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새만금 공사 일단 중지하라
새만금 갯벌과 온세상의 생명 평화를 염원하는 3보1배는 말 그대로 감동이었다.많은 사람들을 숙연하게 했다.여러 차례 현장을 찾은 나도 갈 때마다 부끄러움을 떨치지 못했다.저 네 분이 왜 뜨거운 아스팔트에 무릎꿇고 머리 조아려야 하는가.자연과 생명 파괴에 대한 참회,스러지는 생명에 대한 연민,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서원,그리고 그 서원을 들어달라는 간절한 마음이 아니고서는 고행길에 나서지 못했을 것이다.자동차로 가면 네 시간이면 족한 길을,걸어서 가도 열흘이면 가는 길을 두 달이 넘게 기어서 갔다.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움을 회복해야 한다는 가장 낮지만 큰 울림의 호소였다.
새만금의 활용과 관련해 풍력발전 단지,해상신도시 건설론 등 여러 사람들이 의견을 내놓고 있다.노무현 대통령은 5일 새만금 사업은 계속하되,다만 간척지를 농지,관광지,산업단지 등 어떤 용도로 쓸 것인지는 신구상기획단에서 한 두달안에 결정토록 할 것임을 시사했다.
지금까지도 신구상기획단 구성에 대해서는 대체로 찬성해온 것 같다.애초의 사업 목적이 농지 조성이었는데,지금은 누구도 농지 조성을 위해 여의도의 140배가 넘는 갯벌과 바다를 메워야 한다는 데 동의하지 않는다.노무현 대통령도 기왕에 농지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있어야 한다고 밝혔었다.애초의 목적이 상실되었으니,새로운 목적을 세우기 위한 논의가 반드시 있어야 하며,이를 위해 신구상기획단은 매우 적절하며,그 구성 시기를 더 늦춰서는 안 된다.
대통령의 신구상기획단에 대한 언급이 있은 지 넉 달이 지난 지금까지 구성되지 않은 것은 잘못이다.국무회의에서 총리가 주재해 구성하라고 대통령이 지시했어도 움직임은 더디기만 했다.이런 가운데 새만금을 둘러싼 논란은 전북지역 공무원들의 집단사표 으름장과 도지사의 삭발 등 어처구니없는 장면들이 연출되고 있다.이런 상황을 보며 현 정부의 시스템이 과연 있기나 한 것인지 답답할 뿐이다.정부가 손을 놓고 있으니 합리적인 논쟁은 찾을 수 없고,감정적 대립만 격해지는 것이 아닌가.
새만금 사업을 강행해 농지를 만드는 것이 전라북도의 발전을 보장해주는 것일까? 그렇다면 얼마나 좋겠는가.전라북도가 농지가 모자라거나 산업단지가 없어서 발전이 더딘 것인가.그렇지 않다.군장산업단지가 있고,전라북도는 다른 지역보다 농지가 상대적으로 많다.그런데도 농지를 더 늘리고 공업단지를 만들어야 한단 말인가.더욱이 농지보다 생산성이 높은 갯벌을 메우고,제2의 시화호가 될 것이 뻔한 담수호를 조성해서 환경재앙을 초래하면서까지 그래야 하는가에 대해 많은 국민들은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이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해졌다.서둘러 새만금 신구상기획단을 구성해야 한다.갯벌을 보전하면서,전라북도의 발전 방안을 찾을 수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이미 여러 방안들이 나와 있다.다행히 청와대에서도 새만금 사업의 대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새만금 사업의 대안으로 군산·장항산업단지를 중국시장을 겨냥한 자동차 부품산업 기지로 육성해 전북 경제를 실질적으로 활성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여기에 33㎞ 가운데 29㎞를 쌓은 방조제를 활용하는 방안을 덧붙인다면 전라북도의 발전을위한 효과는 더욱 커질 것이다.
문제는 방조제 공사를 이 시점에서 일시 중단하는 것이다.그렇지 않으면,갯벌을 죽이고 제2의 시화호의 잘못을 되풀이하는 결과를 가져온다.이는 새만금 사업을 강행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전라북도 주민들도 결코 원치 않는 방향이다.
세 영 스님 불교환경연대 집행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