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에볼루션
    2025-08-06
    검색기록 지우기
  • 자사고
    2025-08-06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866
  • [리뷰]‘탈부착 배터리’로 컴백한 갤럭시…아웃도어·키즈 강점

    [리뷰]‘탈부착 배터리’로 컴백한 갤럭시…아웃도어·키즈 강점

    전지적 체험 시점“미래에는 스마트폰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을까요.”2020년 네이버 지식인에 올라온 한 초등학생의 글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내장형 배터리가 장착된 요즘과 달리 2014년까지만 해도 탈부착 배터리 스마트폰이 많았지만, 나이가 어려 이를 몰랐던 탓에 교체가 가능한 배터리를 미래 기술로 여긴 것이다. 하지만 삼성전자가 지난 14일 국내 출시한 롱텀에볼루션(LTE) 스마트폰 ‘갤럭시 엑스커버5’는 7년 만에 탈부착 배터리로 돌아와 이 이름 모를 학생의 ‘니즈’가 충족됐다.1주일간 사용해 본 엑스커버5는 5.3인치 화면으로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에 비해 다소 작은 편이었지만, 한눈에 봐도 단단함이 느껴졌다. 튼튼함이 강점인 ‘러기드(rugged)폰’ 계열로, IP68 방수방진 등급을 지원하고 충격에 강한 고릴라 글라스6를 적용해 강력한 내구성을 갖췄다. 울퉁불퉁한 뒷면과 홈이 난 옆면은 마찰력을 높여 쉽게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았다. 딱딱한 바닥에 떨어뜨리더라도 이미 자체 범퍼가 있어 크게 손상되진 않을 것 같았다. 아웃도어 활동이나 산업 현장에서 쓰기에 적합해 보였다. 엑스커버5의 가장 큰 특징은 탈부착 배터리다. 예전 스마트폰처럼 뒷면 커버를 벗겨 내면 마이크로SD카드 슬롯과 함께 배터리가 보인다. 내장형 배터리 스마트폰은 무거운 보조배터리를 들고 챙겨 다닐 수밖에 없지만, 탈부착 배터리는 각자 용도에 따라 필요한 수량만큼의 자체 배터리를 들고 다니면 되기 때문에 활용성이 높다. 배터리 용량은 3000mAh로, 15W 고속 충전까지 지원한다.기기 왼편에 ‘엑스커버 버튼’이 별도로 있어 원하는 앱을 연결해 놓을 수 있다. 기본 세팅은 ‘손전등’으로 돼 있어 언제든 실제 손전등처럼 라이트를 켰다 껐다 할 수 있다. 특히 ‘듀얼 LED 플래시’ 기능을 탑재해 일반 스마트폰의 손전등 기능보다 좁고 멀리 빛을 투사할 수 있다. 잠금 화면 상태에서도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효용성은 무궁무진하다. 카메라나 음성녹음 등 원하는 기능을 연결시킬 수도 있다. 삼성전자는 엑스커버5를 ‘키즈폰’으로도 마케팅하고 있다. 튼튼하다는 강점이 주의력이 약한 아이들에게도 적합하기 때문이다. 엑스커버5는 자급제와 이동통신 3사 모델로 출시되며 색상은 블랙과 화이트 등 두 가지다. 가격도 27만 5000원으로 저렴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다만 산업 현장, 아웃도어, 키즈, 투폰(보조 휴대전화) 등 특정 목적이 있지 않다면 저가형 모델임을 감안하더라도 쉽게 손이 가진 않을 수 있다. 유튜브나 고성능 게임을 실행하면 버벅거림이 살짝 나타나는 등 기능 면에선 아쉬운 지점이 보였다.
  • 그랜드세이코, 남성용 손목시계 ‘SLGA009’ 출시… 자작나무 숲에서 영감

    그랜드세이코, 남성용 손목시계 ‘SLGA009’ 출시… 자작나무 숲에서 영감

    그랜드세이코(Grand Seiko)가 스프링 드라이브 버전의 새로운 자작나무 컬렉션 ‘SLGA009’을 출시했다. 이 시계는 일본 북부 히라니와 고원의 자작나무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었다. 복합적 질감의 다이얼을 비롯해 시계에 동력을 제공하는 ‘칼리버 9SA5’ 덕분으로 ‘2021년 제네바 그랑프리(Grand Prix d‘Horlogerie de Genève)’에서 남성용 시계상을 받았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그랜드세이코는 시계 특징에 대해 “세세한 부분까지 장인의 솜씨가 엿보이며 섬세한 질감의 다이얼과 강화된 블루 초침은 무브먼트의 ‘프로스트’ 마감과 조화를 이룬다”고 설명했다. 시계 무브먼트 마감의 질감은 신슈 나무에 서린 겨울 서리를 모티브로 했다. 브릿지 라인과 구멍 가장자리는 다이아몬드 컷으로 디자인해 다양한 각도에서 빛을 반사한다. 보석과 강화 블루 파워 리저브 표시기가 반짝임을 더해준다. ‘칼리버 9RA2’는 최대 120시간의 파워 리저브를 제공하며 월 ±10초의 정확도를 보여준다. 시계 디자인은 1967년 ‘44GS’로 정의된 그랜드세이코 스타일에 충실하면서 ‘에볼루션 9’ 디자인을 새롭게 적용했다. 이 디자인은 가독성과 착용감을 개선해준다고 한다. 자랏츠 폴리싱 처리된 미러 마감과 헤어라인 마감은 은은한 광채를 발산한다. 시계가 손목에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케이스의 무게 중심을 낮게 설계했다. SLGA009은 다음달부터 그랜드세이코 매장에서 만나볼 수 있다. 가격은 1270만원이다.
  • 5G 가입자 2000만명선 넘었다…상용화 이후 2년 7개월만

