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업데이트
    2025-09-30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356
  • “올해 SNS·스마트폰 악성코드 기승”

    “올해 SNS·스마트폰 악성코드 기승”

    올해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나 스마트폰 사용자를 노린 악성코드가 심각한 보안위협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안철수연구소는 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1년 예상 7대 보안위협 트렌드’를 발표했다. 연구소 측은 올해 SNS 플랫폼을 겨냥한 악성코드가 심각한 위협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친구 또는 유명인에 대한 SNS 검색결과를 조작해 가짜 페이지나 악성코드 유포사이트로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SNS로 좀비PC를 대량 확보해 과거보다 짧은 시간 안에 디도스(분산서비스거부) 공격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위협도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스마트폰 악성코드가 금전을 노리는 형태로 본격 활동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왔다. 개인 또는 단말기 정보를 유출하거나 이용자 몰래 전화를 걸어 부당하게 과금하는 악성코드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스마트폰 화면이 작아 웹사이트 주소 전체를 보기 어렵다는 점을 악용해 가짜 주소를 통해 악성사이트 연결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전파로 연결되는 무선인터넷 특성상 도청에 취약하기 때문에 보안사고의 위험이 크다는 지적도 나왔다. 연구소 측은 이란 원자력발전소 시설을 겨냥한 악성코드 ‘스턱스넷’처럼 사회기반시설을 목표로 한 공격이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았다. 클라우드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좀비PC 관리나 제로데이(소프트웨어의 보안 문제가 알려진 후 해결을 위한 업데이트가 공개되기 전까지의 시점에서 발생하는 공격) 문제도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신진호기자 sayho@seoul.co.kr
  • “美, 韓 -日 해저케이블 정보 몰래 수집”

    내부고발 전문사이트 위키리크스는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 정부가 각국의 주요 기반시설 정보를 몰래 수집해 온 사실을 보여주는 외교 전문을 전격 공개했다. 지난해 2월 작성된 외교 전문에 따르면 미 국토안보부는 국무부 승인 아래 각국 주재 대사관에 지난 2008년 기준 주재국의 핵심기반시설 및 주요자원정보를 갱신하도록 주문했다. 또 2008년 처음 시작된 정보수집과 관련, 같은 해 3월까지 업데이트하라는 통지도 함께 내려보낸 점에 비춰 미 국무부는 해마다 이 같은 지시를 내렸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미 정부가 규정한 정보수집 대상은 해저케이블과 파이프 라인, 중요 광·화학물질, 공산품, 통신허브, 호르무즈해협과 파나마 운하 등 18개 분야에 걸쳐 국가별 정보 수집 리스트가 제시돼 있다. 한국과 관련된 정보는 지난 2001년 구축된 한국과 일본을 잇는 국제 해저케이블인 부산 KNCN 해저케이블과 충남 태안군 신두리 동아시아 횡단(EAC) 해저케이블 등 모두 5개 해저케이블이다. 부산과 신두리의 해저케이블 등은 소재지도 적시했다. 그러나 한국 해저케이블을 대상으로 한 이유는 드러나지 않았다. 목록에는 기니의 보크사이트, 중동의 액화천연가스(LNG), 덴마크의 천연두 백신, 일본·중국의 해저 송유관, 영국의 통신 센터 등도 포함돼 있다. 특히 미 정부는 ‘2급 비밀’로 분류한 문제의 외교 전문을 통해 자국 외교관들에게 요구 사항과 관련해 주재국 정부와 논의해서는 안 된다고 지시했다. 정보수집방식의 적법성 논란이 불가피한 대목이다. 외교 전문은 “수집 대상은 파괴되거나 운영에 지장을 받거나 자원이 개발되면 미국 국익에 즉각적이고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산”이라면서 “정보수집은 미국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필립 크롤리 미 국무부 대변인은 외교 전문이 공개된 직후 “위키리크스의 설립자 줄리언 어샌지가 미국을 겨냥하고 있지만 사실상 다른 국가들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고 비난했다. 안보 전문가들도 “각국 공장과 철도, 항구 등에 대한 정보가 담긴 외교 전문이 각국을 노리는 테러단체에 역이용될 수 있다.”면서 “위키리크스가 무책임하게 행동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위키리크스의 크리스틴 흐라프손 대변인은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의 승인을 받은 문제의 외교 전문을 통해 미국 정부가 각국 동의 없이 정보를 수집해 왔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흐라프손 대변인은 또 “외교 전문에 해당 시설과 자원의 정확한 위치나 보안대책, 취약점 등에 대한 정보는 없기 때문에 테러단체들이 이를 악용할 것이라는 주장은 옳지 않다.”며 국무부의 논평을 반박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 ‘브랜드’ 관리도 못하는 국가브랜드委

