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로 과학강국을”- 독서모임 ‘과학아카데미’잔잔한 반향
“우리의 미래는 독서에 달렸습니다.”
과학·의학 분야의 사회지도층 인사들이 한달에 한권씩 책을 읽은 뒤 함께 모여 진지하게 토론하는 모범적인 독서운동을 펼치고 있다.
과학기술 대중화와 독서 인구 확대를 목표로 창립된 ‘과학독서아카데미(sciencebook.or.kr)’라는 독서 모임이 지식인들은 물론 일반인들 사이에서 신선한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한림대 객원교수로 현재 이 모임의 회장을 맡고 있는 이용수(李龍水·61)씨와 뜻을 같이하는 박익수 과학기술자문위원회위원장,서정돈 성균관대의대 교수,오세정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박은주 김영사 대표 등 30명의 지식인들이 이 모임을 탄생시킨 것은 99년 5월이었다.3년 남짓만에 회원은 180여명으로 불어났다.김정흠·김용준 고려대 명예교수,정광모 한국소비자연맹회장,김영무 김&장 법률사무소대표,김종찬 방송인,엄길청 경제평론가 겸 경기대 교수,장충식 단국대 이사장,한만청 전 서울대병원장,황우석 서울대 교수 등이 회원으로 참여했다.이밖에도 공무원,군인,학생,전·현직 교사,언론인,주부,세무사,학원강사,벤처기업인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했다.부산과 춘천에도 같은 모임이 생겼다.
회원들은 과학기술과 사회에 관련된 교양 과학서적을 매월 한권씩 읽고 토론회를 갖는다.토론회는 저자나 역자로부터 책 내용에 대한 설명을 듣고 그분야의 권위자 두명이 논평하고 참석자들이 토론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첫 모임에서 프란츠 부케티츠의 ‘사회생물학논쟁’을 읽고 토론한 뒤 지금까지 40여권의 책을 읽었다.
책에서 얻은 지식을 현장과 연결하기 위해 1년에 두번씩 체험학습도 한다.오는 19,20일에는 회원들이 새만금 간척지를 방문,지난 6월에 토론한 주제인 ‘인간이 어떻게 환경에 적응하는가’를 놓고 생각을 나눠볼 계획이다.일반인들의 관심을 모으기 위해 ‘공개 독서 강좌’도 마련하고 ‘소식지’도 발행하고 있다.
이 회장은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과학도서선정위원으로 활동하던 99년 4월 정부에서 받은 ‘대한민국 과학 기술상’ 상금 1000만원으로 지인들과 함께 책을 구입해 이 모임을 발족시켰다.
30여년 동안 종합일간지 과학전문기자로도 활동했던 이 회장은 “과학 대중화를 위해서는 좋은 과학책을 선정,많은 사람들이 읽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빠지지 않고 모임에 참여하는 열성회원인 정광모(73·여) 한국소비자연맹회장은 “회원 가운데 과학분야 전문가가 절반 정도 되고 토론을 할 때마다 저자가 직접 참석,설명을 해주기 때문에 매우 유익하다.”고 말했다.
이영표기자 tomc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