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뒤 아이들과 함께 보는 작품 됐으면”
“10년 뒤 제 아이들과도 함께 볼 수 있는 작품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오인용’을 기억하는지. 건군 이래 최대 고문관인 김창후 이병이 등장하는 ‘연예인 지옥’ 시리즈로 플래시 애니메이션 열풍을 만들어냈던 창작 집단이다. 2002년 결성된 뒤 사회 풍자 및 엽기적인 작품을 꺼내놓으며 꾸준한 사랑을 받았다. 천팀장(천상민), 혁군(정지혁), 데빌(장석조), 씨드락(장동혁), 씩맨(민상식) 등이 구성원이었다. 최근 나온 만화 ‘아빠 어렸을 적에’(문학세계 펴냄)는 오인용에서 독립한 장석조(31) 작가가 개인 이름으로 처음 내놓는 장편 작품이라 주목된다. 아이들을 위해 당분간 자극적인 것은 다루지 않을 생각입니다.
장 작가의 ‘국딩(초등학교) 시절’을 고스란히 옮겨놨다. OB베어스와 MBC청룡, 술래잡기, 팽이치기, 3단 자동 필통, 뽑기, 오락실 인기 게임 마계촌, 오전·오후반, 쌍쌍바, 우뢰매의 에스퍼맨, 딱부리, 개구리 왕눈이 등 1980년대에 유년 시절을 보낸 사람들이라면 무릎을 칠 만한 소재들이 넘쳐난다.
장 작가는 “장난꾸러기였습니다.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해 촐싹대고, 주의가 산만했죠.”라고 자신의 어린 시절을 돌이킨다. 책 속 주인공 장대발과 다름없다.
“지난 3월 오인용에서 독립한 뒤 여행을 하다가 어렸을 때 살았던 곳을 돌아보게 됐어요. 옛 생각이 애틋하게 떠올라 작품으로 옮겨보고 싶어졌습니다. 제 또래들은 성인이 되는 과정에서 IMF, 취업 경쟁 등 경제적으로 많은 부침이 있었는데 추억이 가장 큰 위로가 되는 것 같아요. 또래들이 이 책을 보고 추억에 잠겼으면 좋겠어요.”
오인용 시절 능수능란하게 구사했던 엽기적인 요소들은 이번 작품에서 상당히 빠져 있다. 때문에 골수 팬이라면 아쉬워할 법도 하다. 장 작가는 일부러 편안하게 가려고 했다고 설명했다. “연예인 지옥으로 이름을 날렸지만, 사실 제 스타일은 아닙니다. 실루엣 애니메이션 등 감성적인 스타일을 좋아하죠. 독립했기 때문에 이미지를 바꿔보자는 의도도 있었고, 아이들도 같이 볼 수 있는 작품을 만들고 싶었어요. 당분간 자극적인 것은 다루지 않을 생각입니다.”
오인용에서 독립한 까닭에 대해서 그는 가고자 하는 길과 작업 방식에 의견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사이가 나빠졌다거나 그런 것은 결코 아닙니다. 저는 팀 작업보다는 개인 작업을 선호했고, 멤버들은 카툰으로 방향을 잡고 있었지만 저는 애니메이션을 하고 싶었어요.”
장 작가는 내년에 본격적인 애니메이션 작업에 들어가기 앞서 짬을 내 이번 책을 냈지만, 아직도 나누고 싶은 추억들이 무궁무진해, 학년 당 한 권꼴로 6학년까지 그려보고 싶다고 웃었다.
“흔히 플래시 애니메이션은 ‘값싼 것’이라는 이미지가 있는데 외국에서는 극장판이나 TV 시리즈로 만들어질 정도로 빼어난 퀄리티가 있는 작품도 많습니다. 지난 8년 동안의 남다른 경험을 바탕으로 플래시 툴을 활용한 애니메이션을 제대로 만들어보고 싶은 게 제 욕심입니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