마트폰으로 안드로이드 2.2 버전에 3.1인치 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600㎒ CPU가 탑재됐다. 미국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쿼티 키보드를 장착해 기존 메시징폰을 사용하거나 처음 스마트폰을 접하는 소비자에게 안성맞춤이라는 게 팬택 측의 설명이다. 팬택은 보급형인 크로스오버에 이어 올해 프리미엄 스마트폰으로 글로벌 메이커로의 인지도를 강화할 계획이다. 올 하반기에 5종 이상의 스마트폰을 출시하고 다음 달에는 미 1위 통신사인 버라이즌을 통해 4세대 롱텀에볼루션(LTE) 스마트폰을 공급한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 [경제플러스]

    29개국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 SK텔레콤은 세계 29개국에서 하루 1만 2000원으로 무선 데이터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T로밍 데이터 무제한 원 패스(One Pass)’를 다음 달 출시한다고 26일 밝혔다. 대상 국가는 배낭 여행객이 많이 찾는 영국·독일·프랑스·이탈리아·스페인 등 유럽 12개국, 일본·중국·베트남·싱가포르·호주·인도 등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지역 14개국, 미국·캐나다·남아프리카공화국이다. 한번 가입하면 가입 상태가 유지되며 해외에서 데이터를 사용할 때만 1일 단위로 요금이 부과된다. 연말까지 전국 LTE망 구축 LG유플러스가 당초 일정보다 반년을 앞당겨 올 연말까지 전국 LTE(롱텀에볼루션)망을 구축한다. 강문석 LG유플러스 부사장은 26일 서울 쉐라톤 그랜드 워커힐에서 열린 서울디지털포럼 2011에 주제 발표자로 참석해 “7월 LTE 상용 서비스를 개시한 뒤 연말까지 전국 82개 도시에서 LTE 서비스를 실시하겠다.”며 “전국망을 가장 빨리 구축하는 (한국) 최초의 사업자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팬택, 세계 최고 속도 스마트폰 공개

    팬택, 세계 최고 속도 스마트폰 공개

    팬택이 세계 첫 1.5기가헤르츠(㎓) 듀얼코어 프로세서를 탑재한 스마트폰인 ‘베가 레이서’를 19일 공개했다. 베가 레이서는 최초 기술이 다수 적용됐다. 퀄컴의 1.5㎓듀얼코어 프로세서가 처음으로 탑재돼 기존 베가 시리즈보다 데이터 처리 성능은 2~2.5배 빨라지고 전력소비량은 30%를 낮췄다. 국내 처음으로 듀얼 스피커를 적용했고, 스마트폰에 모바일 클라우드 기능을 탑재해 휴대전화를 물에 빠뜨려도 데이터는 별도로 저장되도록 안전성을 강화했다. 구글의 최신 안드로이드 2.3 운영체제인 진저브레드를 최적화한 사용자환경(UI)을 구현했다는 평가이다. 또 1기가바이트(GB) DDR2 RAM 메모리를 깔아 멀티태스킹을 강화했다. 10.92㎝(4.3인치) 고화질 디스플레이와 사생활 보호를 위해 주변에서 스마트폰 화면을 엿볼 수 없도록 ‘시크릿뷰 LCD’ 기술을 적용했다. SK텔레콤과 KT 모델은 이달 말, LG유플러스 모델은 6월 중순 출시된다. 출시 가격은 갤럭시S2 출고가(84만 7000원)와 비슷하게 책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팬택은 국내에서 100만대, 전 세계에서 300만~500만대를 판매한다는 계획이다. 대주주인 퀄컴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뿐 아니라 타사의 AP를 적용한 스마트폰도 개발 중이다. 4세대 롱텀에볼루션(LTE)폰은 오는 7월 미국 버라이즌을 통해 출시하고 국내에는 10월 선보인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 월드IT쇼 2011에서 미래 ‘스마트 라이프’ 만나다

