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야묘도추
    2025-05-09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
  • BTS RM, 대구간송미술관 방문?…SNS에 ‘미인도·야묘도추’

    BTS RM, 대구간송미술관 방문?…SNS에 ‘미인도·야묘도추’

    미술 애호가로 알려진 ‘방탄소년단’(BTS) 리더 RM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대구간송미술관에 전시 중인 작품이 올라와 눈길을 끌고 있다. 군복무 중인 RM은 휴가 도중 대구간송미술관을 다녀간 것으로 보인다. 지난 18일 RM의 인스타그램에는 ‘오래된 미래’라는 글과 함께 김득신의 ‘야묘도추’와 신윤복의 ‘미인도’ 등을 촬영한 사진이 올라왔다. 이와 함께 김일두의 ‘가깝고도 머언’을 BGM으로 깔았다. 이들 작품은 대구간송미술관 개관기념 국보·보물전 ‘여세동보(與世同寶)–세상 함께 보배 삼아’ 전시 중이다. 야묘도추는 조선 후기 화원화가 김득신의 풍속화 중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히며, 혜원 신윤복의 미인도는 ‘한국의 모나리자’라고도 불린다. RM이 이날 올린 야묘도추 사진은 왼쪽 상단에 조명이 유리판에 반사된 흔적이 있어 실제로 미술관을 다녀갔다는 추측이 나온다. RM은 평소에도 휴가 등 여유가 생기면 국내외 미술관을 다니는 것으로 유명하다. 과거 경주엑스포대공원 솔거미술관과 대구미술관을 방문한 바 있다. 이후 BTS의 팬덤인 아미들이 미술관에 몰리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주기도 했다. 대구간송미술관 관계자는 “(RM 측에서) 별도로 방문한다고 알려오진 않았다”면서도 “누적 관람객이 10만 명이 넘은 가운데 RM의 포스팅이 흥행에 더욱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간송미술관은 지난달 3일 문을 연 이후 한 달 만에 관람객 7만 명을 돌파했고, 지난 17일에는 누적 관람객 10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 김홍도·신윤복, 그들의 일상 속으로

    김홍도·신윤복, 그들의 일상 속으로

    우리 옛 그림 가운데 인물을 주제로 하는 풍속인물화는 가장 많은 사랑과 관심을 받는 주제이다. 서울 성북동에서 1년에 두 차례 2주씩만 전시를 해 오던 간송미술관이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소장품들을 전시하기 시작한 지 어느덧 3년째. 2014년 DDP 개관과 함께 열리기 시작한 간송문화전의 여섯 번째이자 대미를 장식하게 될 전시는 그래서 풍속인물화를 중심으로 꾸며졌다. 오는 8월 28일까지 열리는 ‘풍속인물화-일상, 꿈 그리고 풍류’전에서는 풍속화의 백미라 할 수 있는 조선시대 대표화가 33명의 작품 80여점이 선보인다. 조선 500년 역사 속에 펼쳐진 시대를 대표하는 화가들의 작품을 통해 회화양식의 발전성쇠를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다. 풍속화는 조선시대 초기 중국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지만 16세기부터 고유 화풍이 형성되기 시작했고 겸재 정선은 성리학 이념을 바탕으로 진경풍속화를 창안했다. 18세기에는 심사정, 강세황이 중국 남종화를 수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으나 김홍도와 김득신, 신윤복 등 화원 화가들이 등장하면서 절정을 맞았다. 백인산 간송미술관 한국민족미술연구소 연구실장은 “이번 전시에는 선조들의 현실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 주는 풍속화 외에도 불교와 도교에 관계된 초자연적인 인물상을 그린 도석화(道釋畵)들을 만나 볼 수 있다”면서 “시대의 흐름과 미감의 변화를 비교하면서 감상하면 조선회화의 가치가 더욱 돋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전시는 문인과 백성의 ‘일상’, 현세의 행복과 내세의 구원을 바라는 ‘꿈’, 흥취를 풀어내는 문화인 ‘풍류’ 등 세 가지 주제로 나뉜다. 노동과 휴식을 보여 주는 일상 부문에선 들고양이가 병아리를 훔치는 모습을 익살스럽게 표현한 김득신의 ‘야묘도추’(野猫盜雛), 정선의 자화상으로 추정되는 ‘독서여가’(讀書餘暇) 등이 공개됐다. 수양버들에 파릇파릇한 잎이 돋아나기 시작하는 화창한 봄날에 길을 나선 선비의 모습을 묘사한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마상청앵’(馬上聽鶯)은 진경풍속화풍의 완결판으로 특히 눈여겨볼 만하다. 봄기운을 이기지 못하고 문득 말에 올라 봄을 찾아 나선 선비가 길가 버드나무 위에서 꾀꼬리 한 쌍이 노니는 모습에 넋을 빼앗긴 채 서서 바라보고 있는 장면이다. 꾀꼬리 소리에 넋이 나간 선비의 모습이 돋보이도록 버드나무는 간결하게 처리해 측면의 길섶으로 몰아놓고, 선비 일행을 큰길 가운데에 내세운 채 나머지는 모두 하늘로 비워 둔 대담한 구도가 기가 막히다. 미디어 아티스트 이이남 작가는 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미디어아트를 선보였다. 꿈 부문에서는 달마도로 이름난 김명국이 신선을 소재로 그린 작품들과 노승이 흰 구름을 타고 하늘을 나는 장면을 묘사한 김홍도의 ‘염불서승’(念佛西昇) 등 소망과 이상을 표현한 작품들을 볼 수 있다. 마지막 풍류 부문에는 ‘단오풍정’, ‘쌍검대무’(雙劍對舞)와 ‘미인도’ 등 신윤복의 작품이 다수 전시됐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 문화부 홈페이지 엉터리 투성이

