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애니
    2025-08-12
    검색기록 지우기
  • 투병
    2025-08-12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1,979
  • [TV 하이라이트]

    ■해피 투게더(KBS2 밤 11시 10분) 여름 스페셜로 야간매점 코너에서는 ‘여자 사람 친구 특집’으로 꾸려진다. 이날 연예계의 숨겨진 절친인 김원준·이아현, 유상무·장도연, 강남·이현이가 출연해 썸과 우정을 넘나들며 거침없는 폭로전을 펼친다. 특히 미묘한 기류를 형성하며, 실제 연인 사이가 아니냐는 의구심을 자아내고 있는 개그맨 유상무와 장도연이 허심탄회한 이야기를 털어놓는다. ■파워레인저 트레인포스(애니맥스 오후 6시) 한별은 얼떨결에 쉐도우 라인에 올라탄다. 이때 레인보우 라인에서 트레인포스가 나타나 가방 쉐도우를 상대로 전투를 벌인다. 트레인포스와 같이 싸우다 정신을 잃은 한별. 레인보우 라인 안에서 정신을 차리고 트레인포스가 자신의 소꿉친구들이란 사실을 알게 된다. 그렇게 트레인포스에 합류하게 된 한별은 모든 게 신기하고 설레기만 한데…. ■언더 더 돔 3(AXN 밤 11시 45분) 조와 노리는 크리스틴의 꼭두각시가 된 마을 사람들 때문에 곤경에 처한다. 조를 도와주려던 줄리아마저 잡히는 신세가 된다. 크리스틴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에 통제대상이 되기로 거래한 빅 짐은 액테이온 측의 명령대로 크리스틴이 원하는 것을 알아내기 위해 온 힘을 다한다. 한편 바비는 크리스틴이 액테이온에게 잡힌 것을 알고 주니어와 함께 크리스틴을 구하기 위해 나선다.
  • 여름 스크린 점령한 ‘미니언즈’, 더블린 도로를 점령하다

    여름 스크린 점령한 ‘미니언즈’, 더블린 도로를 점령하다

    전 세계 44개국 박스오피스를 석권하며 애니메이션의 저력을 보여준 영화 ‘미니언즈’가 아일랜드의 도로를 점령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지난 2일 더블린의 한 도로에 ‘미니언즈’ 속 캐릭터인 ‘케빈’이 거대한 모습으로 등장해 한바탕 소동이 벌어진 것입니다. 이날 40피트(약 12m)의 거대한 미니언 풍선 인형이 갑자기 도로에 날아들면서 운전자들은 한동안 도로 위에 발이 묶여야 했습니다. 4일 공개된 영상에는 당시 상황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영상을 보면 ‘미니언 풍선 인형’이 도로를 가로질러 차들의 통행을 막고 있습니다. 이어 인형은 바람에 날려 이리저리 도로 위를 굴러다닙니다. 급기야 차량 앞유리를 덮치며 운전자의 시야를 완전히 가리기도 합니다. 황당하지만 재미난 이 촌극은 근처 유원지에 설치돼 있던 미니언 인형이 강한 바람에 고정된 밧줄이 풀려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미니언즈’는 최고의 악당을 찾아 나선 미니언 삼총사 케빈과 밥, 스튜어트가 최초의 여성 슈퍼 악당 스칼렛을 만나면서 펼쳐지는 모험을 그린 작품. ‘슈퍼배드’ 스핀오프 버전(본편의 형식을 기초로 새로 만들어내는 것)인 이 작품은 지난달 29일 개봉해 6일 현재 누적 관객수 140만 5721명(스크린수 499개, 상영횟수 1382회)을 기록하며 박스오피스 4위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사진 영상=Dónal Sharpson(Youtube), Tahira Mirza(Facebook), 영화 ‘미니언즈’ 예고편 영상팀 seoultv@seoul.co.kr
  • 고령화·노인의 삶·여성… 세계인의 일상과 고민에 대한 공감

    EBS가 주최하는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EIDF)는 극장과 TV, 인터넷에서 동시에 영화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또한 국내의 대표적인 다큐멘터리영화제로 세계 다큐멘터리의 흐름과 트렌드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어 주목을 받는다. 오는 24일부터 30일까지 열리는 제12회 EIDF가 포착한 세계 다큐멘터리의 변화 중 하나는 거대 담론이 아닌 일상 속의 문제에 주목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맹수진 프로그래머는 “2010년 ‘아랍의 봄’을 시작으로 분쟁 지역의 정치적인 이슈를 기록하던 흐름이 몇 년간 이어졌으나 최근에는 노인과 여성 등 현대인의 일상 속 이슈들을 좇고 있다”고 분석했다. 올해 EIDF에서는 고령화 문제와 노인의 삶에 주목하는 작품이 두드러진다. 할머니들로 구성된 배구단의 특별한 도전을 담은 ‘내 나이가 어때서’(노르웨이), 노인 27명이 세계 힙합 선수권에 참가하기 위해 떠나는 여정을 그린 ‘힙합 어르신, 라스베이거스에 가다’(뉴질랜드), 인생의 황혼기에 카메라를 손에 든 노인들을 밝은 터치로 담은 ‘노인들의 계획’(한국) 등이 대표적이다. 그 밖에도 ‘여성 오디세이’ 섹션을 통해 ‘나는 엄마입니다’(핀란드), ‘스피드 시스터스’(팔레스타인) 등 여성을 조명한 다큐를, ‘어린이와 교육’ 섹션을 통해 ‘말해줘, 무싸’(이스라엘), ‘발레보이’(노르웨이) 등 어린이와 청소년을 들여다보는 다큐를 소개한다. 타 장르, 타 매체와 융합한 미학적 실험 역시 올해 EIDF에서 엿볼 수 있는 세계 다큐멘터리의 흐름이다. 픽션과 논픽션을 오가는 ‘퀸 오브 사일런스’(폴란드), ‘이 티셔츠를 어떡하지?’(스웨덴), 애니메이션 다큐 ‘홀로코스트의 아이들’(영국) 등이 대표적이다. 개막작 ‘스톡홀름 씨의 좋은 날’은 덴마크의 농장에서 이뤄지는 사람과 동물의 교감을 그린 작품으로 ‘세상과 통하다’라는 올해 페스티벌의 슬로건에 제격이다. 작품들은 EBS 1TV와 다큐멘터리 VOD 플랫폼인 ‘D-BOX’를 통해 인터넷과 모바일로 관람할 수 있다. 또한 서울역사박물관, 아트하우스 모모, 미로스페이스 등 극장에서도 상영된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 도로 위를 습격한 거대 ‘미니언’ 풍선 (포토)

    도로 위를 습격한 거대 ‘미니언’ 풍선 (포토)