    월드IT쇼 2011에서 미래 ‘스마트 라이프’ 만나다

    ‘최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선보이는 미래는 현재 진행형이다?’ SK텔레콤과 KT 등 국내 통신사가 펼쳐가는 미래형 ‘스마트 라이프’ 서비스가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11~1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고 있는 ‘월드IT쇼 2011’(WIS)에 등장한 스마트 라이프 기술을 소개한다. ●스마트폰 하나면 ‘비즈니스 만사형통’ 근거리무선통신(NFC)을 통한 KT의 스마트 기술이 눈길을 사로잡았다. 비즈니스 미팅에서 명함을 주고받는 풍경도 사라질지 모른다. NFC가 탑재된 스마트폰으로 전자명함을 전송하고 상품 대금도 그 자리에서 모바일 머니로 송금한다. 카페나 식당에서는 NFC폰으로 메뉴판의 전자태그(RFID)를 읽으면 메뉴의 영양정보가 NFC폰에 나타난다. 태블릿PC의 메뉴 스크린을 터치하면 곧바로 주문이 이뤄진다. WIS에서 처음 선보인 SKT의 ‘사운드코드’는 미래의 마케팅 기술이다. 음악, 광고 등 오디오 콘텐츠에 삽입된 데이터를 스피커로 재생하면 스마트폰이 음파를 인식해 데이터를 검출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로 음악이나 광고 속에 홍보용 인터넷주소(URL), 전화번호나 문구, 트위터 주소 등의 부가적인 데이터를 첨부할 수 있다. 노트북을 끼고 사는 활동적인 비즈니스인이라면 SKT가 처음으로 선보인 4세대 롱텀에볼루션(LTE) 단말기가 제격. 노트북의 USB 단자에 연결하면 초고속 LTE 세계를 맛볼 수 있다. 오는 7월 LTE 상용화로 수도권에서는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다. 모델은 LG전자의 SD701과 시모텍의 CLR-1000KS. SKT는 올 하반기에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LTE 단말기도 출시할 계획이다. ●영화·방송 마니아라면… 스마트폰 뿐 아니라 태블릿PC와 TV에서도 애플리케이션(앱·응용프로그램)을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는 ‘웹앱 N스크린’ 서비스도 구현했다. 웹 기반의 앱도 운영체제(OS)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고 화면 터치 위주인 앱을 리모컨으로 TV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게 특징이다. SKT의 N스크린 서비스인 ‘호핀’(hoppin)은 현재진행형 서비스. TV셋톱박스 기능이 탑재된 삼성전자의 갤럭시S 호핀 단말기로 언제 어디서나 영화, 드라마 등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호핀 단말기가 없어도 앱으로도 N스크린을 이용할 수 있다. KT의 ‘올레온에어’ 서비스는 아이폰, PC웹캠 등을 통해 누구나 실시간으로 방송을 송출하고, 실시간 채팅도 가능한 온라인 개인방송 서비스. 야근 중에도 아내가 개인방송 서비스를 통해 생중계하는 자녀의 재롱잔치 공연을 스마트폰으로 시청할 수 있다. 페이스북, 트위터 등 텍스트 기반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지루하다면 소소한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개인 미디어 SNS도 있다. SKT의 ‘소셜톡’은 스마트폰으로 녹음한 음성을 공유할 수 있는 음성 기반 SNS. 노래·성대모사 등을 뽐내는 모바일 개인방송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 SKT 올해 2조3000억 투자 사상최대