    ‘브랜드’ 관리도 못하는 국가브랜드委

    한국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대통령 직속 국가브랜드위원회의 영문판 홈페이지 관리가 엉망인 것으로 확인됐다. 위원회 영문판 홈페이지의 핵심인 한국 소개 코너는 지난 2월 이후 10개월여 단 한 차례도 업데이트되지 않고 있다. 더욱이 국제적 상식에는 맞지 않게 해외국적의 교포를 특별한 설명없이 한국인처럼 소개하는 사례도 드러났다. 때문에 “한국을 제대로 알리고 있는 것일까.”라는 비판도 만만찮다. ‘한국의 유명선수 소개’가 들어 있는 영문 홈페이지의 ‘한국&한국인 소개’ 코너는 지난 2월 한꺼번에 대부분의 게시글이 올라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업데이트는 한 차례도 이뤄지지 않았다. 김연아 선수의 경우, ‘2010 벤쿠버 동계올림픽’ 때의 경기 사진만 게재했을 뿐 금메달 획득 사실조차 알리지 않고 있다. 박세리 선수에 대해서는 지난 2007년 미국여자프로골프협회(LPGA) 명예의 전당에 가입된 사실조차 기록하지 않고 있다. 특히 김연아, 박세리 이외에 박태환, 양용은, 추신수, 2008년 베이징올림픽 야구대표팀 등과 함께 미국 국적인 미셸 위도 들어 있다. 미셸 위의 소개글은 “미국인 프로골퍼로 LPGA에서 활동하며 가장 어린 나이에 프로가 됐다.”면서 “2006년 미국 역대 최연소 아마추어 챔피언이 됐고, 타임 매거진에도 소개됐다.”고 적고 있다. 미셸 위가 한국계라는 대목은 전혀 찾을 수 없다. 브랜드위원회의 허술한 ‘브랜드’ 관리에 네티즌들이 불만을 터뜨렸다. 한 대형포털에는 지난 3일 ‘2010 최고의 문화자산 김연아 제대로 활용되고 있나.’라는 글이 올라왔다. 수도권 대학의 한 교수는 자신의 블로그에서 김연아의 동계올림픽 사진만 업데이트된 것과 관련, “한번 쓰면 끝이라는 생각으로 애정을 갖지 않는 것이 공무원 사회”라고 꼬집었다. 한 네티즌은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브랜드위원회가 필요한가.”라면서 “한국의 이미지를 결정할 수도 있는 소개글이 방치되고 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 프로요 업그레이드때 “백업 필수”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에 대해 운영체제(OS) 업그레이드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가운데 이용자들은 기존 데이터의 보존을 위해 몇 가지 사전 준비와 주의가 요구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지난주 OS 2.2버전인 ‘프로요’로 업그레이드를 시작한 데 이어 LG전자, 팬택 등도 올해 안에 업그레이드를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프로요는 속도 향상, 플래시 지원 등 기능이 대폭적으로 개선되기 때문에 많은 이용자가 업그레이드를 기다려 왔다. 그러나 프로요로 업그레이드를 하고 나면 연락처, 메모, 시스템 설정 등 각종 개인 데이터는 물론 이미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까지 삭제된다. 따라서 연락처 등 중요한 개인정보는 프로요 업그레이드를 하기 전에 반드시 복사본을 받아둬야 한다. 갤럭시 시리즈 이용자들은 삼성전자의 휴대전화관리 소프트웨어인 ‘키스’(KIES)를 이용해 연락처와 일정, 메모를 백업할 수 있다. 키스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면 삼성전자 서비스센터를 방문해 업그레이드를 맡기는 것이 좋다. 스마트폰을 구글 계정과 연동시켜 놓은 이용자는 구글에 연락처와 일정을 동기화한 뒤 프로요 업그레이드 후 복원하면 된다. 또 백업 전용 애플리케이션인 ‘마이백업프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마이백업프로는 연락처, 통화기록, 시스템 설정, 메모 등 개인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미 설치한 애플리케이션도 백업할 수 있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이 향후 프로요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될 것을 고려한다면 사용하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작성해 일일이 재설치하는 것이 최선이다. 백업 후 복원한 기존 애플리케이션은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프로요 버전으로 자동 업데이트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애플리케이션을 재설치할 때 유료 애플리케이션이라 하더라도 이미 구입했다면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OS 업그레이드는 스마트폰 시스템의 근본적인 구조를 바꾸는 작업이기 때문에 개인 데이터 보존을 위해 세심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신진호기자 sayho@seoul.co.kr
  • 정부대전청사 모바일서비스 짱!

    정부대전청사 모바일서비스 짱!