    5G 가입자 2000만명선 넘었다…상용화 이후 2년 7개월만

    국내 5G(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상용화 이후 2년 7개월 만에 2000만명 고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무선통신서비스 가입현황 자료에 따르면 5G 가입자는 지난해 11월말 기준으로 2018만 9808명을 기록했다. 이는 전월 말(1938만 970명) 대비 80만 8838명(4.2%) 증가한 수치다. 5G 가입자가 2000만명을 넘어선 것은 상용화가 이뤄진 2019년 4월 이후 2년 7개월 만이다. 롱텀에볼루션(LTE) 통신망의 경우 상용화 이후 1년 1개월만에 2000만명을 넘었지만, 5G는 이보다 1년 반이 더 걸린 셈이다. 5G 가입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1093만 2363만명으로 1000만명을 넘어선 이후 1년 만에 1000만명이 늘어났다. 이는 삼성전자와 애플을 중심으로 5G 스마트폰 경쟁이 활성화된 데다 이동통신사들도 서비스 가능 지역(커버리지)을 넓히는 데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이통사별로 SK텔레콤은 952만 150명, KT는 615만 7643명, LG유플러스는 446만 2101명의 5G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다. 전체 알뜰폰 가입자도 1013만 6238명을 기록하면서 1000만명 선을 넘어섰다. 지난해 7월까지만 해도 감소하던 알뜰폰 가입자는 점차 늘어났고, 특히 1년 전과 비교하면 100만명 넘게 증가했다. 이는 고가의 5G 요금제를 부담스러워하는 이용자들이 LTE 알뜰폰 요금제나 자급제 단말기를 선택하는 경우가 늘어난 데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 “연말연시 네트워크 장애 막아라”… 이통 3사 특별점검

    연말·연초를 앞두고 통신 3사가 네트워크 장애 가능성에 대비해 특별점검에 나섰다. 특히 이번 연말은 코로나19로 집에 머무르며 비대면으로 안부를 전하거나 가족과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 통화·문자 뿐만 아니라 영상통화, 인터넷TV(IPTV) 서비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의 사용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돼서다. SK텔레콤은 다음 달 2일까지 하루 평균 1200여명의 전문인력이 배치된 전국 특별 소통 상황실을 운영해 연말연시 통신 서비스를 24시간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특히 트래픽 증가가 예상되는 행사지역, 번화가, 쇼핑센터, 휴양지 등을 중심으로 5세대(5G) 통신과 롱텀에볼루션(LTE) 기지국 용량도 증설했다. KT도 명동을 비롯해 주요 지역 105개소에 위치한 3377식의 기지국 품질 점검을 완료했고, 핵심 시스템에 대해서도 집중 모니터링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역시 연말에 IPTV와 OTT 시청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고 사전에 장비를 증설했고, 관제센터도 24시간 운영할 계획이다. 연말 송년·새해 인사로 트래픽이 몰릴 카카오톡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업체 역시 분주하긴 마찬가지다. 카카오 관계자는 “연휴 기간 비상대기 근무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5G 새 먹거리 찾아라… ‘메타버스’ 눈 돌리는 통신3사

    국내 통신3사가 최근 28㎓ 기지국 등 5G(5세대) 통신 설비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5G와 연계할 성장동력을 발굴하기 위해 ‘메타버스’ 시장도 적극 두드리고 있다. 업계 선두인 SK텔레콤은 자사 메타버스 플랫폼인 ‘이프랜드’(ifland)를 활용해 새달부터 그림, 사진 등 예술 작품을 체험하는 특별 전시회를 진행한다고 30일 밝혔다. 아시아 최대 어반 아트 페어로 꼽히는 ‘어반브레이크 2021’이나 슈퍼맨, 배트맨 등으로 유명한 DC코믹스의 ‘저스티스 리그’ 등 유수의 전시회로 구성된다. SK텔레콤은 앞서 이프랜드를 통해 대학 입학식이나 응원 행사 등을 주최하는 등 메타버스 영역을 확장해왔다. 최근 SK텔레콤과 분사해 투자전문회사로 출범한 SK스퀘어가 첫 투자처로 가상자산거래소 ‘코빗’을 선택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업계에선 코빗이 대체불가토큰(NFT) 거래 마켓과 가상자산거래소 ‘코빗타운’을 운영하는 만큼 메타버스 사업과의 시너지 효과를 위한 투자로 보고 있다. LG유플러스 역시 숙명여대 메타버스인 ‘스노우버스’ 개발에 다른 기업들과 함께 참여하거나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유티니코리아와 협력해 가상오피스 서비스 개발에 착수하는 등 메타버스에 뛰어들었다. KT는 최근 딜루션, 버넥트, 코아소프트 등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관련 ICT 기업들과 결성한 ‘메타버스 원팀’에 참여한 상황이다. 통신사들이 일제히 메타버스에 눈을 돌리는 것은 ‘B2C(기업 대 고객) 분야에서 5G를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가 부족하다’는 고민에서 출발한 것으로 읽힌다. 업계 관계자는 “4G 롱텀에볼루션(LTE)이 처음 등장했을 땐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가 급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초고속 인터넷에 대한 수요가 많아졌지만, 5G는 이 같은 ‘킬러 콘텐츠’가 없는 상황”이라며 “아직까지 소비자 입장에선 굳이 5G를 선택해야 할 유인이 적기 때문에 통신사들이 통신망 구축을 넘어서 메타버스 같은 서비스 분야까지 눈을 돌리는 분위기”이라고 설명했다.
  • ‘5G 먹거리 찾아라’…메타버스 투자 확대하는 통신3사

    ‘5G 먹거리 찾아라’…메타버스 투자 확대하는 통신3사

    국내 통신3사가 최근 28㎓ 기지국 등 5G(5세대) 통신 설비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5G와 연계할 성장동력을 발굴하기 위해 ‘메타버스’ 시장도 적극 두드리고 있다.업계 선두인 SK텔레콤은 자사 메타버스 플랫폼인 ‘이프랜드’(ifland)를 활용해 새달부터 그림, 사진 등 예술 작품을 체험하는 특별 전시회를 진행한다고 30일 밝혔다. 아시아 최대 어반 아트 페어로 꼽히는 ‘어반브레이크 2021’이나 슈퍼맨, 배트맨 등으로 유명한 DC코믹스의 ‘저스티스 리그’ 등 유수의 전시회로 구성된다. SK텔레콤은 앞서 이프랜드를 통해 대학 입학식이나 응원 행사 등을 주최하는 등 메타버스 영역을 확장해왔다. 최근 SK텔레콤과 분사해 투자전문회사로 출범한 SK스퀘어가 첫 투자처로 가상자산거래소 ‘코빗’을 선택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업계에선 코빗이 대체불가토큰(NFT) 거래 마켓과 가상자산거래소 ‘코빗타운’을 운영하는 만큼 메타버스 사업과의 시너지 효과를 위한 투자로 보고 있다. LG유플러스 역시 숙명여대 메타버스인 ‘스노우버스’ 개발에 다른 기업들과 함께 참여하거나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유티니코리아와 협력해 가상오피스 서비스 개발에 착수하는 등 메타버스에 뛰어들었다. KT는 최근 딜루션, 버넥트, 코아소프트 등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관련 ICT 기업들과 결성한 ‘메타버스 원팀’에 참여한 상황이다. 통신사들이 일제히 메타버스에 눈을 돌리는 것은 ‘B2C(기업 대 고객) 분야에서 5G를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가 부족하다’는 고민에서 출발한 것으로 읽힌다. 업계 관계자는 “4G 롱텀에볼루션(LTE)이 처음 등장했을 땐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가 급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초고속 인터넷에 대한 수요가 많아졌지만, 5G는 이 같은 ‘킬러 콘텐츠’가 없는 상황”이라며 “아직까지 소비자 입장에선 굳이 5G를 선택해야 할 유인이 적기 때문에 통신사들이 통신망 구축을 넘어서 메타버스 같은 서비스 분야까지 눈을 돌리는 분위기”이라고 설명했다.
  • 속도 빠른 곳 SKT, 건물내 접속은 KT, 범위 넓은건 LGU+