    SKT 올해 2조3000억 투자 사상최대

    SK텔레콤이 올해 2조 3000억원을 투자한다. 매출액 대비 투자 비중도 17.3%로 사상 최대 규모다. SKT는 올해 3세대(3G)와 4세대(4G) 롱텀에볼루션(LTE) 네트워크 고도화에 3000억원을 추가로 들여 연간 투자 규모를 2조 3000억원으로 확대한다고 3일 밝혔다. SKT의 종전 최대 투자액은 2008년 1조 9190억원이었다. SKT가 투자를 확대한 이유는 고객들이 주로 사용하는 3G 용량을 증설하는 한편 LTE 등 차세대 망으로 빠르게 진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폭증하면서 통신시장에도 통화품질 경쟁이 격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작용했다. SKT의 스마트폰 가입자는 3월 말 기준 535만명. 지난 연말보다 36%가 증가했다. 3G 데이터 통화량은 3월 말 기준 3600테라바이트(TB)로 지난해 12월보다 57% 이상 느는 등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SKT는 스마트폰 가입자를 감당하고 단말기의 성능 향상에 따른 동영상 등 대용량 콘텐츠 서비스에서 네트워크 경쟁 우위를 지키기 위한 필수적 투자라는 설명이다. 당장 SKT와 연관된 장비 및 설비업체도 혜택을 본다. 대·중소기업 간 동방성장에도 기여할 것이라는 평가이다. SKT는 2005년 이후 매년 매출액의 평균 14%선에서 투자를 집행했다. 올해는 매출 목표액인 13조 2500억원의 17.3%에 이르는 금액으로 3G-4G 전환기의 네트워크 전쟁에서 우위를 차지한다는 전략이다. SKT의 매출액 대비 투자금액 비율은 2009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국 이동통신사의 투자 비중과 비교할 때 네번째로 높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 이상철 부회장 “패배주의를 버려라”

    이상철 부회장 “패배주의를 버려라”

    지난 26일 오후 5시 서울 남대문로5가 LG유플러스 본사 24층. 이상철 부회장이 두 시간 동안 주관한 4세대(4G) 통신망 ‘롱텀에볼루션(LTE) 전략회의’가 끝나자 50여명의 주요 임원 및 팀장들이 잔뜩 상기된 표정으로 쏟아져 나왔다. 팽팽한 긴장감마저 감돌았다. 한 임원은 회의가 끝난 뒤 민망하다고 했다. 전략회의에서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이 부회장은 이날 작심한 듯 질타와 독려의 발언을 이어 간 것으로 전해졌다. 이 부회장은 “학교 다닐 때 1등 해본 학생과 그렇지 못한 학생은 공부하는 습관이나 태도가 다르다. 1등을 경험해 본 학생은 1등을 또 하려고 부모가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공부한다. 또 1등을 하기 위해서다.”고 말했다. 통신업계의 만년 3등인 LG유플러스의 처지를 전사 임원들에게 상기시킨 것이다. LTE 시장은 이 부회장으로선 마지막 승부수다. 경쟁사인 SK텔레콤, KT와 달리 3G(WCDMA)망이 없어 스마트폰 1000만 시대에도 숙명적으로 뒤처질 수밖에 없었다. 국제 스마트폰 규격에서 비주류인 1.8㎓ 주파수를 사용해 그동안 단 1개의 외산 스마트폰도 확보하지 못하는 무력감을 맛봐야 했다. 대기업 수장인 그의 입에서 ‘가난의 대물림’이라는 말이 떠나지 않았다. 경쟁사와 동일하게 승부할 수 있는 LTE 환경은 그가 언급해 온 가난의 고리를 끊을 유일한 기회다. LTE 시장만 주도할 수 있다면 통신업계 꼴찌도 탈출할 수 있다는 꿈이 있다. 이 부회장은 두 시간에 걸친 전략회의에서 ‘1등’이란 말을 반복했다. “우리가 1등을 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는 LTE밖에 없다. 우리는 반드시 1등을 해야 한다.” 그의 발언은 바꿔 말하면 ‘패배주의’를 버리라는 주문이다. 이 부회장은 “이 정도면 되겠지 하고 타협하지 말라.”며 “치열하게 준비해서 1등을 할 방법을 찾고 개인과 팀에도 1등의 확신을 불어넣으라.”고 당부했다. LG유플러스 내부의 열기도 뜨겁다. 지난달 4G LTE의 브랜드 사내 공모전에는 1000여명이 참여했다. 지난 2월부터 사내 통신망에 개설된 LTE 서비스에 대한 토론방에는 100개가 넘는 아이디어가 등록됐다. 이 중 일부는 아이디어로 끝나지 않고 정식 서비스로 상용화하기로 했다. 그룹 차원에서도 격려가 이어진다. 지난 22~23일 강원 양양에서 열린 마지막 ‘리더혁신 캠프’에는 LG그룹의 직원 오케스트라가 ‘산중음악회’을 열어 1등 LG의 꿈을 나눴다. 국내 첫 LTE 전국망 구축의 주인공이 되려는 속도전도 가속화되는 추세다. 오는 7월부터 서울, 부산, 광주에서 시범 서비스를 하고 하나의 기지국에서 2G·3G·LTE를 모두 서비스하는 멀티모드 기지국 1400개를 설치한다. 1조 2500억원을 투입해 국내 사업자 중 가장 앞선 내년 6월까지 LTE 전국망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 이석채 KT회장, 통신비 인하 정책에 반발