    ‘특허검색도 뚝딱, 중소기업 지원책 궁금증 즉시 해결….’ 정부대전청사 각 기관의 모바일 행정 서비스 경쟁이 치열하다. 단순 다운로드 개념이 아닌 쌍방향 소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정부 기관 가운데 스마트폰을 통한 행정 서비스에 있어서는 외청이 오히려 중앙부처를 능가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1일 대전청사 입주기관에 따르면 중소기업청이 각종 중소기업 지원사업을 담은 애플리케이션(앱) ‘기업마을’은 다운로드가 10월 현재 6만여건에 달하는 등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기업마을은 기업들이 중소기업청의 지원책을 몰라 기회를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지난 5월 아이폰, 7월 안드로이드폰 서비스를 시작했다. 특히 매일 정보가 업데이트되고, 질의·응답 등 쌍방향 소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타 기관 앱과 차별화된다. 또 타 부처 중소기업 정책을 문의하더라도 하루 이내에 반드시 응답해주도록 해 호평을 받고 있다. 8월 이후 질의·응답 건수가 200건을 넘어섰다. 미국과 영국, 일본 등 해외에서도 1358건을 다운로드받았다. 추석 수해 때는 경기도에서 3건의 재해신고가 기업마을로 접수돼 즉각적인 실태조사가 이뤄지기도 했다. 특허청은 지난달 22일 스마트폰용 앱 ‘특허검색’과 ‘모바일 특허청’을 선보였다. 특허검색은 3700만여건(국내 특허정보 기준)에 달하는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도 1~2초면 검색 가능하다. 변리사와 기업의 연구개발(R&D) 담당자, 연구원 등은 선행특허 검색이 가능해 특허정보의 접근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고객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업무를 우선적으로 개발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허청은 국내 사용자가 많은 안드로이드폰 기반으로 출시한 데 이어 아이폰용 앱을 12월 중 서비스할 계획이다. 또 특허 수수료 계산, 특허기네스 등 6종의 앱을 연내 차례로 선보일 예정이다. 제대식 정보기획국장은 “상표 출원 및 심사과정 등을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수 있는 출원관리 등 모바일 특허행정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산림청은 100대 명산(아이폰)과 자연휴양림·수목원(안드로이드폰) 앱을 지난달부터 서비스하고 있다.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과 지도서비스 등 특화된 기능을 활용해 현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명산과 휴양림·수목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달 만에 9만여건의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 교과서 수시로 업데이트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이 처음 도입되는 내년부터는 현재 5년으로 정해진 교과서의 유효기간이 폐지되고, 내용도 수시로 개편되는 체제로 바뀐다. 또 초·중·고교생의 무거운 책가방을 덜어주기 위해 전자교과서(e-교과서)용 CD도 지급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현행 검정 교과서의 유통기한인 합격유효기간제(5년)를 내년부터 폐지한다고 31일 밝혔다. 교과부 교과서기획과 유대균 연구관은 “과거에는 교육과정이 바뀌어야만 교과서를 바꿀 수 있다 보니 교과서 유효기간을 넘겨 10년 동안이나 바뀌지 않는 사례도 있었다.”면서 “2009 개정 교육과정 시행에 따라 앞으로는 교육 체제도 수시로 바뀔 수 있는 만큼 교과서 체제에도 유연성을 높이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2011년부터 학교 현장에 적용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수업의 자율성을 통해 학생의 창의적 사고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목표여서 학교별 여건과 특성에 따라 ‘학년군’ 또는 ‘교과군’제를 도입해 한 학기당 배우는 과목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교과서도 수시 개정체제로 바뀌어 앞으로는 교육과정 개편과 상관없이 언제든 교과서 내용을 새로 바꿀 수 있게 된다. 예컨대 교사나 학부모가 교과서 특정 내용에 대해 문제를 제기할 경우 타당성이 인정되면 곧바로 이듬해 교과서에 반영하는 식이다. 한편, 교과부는 올 국정감사에서 교과서 내용이 부실하다는 지적에 따라 국정교과서의 외형체제를 자율화해 삽화, 도표, 그래픽 같은 참고자료를 추가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는 교과서의 판형이 커지고 쪽수도 늘어난 다양한 교과서가 선보일 것으로 보인다. 또 교과서가 참고서처럼 두꺼워질 경우 학생의 책가방도 무거워지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교과서 대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자교과서(e-교과서)용 CD 3250만장을 내년초부터 지급하기로 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학교에서는 기존 서책형 교과서로 공부하고 집에서는 교과서 CD를 개인용 컴퓨터에 꽂아 활용하도록 하면 아이들이 무거운 책가방을 짊어지고 다닐 필요가 없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 [IT플러스] 윈도우용 스카이프 5.0

    인터넷전화 옥션 스카이프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에 특화된 ‘윈도우용 스카이프 5.0’ 정식 버전을 내놓았다. 새로운 버전은 스카이프를 통해 ‘페이스북 뉴스 피드’에 업데이트된 친구들의 알림글을 확인하고 답글을 달거나 공감하는 기능이 추가됐다. 특히 페이스북 탭을 통해 페이스북 친구의 연락처를 스카이프 친구목록으로 바로 불러오거나 알림글 오른쪽에 위치한 아이콘 클릭만으로 페이스북 친구들에게 문자메시지 전송이나 통화를 할 수 있다. 사용자 화면의 초점을 자동으로 맞춰주는 ‘다이내믹 뷰’ 기능으로 고화질 그룹 영상통화 서비스도 지원한다.
  • 트위터 정보로 이동경로 표시 美 스타 위치추적 사이트 논란