    속도 빠른 곳 SKT, 건물내 접속은 KT, 범위 넓은건 LGU+

    5세대(5G) 이동통신의 속도가 가장 빠른 곳은 SK텔레콤, 백화점이나 도서관 등 다중이용시설에 5G 장비를 가장 많이 깔아 놓은 곳은 KT, 5G 네트워크 도달 범위가 가장 넓은 곳은 LG유플러스로 조사됐다. 3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1년 상반기 5G 품질조사 결과에 따르면 SK텔레콤의 5G 다운로드 속도는 923.20Mbps로 나타났다. KT는 782.21Mbps, LG유플러스는 719.94Mbps였다. 지난해 시작해 이번까지 총 세 번의 5G 품질 평가에서 SK텔레콤은 줄곧 해당 부분 선두에 이름을 올렸다. 주파수 대역폭이나 장비 성능, 무선국 숫자 등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영역인데 SK텔레콤 이용자는 고화질 영상이나 고사양 게임을 상대적으로 끊김 없이 즐길 수 있다는 의미다. 5G가 이용 가능한 범위를 따지는 ‘커버리지 영역’에서는 LG유플러스가 앞섰다. 지난 5월 기준 LG유플러스의 커버리지는 6805.25㎢였으며 KT가 6333.33㎢, SK텔레콤이 5674.79㎢였다. 세 번의 평가에서 이 부분은 LG유플러스가 줄곧 1위를 차지했다. 다만 8월 기준으론 SK텔레콤(1만 2772.20㎢)이 LG유플러스(1만 2598.99㎢)와 KT(1만 1928.10㎢)를 제쳤는데 이것은 각 사업자가 제출한 수치일 뿐이다. 아직 과기부가 검증을 마치지 않았다. 얼마나 많은 다중이용시설에 5G 네트워크 장비가 설치됐는지를 따지면 KT가 선두다. KT는 전국 주요 시설 4205곳에 5G망을 구축했고, SK텔레콤(3923곳)과 LG유플러스(2992곳)가 그 뒤를 이었다. 5G는 기술 특성상 장애물의 영향을 크게 받아서 벽이나 구조물이 많은 실내에서는 음영 지역이 많은데, 3사 중에는 KT가 건물 내 5G 접속이 가장 원활하다는 의미다. 통신 3사의 5G 품질은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모양새다. 지난해 상반기 3사 평균 690.47Mbps였던 다운로드 속도가 이번엔 14.6% 향상된 808.45Mbps를 기록했다. 커버리지도 1년 전에는 3사 평균 5409.30㎢였던 것이 지금은 6271.12㎢로 13.7% 늘었다. 그럼에도 이용자들의 불만이 계속되는 것은 아직 5G 전국망이 깔리지 않은 탓이 크다. 5G를 사용하던 중에 롱텀에볼루션(LTE)으로 전환되는 비율이 3사 평균 1.22%에 불과하다고 나왔는데, 이것은 5G가 터지는 지역 안에서만 조사했기 때문이다. 이동 중이거나 음영 지역에서는 5G 스마트폰을 개통하고도 LTE를 써야 하는 일이 여전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정창림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아직 갈 길이 멀고 이용자가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개선됐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 5G 품질 나아지고 있다지만…“아직 갈 길 멀다”

    5G 품질 나아지고 있다지만…“아직 갈 길 멀다”

    5세대(5G) 이동통신의 속도가 가장 빠른 곳은 SK텔레콤, 백화점이나 도서관 등 다중이용시설에 5G 장비를 가장 많이 깔아 놓은 곳은 KT, 5G 네트워크 도달 범위가 가장 넓은 곳은 LG유플러스로 조사됐다. 3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1년 상반기 5G 품질조사 결과에 따르면 SK텔레콤의 5G 다운로드 속도는 923.20Mbps로 나타났다. KT는 782.21Mbps, LG유플러스는 719.94Mbps였다. 지난해 시작해 이번까지 총 세 번의 5G 품질 평가에서 SK텔레콤은 줄곧 해당 부분 선두에 이름을 올렸다. 주파수 대역폭이나 장비 성능, 무선국 숫자 등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영역인데 SK텔레콤 이용자는 고화질 영상이나 고사양 게임을 상대적으로 끊김 없이 즐길 수 있다는 의미다.5G가 이용 가능한 범위를 따지는 ‘커버리지 영역’에서는 LG유플러스가 앞섰다. 지난 5월 기준 LG유플러스의 커버리지는 6805.25㎢였으며 KT가 6333.33㎢, SK텔레콤이 5674.79㎢였다. 세 번의 평가에서 이 부분은 LG유플러스가 줄곧 1위를 차지했다. 다만 8월 기준으론 SK텔레콤(1만 2772.20㎢)이 LG유플러스(1만 2598.99㎢)와 KT(1만 1928.10㎢)를 제쳤는데 이것은 각 사업자가 제출한 수치일 뿐이다. 아직 과기부가 검증을 마치지 않았다.얼마나 많은 다중이용시설에 5G 네트워크 장비가 설치됐는지를 따지면 KT가 선두다. KT는 전국 주요 시설 4205곳에 5G망을 구축했고, SK텔레콤(3923곳)과 LG유플러스(2992곳)가 그 뒤를 이었다. 5G는 기술 특성상 장애물의 영향을 크게 받아서 벽이나 구조물이 많은 실내에서는 음영 지역이 많은데, 3사 중에는 KT가 건물 내 5G 접속이 가장 원활하다는 의미다. 통신 3사의 5G 품질은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모양새다. 지난해 상반기 3사 평균 690.47Mbps였던 다운로드 속도가 이번엔 14.6% 향상된 808.45Mbps를 기록했다. 커버리지도 1년 전에는 3사 평균 5409.30㎢였던 것이 지금은 6271.12㎢로 13.7% 늘었다.그럼에도 이용자들의 불만이 계속되는 것은 아직 5G 전국망이 깔리지 않은 탓이 크다. 5G를 사용하던 중에 롱텀에볼루션(LTE)으로 전환되는 비율이 3사 평균 1.22%에 불과하다고 나왔는데, 이것은 5G가 터지는 지역 안에서만 조사했기 때문이다. 이동 중이거나 음영 지역에서는 5G 스마트폰을 개통하고도 LTE를 써야 하는 일이 여전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정창림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아직 갈 길이 멀고 이용자가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개선됐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 알뜰폰 가입자 1000만명 눈앞

