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아산
    2025-09-08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9,181
  • [메디컬 팁]

    연세암센터 ‘온코넷’ 지정 연세암센터가 최근 글로벌 제약기업 MSD의 국제 항암제 임상연구네트워크인 ‘온코넷(OncoNet)’ 일원으로 지정됐다. 항암 약물치료와 신약개발에서 우리나라의 역량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연세암센터는 이에 따라 최근 온코넷센터 개소식을 갖고, 미국 MSD머크연구소 소속 의과학자들과 신약개발 및 새로운 임상연구 수행 프로토콜 등을 집중 논의했다. MSD는 곧 최종 프로토콜을 개발, 한·미 식약청 승인을 받아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한국대사증후군 포럼 출범 대사증후군을 퇴치하기 위한 민간단체 ‘한국대사증후군포럼’이 최근 창립발기인회의를 갖고 정식 출범했다. 연세대 동문회관에서 열린 발기인회의에서는 전 대통령주치의 허갑범(연세대 명예교수)원장을 초대 회장으로 추대했다. 포럼은 설립취지문에서 ‘국내 대사증후군은 30세 이상 인구의 30%를 넘는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2008년 한 해 대사증후군으로 진료받은 사람이 400만명, 진료비도 6283억원에 달해 국민건강과 국가경제에 큰 손실을 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포럼은 ▲대사증후군에 대한 계몽 및 교육·홍보 ▲역학조사 및 연구지원 ▲다학제 연구지원 등을 주요 과제로 선정했다. 아산병원 200번째 소아간이식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가 1994년 생후 9개월 신생아의 소아 간이식을 시작한 이후 200번째 소아간이식을 달성했다. 이에 따라 최근 동관 6층 전시실에서 이정신 병원장을 비롯, 이승규 장기이식센터 소장, 유한국 소아청소년병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0번째 소아 간이식 성공을 축하하는 기념식을 가졌다. 기념식에는 국내 첫 소아 간이식 주인공인 이지원(18)양과 200번째 이식의 주인공 유성현(3)군 등이 참석했다. 당뇨병환자 위풍당당 걷기대회 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내분비대사센터는 오는 6일 오전 10시 병원 인근 서울 강동구 일자산길에서 당뇨병 환자를 위한 ‘위풍당당 걷기대회’를 연다. 올해 3회째인 걷기대회는 당뇨병 환자와 가족 및 일반인들이 의료진과 함께 걸으며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꾸며졌다. 행사 후에는 당뇨병 환자의 올바른 식사법 및 당뇨병과 합병증 등을 주제로 한 강좌가 이어진다.
  • [부고]

    ●전형규(미도정업 대표이사)필규(중부대 겸임교수)명신(인하대 교수)씨 부친상 이상목(현대모비스 연구원 과장)씨 장인상 29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31일 오전 6시30분 (02)3010-2295 ●유진토(전 외환은행 부행장)씨 부인상 범준(울산대 교수)평준(연세대 교수)성애(미국 거주)씨 부친상 28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31일 오전 6시 30분 (02)2227-7566 ●백석근(전 건설연맹 노조위원장)승헌(전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회장)씨 부친상 정연순(민변 사무총장)씨 시부상 손진국(한라대 교수)씨 장인상 28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1일 오전 8시 (02)2258-5951 ●손석기(전 매일신문 논설주간)씨 별세 29일 경북대병원, 발인 31일 오전 8시 (053)420-6146
  • [사설] ‘KTX 산천’ 잦은 고장 쉬쉬 할 일 아니다