    전 세계 수익 8억 달러(약 9300억 원)를 돌파하며 역대 애니메이션 흥행기록을 경신하고 있는 작품 ‘미니언즈’의 ‘미니언’이 현실에 나타나 아일랜드의 도로를 습격한 장면이 SNS에 퍼져 화제가 되고 있다. 문제의 사진은 아일랜드 더블린의 도로에서 3일(이하 현지시간) 촬영된 것으로, 도로 위에 쓰러진 거대 미니언 풍선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무려 12m 크기의 풍선이 차량을 향해 굴러오는 모습이 거의 무섭게 느껴질 지경. 특히 이번 영화 미니언즈에는 거인이 된 미니언이 마을을 누비는 이와 매우 흡사한 장면이 등장, 마니아들로 하여금 해당 사진에 더욱 열광하도록 만드는 요소가 되고 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 풍선 장식물은 사고 현장 근처의 유원지에 설치되어 있다가 3일 오후 3시 경 풍선을 고정하고 있던 밧줄이 느슨해지면서 ‘풀려난’ 것으로 전해진다. 이 광경을 자신의 트위터에 올린 한 아일랜드 네티즌은 “드디어 현실로 벌어지고 있다, 미니언이 더블린을 점령하는 중”이라고 재치있게 표현했다. 사진=ⓒ트위터 방승언 기자 earny@seoul.co.kr
  • 올 개봉 韓영화 최단기간… ‘암살’ 관객 600만명 돌파

    한국 영화 ‘암살’이 올해 개봉한 한국 영화 중 가장 빠른 속도로 관객 600만명 고지를 밟았다. 2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암살’은 개봉 11일째인 지난 1일 누적 관객 수 600만명을 돌파했다. ‘연평해전’은 개봉 36일, ‘국제시장’은 16일 만에 각각 600만 관객을 돌파한 바 있다. ‘암살’은 1933년 상하이와 경성을 배경으로 친일파 암살 작전을 둘러싼 독립군과 임시정부 대원, 그들을 쫓는 청부살인업자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하정우, 전지현, 이정재, 조진웅, 오달수 등 충무로를 주름잡는 초호화 출연진에 ‘타짜’ ‘도둑들’ 등 범죄 액션 영화의 대가인 최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최 감독의 장기인 캐릭터와 액션이 잘 살아 있을 뿐 아니라 광복 70주년을 앞두고 아직도 친일 잔재를 청산하지 못한 한국 사회에 묵직한 메시지를 던지며 순항하고 있다. 총 180억원의 순제작비가 투입된 영화는 손익분기점인 700만명은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암살’이 1000만 관객 고지에 도달하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먼저 주연 배우 톰 크루즈가 내한해 2박 3일간 홍보에 총력을 기울인 ‘미션 임파서블:로그네이션’이 지난달 30일 개봉한 이래 줄곧 박스 오피스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일엔 200만 관객을 돌파했다. 역대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 가운데 가장 빠른 속도다.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도 2일 관객 수 400만명을 돌파하며 흥행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 5일 개봉하는 류승완 감독의 신작 ‘베테랑’과도 관객 모시기 경쟁을 해야 한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 [TV 하이라이트]

    ■스콜피온(FOX 밤 12시) 아이큐 197의 실존 인물인 천재 해커 월터 오브라이언의 이야기를 각색한 드라마. 랠프가 온라인 게임을 하다 정부 요원의 살해 사건과 연루된 정황으로 법무부 요원에게 잡혀 가자 월터 일행은 랠프의 결백을 밝히려고 나선다. 게임을 통해 미국 중앙정보국(CIA) 기밀을 유출한 사실이 밝혀지자 월터는 범인을 잡기 위해 랠프에게 다시 그 게임에 들어가 범인을 추적하라고 부탁한다. ■사이언스 오브 데인저(내셔널지오그래픽채널 밤 10시) 실제 발생한 사고 영상을 통해 위험 요소를 분석한다. 참사로 이어진 브라질의 거리 경주, 현장을 아수라장으로 만든 노르웨이의 화염에 휩싸인 차가 포착된 영상들을 분석해 본다. 극적인 이 사고 영상들과 카메라에 포착된 다른 사고 현장 영상들을 결정적인 순간에서 일시 정지시켰을 때 중요한 위험 요소를 밝혀 줄 결정적인 단서를 찾아본다. ■또봇탐험대-카고와 테라클(애니맥스 오후 4시) 녹원이의 도움으로 간신히 위기를 모면한 노교수. 하나, 두리를 비롯한 아이들은 노교수를 구하기 위해 긴급히 또봇 탐험대를 구성한다. 노교수가 숨어 있는 닐리리 숲에 도착한 또봇 탐험대. 악당 체인봇들의 눈을 피해 노교수를 찾지만 결국 작전을 눈치 챈 이사팔로 인해 체인봇들에게 들켜 버린다. 하지만 무사히 노교수를 구하는 데 성공하는데….
  • 복면가왕 고추아가씨, 퉁키 이정 꺾고 우승..정체는 성우 이용신? 증거 보니

