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기 비씨카드배 신인왕전 본선 1회전] 바둑의 체육화
총보(1∼290) 과거에는 40세가 되어야 바둑의 진정한 의미를 알 수 있다고 했었다. 어려서부터 계속해서 바둑을 수련해도 40세 이전에는 바둑의 수를 이해하기 힘들기 때문에 정상에 오를 수 없다는 뜻이다. 바둑을 ‘예도(藝道)´로 생각하던 시절이다. 실제로 일본에서 한 시대를 풍미했던 사카다 에이오(坂田榮男) 9단도 자신의 전성기를 40세 무렵이라고 얘기한 바 있다. 그러나 사카다 9단의 전성기를 막 내리게 한 이는 다름 아닌 20대의 린 하이펑(林海峰) 9단이었다. 그리고 그 뒤 조치훈 9단은 18세에 첫 타이틀을 땄다.
이것이 바둑이 ‘예´에서 ‘스포츠´로 바뀌는 과정이라고 하겠다.
과거에는 바둑도 서예나 다른 ‘예도´와 같이 혼자서 수련했다. 자연히 바둑의 실력 향상은 상당히 더디었고, 그 많은 바둑의 수법을 익히는 데에 상당한 시간이 걸렸던 것이다.
그런데 집단으로 공동연구를 하는 시대가 되자 상황이 바뀌었다. 더구나 출판문화의 발전으로 바둑의 수법이 책을 통해 모두 공개됐다. 어린 나이일수록 스펀지처럼 빨아들이는 속도가 빨라서 어릴 때 시작할수록 더 빨리 바둑이 늘었다.
한국기원에서는 수년전부터 바둑을 체육으로 규정짓고 대한체육회 가맹을 시도해왔다. 전국에 14개 시도지부를 설립하고 아마단체인 대한바둑협회도 창립했다. 그러나 지난달 25일에 열린 대한체육회 이사회에서도 또다시 대한체육회 가맹에 실패했다. 물론 이 날 가맹에 실패한 이유는 다른 데에 있었지만 한국기원 입장에서는 실망스럽기는 마찬가지이다.
근육 운동이 수반되지 않는 바둑이 어떻게 체육이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지만, 그렇다면 정신력이 더 중요한 사격이나 양궁은 또 무엇인가? 또한 서양에서는 이미 체스와 브리지를 마인드스포츠라 하여 이미 국제올림픽위원회(IOC)로부터 스포츠로 인정받았다. 올해 카타르 도하에서 열리는 아시안게임에서는 체스가 정식종목으로 채택되기까지 했다.
(118=110,121=109,124=110,126=109,136=128,139=133,142=128,145=133,
148=128,272=129,274=197,276=146,279=189,282=146,285=189,287=146,
290=205) 290수 끝, 백 4집반승 (제한시간 각 10분, 초읽기 40초 3회, 덤 6집반)
유승엽 withbd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