    한국형 고속열차 ‘KTX 산천’이 그제 또 주행 중 장애를 일으켰다고 한다. 다음 달 1일로 예정된 경부고속철도 2단계 개통을 코앞에 둔 시점이다. 지난 27일 오전 7시 30분 서울역을 출발해 부산으로 가던 KTX 산천 109호 열차가 천안아산역 부근에서 가다 서기를 반복, 운행시스템을 손본 뒤 운행을 재개했지만 대전역쯤에서 또 다시 이상현상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코레일은 결국 동대구역에 23분이나 지연도착한 열차의 운행을 중단시키고서 승객 300여명을 뒤따르던 후속 열차에 갈아타도록 조치했다. 지난 3월부터 운행에 투입된 산천은 지금까지 모두 16차례 각종 장애를 일으켰다고 한다. 국내기술로 개발된 KTX 산천의 고장이 지나치게 잦다. 지난 13일에는 시험 운전 중이던 열차가 국내에서 가장 긴 금정터널 안에서 고장으로 멈춰섰다. 다행히 승객이 타고 있지 않아 가슴을 쓸어내렸다. 시험 운전이었기에 망정이지 승객들이 장장 20㎞가 넘는 터널 안에 갇혔다면 무슨 일이 벌어졌을지 상상조차 하기 싫은 장면이다. 무엇보다 동대구에서 부산을 잇는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은 전체 128.6㎞ 중 97㎞가 교량 54개와 터널 38개로 이뤄져 사고발생 위험성이 높을뿐더러 사고대응에도 어려움이 예상되는 난코스다. 코레일과 제작사인 현대로템 측은 안정화 기간이 필요하다고 강변하고 있다. 일정부분 맞는 말이다. 그러나 우리가 지적하고 싶은 것은 사고를 은폐하려는 듯한 코레일 측의 태도이다. 금정터널 사고는 코레일의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국감을 하루 앞둔 날 일어났다. 코레일 측의 입단속으로 이 사고는 무사하게(?) 넘어갔다. 코레일은 심지어 외국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며 정확한 고장 원인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시운전 중에 일어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떳떳하게 공개하고, 대책을 마련했더라면 최소한 재발은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 [부고]

    ●조상래(자영업)순래(전 연합뉴스 전북취재본부장)씨 모친상 성은주(완주 상관중 교감)씨 시모상 27일 전북대병원, 발인 29일 오전 9시 (063)250-2441 ●위형운(서울 양천구의회 의장)씨 부친상 27일 이대목동병원, 발인 29일 오전 4시 30분 (02)2650-2741 ●김석곤(충남도의원)씨 모친상 27일 충남 금산동백장례식장, 발인 29일 오전 (041)751-4444 ●정대춘(전 삼우산기 회장·전 한국화재보험협회 상무이사)씨 별세 2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9일 오전 7시 (02)3010-2236 ●한용덕(프로야구 한화 이글스 투수코치)씨 장인상 27일 대전 평화원장례식장, 발인 29일 오전 7시 30분 (042)250-9511 ●김두식(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비서실장)씨 모친상 27일 일산병원, 발인 29일 오전 7시 (031)932-9166 ●임태훈(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에너지본부장)씨 장모상 2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9일 오전 8시 (02)3010-2252
  • 러, 21년만에 다시 아프간으로

    러시아가 ‘테러와의 전쟁’이 한창인 아프가니스탄전에 개입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 미군을 돕기로 했다고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 인터넷판이 27일 보도했다. 나토의 요청에 따른 조치다. 냉전 때인 1980년대에 미국의 지원을 받던 이슬람 반군에 맞서 싸운 러시아는 아프간 철군 20여년 만에 옛 적이었던 미군과 손을 잡게 된 셈이다. 러시아와 나토의 합의 결과는 다음 달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열리는 나토 정상회의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신문에 따르면 러시아 정부는 현재 아프간 정부군 및 마약 소탕 부대의 군사훈련에 참여하고 있다. 또 아프간군에 러시아산 헬리콥터 2대를 올해 말까지 제공하는 등 모두 5대를 인도, 현지 치안 유지에 사용하도록 할 방침이다. 러시아와 나토는 아프간 주둔 다국적군의 무기 및 탄약이 러시아 영토를 거쳐 반입될 수 있도록 협상을 벌이고 있다. 현재 사용 중인 파키스탄 보급로는 무장 세력이 공격의 표적으로 삼은 탓에 위험에 노출돼 있는 상황이다. 특히 나토는 미국 주도의 미사일 방어체계(MD)를 대신할 새로운 시스템 도입을 러시아와 논의하기로 했다. 러시아는 지금껏 MD 계획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해 왔다.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나토 사무총장은 이와 관련, 이날 영국 언론과 가진 인터뷰에서 “나토와 러시아 간 미사일 방어 협조는 유럽의 안보체제 구축에 강력한 기본틀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는 아프간전 참전을 계기로 나토와의 협력 관계를 공고히 할 태세다. 단적인 예로 러시아 측은 자국군이 그루지야 영토에 주둔 중인 현실을 나토가 공식적으로 인정해 주기를 희망하고 있다. 러시아는 옛 소련 시절인 1979년 아프간의 친소(親蘇) 공산 정부를 밀어주기 위해 침공했다가 미국의 뒷받침을 받은 이슬람 반군의 저항에 눌려 1989년 완전히 철수했다. 당시 패배는 소련 사회주의 정권의 몰락을 가속화시켜 철군 2년 뒤 체제가 붕괴됐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 ‘KTX 산천’ 또 멈췄다