    ‘나는 그 스타가 어디에 있는지 안다.’ 미국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 올라온 정보를 모아 인기 스타의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사이트가 등장했다. 뉴미디어를 악용해 스타의 사생활을 지나치게 옭아맬 수 있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20일 미국 일간 샌프란시스코 클로니클에 따르면 ‘저스트스포디드닷컴(JustSpotted.com)’이라는 사이트는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에 올라온 정보를 토대로 스타들의 이동 예상 경로를 구글지도에 표시, 팬들에게 알려준다. 또 수시로 스타들의 위치가 업데이트돼 팝업 형태로 최신 정보를 제공한다. 예컨대 캐나다 출신 아이돌스타 저스틴 비버가 밴쿠버 소재 리바이스 상점에 있다는 정보와 영화배우 겸 가수인 마일리 사이러스가 배우 에반 조지아와 함께 비버리힐스에 있다는 사실 등을 알려주는 식이다. 서비스 내용이 알려지자 이 사이트가 팬들이 유명 스타를 스토킹하는 도구로 악용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 회사 창업자인 A J 애스버는 “절대 그렇지 않다.”고 반박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 FSB “글로벌 금융사 손실흡수 능력 높여라”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글로벌 금융회사(SIFI)’에 대해 더욱 높은 수준의 손실흡수 능력을 요구하는 방안이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에 보고된다. 24개국의 금융정책당국 최고 책임자가 참석하는 금융안정위원회(FSB)는 20일 서울 코엑스에서 총회를 열고 SIFI의 모럴해저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방향에 합의했다고 마리오 드라기 의장이 밝혔다. 이탈리아 중앙은행 총재인 드라기 의장은 “SIFI의 위기 대응 능력이 강화돼야 하고, 만약 SIFI가 위험한 상황이 된다고 하더라도 납세자의 부담이 없이 정리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데 회원국들이 동의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FSB는 SIFI에 대한 감독규제를 강화하는 한편 상황에 따라 감독 규제가 업데이트될 수 있는 틀을 만들기로 했다. 특히 SIFI에 대해선 위기 시 회생계획(Living Will) 준비를 의무화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드라기 의장은 또 “초기단계에선 글로벌 SIFI에 더욱 강력한 손실 흡수능력을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FSB는 SIFI의 선정 기준에 대해선 구체적인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이와 함께 FSB는 ‘장외 파생상품 시장(OTC)’ 규제에 대한 논의에서도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다. 이날 FSB가 합의한 내용들은 22~23일 경주 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의 검토를 거친 후 다음 달 서울 정상회의를 통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새로운 금융 규제로 확정된다. 진동수 금융위원장은 “글로벌 외환위기 이후 국내 금융기관에 대한 감독이 강화됐고, 글로벌 SIFI에 해당하는 국내은행도 없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미칠 영향은 적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 [교육플러스]

    ●두산동아 전자책 도서 추천 두산동아의 초중등 온라인학습사이트 에듀클럽(http://www.educlub.com)은 ‘필독서 전자책,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코너를 마련해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와 함께 고품격 도서를 추천한다. 회원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무료로 콘텐츠 이용이 가능하며, 추천 도서를 전자책 형태로 볼 수 있어 독서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 문학, 경제·경영, 역사 등 총 60여권의 도서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월 다양한 도서가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전문대교협 UCC 공모전 개최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회장 이기우 재능대학 총장)는 전문대학 이미지와 경쟁력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제1회 전문대학 UCC(User Created Contents·사용자 직접 제작 콘텐츠)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공모전에 참가하려는 개인이나 단체는 ‘전문대학이 대한민국의 미래 에너지’, ‘전문대학은 ○○이다.’, ‘전문대학의 경쟁력과 특징을 알리는 자유주제’ 가운데 하나를 지정해 3분 분량의 UCC를 만들어 다음 달 26일까지 공모전 홈페이지(http://ucc.kcce.or.kr)에 올리면 된다.
  • “처음 가보지만 건물·길찾기 쉬웠어요”

    “처음 가보지만 건물·길찾기 쉬웠어요”