    복면가왕 고추아가씨, 퉁키 이정 꺾고 우승..정체는 성우 이용신? 증거 보니

    복면가왕 고추아가씨, 퉁키 이정 꺾고 우승..정체는 성우 이용신? 증거 보니 ‘복면가왕 고추아가씨 이용신, 복면가왕 퉁키 이정’ 복면가왕 고추아가씨가 지난 경연 우승자 복면가왕 퉁키의 가면을 벗겼다. 퉁키는 가수 이정이었다. 고추아가씨의 정체는 성우 이용신이라는 추측이 우세하다. 2일 방송된 MBC ‘복면가왕’에서는 9대 복면가왕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출연진들의 열띤 경쟁이 펼쳐졌다. 이날 복면가왕 고추아가씨는 김건모의 ‘사랑이 떠나가네’ 김추자의 ‘님은 먼 곳에’를 열창하며 복면가왕 결정전에 올랐다. ‘8대 가왕’ 퉁키는 가수 이수영의 ‘아이 빌리브(I Believe)’를 감미롭게 소화했다. 박빙의 승부 끝에 복면가왕 고추아가씨가 50표를 얻어 49표를 받은 퉁키를 누르고 9대 복면가왕에 등극했다. 복면가왕 고추아가씨는 “정말 상상도 못했다. 이 무대를 준비하는 것만으로도 너무 행복했는데 많은 분들이 절 선택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린다”고 소감을 밝혔다. 복면가왕 고추아가씨에 아쉽게 패한 복면가왕 퉁키의 정체는 가수 이정이었다. 이정은 “만감이 교차한다. 저 위에 올라가 있는데 떨리고 목이 잠기더라. 복면가왕을 통해 많이 배웠다”고 마지막 인사를 전했다. 한편 복면가왕 고추아가씨의 정체로는 성우 이용신이 꼽히고 있다. 연예인 판정단은 복면가왕 고추아가씨의 정체에 대해 모르겠다고 고개를 저었다. 이에 성우 서유리는 지난주에 이어 “성우 이용신 선배다. 쫄 때 특이한 음색이 계속 들린다”고 주장했다. 또한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 올라온 ‘애니 덕후가 본 복면가왕 고추아가씨 정체’라는 글에서도 이용신을 복면가왕 고추아가씨로 지목해 눈길을 끌고 있다. 게시자는 본인을 15년차 애니마니아라고 지칭하면서 “단언할 수 있다. 고추아가씨의 정체는 성우 이용신이 분명하다”고 확신했다. 이용신은 2003년 투니버스 채널을 통해 성우로 데뷔했다. 이후 애니메이션 주제가, 광고 CM 송 등을 부르며 활동했다. 특히 이용신은 모 제과 제품의 CM송인 ‘말하지 않아도 알아요’를 부른 주인공으로도 알려졌다. 복면가왕 고추아가씨의 유력 후보로 꼽히고 있는 이용신은 지난 1997년 한양대학교 재학 중 MBC 강변가요제에 혼성 그룹 인터넷보이&걸(Internet Boy & Girl)로 출전, ‘젊음이야 사랑이야’를 열창해 인기상을 차지하기도 했다. 사진=MBC ‘복면가왕’ 캡처(복면가왕 고추아가씨, 이용신, 복면가왕 퉁키 이정) 연예팀 seoulen@seoul.co.kr
  • 복면가왕 고추아가씨, 퉁키 이정 꺾고 우승..정체는 성우 이용신?

    복면가왕 고추아가씨, 퉁키 이정 꺾고 우승..정체는 성우 이용신?

    복면가왕 고추아가씨, 퉁키 이정 꺾고 우승..정체는 성우 이용신? 2일 방송된 MBC ‘복면가왕’에서는 9대 복면가왕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출연진들의 열띤 경쟁이 펼쳐졌다. 이날 복면가왕 고추아가씨는 김건모의 ‘사랑이 떠나가네’ 김추자의 ‘님은 먼 곳에’를 열창하며 복면가왕 결정전에 올랐다. ‘8대 가왕’ 퉁키는 가수 이수영의 ‘아이 빌리브(I Believe)’를 감미롭게 소화했다. 박빙의 승부 끝에 복면가왕 고추아가씨가 50표를 얻어 49표를 받은 퉁키를 누르고 9대 복면가왕에 등극했다. 복면가왕 고추아가씨는 “정말 상상도 못했다. 이 무대를 준비하는 것만으로도 너무 행복했는데 많은 분들이 절 선택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린다”고 소감을 밝혔다. 복면가왕 고추아가씨에 아쉽게 패한 복면가왕 퉁키의 정체는 가수 이정이었다. 이정은 “만감이 교차한다. 저 위에 올라가 있는데 떨리고 목이 잠기더라. 복면가왕을 통해 많이 배웠다”고 마지막 인사를 전했다. 한편 복면가왕 고추아가씨의 정체로는 성우 이용신이 꼽히고 있다. 성우 서유리는 지난주에 이어 “성우 이용신 선배다. 쫄 때 특이한 음색이 계속 들린다”고 주장했다. 또한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 올라온 ‘애니 덕후가 본 복면가왕 고추아가씨 정체’라는 글에서도 이용신을 복면가왕 고추아가씨로 지목해 눈길을 끌고 있다. 게시자는 본인을 15년차 애니마니아라고 지칭하면서 “단언할 수 있다. 고추아가씨의 정체는 성우 이용신이 분명하다”고 확신했다. 연예팀 seoulen@seoul.co.kr
  • [기업이 변해야 김대리가 산다] 불필요한 야근 없애니 ‘집으로’

    [기업이 변해야 김대리가 산다] 불필요한 야근 없애니 ‘집으로’

    냉난방 종합 엔지니어링 기업인 한국지역난방기술에서 일하는 김모(38) 과장은 매주 수요일 오후 6시가 되면 집으로 돌아갈 준비를 한다. 회사는 5년 전인 2010년부터 수요일을 ‘시간 외 근무’가 없는 날로 정하고, 시간 외 근무 수당을 지급하지 않고 있다. 김 과장은 “제도 도입 초창기에는 ‘이러다 말겠지’라는 생각으로 꿋꿋하게 야근을 했다”며 “금방 끝날 줄 알았던 정시퇴근 독려가 지속되자 나부터 생각을 바꾸게 됐다”고 전했다. 이전까지 ‘어차피 야근할 텐데 좀 쉬었다가 나중에 하지’라는 생각으로 업무에 임했던 김 과장은 시간 내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갈 생각을 먼저 하게 됐다. 시행한 지 5년이 지난 지금은 수요일 오후 5시 55분이면 사내에 ‘업무를 끝내라’는 멘트가 방송되고, 직원들은 하나같이 짐을 싸는 진풍경이 벌어진다. 김 과장은 “정규 근무시간에 업무 집중도가 높아졌고, 결과적으로 지금은 수요일 외에 다른 날도 거의 야근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60초 영화제’ 등 근로시간 단축 활성화 지역난방기술은 이 밖에도 근로시간을 단축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60초 영화제, 문화교실, 사내 동호회 활성화 등 다양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60초 영화제는 장시간 근로의 폐해를 주제로 부서별 또는 개별적으로 60초 이내의 동영상을 찍어 회사에 제출하면 회사가 포상하는 제도다. 홍권표 한국지역난방기술 대표는 “근로시간 단축의 중요성을 직원들이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근무 이후 문화교실 운영이나 60초 영화제 등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며 “야근 줄이기를 비롯해 근로시간 단축은 생산성을 높이는 데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전했다. 이러한 회사의 방침 덕분에 직원들은 주변 친구들이나 지인들로부터 부러움을 사고 있다.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정시 퇴근은 꿈조차 꾸지 못하는 데다 야근수당조차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여성가족부가 지난 14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아빠가 자녀와 시간을 보내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정시 퇴근이 불가능한 현실(65.2%)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시 퇴근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일과 시간에 하지 못한 업무처리‘(35.9%)와 ‘야근의 일상화’(33.5%)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아이가 부모와 가장 하고 싶은 것은 ‘블록, 퍼즐, 보드게임 등 놀이’(19.8%), ‘축구, 야구, 배드민턴 등 운동’(15.4%)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직장인 부모들은 아이들과 함께 다분히 소박한 일상도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전근대적인 기업 문화가 만들어 낸 야근의 일상화가 김대리의 가정을 앗아간 셈이다. ●여가부 조사 “정시퇴근 못한다” 61.8% 실제로 여가부 조사에서 응답자의 61.8%는 ‘정시 퇴근을 하지 못한다’고 답했고, 오후 9시 이후에 퇴근한다는 부모들도 21.6%에 달했다. 이처럼 야근은 습관처럼 우리 사회에 스며들어 있지만,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기업은 찾아보기 힘들다.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직장인 6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8.0%는 ‘회사에서 야근 근절을 위해 시행하는 제도가 없다’고 답했다. 회사가 야근 근절에 나선 5년 전부터 가족들과 저녁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김 과장은 “퇴근 시간이 조금씩 빨라지다 보니 집에 들어가 가족과 같이 밥을 먹는 횟수가 늘어났다”며 “얼굴 보는 시간이 길어지다 보니 한마디라도 더 나눌 기회가 생겼다”고 전했다. 이어 “야근에 찌들어 아이들 얼굴조차 보지 못하다가 주말이면 일방적으로 혼내기만 했던 예전과 비교하면, 지금은 아이들과 거리낌 없이 장난을 칠 수 있을 정도로 친밀해졌다”고 말했다. 회사가 1~2시간 정도 야근을 줄인 결과로 김 과장은 소중한 가족을 되찾게 된 셈이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 더스틴 호프만, “졸업...빠삐용...크레이머 대 크레이머...아직도 마음만은...”

