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책을 말한다] ‘서구 존재론사’의 핵심을 꿰뚫다
내가 이 책을 쓴 것은 ‘서구 존재론사’의 핵심을 들여다 보기 위해서였다. 서구 존재론사의 심층을 들여다 볼 때, 거기에서 뻗어져 나온 가지들이라든가 열매들(기독교, 과학기술, 민주주의 등등)을 보다 근본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이해가 전제되어야 21세기를 철학적으로 준비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존재론이란 존재와 무, 우연과 필연, 가능, 시간과 공간 등등의 근본 개념들을 메타적으로 연구하는 과목이다. 여기에서 ‘메타적’이란 사물을 직접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연구하는 학문들을 전제하고 그 개념적-원리적 기초를 종합적으로 검토한다는 뜻이다. 이 점에서 존재론은 모든 학문들 중 가장 상위의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서구 존재론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은 플라톤이다. 이후의 모든 존재론들이 어떤 식으로든 플라톤의 계승이나 비판을 통해서 성립했기 때문이다. 나는 특히 그의 대화편 ‘소피스테스’를 집중적으로 검토했는데, 왜냐하면 이 텍스트가 ‘시뮬라크르’라는 현대 철학의 주요 개념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플라톤과 정확히 대비되는 철학자들이 니체와 베르그송이다. 이 두 인물이 현대 존재론의 초석을 놓았다고 볼 수 있으며, 흔히 말하는 “존재에서 생성으로(From Being to Becoming)”의 길을 닦은 인물들이다. 플라톤과 이들의 사유를 대비시킴으로써 우리는 서구 존재론의 핵심적인 두 축을 점검할 수 있다. 내가 특히 이 두 인물을 검토한 것은 시간, 생명, 창조의 문제에 관련해 이들이 결정적인 사유를 제시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들의 사유는 그 후 화이트헤드, 하이데거, 들뢰즈 등으로 이어졌다. 본론에서는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을 다루었다. 두 문제는 전혀 다른 문제이다. 전자는 사건, 운동, 이미지 등등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들을 다루는 존재론이고, 후자는 가상현실, 인터넷, 모조품 등등 인공물들의 시대를 다루는 문화 이론이다. 전자는 들뢰즈로 대표되고 후자는 보드리야르로 대표된다.
이렇게 전혀 상이한 두 개념이 왜 하나의 뿌리를 가지는가는 플라톤 철학의 성격에서 유래한다. 플라톤의 경우 세계는 이데아계의 모방이고, 그래서 자연적인 생성(生成)들이나 인공물들이나 모두 시뮬라크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와 이 두 갈래의 생각이 갈라졌고 따로따로 논의되어 왔다. 나는 이 책에서 두 개념이 하나의 뿌리에서 나왔지만 구분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신족과 거인족의 투쟁´이란 플라톤이 전해 주는 신화로서, 이데아의 철학자들과 물질의 철학자들 사이의 전쟁을 뜻한다. 나는 이 표현을 플라톤주의자들과 반플라톤주의자들 사이의 전쟁이라는 의미로 사용했다.
이정우 철학아카데미 공동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