    2012년 새 주소 체계 도입을 앞두고 지번제 중심의 기존 주소가 어떻게 바뀌는지 알아보기 위해 행정안전부 공무원과 함께 지난 16일 인천 서구청을 찾았다. 청사 옥상에 노란색으로 ‘서곶로 307’이라고 적힌 커다란 입간판이 눈에 들어왔다. 입체형 발광다이오드(LED)로 돼 있어 밤에도 눈에 잘 띈다. 기존 지번제에 따른 서구청의 주소는 ‘서구 심곡동 244’이다. 이를 새 주소 시스템에 적용하면 ‘인천 서구 서곶로 307’이 된다. “새 주소에 서곶로가 들어간 것은 구청에서 가장 가까운 도로가 서곶로이기 때문이고, 307은 서곶로 시작 지점에서 3070m 떨어진 지점을 뜻합니다.” 최한영 부구청장의 설명이다. 도로명주소법은 도로의 폭에 따라 40m 이상이거나 8차로 이상은 ‘대로’, 12~40m 또는 2~7차로는 ‘로’, 그 이하는 ‘길’로 구분한다. 도로의 서쪽과 남쪽 끝을 각각 시작점으로 정했다. 건물이 도로 시작점 기준 오른쪽에 있으면 짝수, 왼쪽에 있으면 홀수 번호를 20m 간격으로 부여한다. 서구청은 서곶로 왼쪽에 자리 잡고 있어 홀수번호(7)를 받았다. 서구청은 지역 주민들이 쉽게 건물을 찾을 수 있도록 도로명도 고유 지명이나 유래가 깊은 산 이름을 쓰는 등 대대적인 정비작업을 벌였다. 기존 복개천1길, 천수1~2길, 개나리1~2길, 감중절 2길, 샘물길 등 7개의 도로명은 가정로와 건지로 등 2개의 도로명으로 통합하는 등 서구 내 536개의 도로명이 490개로 줄어들었다. 김응기 토지정보과장은 “1997년부터 도로명 사업이 추진돼 이미 지번 주소에서 도로명주소로 변경됐으나 ‘개나리길’, ‘샘물길’ 등 추상적인 도로명이 많고 구간이 길지 않은 골목까지 별도의 이름이 붙어 길찾기에 어려움이 많았다.”면서 “추상명사는 지역 고유명칭을 따르고 거리가 짧은 구역은 가까운 큰 도로의 부속 도로명으로 통합해 문제를 해결했다.”고 말했다. 동서로 뻗은 원당대로와 남북으로 뻗은 고산후로가 교차하는 원당사거리에는 태양광 전지판과 풍력발전을 결합한 친환경 도로안내 표지판이 설치돼 별도의 전기 에너지 공급 없이도 낮밤 구분 없이 도로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김 과장은 “현재 서구에만 10개의 친환경 도로안내판과 32개의 도로안내판이 설치됐다.”면서 “주민들의 반응도 좋은 편이라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과 교차로를 중심으로 안내판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구청 측은 도로명주소의 가장 큰 장점은 ‘건물 위치의 예측 가능성’이라고 자랑했다. 실제로 원당지구는 처음 가 본 낯선 지역이었지만 도로안내 표지판만으로 현재 위치를 쉽게 알 수 있었고, 건물 기초번호의 규칙성에 따라 가까운 건물의 번호를 통해 가고자 하는 건물의 위치를 추측하고, 어려움 없이 찾아갈 수 있었다. 도로명주소는 자동차 내비게이션과 스마트폰 길찾기 서비스에도 적용된다. 송영철 행안부 지방세제관은 “내비게이션 업체 등 길찾기 서비스 업체는 기존 시스템에 행안부가 제공하는 주소 자료를 받아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 사용자는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통해 더 쉽고 정확한 위치 안내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새로 받은 도로명주소에 이의가 있을 경우 이를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박성국기자 psk@seoul.co.kr
  • [경제플러스]

    현대차 ‘엑센트’ 사전계약 현대자동차는 18일부터 소형차 베르나의 후속 모델인 ‘엑센트’에 대한 사전 계약에 들어간다고 17일 밝혔다. 소형차 최초로 6단 자동변속기를 적용해 최고출력 140마력을 낸다. 또 운전석, 동반석 및 사이드커튼 에어백 등 6개의 에어백과 후방 추돌 때 목 상해를 줄여주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등을 적용했다. 엑센트는 베르나에 비해 길이는 70㎜ 늘이고, 높이는 15㎜ 낮춰 한층 날렵하고 경쾌한 외관을 보여준다. ‘갤럭시S’ OS 업데이트 시작 삼성전자가 18일 북유럽을 시작으로 스마트폰 갤럭시S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2.1버전에서 2.2버전인 ‘프로요’로 업그레이드한다고 17일 밝혔다. 프로요는 기존 2.1버전에 비해 속도가 빠르고 어도비 플래시 10.1을 지원해 PC와 동일한 웹브라우저 환경을 제공한다. 또 내비게이션 기능이 강화된 구글맵이 제공되고, 외장메모리에도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KT 국내 첫 ‘쿡허브폰’ 출시 KT는 국내 최초로 집전화와 인터넷전화를 하나의 전화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쿡허브폰’을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쿡허브폰은 별도 모드변환 없이 녹색수화기 버튼과 ‘집전화’ 버튼 구분만으로 각각 인터넷전화 번호와 집전화 번호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 시내전화나 착신 등은 집전화로 사용하다가 시외·국제전화 이용 때 인터넷전화로 걸면 통화료를 아낄 수 있다. 쿡허브폰 이용자끼리는 HD보이스 기술이 적용돼 보다 생생한 통화감을 체험할 수 있다.
  • 2050년 지구촌 ‘사이버 쓰레기’ 몸살

