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색&뜨는 新직업] (4) 프레젠테이션 컨설턴트
“무엇을 전달할 것인지 명확해야 합니다. 어떤 순서와 방법으로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를 먼저 기획할 줄 알아야 합니다.”
지난 7일 정부과천청사 한편에서는 공무원들에게 발표 기법과 준비 과정을 소상히 알려주는 자그마한 강의가 있었다. 정책 발표를 앞둔 소속 공무원들이 보다 효과적인 전달 방법과 준비 절차에 눈과 귀를 치켜세우고 있었다. 강의는 천지인 커뮤니케이션 대표 유현덕(34)씨가 맡았다. 유씨는 정책 발표, 신제품 발표회 등을 전문적으로 기획해 주는 프레젠테이션컨설턴트다.
●이색직업으로 올해 처음 등록
프레젠테이션컨설턴트라는 직업은 올해 처음으로 한국고용정보원의 이색직업란에 이름을 올렸다. 그동안 기획이나 발표 기법 전수 등 부분적으로 비슷한 일을 하는 사람들은 있었으나 전문직업화된 것은 5∼6년 전쯤으로 알려져 있다. 프레젠테이션컨설턴트는 발표를 잘할 수 있도록 돕는 사람이다. 단순히 말을 그럴싸하게 잘하도록 돕는 차원을 넘어 효과적인 발표가 되기 위해 시간과 공간적인 준비 과정을 전문적으로 총괄해 주는 직업이다. 이들은 우선 기획할 프레젠테이션의 목적과 성격, 발표 시간, 분량 등을 고객과 협의한 뒤 전체적인 윤곽을 잡는다. 이후 청중의 이해를 돕기 위해 스토리보드에 구체적인 사안을 작성한 뒤 최종 수정, 보완 작업을 거친다. 필요할 경우 슬라이드, 애니메이션, 내레이션을 넣어 내용을 부각시키고 최종적으로 발표자에게 발표 기술을 접목시킨다.
●업무영역 확대로 수요 급증
현재 50여개의 전문업체가 활동하고 있다. 회사마다 다르지만 보통 5명 안팎이 팀을 이뤄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업계 전체로 보면 1000여명의 프레젠테이션컨설턴트들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좀더 세분화하면 발표 기법을 전해주는 컨설턴트, 발표 순서와 전체적인 밑그림을 그려주는 기획담당 프레젠테이션, 비주얼화하는 디자인 프레젠테이션으로 나뉜다. 유씨는 이들을 관리, 감독하는 대표이지만 강의 담당 컨설턴트이기도 하다.
프레젠테이션컨설턴트들은 신제품 출시를 위한 제품 발표회, 투자 유치를 위한 사업설명회, 프로젝트 유치를 위한 사업 제안서, 업무보고서에 이르기까지 업무 영역을 넓히고 있다. 초기자본(5000만원 안팎 가능)이나 인력 확보도 비교적 쉬워 진입 장벽도 높지 않은 편이다.
●발표력·기획력이 기본
유씨는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해 컨설턴트가 되는 데 많은 도움이 됐다고 한다. 그는 “학창시절 발표 과제를 준비하면서 교수의 의도와 전혀 다른 과제를 발표, 곤욕을 치르면서 발표력에 관심을 쏟았다.”고 설명했다.
●월수입 500만∼1000만원
프레젠테이션컨설턴트로 이름이 알려지면 월 평균 500만∼1000만원은 거뜬히 벌 수 있다. 개인차는 있지만 유씨의 경우 직원 26명을 거느린 사장으로 연간 10억∼20억원대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그는 삼성,KT, 현대건설 등 대기업과 도로·철도공사를 비롯한 정부 각 부처 등에서 300차례가 넘는 프레젠테이션을 도왔다.
이같은 프레젠테이션을 지원하는데는 보통 평균 보름에서 한 달가량 걸린다. 수주액은 300만원부터 3000만원까지 다양하다. 평균 1000만원선은 된다.
단점이라면 자신의 의도보다는 고객이나 고객이 원하는 청중의 구미에 맞춰 살아야 한다는 점이다. 하루 일과가 전적으로 고객의 스케줄에 좌지우지될 수밖에 없다. 유씨는 “모든 기관의 업무, 기업 신제품 등이 고객들에게 선뵈는 마지막 단계를 설계하고 실행되도록 한다는 데 컨설턴트의 매력이 있다.”면서 “결과가 성공적일 때는 돈으로 평가할 수 없는 성취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동구기자 yidonggu@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