    알뜰폰 가입자 1000만명 눈앞

    10돌을 맞은 알뜰폰이 가입자 신기록을 매달 경신하며 연내 1000만 회선 등극을 눈 앞에 뒀다. 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올해 6월 국내 알뜰폰 가입 회선은 총 972만 4790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처음으로 900만 회선의 벽을 뚫은 뒤 올해도 매달 평균 10만 2251회선씩 증가 중이다. 2010년 관련 법이 생기고 2011년 7월부터 실제 서비스가 시작된 알뜰폰이 지금의 상승세를 이어간다면 오는 9~10월쯤에는 출시 10년 만에 1000만 회선 돌파가 확실시된다. 알뜰폰 회선은 국내 이통 3사의 통신망을 빌려서 서비스하는 선·후불 휴대폰, 커넥티드카(인터넷이 연결된 차량) 서비스, 사물인터넷(IoT) 등을 모두 포함하는데 그 중 후불 이동전화의 성장세가 특히 가파르다. 지난해 6월만 해도 알뜰폰 서비스를 통한 후불 휴대폰 이용자는 332만 회선이었는데 올해 6월에는 1년 사이 약 60만 회선이 늘어난 392만 회선을 기록 중이다. 이 같은 현상은 젊은층을 중심으로 자급제 스마트폰을 구입한 뒤 알뜰폰 요금제를 선택하는 실속형 가입자들이 늘어나면서 벌어졌다는 분석이다. 알뜰폰의 롱텀에볼루션(LTE)은 이통 3사의 LTE 요금제보다 30~50%가량 저렴하다. 이통3사의 5세대(5G) 이동통신과와 알뜰폰의 LTE 무제한 요금제를 비교하면 가격 차는 더 벌어진다.
  • ‘10돌’ 맞은 알뜰폰 연내 1000만 회선 돌파 눈앞

    ‘10돌’ 맞은 알뜰폰 연내 1000만 회선 돌파 눈앞

    10돌을 맞은 알뜰폰이 가입자 신기록을 매달 경신하며 연내 1000만 회선 등극을 눈 앞에 뒀다. 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올해 6월 국내 알뜰폰 가입 회선은 총 972만 4790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처음으로 900만 회선의 벽을 뚫은 뒤 올해도 매달 평균 10만 2251회선씩 증가 중이다. 2010년 관련 법이 생기고 2011년 7월부터 실제 서비스가 시작된 알뜰폰이 지금의 상승세를 이어간다면 오는 9~10월쯤에는 출시 10년 만에 1000만 회선 돌파가 확실시된다. 알뜰폰 회선은 국내 이통 3사의 통신망을 빌려서 서비스하는 선·후불 휴대폰, 커넥티드카(인터넷이 연결된 차량) 서비스, 사물인터넷(IoT) 등을 모두 포함하는데 그 중 후불 이동전화의 성장세가 특히 가파르다. 지난해 6월만 해도 알뜰폰 서비스를 통한 후불 휴대폰 이용자는 332만 회선이었는데 올해 6월에는 1년 사이 약 60만 회선이 늘어난 392만 회선을 기록 중이다.이 같은 현상은 젊은층을 중심으로 자급제 스마트폰을 구입한 뒤 알뜰폰 요금제를 선택하는 실속형 가입자들이 늘어나면서 벌어졌다는 분석이다. 알뜰폰의 롱텀에볼루션(LTE)은 이통 3사의 LTE 요금제보다 30~50%가량 저렴하다. 이통3사의 5세대(5G) 이동통신과 알뜰폰의 LTE 무제한 요금제를 서로 비교하면 가격 차이는 더 벌어진다. 알뜰폰 업계의 한 관계자는 “굳이 5G까지 쓸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자급제폰+알뜰폰 요금’으로 쏠리는 트렌드가 생겨난 것”이라고 말했다.
  • 품질 불만에 요금만 5G… 뿔난 소비자들 줄소송

    품질 불만에 요금만 5G… 뿔난 소비자들 줄소송

    ‘5G 품질 논란’ 소송이 8일 SK텔레콤을 상대로 한 재판을 시작으로 본격 개시된다. 소비자들은 5세대(5G) 이동통신이 상용화된 지 2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납득하기 어려운 품질과 가격이 계속되고 있다며 통신사들을 상대로 직접 실력행사에 나섰다. 7일 업계에 따르면 5G 품질 불만족을 호소한 피해자 237명이 SK텔레콤을 상대로 서울중앙지법에 제기한 부당이익반환청구 등의 소송이 8일 오후 2시에 열린다. 5G 품질 논란과 관련해 법원에 제기된 소비자 집단 소송 중 처음으로 열리는 법정다툼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5G 대규모 집단 소송은 총 4건이고, 피해 증거를 제출하고 부담금(약 1만~10만원)을 지불하면서까지 소송에 참여한 소비자가 1000여명에 달한다. 법무법인 세림과 주원이 각각 참여자를 모집하고 있다. 소송에 참여한 소비자들은 “5G가 제대로 터지지도 않으면서 가격만 비싸다”고 주장하고 있다. 통신사들은 5G에 대해 ‘롱텀에볼루션(LTE·4G)보다 20배 빠르다’고 홍보했지만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주파수대역(28㎓)을 본격적으로 깔지 않아 현재는 LTE 대비 약 4배 빠른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다. 그나마도 기지국이 많지 않아 잘 잡히지 않고 자꾸 LTE로 전환된다는 불만도 제기한다. 이번 집단 소송에 참여하는 김진욱 변호사(법무법인 주원)는 “미국의 통신사들은 인프라가 제대로 깔리지 않았기 때문에 (LTE 요금만 받고) 5G 요금은 안 받든가 LTE 요금에 1만원가량만 추가해서 받는다”면서 “소비자 재산에 손해를 가했다는 점에서 형법상 사기에 해당되고 불법행위이기 때문에 손해배상 책임도 있다”고 주장했다. 지금까지 1000여명이 통신3사에 물어내라고 요구한 청구액의 총액은 10억 3148만원이다. 법무법인 주원을 통해 소송에 참여한 526명은 5G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한 재산상 손해와 정신적 손해를 합쳐 개인당 148만원꼴로 피해를 보상해 달라는 입장이다. 법무법인 세림을 통해 참여한 505명은 개인당 50만원을 청구했다. 이들은 이동전화가 5G에 접속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을 입증하는 내용과 통신 3사가 ‘LTE보다 20배 빠르다’고 광고한 내용 등을 모아 증거로 제출한 상태다. 법무법인 세림 관계자는 “이달 말쯤 500여명이 또 추가 소송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통신사들은 5G 기술 특성상 LTE보다 기지국을 촘촘히 설치해야 하는 데다 코로나19까지 겹쳐 어려움이 많았다고 호소한다. SK텔레콤 측은 법무법인 클라스를 소송 대리인으로 선임했다. 회사 관계자는 “재판에서 원고들이 제기하는 문제들을 충분히 설명하겠다”고 밝혔다.
  • “5G 불만 이젠 안 참는다”…‘품질 논란’ 법정다툼 8일 개시