    더스틴 호프만, “졸업...빠삐용...크레이머 대 크레이머...아직도 마음만은...”

    더스틴 호프만(Dustin Hoffman), 78세다. 지난 1967년 영화 ‘졸업’으로 데뷔했다.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레인맨’으로 두 차례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빠삐용’, ‘미드나잇 카우보이’ 등은 명화 중의 명화다. 할리우드의 전설로 자리매김했다. 호프만이 29일 로스앤젤레스의 빙 시어터(Bing Theatre)에서 열린 애니메이션 ‘칼릴 지브란스의 더 프로피트(Kahlil Gibran’s the Prophet)’ 시사회에 참석했다. ’더 프로피트’는 배우 셀마 헤이엑(48)이 주연, 제작했다. 멕시코 출신의 셀마 헤이엑은 영화 ‘프리다’, ‘원스 어폰 어 타임 멕시코’, ‘데스페라도’ 등 많은 영화에 출연했다. 더스틴 호프만은 지난 6일 ”내 영화 인생 통틀어 현재 영화계 상황이 가장 최악이다”고 비판했다. “요즘 텔레비전이 영화를 따라 잡았다”며 “지나치게 돈을 좇는 현상이 오늘날 영화산업을 망치고 있다”고 말했다. ⓒ AFPBBNews=News1/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더스틴 호프만, 셀마 헤이엑과 함께 “늙었지만...”

    더스틴 호프만, 셀마 헤이엑과 함께 “늙었지만...”

    더스틴 호프만(Dustin Hoffman), 78세다. 지난 1967년 영화 ‘졸업’으로 데뷔했다.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레인맨’으로 두 차례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빠삐용’, ‘미드나잇 카우보이’ 등은 명화 중의 명화다. 할리우드의 전설로 자리매김했다. 호프만이 29일 로스앤젤레스의 빙 시어터(Bing Theatre)에서 열린 애니메이션 ‘칼릴 지브란스의 더 프로피트(Kahlil Gibran’s the Prophet)’ 시사회에 참석했다. ’더 프로피트’는 배우 셀마 헤이엑(48)이 주연, 제작했다. 멕시코 출신의 셀마 헤이엑은 영화 ‘프리다’, ‘원스 어폰 어 타임 멕시코’, ‘데스페라도’ 등 많은 영화에 출연했다. 더스틴 호프만은 지난 6일 ”내 영화 인생 통틀어 현재 영화계 상황이 가장 최악이다”고 비판했다. “요즘 텔레비전이 영화를 따라 잡았다”며 “지나치게 돈을 좇는 현상이 오늘날 영화산업을 망치고 있다”고 말했다. ⓒ AFPBBNews=News1/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TV 하이라이트]

    ■어셈블리(KBS2 밤 10시) 제멋대로 반대 발언을 한 상필(정재영)은 국민당으로부터 반대 발언 철회를 요구받는다. 하지만 상필은 소신을 굽히지 않는다. 결국 국민당 지도부와 백도현(장현성)은 상필의 중징계를 논의한다. 마침내 인경(송윤아)은 중징계에 대해 상필에게 중재안을 제시한다. 그러자 상필은 소신을 꺾을 것인지 지킬 것인지에 대해 고민에 빠지고 만다. ■오늘도 빵쇼!(애니맥스 오후 4시) 오스타와 바게티는 잘못 배달된 이웃의 초대장으로 크루즈 여행을 떠난다. 아파트 이웃사촌들이 모두 모인 유람선에서 오스타는 윙키에게 대시하려 하지만 번번이 실패하고, 설상가상으로 배가 침몰할 위기에 처하게 된다. 한편 바게티의 실수로 집안 대대로 내려오던 통밀 파이 레시피를 잃어버린 오스타는 레시피를 찾아 고모를 찾아간다. ■순간포착! 위험한 동물들(내셔널지오그래픽채널 밤 9시) 위험한 새가 공포심을 일으키며 호주의 거리를 장악한다. 또 교활한 표범이 나무에서 뛰어내려 먹이를 덮친다. 프로그램은 교활한 동물들이 무질서와 혼란을 일으키며 광적인 행동을 하는 현장을 지켜본다. 힘겨루기를 하는 수컷들과 끈질기게 공격하는 동물, 통제할 수 없는 충돌의 현장과 동물들의 야성적인 순간들을 만나 본다.
  • [영화 多樂房] ‘고 녀석 맛나겠다2’

    [영화 多樂房] ‘고 녀석 맛나겠다2’