    ‘KTX 산천’ 또 멈췄다

    잦은 고장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한국형 고속열차 ‘KTX 산천’이 주행 중 또 장애가 발생해 큰 혼란이 빚어졌다.<서울신문 10월 26일자 2면> 이에 따라 다음달 1일 경부고속철도 2단계 개통으로 전 구간 고속 운행을 앞두고 국민의 불안감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감사원은 KTX의 잦은 고장 및 경부고속철 2단계 구간 시운전 도중 발생한 사고 등 고속열차의 잇따른 장애에 대한 경위 파악에 나섰다. 27일 코레일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30분 서울역을 출발해 부산으로 가던 KTX 산천 109호 열차가 천안아산역 인근에서 가다 서기를 반복하는 이상현상이 발생했다. 천안아산역에서 운행 시스템을 리세팅한 뒤 운행을 재개했으나 대전에서 동대구를 향하던 중 또다시 이상이 나타났다. 이 때문에 예정보다 23분 늦은 오전 9시 40분쯤 동대구역에 도착, 200여명의 승객들을 하차시킨 뒤 후속열차로 갈아 타게 했다. 코레일은 기술진을 급파해 원인 파악에 나섰다. 지난 13일 2단계 구간에서 시운전에 나섰던 KTX 산천이 금정터널 안에서 고장으로 멈춰 서는 사고가 발생하는 등 차량 안전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3월 투입된 산천은 8월까지 12건의 고장이 발생했다. 지난 13일 금정터널 고장 등을 합하면 15차례에 달한다. 부산이 고향인 남모씨는 “최근 KTX 등 고속열차 고장이 빈발해 불안하다.”면서 “특히 2단계 구간은 교량과 터널이 많고 기존선과 달리 고속으로 주행하는데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감사원은 경위 조사를 거쳐 문제점이 드러나면 감사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 [부고]

    ●임종룡(기획재정부 차관)종봉(국방과학연구소 팀장)종호(예금보험공사 차장)씨 모친상 장지수(JS텍스타일 대표)이재연(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씨 장모상 최수형(KBS 부장)씨 시모상 26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8일 오전 10시30분 (02)3410-6915 ●최수영(구주기술)태영(하나HSBC생명 부사장·전 하나은행 부행장보)씨 모친상 26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8일 오전 7시 (02)2227-7556 ●조충연(삼성엔지니어링 전문위원)효연(전 충북전기공사 지국장)신연(히든빌리어드 대표)의연(기아자동차 엔진보전부장)씨 모친상 25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8일 오전 9시 (02)3410-6917 ●송영종(전남도 부이사관·국방대 파견)동석(변호사)씨 모친상 26일 전남 보성 벌교중앙장례식장, 발인 28일 오전 (061)857-3000 ●서장원(포천시장)씨 장인상 25일 전남 신안군 비금면 신원리 자택, 발인 27일 낮 12시 010-3054-5500 ●이재진(대림산업 차장)재홍(유신 〃)씨 부친상 25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8일 오전 9시30분 (02)3010-2235 ●황인표(전 서울 재현고 교장)씨 별세 훈(태일환경 이사)엽(서울시교육청 총무과 사무관)걸(동덕여대 관리과장)찬(사업)경숙(서울 명덕여중 교무주임)우숙(미국 거주)씨 부친상 유효상(성보중 교감)씨 장인상 26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8일 오전 10시 (02)2227-7550 ●배대관(STX조선해양 조선영업부문장)씨 부친상 26일 부산 동아대병원, 발인 28일 오전 7시 (051)256-7013 ●권수환(혜원까치건축 이사)형석(전 대연아이티씨 과장)씨 부친상 신용욱(프로뱅크 대표이사)씨 장인상 26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8일 오전 8시30분 (02)3410-6901
  • [부고]