    이석채 KT 회장이 정부의 통신요금 인하 정책에 강하게 불만을 제기했다. 지난달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과 통신 3사 최고경영자(CEO)의 간담회에서도 말을 아꼈던 이 회장이 처음으로 입을 열었지만 발언 수위는 셌다. 방송통신위원회와 기획재정부, 공정거래위원회로 구성된 정부 통신요금 태스크포스(TF)는 다음 달 초 통신요금 개선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 회장은 26일 제주특별자치도청을 방문한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통신비를 인하하라고 하는 건 (정부가) 경제발전을 거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통신비 인하와 관련된 질문에 대해 “대륙과 무역할 때 철도가 중요하다고 일정 비용으로 마음껏 쓰도록 하면 철도로 산업 발전을 이루는 일은 영원히 사라진다.”고 통신산업을 철도에 빗대 표현했다. 그는 “자동차 제조사에 교통비 부담이 크니 차 값을 내리라고 하고 교육비 부담이 많다고 교육비를 낮추라는 게 되겠느냐.”며 “통신 요금을 내리라고 하면 국가가 대신 해주던지 (정책을) 포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지난해 1분기 KT의 무선통신망 데이터량이 120TB(테라바이트)였는데 올 4분기에는 6000TB까지 늘어날 전망이고 트래픽 급증이 언제까지 갈지도 모르는 상황”이라며 “통신 데이터를 쓰는 사용자가 돈을 내야 투자가 확대되지 요금을 낮추기만 하면 누가 망 고도화에 투자를 하려고 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정부가 통신사를 배제한 채 TF를 통해 일방적으로 압박하는 상황을 염두에 둔 듯 “정부가 명령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해 요금 인하 수용이 어렵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그의 발언은 4세대 롱텀에볼루션(LTE) 등 망 고도화 투자에 통신사들이 천문학적인 투자를 집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통신비 인하 여력이 크지 않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회장은 그러나 “소득이 적거나 학생들이 부담 없이 쓸 수 있는 공정한 방안을 만들라고 하면 숙고할 수 있다.”며 “정부와 현실적으로 가계 통신비 부담을 낮출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회장의 발언은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이 이날 연기금의 주주권 행사 강화를 발언한 시점에 나온 것이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KT의 1대 주주는 국민연금이기 때문이다. KT 측은 이 회장의 발언이 정부 정책에 대한 문제 제기가 아닌 통신산업의 현실을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려는 의도라며 진화에 나섰다. 한편 이 회장은 방통위가 지난 25일 발표한 스마트폰 통화품질 평가에 대해서도 “KT의 아이폰 3GS와 SK텔레콤의 갤럭시S가 비교돼 공정하지 않다.”며 “아이폰4로 비교했다면 결과는 달라졌을 것”이라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방통위의 스마트폰 통화품질 측정에서 KT는 SKT, LG유플러스에 이어 가장 낮게 평가됐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 제주도 첨단ICT 비즈니스 휴양지 된다