    픽사의 ‘인사이드 아웃’이 좋은 평가를 얻으며 흥행을 이어가고 있고, 일루미네이션의 ‘미니언즈’가 개봉 전부터 화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이들과는 또 다른 차원의 매력을 가진 2D 애니메이션 한 편이 관객들을 기다리고 있다. ‘고 녀석 맛나겠다 2’는 부가판권 시장에서 가능성을 보여준 일본 애니메이션 ‘고 녀석 맛나겠다’의 후편을 100% 국내 자본으로 제작한 작품이다. 미야니시 다츠야의 동명 동화 시리즈 중 일부를 원작으로 하고 있는 이 작품은 탄탄한 스토리와 2D 애니메이션만의 따뜻한 감성으로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 등 몇몇 영화제에 먼저 초청되어 관객들의 호응을 얻은 바 있다. 아동들에게는 전편보다 다양해진 캐릭터들이 새로운 재미를 선사하고, 어른들에게는 오랜만에 극장에서 감상하는 아날로그적 작화가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또한, ‘공생’과 ‘협동’이라는 주제는 선한 가치관을 심어주고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아동과 어른이 함께 봐도 좋은 작품으로 손색이 없다. 백악기에 살고 있는 티라노사우르스는 초원을 다스리는 육식공룡이다. 이들의 우두머리인 ‘미르’의 아빠(제스타)는 다른 종들과의 공생을 중시하며 초원의 평화를 지켜가고 있다. 어린 미르는 듬직한 아빠와 다정한 엄마의 보호 아래서 행복한 나날을 보낸다. 그러나 지진이 일어나 엄마(새라)가 낭떠러지로 떨어지고, 흉폭한 ‘발드’ 무리가 제스타에 반기를 들면서 미르는 갑작스레 부모님을 모두 잃게 된다. 혼자가 된 미르는 낯선 곳을 떠돌면서 ‘훌쩍훌쩍’ ‘키라리’와 차례로 친구가 되는데, 육식공룡과 초식공룡이 우정을 쌓아가는 과정은 흥미진진하다. 잡아먹으려는 미르와 잡아먹히지 않으려고 버티는 훌쩍훌쩍의 귀여운 몸싸움부터 장애를 가진 키라리를 지극정성으로 돌보는 미르의 모습까지, 이들의 이야기는 웃음과 눈물을 번갈아 자아낸다. 어린 공룡들은 그렇게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고, 공존하는 법에 대해 스스로 터득하면서 조금씩 성장해 간다. 특히, 미르는 약자인 초식공룡들을 돕기 위해 용기를 내고 희생을 마다하지 않는데, 이러한 리더로서의 자질은 클라이맥스에서 물리적인 힘보다 더 강한 빛을 발하게 된다. 3D 애니메이션의 부드러운 선과 유연한 움직임은 없지만, 각본뿐 아니라 연출적으로도 ‘고 녀석 맛나겠다 2’는 꽤 훌륭한 작품이다. 이는 액션 장면에서 두드러진다. 제스타와 발드, 미르와 발드의 맞대결은 역동적인 동작과 속도감 있는 편집으로 긴장감 넘치게 연출되었다. ‘말아톤’, ‘광해, 왕이 된 남자’, ‘더 테너: 리리코 스핀토’ 등의 영화음악을 맡았던 김준성 감독의 음악도 볼거리 못지않은 즐거움이다. 실사 영화보다 훨씬 다양한 감정과 분위기, 캐릭터 등을 음악으로 소화해내야 하는 2D 애니메이션에서 그의 음악은 자연스럽게 다음 장면을 견인한다. 갈등과 분쟁으로 어지러운 시대에 ‘함께라서 행복해’라는 부제가 가슴 깊이 와 닿는 작품이다. 29일 개봉. 전체 관람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 신장 182cm 남성 들어간 거대 물풍선 ‘펑’

    신장 182cm 남성 들어간 거대 물풍선 ‘펑’

    거구의 남성이 거대 물풍선 속에서 짜릿한 물놀이를 즐기는 모습이 공개돼 누리꾼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슬로 모션 기법을 이용, 찰나의 순간들을 보여주는 영상을 게재해 인기를 끌고 있는 유튜브 채널 ‘더 슬로 모 가이즈’(The Slow Mo Guys)는 ‘6피트 거대 물풍선에 들어간 6피트 남성’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공개했다. 공개된 영상 속 신장 6피트(약 182cm)의 남성은 물풍선에 발을 겨우 집어 넣고는 물이 채워지기만을 기다린다. 물풍선에 물이 점점 차오를면서 남성의 몸은 어느새 물풍선 안으로 완전히 들어간다. 얼굴만 내놓은 그의 모습은 마치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캐릭터 같다. 잠시 후 한계에 다다른 물풍선은 ‘펑’하고 터지고 만다. 해당 영상은 현재 조회수 7010만 3686회를 기록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영상=The Slow Mo Guys/유튜브 영상팀 seoultv@seoul.co.kr
  • [뉴스 플러스] 27일 문화기술 연구개발 전략기획단 출범

    문화체육관광부는 내년 신디지털 문화산업 부흥의 원동력인 문화기술(CT) 연구개발의 추진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영화, 게임, 음악,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 문화산업 분야에 종사하는 산학연 전문가 60여명으로 이뤄진 ‘문화기술 연구개발 전략기획단’을 꾸린다. 전략기획단은 오는 27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디지털매직스페이스에서 출범식을 갖고 오는 9월까지 문화기술 연구개발 현안에 대한 대책 마련 및 실제 문화산업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창의적 핵심기술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 [취업 ‘블루오션’ 특성화 학과를 가다] 가톨릭대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

