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동화 등 이야기속에 숨겨진 철학의 구조
‘옛날 옛날 호랑이가 담배 피우던 시절에~’로 시작되는 이야기는 이미 호랑이가 담배를 피운다는 것으로 이야기를 지어내고 있다. 역사적 사실에 따르면 담배가 한반도에 소개된 때가 17세기라는 점을 고려하면, 400여년 전이라고 해야 마땅하겠지만, ‘옛날 옛날에’라는 서두로 시작하면 아이들은 조선을 넘어, 고려를 넘어, 삼국시대를 넘어 아마도 선사시대 어딘가를 헤매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서사 철학’(휴머니스트 펴냄)은 저자인 김용석 영산대 교수가 인간에게 이야기하는 취향은 본능이라며, 스토리텔링이 대세인 시대에 맞춰 철학을 이야기 구조에서 파악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원래 이야기와 철학은 한몸이었는데, 어느 날부터 철학과 이야기가 서로 멀리하게 됐다는 것이다. 저자는 철학 그 자체를 어려운 언어와 구조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신화, 동화, 진화 등을 통해 설명하고, 멀어졌던 두 세계를 다시 통합시킨다.
순수함의 결정체로, 익숙한 동화의 경우를 보자. 인류 역사는 신화화와 탈 신화화를 지속적으로 이어왔는데, 탈 신화화의 역풍에도 끊임없이 생명력을 이어온 것이 아이의 신화다. 그러기 때문에 동화는 순수, 천진난만 등의 수식어가 붙어 있는 아이들을 통해 오히려 신비스러움과 비밀스러움을 강화시키지만, 실제로는 신기루가 사라졌을 때 현실의 환멸을 더욱 부각시킨다는 것이다. 일테면, 말하는 흰토끼가 나오는 루이스 캐럴의 ‘신기한 나라의 앨리스’나, 웬디와 그의 형제들이 봄맞이 대청소 때마다 네버랜드로 떠나는 제임스 배리의 ‘피터 팬’을 예를 들 수 있겠다.
때론 주인공이 조화와 안정, 질서를 추구하며 나아가 독자를 닫힌 사회에 붙잡아 두는 구조를 재생하기도 한다. 안데르센의 ‘미운 오리 새끼’에서 오리 세계에 적응하지 못한 미운 오리 새끼는 그 스스로 오리가 아니라 백조임을 자각하고 백조의 사회로 들어간다. 이런 ‘해피엔딩’은 닫힌 사회에 안주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낮은 신분이었지만 동화작가로 성공해 상류층에 진입한 안데르센 자신의 만족감이 들어 있는 작품이라는 분석이다.
저자는 그냥 이야기로 이해할 것이 아니라, 이야기가 숨기고자하는 구조를 파악하게 될 경우, 그것이 비록 동화라고 할지라도 재미나고 각별한 철학의 구조를 발견하게 된다고 말한다. 2만 5000원.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