    ●진경호(서울신문 국제부장)안중불(안앤윤 대표)씨 장인상 황동철(전 경남기업 부사장)진철 동구 복희(전 스포츠서울 기자)정혜(청주 산남초 교사)씨 부친상 25일 경남 창원 마산회원구 정다운장례식장, 발인 27일 오전 9시 (055)252-9861 ●표수근(서울신문 제작국 윤전부 차장)씨 장모상 25일 전북 부안장례식장, 발인 27일 오전 10시 017-210-0208 ●황보균(미국 거주·전 대학교수)태중(미국 거주·전 진로건설 이사)씨 부친상 조성운(전 서울신문 관리국장)김인권(전 김앤드김 대표)이필한(인천 동암의원 원장)이영래(전 농림수산식품부 차관보)박병균(미국 시카고 소망교회 담임목사)송재찬(경북대 교수)씨 장인상 25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7일 오전 6시 (02)3410-6920 ●김도진(전 KBS 보도본부장·전 방송위원회 사무총장)씨 별세 기한(서울대 교수)시연(에이본 아시아-태평양 법률고문 및 이사)씨 부친상 정윤재(미국 알라바마대 교수)씨 시부상 다니엘 캐디슨(기자)씨 장인상 24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7일 오전 7시 (02)2227-7580 ●배준원(SK네트워크 차장)씨 부친상 김부곤(금융감독원 총무국 선임조사역)씨 장인상 25일 서울 연희동성당, 발인 27일 오전 10시 (02)333-1099 ●심현주(숭실대 교수)윤주(건축사무소 심건축 소장)정주(윈인테리어 대표)씨 모친상 현영섭(영실업 대표)김석한(변호사)씨 장모상 김경화(인덕대 교수)씨 시모상 25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8일 오전 9시 (02)3410-6914 ●이인수(한국해운조합 이사장)씨 모친상 24일 영남대병원, 발인 27일 오전 7시30분 (053)620-4242 ●김현규(자영업)철규(영남대 건축공학과 교수)중규(부산 김중규외과 원장)씨 모친상 안동만(한서대 부총장)김윤섭(대림건설 이사)씨 장모상 25일 영남대병원, 발인 27일 오전 8시 (053)620-4245 ●조우성(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씨 장모상 25일 양산 부산대병원, 발인 27일 오전 9시30분 (055)389-0600 ●배성진(현대증권 투자컨설팅센터 과장)형진(삼성전자 DMC연구소 〃)씨 부친상 25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7일 오전 8시 (02)3010-2236 ●조장현(중앙통신 대표)용현(신용보증기금 서울방배지점 차장)선미(서울 을지중 교사)선희(아이사랑약국 대표)씨 부친상 김숙희(전남 화순 한천우체국장)박미경(경기 안양 관양고 교사)씨 시부상 이기호(사업)김세용(〃)씨 장인상 24일 전남대병원, 발인 26일 오전 9시 (061)379-7434 ●오헌석(우리은행 차장)씨 모친상 최광림(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 실장)씨 장모상 24일 평촌 한림대 성심병원, 발인 26일 오전 10시 (031)386-2345 ●김종훈(사업)씨 부친상 이준현(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장)조달영(미국 거주·사업)씨 장인상 25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7일 오전 10시 (02)3010-2292 ●이종익(전 경북병무청장)씨 별세 창우(자영업)은실(미국 거주)씨 부친상 25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8일 오전 8시 (02)2227-7587
  • 경찰학교 떠난자리 방치