    “5G 불만 이젠 안 참는다”…‘품질 논란’ 법정다툼 8일 개시

    ‘5G 품질 논란’ 소송이 8일 SK텔레콤을 상대로 한 재판을 시작으로 본격 개시된다. 소비자들은 5세대(5G) 이동통신이 상용화된 지 2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납득하기 어려운 품질과 가격이 계속되고 있다며 통신사들을 상대로 직접 실력행사에 나섰다. 7일 업계에 따르면 5G 품질 불만족을 호소한 피해자 237명이 SK텔레콤을 상대로 서울중앙지법에 제기한 부당이익반환청구 등의 소송이 8일 오후 2시에 열린다. 5G 품질 논란과 관련해 법원에 제기된 소비자 집단 소송 중 처음으로 열리는 법정다툼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5G 대규모 집단 소송은 총 4건이고, 피해 증거를 제출하고 부담금(약 1만~10만원)을 지불하면서까지 소송에 참여한 소비자가 1000여명에 달한다. 법무법인 세림과 주원이 각각 참여자를 모집하고 있다. 소송에 참여한 소비자들은 “5G가 제대로 터지지도 않으면서 가격만 비싸다”고 주장하고 있다. 통신사들은 5G에 대해 ‘롱텀에볼루션(LTE·4G)보다 20배 빠르다’고 홍보했지만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주파수대역(28㎓)을 본격적으로 깔지 않아 현재는 LTE 대비 약 4배 빠른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다. 그나마도 기지국이 많지 않아 잘 잡히지 않고 자꾸 LTE로 전환된다는 불만도 제기한다.이번 집단 소송에 참여하는 김진욱 변호사(법무법인 주원)는 “미국의 통신사들은 인프라가 제대로 깔리지 않았기 때문에 (LTE 요금만 받고) 5G 요금은 안 받든가 LTE 요금에 1만원가량만 추가해서 받는다”면서 “소비자 재산에 손해를 가했다는 점에서 형법상 사기에 해당되고 불법행위이기 때문에 손해배상 책임도 있다”고 주장했다. 지금까지 1000여명이 통신3사에 물어내라고 요구한 청구액의 총액은 10억 3148만원이다. 법무법인 주원을 통해 소송에 참여한 526명은 5G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한 재산상 손해와 정신적 손해를 합쳐 개인당 148만원꼴로 피해를 보상해 달라는 입장이다. 법무법인 세림을 통해 참여한 505명은 개인당 50만원을 청구했다. 이들은 이동전화가 5G에 접속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을 입증하는 내용과 통신 3사가 ‘LTE보다 20배 빠르다’고 광고한 내용 등을 모아 증거로 제출한 상태다. 법무법인 세림 관계자는 “이달 말쯤 500여명이 또 추가 소송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통신사들은 5G 기술 특성상 LTE보다 기지국을 촘촘히 설치해야 하는 데다 코로나19까지 겹쳐 어려움이 많았다고 호소한다. SK텔레콤 측은 법무법인 클라스를 소송 대리인으로 선임했다. 회사 관계자는 “재판에서 원고들이 제기하는 문제들을 충분히 설명하겠다”고 밝혔다.
  • 상용화 2년 5G ‘품질 불만’에… LTE 가입자 17개월 만에 반등

    상용화 2년 5G ‘품질 불만’에… LTE 가입자 17개월 만에 반등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이동통신 3사의 5세대(5G) 이동통신 품질 논란 탓에 오히려 한 세대 뒤진 방식인 롱텀에볼루션(LTE·4G) 가입자 수가 17개월 만에 반등했다. 상용화된 지 2년이 지나 한창 가입자를 끌어모아야 하는 5G는 이전 단계인 LTE의 기세에 눌려 오히려 가입자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 5월 국내 이동전화 사용자 중 LTE 가입자는 5116만 9843명으로 지난 4월(5092만 392명)보다 0.48% 증가했다. LTE 가입자 수가 앞선 달보다 늘어난 것은 2019년 12월 이후 17개월 만에 처음이다. 반면 5G 가입자 증가세는 둔화하는 경향이 뚜렸했다. 지난 5월 기준 국내 이동전화 사용자 중 5G 가입자는 1584만 1478명이다. 올 들어 5G 가입자는 전달 대비 증가폭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원인을 5G에 대한 실망감에서 찾고 있다. 2019년 4월 상용화 이후 2년이 넘은 시점에도 여전히 5G가 제대로 안 터지는 지역이 상당한 데다, 막상 된다 한들 꼭 5G가 있어야만 즐길 수 있는 콘텐츠가 많지도 않기 때문이다. 가상현실(VR)·증강현실(AR)이나 클라우드 게임(스트리밍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게임)·자율주행 차량 등 5G 시대가 열리면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던 분야들이 아직 충분히 무르익지 않았다. 또 이통 3사는 LTE보다 20배 빨라서 ‘진짜 5G’라 불리는 28기가헤르츠(㎓) 대역의 5G 기지국도 올해까지 4만 5215국 구축하기로 약속했지만 3월 말까지 91국을 설치하는 데 그쳐 빈축을 사고 있다. 심지어 지난달 30일에는 5G 요금제 가입자 526명이 서비스 품질 불량에 따른 피해를 배상하라며 이통 3사를 상대로 집단 소송까지 제기한 상태다. 반면 알뜰폰 업체들은 보통 월 2만원대면 데이터와 음성 통화를 무제한으로 쓸 수 있는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LTE 가입자를 끌어모으고 있다. 지난 5월 알뜰폰 LTE 가입자는 784만 2711명으로 4월(706만 3033명) 대비 11.03% 늘었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통신사를 거치지 않고 구매할 수 있는 ‘자급제폰’을 온라인에서 산 뒤 알뜰폰 LTE 요금제로 가입해 통신비를 아끼는 것도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2019년 4월 상용화 직후에 5G를 개통했던 이들이 슬슬 통신사 2년 약정이 끝나가는 요즘 LTE로 회귀에 나선다면 5G 가입자 증가세가 지금보다 더 둔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신민수 한양대 경영학과 교수는 “체감 가능한 5G 콘텐츠가 있어야 5G 전환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말했다.
  • “안 터지는데 써야 하나?”…5G 품질 논란에 LTE 가입자 17개월 만에 반등