    문화관광부가 개설한 인터넷 사이트에서 우리나라의 여러 국보급 문화재들이 북한 문화재로 기재된 채 국내외에 그대로 소개되고 있다. 문화부는 지난달 1일부터 인터넷 홈페이지(www.mct.go.kr)에 ‘남북통합문화관’을 설치,남북 양쪽의 문화재를 동시에 소개하고 있으나 일부 한국의중요 문화재를 북한이 소장하고 있는 문화재로 잘못 기록한 뒤 한달이 넘도록 이같은 내용을 국문 및 영문으로 홍보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표적인 예가 국보 118호인 금동미륵반가사유상으로 남북통합문화관 사이트 내 ‘유물관’에는 허리가 다소 굽은 듯한 특유한 자세의 이 반가상이 북한에 있는 문화재로 소개되어 있다.이 반가상은 해방전 평양 평천리에서 출토됐다고 전해지나 현재는 용인 호암미술관이 소장한 어엿한 한국정부 지정국보이다. 사이트 내 ‘유물관’ 뿐아니라 남북한 문화재를 비교하는 ‘비교탐방’및‘통합검색’코너도 국보 118호 반가상의 소재를 북한으로 못박고 있다.우리의 국보 118호와 똑같은 반가상이 평양 평천에서 또다시 발굴될 가능성은 전무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영문판 ‘유물관’에서도 이 반가상은 북한 문화재로 기록되어 있다.이밖에도 김득신(金得臣)의 야묘도추(野猫盜雛),윤두서(尹斗緖)가 그렸다고 전해지는 마상처사(馬上處士) 등의 회화작품도 북한 유물로 잘못 소개되고 있다.개인 소장품인 강세황(姜世晃) 자화상,김정희(金正喜)상 뿐아니라 정선(鄭敾)의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호암미술관 소장·국보216호)와 금강전도(金剛全圖·호암미술관·국보 217호) 등도 마찬가지로 북한문화재로 등재되어 있다. 문화부는 ‘남북통합문화관’ 사이트 구축사업을 1년 넘게 추진해 왔으나지난 8월 북한측(조선아세아태평양평화위원회)으로부터 문화재 자료를 전달받은 뒤 북한 자료에 대한 별다른 전문가의 검증작업도 거치지 않고 두달 만에 사이트를 개설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재영기자 kjykjy@
  • 김득신의 ‘밀희투전’의 인물(한국인의 얼굴:122)

    ◎노인들,몰래 벌인 투전관 묘사/패 잡은 안경낀 노인 표정 이채 조선왕조 후기는 회화의 한 장르로 속화가 자리매김한 시기이기도 하다.크게 보면 풍속화도 그 장르에 속한다.그러나 풍속화와는 구별되는 일면도 있다.이를테면 당시 사회에 나타난 잡스러운 일이나,민중들이 연출한 여느 풍물의 그림이 속화다.사대부들이 고상한척 격식을 따져 감상한 그림과는 좀 다른 것이다. 그래서 속화는 민중들이 낄낄거리며 들여다 볼 수 있는 틈새를 열어주었다.긍재 김득신(1754∼1822년)은 그런 속화를 잘 그렸다.단원 김홍도와 더불어 거의 같은 시대를 살면서 함께 화원으로 활약했기 때문에 그의 속화가단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는 이들도 있다.병아리를 챈 고양이를 쫓아내는 그림 ‘야묘도추’의 인물상 골격은 실제 단원의 필치를 많이 닮았다. 그의 속화에는 ‘밀희투전’이라는 그림이 있다.노인들이 모여 몰래 벌인 투전판을 묘사한 그림이다.투전꾼 중에서 안경을 끼고 패를 쥔 노인은 사뭇심각한 표정을 지었다.상대방 눈치와 패를 살피느라 백수정 안경알에 어린 눈매가 예사롭지 않다.할기족족한 눈에는 약간의 핏발이 섰다.행세 깨나 하는 노인인 듯 탕건을 갖추어 썼으나,잡기에 손을 대고나면은 별수가 없는 모양이다. 놀음판에 끼어들지만 않았더라면,본디 점잖았을 노인이다.비록 놀음판을 찾았을 지라도 동저고리 바람이 아니고 배자까지 입었다.아직은 초로기라서 소담한 구레나룻 수염이 검다.‘수염이 대자옷이라도 먹어야 양반’이라고 하지 않았던가.기왕 노름판에 궁둥이를 붙였으니 기어이 돈량이나 만져보고 말겠다는 눈치다.일찌감치 패를 버리고 들어가 판세를 관망중인 노인과는 대조를 이룬다. 노름패를 잡은 노인은 당시 하이컬러라 그런지 흔치 않은 안경을 썼다.우리나라에서 안경 이야기는 임진왜란을 전후해서 처음 나온다.그 뒤에 1560년대초 ‘오봉집’에도 소개는 되었으나,본래 중국을 거쳐 들어온 외래박물의 하나였다.그런데 투전판 노인은 안경을 썼다.안경이 아직 덜 발달해서 다리대신에 실고리를 걸었다.그리고 코거리를 망건속에 집어넣었다.‘매천야록’의 저자 황현(1855∼1910년) 초상화의 안경에 비하면 너무 구식이다. 이들 노인이 어울려 노는 투전 역시 중국에서 들어왔다.17세기 숙종때 역관 장현이 노는 방법을 배워가지고 돌아와 좀 고쳐 만들었다는 것이다.조선시대 문헌 ‘경도잡지’와 ‘오주연장전산고’에 투전 이야기가 나온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