    제주도 첨단ICT 비즈니스 휴양지 된다

    제주도가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활용이 가능한 ‘비즈니스 휴양지’로 탈바꿈한다. 한라산, 올레길, 성산일출봉, 섭지코지 등 주요 관광 명소에서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를 무료로 활용하는 세계적 ‘ICT 관광지’ 구축 작업이 본격화된다. 이석채 KT 회장과 우근민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26일 제주도청 대강당에서 해안도로 등 제주 전역과 주요 관광명소 20곳에 4세대(4G) 와이브로와 와이파이를 구축하는 ‘제주 모바일 원더랜드’ 협약을 체결했다. 제주 모바일 원더랜드는 모든 관광객에게 초고속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제주도를 찾는 기업인과 공무원들에게 ‘스마트 워킹(Smart Working)’ 환경을 구축해 단순 관광지에서 ‘ICT 비즈니스 휴양지’로 인지도를 업그레이드한다는 전략이다. 이 회장은 “제주 모바일 원더랜드 구축을 통해 관광객 1000만명 시대를 앞당기고 오는 11월 11일 제주도가 세계 7대 자연경관에 선정되는 데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6월 말까지 제주 전체 관광명소의 95%, 올레길 70% 구간에 와이브로 4G망을 구축하고 올레 와이파이존도 현재 900여곳에서 연말까지 1500여곳으로 확대한다. KT와 제주도는 버스와 택시 등 대중교통에도 이동통신 3사의 개방형 모바일 와이파이와 와이브로를 무선으로 변환해 주는 ‘와이브로 4G 에그’를 장착해 기존 3G보다 3배 빠른 초고속 무선 인터넷을 제공하기로 했다. KT의 올레 인터넷이 설치되는 지역은 한라산국립공원, 성산일출봉, 산방산, 만장굴, 천지연폭포, 항몽유적지, 민속자연사박물관 등 모두 20곳에 이른다. KT는 관광객이 무선 인터넷망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주도 관광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인 ‘유 모바일 투어’도 올해 안에 출시할 예정이다. 또 초고속 인터넷 관광 정보화 외에도 ‘스마트워킹 센터’, 전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스마트 그리드’ 사업도 함께 진행한다. KT는 제주시에 170석 규모의 ‘KT 모바일 고객센터’를 신설하고, 제주 국제컨벤션센터(ICC)와 제주 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제주시청에 스마트워킹센터를 구축해 비즈니스 업무를 지원키로 했다. 제주 전역에서 와이브로망을 활용해 전기 사용량을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로 통합 관리하는 에너지 효율화 서비스도 5월부터 600가구를 대상으로 시범 실시한다. 표현명 KT 사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KT도 올해 4세대 롱텀에볼루션(LTE) 서비스를 선보이고 3W(WCDMA, W-Fi, Wibro)를 모두 지원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 꿈의 3D 영상통화시대 7월 열린다