    “안 터지는데 써야 하나?”…5G 품질 논란에 LTE 가입자 17개월 만에 반등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이동통신 3사의 5세대(5G) 이동통신 품질 논란 탓에 오히려 한 세대 뒤진 방식인 롱텀에볼루션(LTE·4G) 가입자 수가 17개월 만에 반등했다. 상용화된 지 2년이 지나 한창 가입자를 끌어모아야 하는 5G는 LTE 기세에 눌려 오히려 가입자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 5월 국내 이동전화 사용자 중 LTE 가입자는 5116만 9843명으로 지난 4월(5092만 392명)보다 0.48% 증가했다. LTE 가입자 수가 앞선 달보다 늘어난 것은 2019년 12월 이후 17개월 만에 처음이다. 반면 5G 가입자 증가세는 둔화하는 경향이 뚜렸했다. 지난 5월 기준 국내 이동전화 사용자 중 5G 가입자는 1584만 1478명이다. 올해 들어서 앞선 달 대비 5G 가입자 증가폭이 1월에는 8.59%, 2월 6.15%, 3월 5.95%, 4월 4.63%, 5월 4.58%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원인을 5G에 대한 실망감에서 찾고 있다. 2019년 4월 상용화 이후 2년이 넘은 시점에도 여전히 5G가 제대로 안 터지는 지역이 상당한 데다, 막상 된다 한들 꼭 5G가 있어야만 즐길 수 있는 콘텐츠가 많지도 않기 때문이다. 가상현실(VR)·증강현실(AR)이나 클라우드 게임(스트리밍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게임)·자율주행 차량 등 5G 시대가 열리면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던 분야들이 아직 충분히 무르익지 않았다.또 이통 3사는 LTE보다 20배 빨라서 ‘진짜 5G’라 불리는 28기가헤르츠(㎓) 대역의 5G 기지국도 올해까지 4만 5215국 구축하기로 약속했지만 3월 말까지 91국을 설치하는 데 그쳐 빈축을 사고 있다. 심지어 지난달 30일에는 5G 요금제 가입자 526명이 서비스 품질 불량에 따른 피해를 배상하라며 이통 3사를 상대로 집단 소송까지 제기한 상태다. 반면 알뜰폰 업체들은 보통 월 2만원대면 데이터와 음성 통화를 무제한으로 쓸 수 있는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LTE 가입자를 끌어모으고 있다. 지난 5월 알뜰폰 LTE 가입자는 784만 2711명으로 4월(706만 3033명) 대비 11.03% 늘었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통신사를 거치지 않고 구매할 수 있는 ‘자급제폰’을 온라인에서 산 뒤 알뜰폰 LTE 요금제로 가입해 통신비를 아끼는 것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업계 관계자는 “2019년 4월 상용화 직후에 5G를 개통했던 이들이 슬슬 통신사 2년 약정이 끝나가는 요즘 LTE로 회귀에 나선다면 5G 가입자 증가세가 지금보다 더 둔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신민수 한양대 경영학과 교수는 “체감 가능한 5G 콘텐츠가 있어야 5G 전환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LG폰 가져오면 15만원 더”…삼성·애플, 빈자리 쟁탈전

    “LG폰 가져오면 15만원 더”…삼성·애플, 빈자리 쟁탈전

    삼성전자와 애플이 LG전자 스마트폰을 사용중인 고객에게 ‘15만원 중고폰 보상’을 건네는 정책을 일제히 시작했다. 국내에서 약 10%의 점유율을 보유한 LG전자 스마트폰 사업부가 철수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이들 사용자들을 흡수하기 위해 삼성과 애플이 맞대결을 펼치는 모양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LG전자 스마트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중고폰 추가 보상 프로그램을 이날부터 다음달 30일까지 한달간 실시한다. LG전자 스마트폰을 사용중인 고객이 최신 삼성전자 스마트폰인 ‘갤럭시S21’ 시리즈와 ‘갤럭시Z폴드2’, ‘갤럭시Z플립 5G’, ‘갤럭시노트20’ 시리즈를 새로 개통하고 본래 사용중이던 기기를 반납하면 중고폰 시세에 추가로 15만원을 보상한다는 내용이다. 혜택 대상 모델은 LG전자의 롱텀에볼루션(LTE) 및 5세대(5G) 이동통신 스마트폰 전 기종이다. 애플도 이날부터 9월 25일까지 LG전자 스마트폰을 반납하고 자사 아이폰 시리즈로 교체한 사용자에게 일정 수준의 중고가와 추가 보상금 15만원을 안기는 중고 보상 정책으로 맞불을 놨다. 교체 가능한 애플 모델은 ‘아이폰12’와 ‘아이폰12 미니’ 두 가지다. 반납 가능한 LG전자 기기는 교체 직전까지 한 달 이상 실제 사용한 LTE·5G 스마트폰이다. 희망자는 이통3사 대리점을 찾아 신청하면 된다.이번 보상 정책은 애플이 세계에서 유일하게 한국에서만 실시하는 것이다. 애플이 타사 모델을 대상으로 한 중고 보상 정책을 도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심지어 애플은 추가 보상금 15만원 지급을 위한 재원도 이례적으로 전액 부담하기로 했다.삼성전자와 애플이 기존에 이동통신사가 운영하는 중고 보상프로그램 이외에 따로 보상 정책을 내놓는 것은 LG전자의 공백을 흡수하려는 의도다. 삼성전자로서는 같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LG폰’의 이용자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더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애플 입장에서는 이미 국내 점율을을 70%가량 유지중인 삼성전자가 LG전자 이용자까지 몽땅 흡수하는 것은 저지해야겠단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이통 3사를 통해 LG전자 중고보상 프로그램에 가입한 사용자의 80%가 아이폰이 아닌 갤럭시 시리즈로 갈아탔다는 사실이 알려진 것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 LG전자는 오는 7월 31일 스마트폰 생산과 판매를 중단하며 그동안 적자에 시달리던 모바일 사업을 철수한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 새달 말 2G서비스 25년 만에 종료

