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마인드’ 공기업 경영에 실험중
삼성의 경영방식이 서울시 공기업으로 접목되고 있다.‘재계 사관학교’로 불리는 삼성 임원들이 서울시 산하 기관장으로 변신해 두드러진 활약을 보이고 있는 것. 최근 설립 10주년을 맞은 서울산업통상진흥원(SBA)의 심일보(55) 대표이사는 SBA를 ‘민간 기업 같은 공기업’으로 바꿔놓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SBA의 사업영역은 패션, 애니메이션, 창업보육, 마케팅,R&D, 디지털콘텐츠, 디자인산업 등 7개로 늘었다.
삼성물산 전무 출신인 심 대표는 6일 “대기업보다 업무의 진행과 성과 도출이 아직 느리긴 하지만,30년 민간의 경영마인드를 착실하게 접목시키고 있다.”면서 “열돌을 맞아 제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SBA가 다양한 물건을 파는 백화점 기업이긴 하지만, 백화점에도 특정한 명품으로 유명한 사례가 많다.”면서 “SBA의 명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심 대표는 6개월 전 취임하자마자 조직과 임직원에 대한 역량진단에 착수, 중복 조직을 과감하게 정비하고 직원들의 역량을 정확히 산정했다. 전략분야는 디자인산업 육성, 상암 DMC(디지털미디어센터) 조성, 서울 글로벌센터 운영으로 정했다. 목표에 동기를 부여하고 성과에 대해서는 반드시 보상이 따르도록 했다.
SBA는 직원 200여명이 시내 10개 기관(총 6만 8099㎡)을 운영하고 있으며, 민간에서 성과를 내기 어려운 분야에서도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해마다 봄과 가을에 여는 패션쇼 ‘서울컬렉션’은 뉴욕·파리·런던·밀라노와 함께 ‘세계 5대 컬렉션’으로 인정받는다. 지난달 중순에 열린 제16회 컬렉션에는 프랑스 ‘프레타포르테(기성복)’의 장피에르 모쇼(64) 협회장 등 세계 패션계 거물과 16개국,80여명의 유명 바이어가 참가했다.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은 국내 최고의 애니메이션 축제로 자리를 잡았다. 강남구 대치동의 종합전시관 ‘세텍(SETEC)’은 코엑스(COEX)와 함께 국내 컨벤션산업의 중추다.SBA는 동대문디자인월드플라자(DDP) 조성 등 시의 최대 역점사업의 운영주체이기도 하다.
SBA는 10년 전인 1998년 3월31일 서울산업진흥재단으로 출범했다. 그해 7월 창동에 중소기업전시판매장을 설립한 게 첫 사업이다. 지금도 서울에 본사를 둔 80여만여개 중소·벤처기업의 경영활동을 지원한다.
심 대표는 다른 삼성 출신들처럼 본인이 밖으로 드러나는 것을 꺼린다. 그렇지만 조용히 추진한 조직혁신 프로그램이 15개 시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한 2007경영평가에서 최우수등급, 고객만족도 2위, 창의시정 사례발굴 최우수상 등 성과로 나타났다. 이밖에 오세훈 서울시장이 강조하고 있는 ‘창의시정’은 지난해 시에서 ‘100일 창의서울추진본부장’을 역임했던 이승한(62) 삼성테스코 대표이사가 토대를 구축한 철학이다. 지난해 말에는 시정개발연구원장에 정문건(56) 전 삼성경제연구소 부사장이 취임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