    2050년 지구촌 ‘사이버 쓰레기’ 몸살

    미국의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가 저서 ‘미래의 충격(Future Shock)’을 통해 미래 세계를 조망한 지 40년이 지났다. 토플러의 다양한 예측은 현실로 입증됐고, 정보 과부하, 권력이동, 디지털혁명, 지식시대 등과 같은 용어는 이미 사전에 실렸다. 미래의 충격은 세계적으로 600만부가 팔렸다. 그렇다면 앞으로 40년 뒤의 2050년 미래 세계는. 토플러협회 소속 미래학자들은 14일(현지시간) ‘향후 40년 뒤 40가지’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2050년에 발생할 변화를 제시했다고 USA투데이가 보도했다. ●여성정치인 전성시대 오는 2015년까지 5년 동안 80개국이 대통령선거를 치른다. 새로운 지도자들이 대거 등장할 전망이다. 특히 여성 정치 지도자들이 많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종교집단을 기반으로 한 세력이 정부에 진출하는 사례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인 빌 게이츠와 같이 자선활동을 하는 기업가들의 국제적 영향력이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기술의 발달로 세계 곳곳의 전문가나 단체들과 더욱 빠르게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성공적인 조직들은 ‘해답 찾는 전문가’나 ‘문제 해결사’와 긴밀한 연계를 추구할 것으로 보인다. 화학, 생물학, 방사능, 핵, 기상 등과 연관된 감지 장치들이 휴대전화와 같은 생활필수품에 내장되는 시대도 열릴 것이다. 그러나 사생활 침해 문제가 빈발할 가능성이 크며, 급증하는 데이터들로 인한 불필요한 ‘사이버 쓰레기’(cyberdust)로 골머리를 앓을 것이다. ●업데이트 안 하면 ‘무용지물’ 기업 혁신을 위한 가장 중요한 원천은 소비자다. ‘누리소통망’, 이른바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갈수록 영향력이 커질 것이다. 기업들은 국경을 신속하게 넘나들 정도로 민첩한 조직으로 변신한다. 기술진보는 저개발국가에도 경제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변화 속도가 너무 빨라져 업데이트를 제때 하지 않으면 지식 자체가 무용지물이 되는 ‘무용지식’이 더 늘어나게 된다. 정수 시스템이 발전해 개발도상국에서는 많은 수인성 질병이 사라지고 물부족 문제도 해결될 것으로 예측된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 파란, 초기화면 개편 “모바일 서비스 유선 전진배치”

    파란, 초기화면 개편 “모바일 서비스 유선 전진배치”

    “모바일 기반 서비스를 유선에 전진 배치한 첫 사례” [서울신문NTN 김수연 기자] KTH는 12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13일 전면 개편되는 포털 파란의 유무선 초기화면을 공개했다. 이번 개편으로 KTH가 선보인 아이폰용 앱 ‘푸딩카메라’, ‘푸딩얼굴인식’, ‘아임IN’ 등 모바일 기반의 소셜 서비스들은 파란의 초기화면에 전면 배치됐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모바일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서비스들을 유선에 전진 배치한 첫 사례라고 강조했다. ◆ 서정수 KTH 대표 “두 번 실패하지는 않을 것” 서정수 KTH 대표는 이날 본격적인 초기화면 소개에 앞서 자사 스마트 모바일 전략 소개에 나섰다. 서 대표는 “하이텔로 800억원대의 매출을 창출했을 당시, 신생벤처인 다음이나 네이버가 카페, 메일, 검색 등의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면서 가입자 층을 늘려갔다.”고 운을 뗐다. 서대표는 이어 “그때 우리는 그 결과가 어떤 것을 초래할지 깨닫지 못했었다.”며 “두 번 실패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앞으로는 모바일 사용행태가 유선에 영향을 미치고 유무선의 경계가 무의미해 질 것” 이라며 24시간 연결된 내 손안의 컴퓨터 ‘스마트 모바일’을 변화의 핵심으로 짚었다. 그러면서 스마트 모바일 시대의 도래와 함께 ▲로케이션 ▲리얼타임(실시간) ▲ 클라우드 ▲ 소셜 ▲ 퍼스널 등의 5개 영역이 새롭게 열렸다고 언급했다. 위치기반 SNS인 ‘아임IN’, ‘푸딩’, ‘뉴스파인더’ 등 최근 KTH가 잇달아 출시한 모바일앱 역시 이러한 5가지 지점들을 겨냥하고 있다는 것이 서 대표의 설명이다. 또 서 대표는 KTH의 전략적 서비스 분야로 위치기반서비스(LBS) 및 소셜, 클라우드 연계형 서비스 등을 꼽으며 “이러한 서비스들이 컨버전스 환경에서 KT그룹의 네트워크 및 하드웨어와 연계돼 시너지를 내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 소셜 및 개인화 강화+스택구조 채택 서정수 대표의 전략 발표에 이어 백성원 UX 디자인 총괄 디렉터(이하 UXD 실장)가 본격적인 초기화면 소개에 나섰다. 백성원 UXD 실장은 “정보와 사용자를 잇는다는 개념을 새 초기화면 UI에 담아 파란만의 UX를 설계했다.”며 새로워진 초기화면을 공개했다. 새 초기화면에서는 메일과 블로그 등 유선 서비스뿐 아니라 푸딩, 아임IN, Usay 등 모바일 기반 소셜 서비스 소식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개인화 부분도 강화해 ‘My 파란’에서 메일 목록 및 내용에 대한 미리보기, ‘아임IN’과 ‘푸딩’의 업데이트 내용 확인 등이 가능해졌다. 이와 함께 KTH는 초기화면에 스택(stack) 구조를 채택했다. 이용자는 본인의 성향에 따라 뉴스, 쇼핑, 블로그, 푸딩, 아임IN, 증권 등 12가지 주요 서비스를 더하거나 빼 하나씩 쌓을 수 있다. 한편 KTH는 출범 이후 처음으로 BI를 변경, 최소한의 비트(Bit)와 도트(Dot)를 사용한 새로운 BI를 선보였다. 백승원 실장은 “도트는 아날로그, 비트는 디지털을 상징한다.”며 “우리는 두 요소의 연결고리가 되어 정보와 사용자를 잇고자 한다.”고 새 BI 컨셉을 설명했다. 김수연 기자 newsyouth@seoulntn.com
  • 엔씽모바일, 아이폰용 가사 어플 ‘씽플레이어’ 출시