    [취업 ‘블루오션’ 특성화 학과를 가다] 가톨릭대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

    “캐릭터 이쪽이 조금 어두운 것 같은데, 배경이 밤이라도 가로등 불빛이 반사되니까 명도를 조금 높여야 할 것 같아.” “응. 알았어. 캐릭터가 움직이니까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비율 조절을 잘 해야겠네.” 23일 경기 부천 가톨릭대 성심교정의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 실습실에서는 3명의 학생이 컴퓨터 모니터를 함께 보며 3차원(3D) 애니메니션 제작에 몰두하고 있었다. 오는 10월 열리는 부천국제애니메이션 페스티벌에서 상영될 오프닝 트레일러 영상 제작을 위해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 문화콘텐츠 전공 대학원 및 학부생인 채현석(24), 서보명(25)씨와 컴퓨터공학과 소속으로 문화콘텐츠를 복수 전공하는 윤예슬(24·여)씨가 팀을 이뤘다. 이들은 여름방학을 오롯이 애니메이션 제작에 바치고 있었다. 채씨는 “페스티벌 전체의 콘셉트를 축약해 보여 주는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일인 만큼 영광스럽기도 하고 부담스럽기도 하다”며 “대학원 석·박사 과정 선배들이 도와주지만 기본적으로 기획과 제작은 우리 팀의 몫”이라고 말했다. 실제 이 팀의 역할은 단순한 스토리 구성과 기획에 그치지 않는다. 기획과 구성부터 제작까지 애니메이션이라는 콘텐츠 생산의 전 과정을 맡아 진행하고 있었다. 윤씨는 “일반적인 문화콘텐츠 전공자가 할 수 없는 기술적이고 실무적인 영역까지 우리 스스로 할 수 있고, 해야 한다”며 “인문학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를 전공한다 하더라도 학부 과정에서 프로그래밍 등 기본적인 기술을 배웠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게임, 애니메이션, 광고, e러닝 등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가 새로운 산업 분야로 급부상하면서 전국 대학에 우후죽순처럼 관련 학과들이 생겨났다. 주로 콘텐츠에만 집중하다 보니 당초 기대만큼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하지만 가톨릭대가 2005년 개설한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는 다른 평가를 받는다. 콘텐츠뿐만 아니라 콘텐츠를 생산하는 기술까지 가르치고 연구하는 커리큘럼으로 구성돼 있기 때문이다. ‘대박’을 터뜨릴 애니메이션의 내용을 고민하는 동시에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 주는 것이다. ‘물고기 잡는 법’과 ‘그물 치는 법’을 함께 배운다는 뜻이다. 이영재(25·11학번)씨는 “보통 콘텐츠 전공이라고 하면 대중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좋은 생각’을 만드는 것에 그친다”며 “하지만 우리 과에서는 그 아이디어를 제품으로 생산해 내는 ‘기술’이라는 강력한 무기를 하나 더 갖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씨의 설명대로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는 인문학과 예술 지향적인 ‘문화콘텐츠’와 공학 지향적인 ‘미디어공학’으로 교육 과정이 세분화돼 있다. 둘 다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문화콘텐츠 과정은 다양한 콘텐츠를 분석·평가하는 능력을 기르고 나아가 스스로 새로운 콘텐츠를 기획하고 창조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춰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다. 미디어공학 과정은 미디어 정보처리 및 디지털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기술을 체계적이고 집중적으로 학습시킴으로써 컴퓨터 관련 전문 기술 및 미디어 표현에 관한 공학적 감각과 능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미디어공학 전공인 장한결(24·11학번), 강현우(25·10학번)씨는 “특이한 커리큘럼이 마음에 들어 학과를 선택했다”며 “패턴 인식, 컴퓨터 비전 등 공부하는 내용이 어렵고 힘들기는 하지만 고생한 만큼 분명히 남는 게 있다”고 입을 모았다. 문·이과의 구분 없이 모든 학생들이 지원할 수 있다. 실제 재학생 비율도 문과와 이과의 비율이 비슷하다. 학과 관계자는 “특히 언어영역과 수리영역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학생들이 많이 입학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1학년 때는 우리 주변을 둘러싼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기본 지식과 이를 실현할 기본 미디어 기술에 대해서 학습한다. 2학년부터 자신의 관심도에 따라 문화콘텐츠와 미디어공학 중 자신의 중점 분야를 선택하여 심도 있는 공부를 하게 된다. 문과 출신이면 문화콘텐츠, 이과 출신이면 미디어공학으로 가게 될 것 같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다. 이과 출신 학생들이 문화콘텐츠, 문과 출신이 미디어공학으로 ‘크로스’하는 경우도 많다. 학과에서는 이 같은 교차 선택을 권장하고 있다. 두 분야의 능력을 모두 갖추도록 하는 것이 학과의 근본적 목표이기 때문이다. 교수들의 전공 분야 역시 인공지능, 3D 애니메이션, 증강현실, 문화정책, 컴퓨터 아트, 디자인, 팝아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학생들은 강의시간 외에도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콘텐츠 분석과 기획에 관심이 큰 학생이라면 부천시와 학부 간의 연계로 부천시가 주관하는 영화제를 비롯해 국가에서 주관하는 콘텐츠 산업 세미나와 인턴십에 참여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 게임, 애니메이션에 관심이 있다면 게임, 3D 애니메이션 회사와의 협력 인턴 프로그램을 접할 기회가 열려 있다. 나아가 해외 직무연수의 기회도 제공된다. 학부 과정을 마친 졸업생들은 게임,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미디어 등의 관련 회사로 진출하고 있으며 콘텐츠 분석가, 비평가, 정부 연구원 등 다양한 길을 가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 중 수십만 명이 설치해 활용 중인 애플리케이션 ‘스마트 서브웨이’는 이 학과 출신 변일황(05학번)씨와 같은 학교 채우석(컴퓨터정보공학 05학번) 도플소프트 대표 등의 합작품이기도 하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 2000년전 역사의 숨결따라 걸어볼까

    2000년전 역사의 숨결따라 걸어볼까

    2000년 전 한성백제의 온조는 무슨 생각을 하며 송파구 풍납동 왕도길을 걸었을까? 송파구는 2013년 서울시와 함께 한성백제 스토리텔링사업의 하나로 만들어진 ‘한성백제왕도길’을 22일부터 시민들에게 개방한다. 이번 왕도길은 천호역에서 석촌역까지 이어지는 10여㎞ 길이다. 탐방로를 걸으면서 한성백제의 숨결을 느낄 수 있도록 꾸몄다. 특히 왕도길 코스 중 몽촌토성은 올림픽공원 내에 있어 일부러 왕도길을 걷기 위해 찾지 않아도 가볍게 공원을 걸어도 몽촌토성을 배경으로 산책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어지는 한성백제박물관은 한성백제 역사를 전반적으로 소개·전시한 교육의 장이다. 입구에 들어서면 풍납토성의 단면과 축조하는 인부들의 모습, 금동대향로와 같은 다양한 역사적 유물들이 전시돼 있다. 또 어린이들에게 지루하고 딱딱할 수 있다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4D상영관’을 마련, 애니메이션 영상으로 쉽고 재미있게 한성백제 문화를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만나게 되는 석촌동고분군은 한성백제 왕족의 무덤으로 추정되며, 총 4기의 무덤이 복원돼 있다. 그중 3호분은 가로 50.8m, 세로 48.4m 규모로 고분군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역사교과서에서 사진으로만 접하던 무덤을 실제로 본다면 그 규모와 웅장함에 압도될 것이다. 구 관계자는 “왕도길을 역사적 의미를 쉽게 알 수 있도록 문화해설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오는 10월 ‘한성백제왕도길 걷기 행사’도 열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 서울랜드 뮤직페스티벌에서 여름 공연 즐기자

