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냄새 폴폴 나는 한심한 백수? / 16일 개봉 정우성주연 ‘똥개’
영화 ‘친구’를 한 2년 푹 곰삭혀 독기를 빼면 이런 맛이 나지 않을까.
한국최고의 흥행작 ‘친구’의 곽경택 감독이 새로 만든 영화 ‘똥개’(진인사필름 제작·16일 개봉)의 인상을 거칠게 말하자면 그렇다.“이제 그만 ‘친구’의 굴레에서 벗어나고 싶다.”고 감독은 말하지만,전작의 원형질이 알게 모르게 묻어나는 건 어쩔 수 없어보인다.‘친구’에서 폭력의 독성은 걷어내고 고교시절의 추억담을 다시 소재로 끌어온 다음,거기에 아버지와 아들이 엮는 가족사를 고명으로 얹은 드라마다.
싸움질끝에 고교 2학년때 퇴학당한 뒤 ‘백수’로 빈둥대는 철민(정우성)이 주인공.그 덕분인지 영화는 처음부터 관객을 나른하게 무장해제시킨다.체육복 차림에 부산사투리를 능청스레 구사하며 팔다리를 맥없이 건들거리는 정우성의 연기는,말 그대로 ‘변신’.어려서 어머니를 잃고 형사인 홀아버지(김갑수) 밑에서 외롭게 자란 철민은 누가봐도 한심한 ‘백수’의 표본이다.
더벅머리에 맹한 표정,15도쯤 삐딱하게 턱을 치켜든 정우성의 사투리 연기는 뭐니뭐니해도 영화의 최대 감상포인트다.대사가 이런 식이다.“아부지,돈 좀 도봐(줘봐).”(철민) “와(왜)?”(아버지) “김치 담가야 된다.”(철민)
‘똥개’는 어려서부터 집에서 키우는 똥개 한마리를 그림자처럼 달고 다닌 덕분에 붙여진 철민의 별명이기도 하다.제목에서부터 감지되듯,영화는 한참동안 정우성과 김갑수가 주고받는 익살스런 대사연기로 소탈한 재미를 붙여간다.무심하게 툭툭 내뱉는 두 남자의 ‘설전’에 관객의 온신경이 쏠려 있는 사이 감독은 쉽게 풀 수 없는 갈등고리 하나를 걸어놓는다.고등학교 축구부 시절 철민의 개를 잡아먹은 뒤 원수가 된 깡패 진묵(김태욱)이 갈등의 진폭을 더해가는 캐릭터.고교를 퇴학당하고도 앙금을 털지 못해 철민과 사사건건 부딪힌다.
영화가 참신한 느낌이 드는 것은 소재의 의외성 때문이다.철민과 진묵이 대립하고 그 틈새에서 철민의 아버지가 철민에게 무뚝뚝하면서도 은근한 사랑을 쏟는 일련의 과정에는 ‘폼나는’ 설정이라곤 눈을 씻고 봐도 없다.겉으로는 냉정한 듯하면서도 부자간의 깊은 속정을 한꺼풀씩 벗겨내는 영화에는 갈수록 ‘사람냄새’가 진하게 진동한다.만나면 티격태격하는 아버지와 아들이,중학교를 중퇴하고 오갈 데 없이 소년원을 들락거리는 소매치기 정애(엄지원)를 가족으로 끌어안는 것도 영화를 은근히 휴먼드라마로 둔갑시키는 주요설정이다.
어디서나 있을 법한 소시민적 일상을 그대로 스크린에 퍼옮긴 듯 사실적으로 전개되던 영화는,막판에 크게 한번 정색을 한다.철민이 유치장에서 팬티차림으로 진묵과 벌이는 육탄전.억눌린 분노를 작정하고 터뜨리는 철민의 몸부림에서 카타르시스를 대신 맛볼 수는 있지만,지나치게 작위적이어서 뜨악해진다.
황수정기자 sjh@
■곽경택 감독
“언젠가 젊은 친구 몇에게 꿈이 뭐냐고 물었더니 결혼하고 애낳고 사는 거라고 대답하더라구요.객관적으로 볼 때는 그냥 ‘살아가는 모습’일 뿐인 데 그걸 꿈이라고 믿는 사람들이 있더라니까요.”
‘똥개’의 시사회가 끝난 직후 만난 곽경택(37) 감독은 “일상을 꿈이라 믿는 고민없는 한 인간을 그렸다.”고,주인공 철민의 캐릭터를 설명했다.“‘친구’를 비장하게 만들었다면 ‘똥개’는 그저 즐겁게 만든 영화”라는 자평도 덧붙였다.
곽 감독에게 ‘똥개’는 ‘억수탕’‘닥터K’‘친구’‘챔피언’에 이은 5번째 장편.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이야기의 기둥으로 삼은 데 대해서는 “우리의 부자관계는,흔히 좋은 아버지와 그를 사랑하는 아들로 묘사되는 할리우드식과는 다르다.”면서 “서먹서먹하면서도 서로를 읽어내려는 부자간의 감춰진 사랑에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감독이 개인적으로 가장 애착을 갖고 연출한 대목은 막판 유치장에서 철민이 싸우는 장면.“일부러 투견장면이 연상되게 찍었다.”는 그는 “보기에 따라서 억지스럽다고 평가할 수 있겠지만,그래도 그건 극의 주제의식을 드러내기 위한 분명한 연출의도”라고 말했다.
정우성과는 더없이 호흡이 잘 맞았다는 소감도 빼놓지 않았다.“다음 작품의 시나리오가 나오는 대로 (정우성에게)보여주고 함께 작업하자고 권유할 것”이라고 귀띔했다.감독으로서 아쉬웠던 부분이 있느냐는 물음에는 “짧은 촬영기간 등 열악했던 제작환경을 감안하면 스스로 머리를 쓸어줘도 좋을 만큼 만족스럽다.”며 웃었다.
황수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