    꿈의 3D 영상통화시대 7월 열린다

    19일 SK텔레콤 경기 분당 사옥 앞 4세대(4G) LTE(롱텀에볼루션) 테스트 버스. 시속 25㎞로 달리기 시작하자 버스 안 스크린에서 3차원(3D) 고화질(HD)로 제작된 모차르트 공연이 흘러나온다. 바로 꿈의 무선망으로 불리는 LTE망을 통해 전송된 3D 오페라. SKT 서버로부터 내려받은 속도는 평균 66Mbps를 기록했다. 곧 이어 선보인 무선 영상통화의 화질은 3G보다 8배가 선명한 HD급이었다. SKT가 이날 국내 첫 4G LTE 시연회를 통해 펼친 초고속 무선통신 시대의 모습이다. 오는 7월 서울부터 상용서비스가 개시되고 2013년 전국망이 구축된다. 4G LTE 무선망은 기존 3G망보다 다운로드 5배, 업로드는 7배 빠르다. 하향 최대 속도는 75Mbps, 상향은 최대 37.5Mbps를 구현한다. 800MB의 영화 1편을 받는 데 3G망에서 7분 24초가 소비된다면 LTE에서는 1분 25초로 단축된다. 데이터 과부하 현상도 해소될 전망이다. SKT는 LTE 상용화로 3G망 대비 데이터 수용 용량이 3배 확대될 것으로 분석했다. 영상통화는 LTE 시대의 ‘킬러 콘텐츠’로 떠오른다. 기존 64Kbps 기반의 영상통화를 500Kbps로, 8배 이상 선명한 영상과 2배 이상 깨끗한 음성 통화가 가능하다. 올해 하반기부터 고품질 영상통화 서비스와 3D 통화가 시작된다. 고화질 주문형비디오(VOD)의 끊김없는 스트리밍 서비스로 N스크린 콘텐츠가 풍부해지고 화려한 그래픽의 대용량 게임도 모바일 기기에서 구현된다. 또 티맵과 같은 위치기반서비스(LBS)를 통해 정밀한 상권 사진이 제공된다. LTE 단말기도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외 제조사에서 이미 개발을 진행 중이다. SKT는 7월 상용화에 맞춰 우선 데이터용 모뎀을 출시한다. 3G망과 호환되면서도 LTE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가 본격화된다. 또 스마트폰은 연내 3~4종을, 태블릿 PC도 1~2종이 나온다. SKT는 2012년부터 LTE 단말기가 대세를 이룰 것으로 점치고 있다. LTE의 요금 체계는 3G망과 별도로 구성될 가능성이 높다. 배준동 네트워크CIC 사장은 “LTE 요금제는 기존 3G 요금제와 차별적으로 구성될 것”이라며 “음성은 3G망으로 가고 LTE는 데이터 망 위주로 제공되지만 LTE 때문에 3G의 무제한 요금제가 타격 받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SKT는 내년에 서울 등 수도권과 주요 광역시로 LTE를 상용화하고 2013년에는 전국 82개 시로 확대할 예정이다. 전국망 구축과 동시에 곧바로 1Gbps의 속도를 구현하는 LTE-A(어드밴스트)로 데이터 용량을 업그레이드한다는 전략이다. SKT는 상반기부터 3G망에 적용해 음성 및 데이터 품질을 높이는 ‘펨토셀 기술’도 LTE용으로 조기 개발하기로 했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 “LG유플러스 특단의 노력 필요 4세대 LTE 1등 위해 전력투구”

    “LG유플러스 특단의 노력 필요 4세대 LTE 1등 위해 전력투구”

    “지난 1년 동안 스마트폰 수급 부족으로 속수무책의 무력감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동트기 직전, 하루 중 가장 추운 때와 같습니다.”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이 자사의 4세대(4G) 이동통신망 LTE(롱텀에볼루션) 시험 전파 발사와 관련해 비장감 넘치는 메시지를 던졌다. 그동안 3세대 광대역 코드분할다중접속(WCDMA) 망이 없어 스마트폰 수급 경쟁에서 숙명적으로 뒤처질 수밖에 없던 LG유플러스로서는 차세대 LTE 망이 경쟁사를 추격할 마지막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19일 LG유플러스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전날 사내 인트라넷에 ‘지금 우리에게 특단의 노력이 필요한 때’라는 제목의 최고경영자(CEO) 메시지를 올렸다. 이 부회장은 “혹독한 추위와 눈보라가 몰아치는 시련의 시간을 이겨내야 봄의 향연이 시작되듯 LG유플러스의 턴어라운드를 위한 특단의 노력이 지금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의 미래가 걸린 4세대 LTE 1등을 위해 전력투구해야 하고 품질과 스피드 경쟁력을 높여가야 한다.”며 “땀은 결코 배신하지 않는다.”고 독려했다. LG유플러스는 당초 2013년으로 예정된 LTE 전국망도 1년여를 앞당겨 내년 중반까지 구축하기로 했다. 올해 8500억원, 내년 4000억원을 투입한다. 올해 전체 투자 규모도 1조 7000억원으로 창사 이후 가장 많이 집행될 계획이다. 이 부회장의 메시지는 오는 7월 서울·부산·광주 지역 LTE 상용화를 앞두고 4G망에 사운을 걸자는 의미가 깊다. 이번에 주도권을 잡지 못하면 영원한 ‘3등’으로 머물 수밖에 없다는 절박감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LG유플러스는 올해 초 4G 인프라팀, 4G 서비스팀, 4G 이노베이션팀으로 구성한 ‘4G 추진단’을 발족하고 이 부회장이 직접 LTE 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 국내 첫 4세대 LTE 시험전파 발사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국내 첫 4세대(4G)망 LTE(롱텀에볼루션) 시험 전파를 발사, 오는 7월 상용화를 앞둔 LTE 시대 개막을 예고했다. SKT와 LG유플러스는 16일 새벽 국내 처음으로 시험주파수 사용허가를 받아 800㎒ 대역의 LTE 시험 전파를 발사했다고 17일 밝혔다. SKT는 분당사옥에서, LG유플러스는 경기 오산 지역에서 시험망 가동에 들어갔다. 4세대 무선망인 LTE는 기존 3G망 대비 5~7배 빠른 전송 속도를 보인다. 1.4기가(G) 영화 1편을 내려받는 데 기존 3G망에서는 7분이 걸리지만 LTE는 2분이면 된다. 그동안 전송속도 제한으로 활성화에 제동이 걸린 고용량 영상서비스 등 콘텐츠 및 애플리케이션 발전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 LG U+ 세계 첫 N스크린서비스 선보여