    엔씽모바일, 아이폰용 가사 어플 ‘씽플레이어’ 출시

    [서울신문NTN 이규하 기자] 모바일 사운드 제작 전문 기업 엔씽모바일은 아이폰용 가사 애플리케이션 ‘Xing Player(씽플레이어)’를 출시했다. 씽플레이어는 일반 텍스트 형태 기존 가사 어플과 달리 재생되는 노래의 가사를 글자 단위로 싱크해 멜로디의 높낮이와 길이까지 시각적으로 표현한 ‘Live 가사’ 기능을 제공한다.또한 씽플레이어는 줄단위 싱크 가사인 LRC 파일 등 다양한 가사 형식을 지원하며 검색 성공률과 빠른 신곡 가사 업데이트를 선보인다.씽플레이어는 mp3 태그 내의 앨범아트 이미지를 풀사이즈로 지원한다.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 직관적인 UI가 장점인 것.최성지 엔씽모바일 대표이사는 “2010년 10월중 가사 자동 검색 on/off 기능과 가사 스타일 변경 기능이 추가된 1.1 버전 업그레이드를 준비하고 있다.”며 “씽플레이어는 눈으로 음악을 즐길 수 있게 해 음악 감상의 만족도를 한층 끌어올렸다.”고 말했다.한편 Live 가사는 국내 가요 위주로 제작돼 팝송과 J-POP 등 해외 음원의 경우 LRC와 TXT 중심으로 서비스 되고 있으며 안드로이드 버전은 10월 중 출시될 예정이다.이규하 기자 judi@seoulntn.com
  • HTC ‘디자이어 팝’, “SKT 통해 출시한다”

    HTC ‘디자이어 팝’, “SKT 통해 출시한다”

    [서울신문NTN 이규하 기자] HTC는 SK텔레콤을 통해 안드로이드가 탑재된 ‘디자이어팝(와일드파이어)’을 출시한다고 10일 밝혔다.3.2인치 디스플레이에 528MHz 프로세서, 500만 화소 카메라, LED 플래쉬 등의 사양으로 이번 출시 색상은 블랙과 화이트, 레드 3가지다.디자이어팝은 안드로이드 2.1 탑재로 향후 2.2 버전(일명 프로요) 업그레이드가 실시될 전망이다.이번 폰은 ‘발신자 ID 표시’ 위젯과 ‘앱 공유’ 위젯을 탑재했으며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이용을 용이하다.’발신자 ID 표시(Caller ID)’ 위젯은 전화가 왔을 때 상대방 페이스북의 최신 업데이트 내용과 생일 디데이(D-day) 정보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기능이다.’앱 공유’ 위젯은 자신이 다운받은 애플리케이션을 링크된 메일이나 문자 메시지를 통해 간단하게 추천할 수 있다.HTC코리아 측은 “디자이어팝은 아담한 크기와 간단한 디자인, 젊은 세대를 위한 SNS 연계 기능 강화 등이 특징”이라며 “여성, 대학생 등 다양한 소비자층을 위한 제품을 계속 선보일 것”이라고 전했다.이규하 기자 judi@seoulntn.com
  • KT, 중소기업 대상 통합 경영지원 ‘SmartBiz 2.0’ 제공

    KT, 중소기업 대상 통합 경영지원 ‘SmartBiz 2.0’ 제공

    [서울신문NTN 이규하 기자] KT가 중소기업을 대상한 통합 경영지원 솔루션 ‘SmartBiz 2.0’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10일 밝혔다.‘SmartBiz 2.0’ 서비스는 중소기업용 통합경영관리 솔루션으로 세무회계, 인사급여, 4대보험신고, 전자세금계산서, 자금관리, 원격자료보관, 기업정보조회, 고객관리가 가능하다.이번 서비스는 PC 및 스마트폰 상에서 중소기업 경영에 필요한 세무회계, 인사급여 등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다.세무회계 기능은 세법과 프로그램이 온라인에서 자동 업데이트돼 사용자는 별도 IT지식 없이 사용가능하다. 또 온라인으로 4대 보험 신고가 가능하다.기업자금관리 기능의 경우 여러 은행에 분산된 계좌를 한 번에 관리해 효율적인 자금관리를 가능하게 했다.장기승 KT 기업고객부문 상무는 “‘SmartBiz 2.0’ 서비스는 중소기업에서 필요한 기본 기능을 월 3만원이라는 저렴한 요금에 통합 제공되므로 중소기업의 업무 효율성 증대와 비용 절감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KT는 이번 서비스 확대를 위해 11월 12일까지 경품 이벤트 및 무료 프로모션 등을 시행할 예정이다.이규하 기자 judi@seoulntn.com
  • ‘네이버 앱’ 출시…바코드·음성·음악 검색 가능

