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연 가족클리닉-행복만들기] 재결합 아내와 또 헤어져야 할 형편
Q사업 부도로 위장이혼을 했다가 실제 이혼한 뒤 오랫동안 따로 살다가 3년전 재결합했습니다. 그동안 다른 여자와 재혼할 생각이었는데 자녀 문제로 다시 연결되었고, 법적으로는 동거 상태였습니다. 이혼 후 아내는 사업에 성공하고 경제권을 쥐고 있었고, 다시 결합해 사는 동안 부부관계가 나아지지 않았습니다. 이제는 자녀들도 독립하여 부모문제에 관여하지 않으며, 나는 건강이 좋지 못한 상태로 아내의 집에서 나가야 할 형편입니다. -오명수(가명·47세)-
A우리 주변엔 재결합에 성공한 분도 있지만, 재결합해도 부부문제가 다시 불거져 헤어지는 부부가 많습니다. 오명수님의 경우는 경제문제가 거듭된 이혼의 주된 이유인 것 같습니다.
이혼 후 각자 독립적으로 살면서 한 편은 사업에 성공하고, 다른 한 편은 아직도 빚에 시달리는 상태라면 재결합의 유혹은 더욱 강렬해질 수 있습니다. 자녀들도 부모가 조금씩 양보하며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겠지요.50세가 가까운 남성에게는 어지러울 정도로 변화해가는 세상에 적응하기도 어려운데 실패로 끝난 가정생활로 인해 무척 힘든 상태라고 보여집니다. 오명수님은 단지 자신이 경제적으로 어렵다 보니 두 번씩 버림받았다고 생각하고 아내와 자식에 대한 섭섭함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제 문제가 직접적인 원인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아무리 힘들게 살아도 고난을 함께 견디며 행복하게 잘 사는 부부도 많이 있습니다. 병상에 누워있는 배우자를 한평생 간병하며 그래도 살아있기만을 바라는 사람도 있습니다. 주어진 힘든 여건 내에서도 그들을 함께 묶어 놓은 것은 그동안 일구어온 사랑과 믿음의 역사입니다.
단지 사업이 어려워지고 부도가 나고 집이 경매에 넘어간다고 해서 부부가 갈라서는 게 아니라, 서로에게 어떤 마음가짐으로 살았느냐가 더 중요한 기준인 것 같습니다. 사랑과 미움이 교차하는 게 인생이지만, 상대방에게 어떤 것을 주고받았는지가 기준이 아닙니다. 부부가 어떤 수준의 관계맺음을 해왔는지가 중요합니다. 사무적인 관계, 겉도는 관계로 지속해왔다면, 신뢰가 형성되지 않은 습관적인 관계이며, 작은 풍랑에도 부서지기 쉬운 배와 같습니다.
잉꼬 부부로 소문난 부부 중에도 어느 날 갑자기 파경을 겪는 일이 적지 않습니다. 갈등을 은폐해 왔을 수도 있지만, 행복한 경우에도 신뢰가 무너지고 나면, 나중에 수습하려고 두 배, 세 배의 노력을 해도 예전 같지 않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명수님의 경우도 두 번에 걸친 결혼 생활에서 신뢰가 무너진 경우, 그 후에라도 계속 노력을 하였더라면 지금 상황과는 달랐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지금으로선 현실을 직시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우선, 함께 사는 노력보다는 잘 헤어지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 같습니다. 안부 인사라도 할 수 있는 관계를 유지하려면, 서로에게 상처를 주지 않고 헤어지는 예절이 필요합니다. 서로를 너무 잘 알아서 더 이상 같이 살 수는 없다 해도, 남보다도 못한 관계가 될 필요는 없으며 인간에겐 최소한의 연결이 있는 것이 생존에 필수적입니다. 각자 살면서도 힘들 때 옆집 아줌마·아저씨 정도의 역할을 해줄 수 있다면 이별의 대가로 받은 적지 않은 보상이 되지 않을까요.
함께 살아온 사람의 휴대전화에서 내 전화번호가 지워지는 날이 온다 해도 그 사람을 원망하지 않으며, 내 건강을 지키고 규칙적인 생활을 해나가는 사람이야말로 다른 누구보다 강한 사람입니다. 이 세상은 누구나 강한 사람의 이야기를 좋아합니다. 산의 정상에서 비바람을 맞고 서 있는 소나무의 모습이 그리워 사람들은 겨울 산행을 합니다. 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 단지 지금은 떠나는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을 뿐이며, 선한 바람은 다시 꽃을 피우기도 한다는 것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목포대교수·한국가족상담사협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