    LG U+ 세계 첫 N스크린서비스 선보여

    LG유플러스는 와이파이와 3세대(G)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별도의 선이 없이도 디지털 단말기 간에 콘텐츠를 직접 공유할 수 있는 N스크린 서비스(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디지털 기기로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유플러스 슛 앤드 플레이’를 7일 선보였다. 이 서비스는 세계 최초로 DLNA(무선 홈네트워크 기술 표준)를 활용한 무선 N스크린 서비스다. DLNA가 탑재돼 있으면 개별 PC나 스마트폰에 저장된 콘텐츠를 다른 디지털 기기로 손쉽게 불러올 수 있다. 특히 기존 서비스와 달리 콘텐츠를 웹하드 등 별도의 서버에 올려두거나 유선 케이블로 기기를 연결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는 집안에서는 와이파이로, 외부에서는 와이파이 또는 3G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집안 단말기에 저장된 콘텐츠를 불러올 수 있다. 수험생이라면 집에서 PC를 통해 보면 수능시험 관련 콘텐츠를 별도로 내려받지 않더라도 지하철 안에서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불러들여 볼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상반기 내에 클라우드 기반 N스크린 서비스인 ‘유플러스 박스’ 콘텐츠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7월에는 4G 이동통신망인 롱텀에볼루션(LTE) 구축을 통해 고화질 대용량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이번에 출시한 서비스는 PC나 스마트폰 등에 저장된 콘텐츠를 선 없이도 그대로 불러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 삼성 갤럭시S 4G 美서 최고제품상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갤럭시S 4G’가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리고 있는 정보통신 전시회인 ‘이동통신산업협회(CTIA) 2011’에서 최고 제품상인 ‘베스트 인 쇼’로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지난달 미국 이동통신회사인 T모바일을 통해 출시된 갤럭시S 4G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인 ‘프로요’를 기반으로, 현존 3세대(3G)망 최대 속도보다 50% 이상 빠르다. 또 4인치 슈퍼 아몰레드 화면과 500만 화소 카메라, 1기가헤르츠(㎓)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을 탑재했다. 삼성전자는 또 이번 전시회에서 ‘4G 롱텀에볼루션(LTE) 모바일 핫스팟’이 액세서리 부문 3위로, 미국 기술분야 전문잡지인 ‘랩톱’에서 주는 베스트 태블릿상에 ‘갤럭시탭 10.1’이 뽑히는 등 다른 기종 또한 여러가지 상을 받았다고 전했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 ‘독한 리더’ 키우는 LG유플러스

    ‘독한 리더’ 키우는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지난 17일부터 다음달 23일까지 임원 및 팀장급 480명이 모두 6차례에 걸쳐 강원도 오대산 인근 폐교에서 2박3일 동안 독한 승부근성을 키우는 ‘리더 혁신 캠프’를 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 야생 캠프는 야외 취임, 40㎞ 야간 행군 등으로 구성돼 한계 상황을 극복하는 방식이다. 통신사의 임직원이지만 훈련 기간 동안 휴대전화 등 모든 통신수단도 단절된다. LG 유플러스는 올해 스마트폰과 LTE(롱텀에볼루션) 등 새로운 통신 환경에서 열정과 치열한 승부 근성 등 정신 무장을 통해 시장을 주도한다는 게 목표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