    LG유플러스의 서비스 종료를 마지막으로 2세대(2G) 이동통신이 국내 상용화 25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용자 보호 단서를 달아 LG유플러스가 신청한 2G 사업 폐업을 승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이에 따라 LG유플러스는 다음달 11일부터 단계적으로 2G 서비스를 종료한다. 완전히 서비스가 종료되는 것은 6월 말쯤으로 목표를 잡았다. LG유플러스는 14만명에 달하는 2G 이용자가 롱텀에볼루션(LTE·4G)이나 5G로 전환하면 월 이용료를 할인해 주는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2G 종료로 확보한 인적·물적 자원을 5G 서비스 고도화와 신규 서비스 개발에 집중 투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 ‘굿바이 2G’ 25년 만에 퇴장…‘01X’ 번호 6월말 사라진다

    ‘굿바이 2G’ 25년 만에 퇴장…‘01X’ 번호 6월말 사라진다

    LG유플러스의 서비스 종료를 마지막으로 2세대(2G) 이동통신이 국내 상용화 25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용자 보호 단서를 달아 LG유플러스가 신청한 2G 사업 폐업을 승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이에 따라 LG유플러스는 다음달 11일부터 단계적으로 2G 서비스를 종료한다. 전국적으로 완전히 서비스가 종료되는 것은 6월 말쯤으로 목표를 잡았다. 2G 서비스는 1997년 상용화된 이후 휴대전화의 대중화를 이끌었지만 더욱 발전된 통신 방식이 나옴에 따라 점차 자리를 내주게 됐다. 2012년에는 KT가, 지난해에는 SK텔레콤이 서비스를 종료했다. SK텔레콤은 2G 서비스 종료 이후에도 올 6월 30일까지는 011, 017 번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LG유플러스의 019 번호도 6월 말까지 이용 가능하다. 이후 7월부터는 010으로 통합되면서 011, 017, 019는 완전히 자취를 감추는 것이다.LG유플러스는 14만명에 달하는 2G 이용자가 롱텀에볼루션(LTE·4G)이나 5G로 전환하면 월 이용료를 할인해 주는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2G 종료로 확보한 인적·물적 자원을 5G 서비스 고도화와 신규 서비스 개발에 집중 투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 LTE보다 20배 빠르다더니… “5G 잘 안 터져, 요금만 비싸”

    LTE보다 20배 빠르다더니… “5G 잘 안 터져, 요금만 비싸”

    이용자 1300만명… 5G망 비중 9.59%뿐일반인은 주파수 탓 3~4배 속도 서비스데이터 월 5~12GB에만 중저가 요금제1인 평균 26GB 써 월 7만~8만원 내야“완비 안 된 서비스 왜 비싸게 써야 하나”집단소송 모집에 열흘새 1만여명 참여직장인 이모(37)씨는 5세대(5G) 이동통신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지만 통신망은 롱텀에볼루션(LTE·4G)만 사용중이다. 5G가 안 되는 지역에서는 LTE로 자동 전환이 되는데 이때마다 버벅거림이 심해 아예 ‘LTE 우선모드’로 설정해 놓은 것이다. 이씨는 “비싼 돈을 주고 5G폰을 샀고 통신요금도 월 8만원씩 내지만 사실상 LTE폰”이라며 “아무래도 5G망이 더 많이 깔린 다음에 옮겨오는 게 나았을 것 같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2019년 4월 3일 오후 11시 세계에서 처음으로 국내에 상용화된 5G가 2주년을 앞두고 있지만 1300만명이 넘는 소비자들의 불만은 여전하다. 5G가 처음 도입될 때 이통 3사와 정부가 청사진으로 내걸었던 ‘LTE보다 20배 빠른 속도’나 ‘초저지연 서비스’ 등을 아직은 체감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눈높이가 높은 국내 소비자들은 “아직 완비가 안 된 서비스를 왜 더 비싼 값을 내고 써야 하냐”며 맞서고 있다. 2년간 사실상 ‘시범서비스’ 수준의 5G를 이용한 소비자들 중 일부는 최근 집단소송을 준비하고 있기도 하다. 소비자들이 가장 불만인 부분은 5G가 제대로 안 터진다는 점이다. 지난해말 기준으로 전국에 설치된 5G 기지국은 14만 1939개인데 국내에 있는 전체 통신망중 5G가 차지하는 비중은 9.59%다. 그나마도 5G를 빠르게 보급하기 위해 LTE망을 혼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언제쯤 5G 단독모드(SA)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을지 확정되지 않았다. 또 5G는 28기가헤르츠(GHz) 주파수를 이용하는 방식이어야 LTE보다 20배 빨리지는데 이것 또한 일단은 기업고객용으로만 제공될 전망이다. 이때문에 소비자들은 LTE보다 3~4배 빠른 3.5GHz 주파수에 만족해야 하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LTE 2년차(11만국) 때보다는 5G가 빨리 깔리고 있다”면서 “다른 나라에 비해서도 속도가 빠른 편”이라고 해명했다. 5G로 즐길만한 콘텐츠가 없는 것도 문제다. 이통3사의 분주한 움직임에도 아직 넷플릭스나 유튜브처럼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정도의 가상·증강현실(VR·AR) 콘텐츠가 나오지는 않았다. VR·AR을 제대로 즐기려면 스마트글래스·고글 등의 기기가 있어야 하는데 이또한 소비자들이 만족할 수준의 기술력은 아니다. 최근에서야 5G 중저가 요금제가 나오고 있지만 여전히 비싸다는 불만도 많다. 국내 5G 가입자들의 1인 월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26GB에 달하는데 중저가 요금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는 대체로 월 5~12GB 수준에 그치기 때문이다. 그것이 싫다면 100GB씩 제공되는 요금제를 최소 월 7만~8만원을 주고 써야 하는데 이렇게 중간 데이터 요금제가 없는 것은 ‘꼼수’라는 지적이다. 5G 소비자 집단소송을 맡은 김진욱 변호사는 “지난달 22일 모집을 시작해 소송 참여 의사를 밝힌 인원이 벌써 1만여명에 달한다”면서 “기지국 구축 비용을 이용자들이 떠안는 불합리한 구조가 계속되면 안 된다. 1인당 대략 100만~150만씩 보상을 청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 “2년째 시범서비스인가요?”…5G 품질 논란에 소비자들 ‘불만 증폭’