    ‘네이버 앱’ 출시…바코드·음성·음악 검색 가능

    [서울신문NTN 김수연 기자] 네이버는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입력 기능과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네이버 앱을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 네이버 앱은 ▲바코드나 QR 코드를 카메라로 찍어 입력하면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바코드검색’ ▲사용자의 음성으로 간편하게 검색어를 입력하는 ‘음성검색’ ▲흐르는 음악을 들려주면 가사 등 관련 정보를 알려주는 ‘음악검색’ ▲현재 위치나 사진을 첨부해 질문할 수 있는 ‘지식iN Q&A’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음성검색’의 경우 사투리에 대한 강도높은 테스트를 거쳤으며 잡음제어(noise control)기술을 적용해 소음이 있는 환경에서의 인식률을 높였다. 또 네이버 자체 기술로 만들어진 ‘음악검색’은 150만 곡 규모의 음원 DB를 활용했다. 향후 정확하고 풍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1시간 단위로 음악 DB를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이람 NHN 포털전략 이사는 “지난 상반기에만 웹은 물론 앱에서의 활용까지 고려한 약 230여개의 DB구축 프로젝트가 진행됐다”며 “이번에 선보이는 다양한 네이버 앱을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보다 편하게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네이버 앱은 아이폰 OS 4.0 버전을 기준으로 제공돼 OS 3.0 버전에서는 일부 기능이 지원되지 않을 수 있다. 안드로이드 대응 네이버 앱은 10월중 출시될 예정이다. 김수연 기자 newsyouth@seoulntn.com
  • GS샵·디앤샵, 드라마 속 “이승연 패션 선보인다”

    GS샵·디앤샵, 드라마 속 “이승연 패션 선보인다”

    [서울신문NTN 이규하 기자] 패셔니스타 이승연이 드라마 속에서 입었던 똑같은 의상들이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판매된다.인터넷 쇼핑몰에서 패셔니스타 이승연이 드라마 속에서 입었던 의상을 만나 볼 수 있게 됐다. GS샵과 디앤샵은 6일 ‘주홍글씨 by 이승연’ 매장을 오픈하고 일일 아침드라마 ‘주홍글씨’에서 이승연이 입었던 의상들을 한자리에 모아 판매한다. GS샵과 디앤샵을 통해 판매되는 이번 상품은 전문직 여성답게 실용성을 가미한 의류들이 대부분으로 가격대가 합리적이다.특히 각 상품 페이지에는 ‘이승연의 상품 토크’ 코너가 있어 이승연이 직접 상품의 특징을 설명하고 코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박영실 GS샵 과장은 “패션 아이콘으로 유명한 이승연씨가 주홍글씨에서 보여주고 있는 패션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이 높다.”며 “주홍글씨의 이승연 패션 스타일링 정보를 빠르게 업데이트 할 예정이다.”고 밝혔다.이규하 기자 judi@seoulntn.com
  • 저스틴 비버, MTV ‘Punk’d’ 진행자 낙점?

    저스틴 비버, MTV ‘Punk’d’ 진행자 낙점?

    VMA를 통해 멋진 공연무대를 선보이고 CSI에서는 숨겨놓은 연기 실력을 뽑내며 두문불출하고 있는 저스틴 비버(Justin Bieber)가 이번에는 MTV ‘Punk’d’의 업데이트 버전 진행자로 나선다. 데드라인닷컴과 벌쳐는 16세의 팝 스타 저스틴 비버가 출연 계약에 사인하기 직전이라고 보도했다. “Punk’d”는 2007년 애쉬턴 커쳐(Ashton Kutcher)가 진행하던 쇼로 할리우드판 몰래 카메라다. 애쉬턴 커쳐는 쇼 제작자 제이슨 골드버그(Jason Goldberg)와 함께 ‘Punk’d’ 책임 프로듀서로 계속 만나볼 수 있다. 프리미어 날짜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2011년이나 돼야 업데이트 버전이 나온다고 한다. 만약 보도가 사실이라면 이는 비버가 음악 외에 다른 세계도 체험하고 있다는 좋은 증거라고 할 수 있다. 비버는 앨범 외에도 이번 달에 첫 단행본을 출판했으며 12월에는 인형을, 내년 2월에는 3D 일대기 영화를 내놓을 예정이다. 사진 = 빌보드 빌보드코리아 / 서울신문NTN 뉴스팀 ▶ 팝스타 핑크, 새 싱글 공개 “더 시끌벅적해질 것” ▶ 미드 ‘글리’의 스타 크리스콜퍼, 십대 LGBT 격려 ▶ 케샤, 전 매니저에 157억 피소 ‘법정 논쟁’ ▶ 카니예웨스트, 5집 타이틀 낙점 “음원유출 절대 없다” ▶ 드레이크, 코닥광고와 새 트랙 공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