    서울랜드 뮤직페스티벌에서 여름 공연 즐기자

    30도를 웃도는 무더위가 계속되는 가운데 서울랜드가 오는 25일부터 8월 23일까지 ‘한여름밤의 뮤직페스티벌’을 진행한다. 신예 뮤지션들이 경연을 통해 실력을 선보이는 ‘서울랜드 뮤직 서바이벌’과 인기 뮤지션이 대거 출연해 화려한 공연을 펼치는 ‘한여름밤의 뮤직페스티벌’이 여름밤 무더위에 지친 관람객들에게 활력을 불어넣을 예정이다. 공연이 진행되는 동안 야외 공연장 너머로 시원하게 펼쳐진 호수는 강렬하고 청량한 보컬과 어우러져 여름밤의 낭만을 더한다. 무더위를 시원하게 날려줄 뮤지션들의 대장정은 한 달간 펼쳐진다. # 신예 뮤지션들의 열정적인 경연이 펼쳐지는 ‘서울랜드 뮤직 서바이벌’ 서울랜드는 수준급 실력을 가졌지만 무대에 설 기회를 갖지 못하는 신예 뮤지션들을 위해 ‘서울랜드 뮤직 서바이벌’을 개최한다. 경연을 통해 그동안 갈고 닦은 실력을 선보이는 한편 자신의 실력을 점검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우승팀에게는 2천만 원, 준우승팀에게는 5백만 원의 상금을 지급해 실력 있는 뮤지션들이 지속적으로 음악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선을 거쳐 본선에 진출한 뮤지션은 총 16팀으로 오는 8월 22일까지 한 달간 서울랜드 베니스무대에서 오후 7시에 치열한 경연을 펼친다. 탁 트인 야외무대와 여름 밤공기를 가르는 시원한 보컬은 열대야를 단번에 식혀줄 것으로 기대된다. 모든 경연에서는 관람객들이 판정단이 되어 우승팀을 선정해 미래의 음악계를 이끌어나갈 재능 있는 뮤지션들을 직접 발굴한다. 신예 뮤지션들의 꿈과 열정이 가득한 무대는 무더위에 지친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예정이다. 결승은 8월 22일에 열리며 이후에도 서울랜드는 실력있는 뮤지션들이 무대 위에서 탄탄한 내공을 다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8월 23일에는 우승팀과 준우승팀의 합동 공연을 마련해 승패 부담 없이 즐겁고 신나게 어우러지는 시간을 갖는다. 또한 우승팀에게는 서울랜드 가을 공연 메인무대에 설 수 있는 특전을 제공한다. # 인기가수들의 신나는 공연으로 열대야 한 방에 날리는 ‘한여름밤의 뮤직페스티벌’ 서울랜드는 오는 8월 1일, 2일 오후 7시부터 ‘한여름밤의 뮤직페스티벌’을 진행한다. 이번 공연은 3천 여명 수용 가능한 서울랜드의 초대형 야외극장인 삼천리대극장에서 진행되어 신나는 음악과 시원한 노래가 대극장을 가득 채우며 한여름밤 열대야를 한방에 날릴 예정이다. 8월 1일, 2일 양일에 걸쳐 진행되는 공연 첫째 날에는 VIXX(빅스), 크레용팝, 서문탁, 거미, 블레이드, 지피지기, 트랜디가 출연하고, 둘째 날에는 B1A4(비원에이포), 달샤벳, 진주, 2BiC(투빅), 엔소닉, 와썹, 플래쉬가 출연해 흥겨운 음악과 파워풀한 가창력에 화려한 조명, 불꽃놀이 등 특수효과가 어우러져 여름밤을 화려하게 물들이며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이다. 대규모 극장과 쟁쟁한 라인업의 가수들이 만나는 이번 공연은 폭발적인 반응이 예상되어 관람객의 안전과 원활한 운영을 위해 공연 당일 오전 11시부터 삼천리대극장 앞 ‘뮤직페스티벌 입장권 배부처’에서 선착순으로 좌석 입장권을 배부하여 지정 좌석제로 운영된다. # 한 편의 뮤지컬을 보는 듯한 특별한 여름시즌 야간공연 ‘애니멀 킹덤’ 지구별 무대에서 펼쳐지는 <애니멀 킹덤>은 정글을 배경으로 로봇동물과 정글동물간 갈등과 화합의 내용을 담은 여름시즌 야간공연으로 한 편의 뮤지컬을 보는 듯하다. 사자, 기린, 얼룩말, 코뿔소, 원숭이 등 특수 제작된 10여 가지의 동물의상이 생동감을 더한다. 극 중간에는 10m 상공에서 아찔한 공중 아크로바틱이 펼쳐지고 불꽃 퍼포먼스와 마술쇼가 이어져 관객들의 탄성이 쏟아진다. 공연 마지막에는 불꽃 놀이가 펼쳐져 한여름밤의 화려함과 시원함을 동시에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세계의 광장 지구별무대, 1일 1회) 페스티벌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안내전화(02-509-6000)로 하면 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세계 각국 전문가 선정 ‘최고의 미국영화 100선’

    세계 각국 전문가 선정 ‘최고의 미국영화 100선’