    “2년째 시범서비스인가요?”…5G 품질 논란에 소비자들 ‘불만 증폭’

    직장인 이모(37)씨는 5세대(5G) 이동통신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지만 통신망은 롱텀에볼루션(LTE·4G)만 사용중이다. 5G가 안 되는 지역에서는 LTE로 자동 전환이 되는데 이때마다 버벅거림이 심해 아예 ‘LTE 우선모드’로 설정해 놓은 것이다. 이씨는 “비싼 돈을 주고 5G폰을 샀고 통신요금도 월 8만원씩 내지만 사실상 LTE폰”이라며 “아무래도 5G망이 더 많이 깔린 다음에 옮겨오는 게 나았을 것 같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2019년 4월 3일 오후 11시 세계에서 처음으로 국내에 상용화된 5G가 2주년을 앞두고 있지만 1300만명이 넘는 소비자들의 불만은 여전하다. 5G가 처음 도입될 때 이통 3사와 정부가 청사진으로 내걸었던 ‘LTE보다 20배 빠른 속도’나 ‘초저지연 서비스’ 등을 아직은 체감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눈높이가 높은 국내 소비자들은 “아직 완비가 안 된 서비스를 왜 더 비싼 값을 내고 써야 하냐”며 맞서고 있다. 2년간 사실상 ‘시범서비스’ 수준의 5G를 이용한 소비자들 중 일부는 최근 집단소송을 준비하고 있기도 하다.소비자들이 가장 불만인 부분은 5G가 제대로 안 터진다는 점이다. 지난해말 기준으로 전국에 설치된 5G 기지국은 14만 1939개인데 국내에 있는 전체 통신망중 5G가 차지하는 비중은 9.59%다. 그나마도 5G를 빠르게 보급하기 위해 LTE망을 혼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언제쯤 5G 단독모드(SA)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을지 확정되지 않았다. 또 5G는 28기가헤르츠(GHz) 주파수를 이용하는 방식이어야 LTE보다 20배 빨리지는데 이것 또한 일단은 기업고객용으로만 제공될 전망이다. 이때문에 소비자들은 LTE보다 3~4배 빠른 3.5GHz 주파수에 만족해야 하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LTE 2년차(11만국) 때보다는 5G가 빨리 깔리고 있다”면서 “다른 나라에 비해서도 속도가 빠른 편”이라고 해명했다.5G로 즐길만한 콘텐츠가 없는 것도 문제다. 이통3사의 분주한 움직임에도 아직 넷플릭스나 유튜브처럼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정도의 가상·증강현실(VR·AR) 콘텐츠가 나오지는 않았다. VR·AR을 제대로 즐기려면 스마트글래스·고글 등의 기기가 있어야 하는데 이또한 소비자들이 만족할 수준의 기술력은 아니다. 최근에서야 5G 중저가 요금제가 나오고 있지만 여전히 비싸다는 불만도 많다. 국내 5G 가입자들의 1인당 월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26GB에 달하는데 중저가 요금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는 대체로 월 5~12GB 수준에 그치기 때문이다. 그것이 싫다면 100GB씩 제공되는 요금제를 최소 월 7만~8만원을 주고 써야 하는데 이렇게 중간 데이터 요금제가 없는 것은 ‘꼼수’라는 지적이다.5G 소비자 집단소송을 맡은 김진욱 변호사는 “지난달 22일 모집을 시작해 소송 참여 의사를 밝힌 인원이 벌써 1만여명에 달한다”면서 “기지국 구축 비용을 이용자들이 떠안는 불합리한 구조가 계속되면 안 된다. 1인당 대략 100만~150만씩 보상을 청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 30배 줌 카메라 달고도 60만원… 가성비 끝판 ‘갤A’ 나왔다

    30배 줌 카메라 달고도 60만원… 가성비 끝판 ‘갤A’ 나왔다

    사진 손떨림 방지, 수심 1m 방수·방진 등최고급형 기능 탑재…가격 최저 47만원중저가폰 선점…‘아이폰SE’ 맞선 홍보전삼성전자가 보급형 스마트폰인 ‘A시리즈’의 글로벌 공개(언팩) 행사를 17일 처음으로 열었다. 그동안은 최고급형 스마트폰인 ‘S시리즈’, ‘Z시리즈’, ‘노트 시리즈’ 등을 대상으로만 전 세계 공개 행사가 대대적으로 열려 왔다. 미국 제재로 주춤하고 있는 중국 ‘화웨이’가 점하고 있던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기 위한 포석으로 읽힌다. 또한 조만간 공개될 전망인 애플의 보급형 스마트폰 ‘아이폰SE 3세대’와의 맞대결을 위한 홍보전 성격도 있다. 이날 온라인으로 진행된 ‘갤럭시 어썸 언팩’에서는 ‘갤럭시A52’와 ‘갤럭시A72’가 공개됐다. 갤럭시A52는 롱텀에볼루션(LTE)과 5세대(5G) 이동통신 모델이 47만~58만원으로 나왔고, 갤럭시A72는 약 60만원으로 책정됐다. 두 달 전에 글로벌 언팩 행사를 통해 공개됐던 삼성전자의 ‘갤럭시S21 울트라’의 출고가(145만원)보다 80만~100만원가량 저렴하다. 삼성 스마트폰 부문 수장인 노태문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사장)은 “소비자들이 원하고 기대하는 최신 혁신과 강력한 기능을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삼성의 의지를 보여 주는 제품”이라고 했다. 제품에는 최고급형에만 들어가던 기능이 대거 포함됐다. 요즘 소비자들은 가격이 저렴하더라도 제품이 일정 수준에 미치지 않으면 좀처럼 지갑을 열지 않는 성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두 모델에는 사진을 찍을 때 손떨림을 상쇄하는 ‘OIS’가 탑재됐고, 수심 1m 깊이에서 30분을 버티는 ‘IP67 등급’의 방수·방진 기능도 ‘A시리즈’로는 2017년 이후 처음 적용됐다. 갤럭시A52의 5G 모델은 초당 120개의 화면을 보여 주는 120Hz의 주사율이 적용됐다. 갤럭시A72에는 디지털 방식으로 30배까지 확대해 사진을 찍는 ‘스페이스 줌’도 ‘A시리즈’ 중 최초로 지원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중저가폰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 상위 10개 중 6개가 중저가폰이다. 여기에는 갤럭시A 시리즈도 4종이 포함됐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삼성전자는 언팩 행사를 따로 하진 않았지만 지난달 ‘갤럭시A12’를 출시했고, 이달 12일에는 ‘갤럭시A32’와 ‘갤럭시A42’를 내놨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