    20일(현지시간) 영국 BBC가 세계 각지 영화 평론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작성한 ‘최고의 미국 영화 100선’을 발표했다. BBC는 영국, 중동, 인도, 남미, 호주, 미국 등에서 일하는 영화관련 신문·잡지 기자 및 저술가 62인의 참여로 이번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기존에 여타 단체나 매체에서 발표했던 ‘최고의 미국영화’ 리스트는 대부분 미국 영화산업 내부 인물들을 대상으로 조사해 만들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BBC는 이번 조사의 취지가 전 세계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미국 영화에 대한 세계인의 시각을 다양하게 반영하는데 있다고 말했다. 이 리스트에서 지칭하는 ‘미국영화’란, 미국 자본으로 만들어진 영화를 말한다. 따라서 다른 국적 감독이 제작했거나 미국 이외 국가에서 촬영된 영화도 포함된다. 실제로 선정 영화 중 32편은 미국 이외 국적 감독의 작품이다 BBC는 우선 평론가들에게 각자가 생각하는 최고의 미국영화 1~10위를 꼽게 했다. 그 뒤에 각각의 1위 영화에는 10점, 다음 순위부터는 1점씩 감해 점수를 부여했고 이 점수를 합산해 리스트를 만들었다. BBC는 평론가들로 하여금 각 영화가 지니는 '중요성'을 고려하는 대신 자신의 순수한 기호에 따라 영화를 선정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선정된 영화 100편의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100. 비장의 술수(Ace in the Hole, 1951)99. 노예 12년(12 Years a Slave, 2013)98. 천국의 문(Heaven’s Gate, 1980)97.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Gone With the Wind, 1939)96. 다크 나이트 (The Dark Knight, 2008)95. 식은 죽 먹기 (Duck Soup, 1933)94. 25시 (25th Hour, 2002)93. 비열한 거리 (Mean Streets, 1973)92. 사냥꾼의 밤 (La noche del cazador, 1955)91. ET (ET: The Extra-Terrestrial, 1982)90. 지옥의 묵시록 (Apocalypse Now, 1979)89. 고독한 영혼 (In A Lonely Place, 1950)88.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West Side Story, 1961)87. 이터널 선샤인 (Eternal Sunshine Of The Spotless Mind, 2004)86. 라이온 킹 (The Lion King, 1994)85.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Night Of The Living Dead, 1968)84. 서바이벌 게임 (Deliverance, 1972)83. 아이 양육 (Bringing Up Baby, 1938)82. 레이더스 (Raiders Of The Lost Ark, 1981)81. 델마와 루이스 (Thelma & Louise, 1991)80. 세인트 루이스에서 만나요 (Meet Me In St. Louis, 1944)79. 트리 오브 라이프 (The Tree Of Life, 2011)78. 쉰들러 리스트 (Schindler‘s List, 1993)77. 역마차 (Stagecoach, 1939)76. 스타워즈 에피소드 5 - 제국의 역습 (Star Wars Episode V: The Empire Strikes Back, 1980)75. 미지와의 조우 (Close Encounters Of The Third Kind, 1977)74. 포레스트 검프 (Forrest Gump, 1994)73. 네트워크 (Network, 1976)72. 상하이 제스처 (The Shanghai Gesture, 1941)71. 사랑의 블랙홀 (Groundhog Day, 1993)70. 밴드 웨곤 (The Band Wagon, 1953)69. 코야니스카시 (Koyaanisqatsi, 1982)68. 오명 (Notorious, 1946)67. 모던 타임즈 (Modern Times, 1936)66. 붉은 강 (Red River, 1948)65. 필사의 도전 (The Right Stuff, 1983)64. 자니 기타 (Johnny Guitar, 1954)63. 사랑의 행로 (Love Streams, 1984)62. 샤이닝 (The Shining, 1980)61. 아이즈 와이드 셧 (Eyes Wide Shut, 1999)60. 블루 벨벳 (Blue Velvet, 1986)59.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One Flew Over The Cuckoo’s Nest, 1975)58. 모퉁이 가게 (The Shop Around The Corner, 1940)57. 범죄와 비행 (Crimes And Misdemeanors, 1989)56. 백 투 더 퓨쳐 (Back To The Future, 1985)55. 졸업 (The Graduate, 1967)54. 선셋 대로 (Sunset Boulevard, 1950)53. 그레이 가든 (Grey Gardens, 1975)52. 와일드 번치 (The Wild Bunch, 1969)51. 악의 손길 (Touch Of Evil, 1958)50. 그의 연인 프라이데이 (His Girl Friday, 1940)49. 천국의 나날들 (Days Of Heaven, 1978)48. 젊은이의 양지 (A Place In The Sun, 1951)47. 마니 (Marnie, 1964)46. 멋진 인생 (It‘s A Wonderful Life, 1946)45. 리버티 벨런스를 쏜 사나이 (The Man Who Shot Liberty Valance, 1962)44. 셜록 2세 (Sherlock Jr., 1924)43. 미지의 여인에게서 온 편지 (Letter From An Unknown Woman, 1948)42.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Dr. Strangelove, 1964)41. 리오 브라보 (Rio Bravo, 1959)40. 오후의 그물 (Meshes Of The Afternoon, 1943)39. 국가의 탄생 (The Birth Of A Nation, 1915)38. 죠스 (Jaws, 1975)37. 슬픔은 그대 가슴에 (Imitation Of Life, 1959)36. 스타워즈 에피소드 4 - 새로운 희망 (Star Wars, 1977)35. 이중 배상 (Double Indemnity, 1944)34. 오즈의 마법사 (The Wizard Of Oz, 1939)33. 컨버세이션 (The Conversation, 1974)32. 레이디 이브 (The Lady Eve, 1941)31. 영향 아래 있는 여자 (A Woman Under The Influence, 1974)30. 뜨거운 것이 좋아 (Some Like It Hot, 1959)29. 성난 황소 (Raging Bull, 1980)28. 펄프 픽션 (Pulp Fiction, 1994)27. 배리 린든 (Barry Lyndon, 1975)26. 양 도살자 (Killer of Sheep, 1978)25. 똑바로 살아라 (Do The Right Thing, 1989)24. 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The Apartment, 1960)23. 애니 홀 (Annie Hall, 1977)22. 탐욕 (Greed, 1924)21. 멀홀랜드 드라이브 (Mulholland Drive, 2001)20. 좋은 친구들 (Goodfellas, 1990)19. 택시 드라이버 (Taxi Driver, 1976)18. 시티 라이트 (City Lights, 1931)17. 황금광시대 (The Gold Rush, 1925)16. 맥케이브와 밀러 부인 (McCabe & Mrs. Miller, 1971)15. 우리 생애 최고의 해 (The Best Years Of Our Lives, 1946)14. 내쉬빌 (Nashville, 1975)13.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North By Northwest, 1959)12. 차이나타운 (Chinatown, 1974)11. 위대한 앰버슨가 (The Magnificent Ambersons, 1942)10. 대부 2 (The Godfather Part II, 1974)9. 카사블랑카 (Casablanca, 1942)8. 싸이코 (Psycho, 1960)7. 사랑은 비를 타고 (Singin’ In The Rain, 1952)6. 선라이즈 (Sunrise: A Song of Two Humans, 1927)5. 수색자 (The Searchers, 1956)4.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2001: A Space Odyssey, 1968)3. 현기증 (Vertigo, 1958)2. 대부 (The Godfather, 1972)1. 시민 케인 (Citizen Kane, 1941) 사진=ⓒ포토리아 방승언 기자 earny@seoul.co.kr
  • [TV 하이라이트]

    ■한니발 3(AXN 밤 11시 45분) 희대의 살인마 한니발 박사와 FBI 프로파일러 윌의 심리전쟁을 그린 이야기. 한니발과 윌, 그리고 잭은 다시 식탁에 모인다. 그 순간 메이슨에게 매수된 경찰들이 들이닥쳐 한니발과 윌을 납치하고, 잭을 죽여 한니발에게 죄를 뒤집어씌우려는 순간 치요의 총알이 날아들어 잭을 구한다. 한편 메이슨은 윌의 얼굴을 벗겨 자신에게 이식한 뒤 한니발을 죽이겠다는 계획을 세운다. ■신분을 숨겨라(tvN 밤 11시) 수사 5과는 자선 파티에 고스트가 참석한다는 소식을 접하고 대비한다. 자선 파티에서 고스트가 오기를 기다리던 순간 예상치 못한 인물의 등장으로 술렁인다. 고스트로 예상되는 인물들 간의 팽팽한 긴장감이 맴돌며 일촉즉발의 상황이 발생한다. 예측 불가능한 사건 속에 휘말린 수사 5과는 고스트가 파놓은 사악한 함정을 빠져나가기 위해 노력한다. ■원피스 6(애니맥스 밤 8시) 루피를 쫓던 일행이 재판소에 거의 도착할 때쯤 괴물 고모라가 쓰러져 발이 묶인다. 그대로 뛰어내려 달려가려던 일행을 초파가 말리고, 고모라는 다시 일어선다. 본섬 앞문의 거인족 문지기들은 해군에 맞서며 재판소로 향하기 시작한다. 눈이 안 보이게 된 고모라는 일행을 태우고 재판소를 향해 돌진하고, 조로와 상디의 도움으로 재판소 앞 광장에 도착하는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