    정부의 국토균형발전 계획에 따라 2008년 10월 충남 아산으로 이전된 인천 부평구 부평6동 경찰종합학교 활용방안이 좀처럼 실현되지 않고 있다. ●부평, 도로건설비 50% 지원 요구 이전부지 가운데 극히 일부만 개발이 추진될 뿐 나머지 대부분은 방치돼 청소년들의 우범지대로 전락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인천시와 부평구에 따르면 경찰종합학교가 이전한 부지를 공공·문화체육시설, 도시자연공원, 도로, 근린공원, 주민자치센터, 고등학교, 종합의료시설, 주택용지 등으로 활용한다는 종합적인 계획을 세웠다. 국유지인 이 땅은 현재 한국자산관리공사가 관리 중이다. 토지이용계획에 따르면 전체 부지 18만 6489㎡ 중 인천시가 8만 7592㎡, 부평구는 3만 8833㎡에 대한 개발을 맡고, 1만 7000㎡를 인천시교육청에서 담당한다. 또 1만 7000㎡는 종합의료시설로 활용되며,나머지 2만 3000㎡는 주택용지로 꾸며진다. 개발을 위한 재원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평구는 이곳에 예정된 도로 건설비 중 50%를 시가 지원하고, 근린공원 조성 또한 시에서 사업비를 지원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市 “한꺼번에 조성 못해” 하지만 공공·문화체육시설 개발을 맡은 인천시 역시 이 구역에 입주할 자원봉사종합센터, 청소년미래센터, 영유아보육종합지원센터를 한꺼번에 조성할 수 없다는 입장이고, 도시자연공원 조성은 당분간 실현 가능성이 없다. 이에 따라 전체 땅의 10%에 해당되는 종합의료시설 계획 부지만 인근 의료기관에 팔렸으며, 나머지 90%는 재원 부족이란 복병을 만나 개발이 요원한 상태다. 때문에 청소년들이 야간에 경찰종합학교가 이전한 부지에 들어가 술을 마시는 등 우범지대로 전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시는 물론 부평구도 경찰종합학교 이전부지 개발을 위한 재원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당분간 개발이 쉽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 중랑 해외시장 개척단 인도 진출…中企제품 수출 구두협약 이끌어

    중랑구 해외시장 개척단이 인도 진출 교두보를 마련했다. 중랑구 개척단은 지난 12일부터 20일까지 인도를 방문해 지역 중소기업제품 수출·합작회사(기술제휴) 설립 등에 대한 구두 협약을 받아냈다고 25일 밝혔다. 문병권 구청장을 단장으로 관내 23개 기업체 대표 25명이 동행한 개척단은 인도 아그라시장과 간담회를 갖고 상호 경제교류 협력과 대리석 가공 공구 및 의류제품 등 중랑구 기업의 인도 진출에 대해 적극 지원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 특히 ㈜코디아산업은 아그라 대리석 산업단지 상담을 통해 현지 기업 ‘카라크리티’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아 대리석 가공용 공구제품 수출에 대한 협약을 이끌어 냈다. 문 구청장은 “인도는 미개척 분야가 많고 자원이 풍부한 나라여서 중랑구 기업인들이 시장개척에 적극적으로 나선다면 수출과 경제교류가 한층 활발해질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역내 기업들에 대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강동삼기자 kangtong@seoul.co.kr
  • [메디컬 팁]

    분쉬의학상 본상 김인산교수 대한의학회(회장 김성덕)와 한국베링거인겔하임(사장 군터 라인케)은 제20회 분쉬의학상 본상 수상자로 경북의대 생화학과 김인산 교수를 선정했다. 또 ‘젊은의학자상’ 수상자로는 서울대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 주영석 연구원과 울산의대 내과학 박덕우 교수를 뽑았다. 김 교수는 새로운 단백질들을 찾아내 생리·병리학적 기능과 의학적 응용 가능성을 연구, 지금까지 관련 논문 153편과 국제특허 6건, 국내특허 24건을 등록한 공로가 인정됐다고 대한의학회는 설명했다. 본상 수상자에게는 3000만원, 젊은의학자상 수상자에게는 각 10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제8회 화이자의학상 시상식 대한민국의학한림원(회장 조승열)과 한국화이자제약(대표 이동수)은 ‘제8회 화이자의학상’ 기초의학상 수상자로 서울대의대 약리학교실 박종완(50) 교수를, 임상의학상에 경북대 의학전문대학원 박재용(44) 교수를 각각 선정했다. 수상자에게는 각각 3000만원의 상금과 상패가 주어진다. 시상식은 11월 3일 오후 6시 서울 조선호텔 오키드룸에서 열린다. 이화의료원 PET-CT 도입 이화의료원(의료원장 서현숙)은 한번의 촬영으로 전신의 암 발생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128채널 PET-CT(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와 ‘듀얼 128채널 CT(컴퓨터단층촬영기)’를 국내 처음으로 도입했다고 최근 밝혔다. PET-CT는 신체대사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PET와 구조적 이상을 진단하는 CT를 결합한 장비로, 해상도가 뛰어나 직경 2㎜의 작은 암까지 구별할 수 있으며, 기존 PET-CT의 1회 검사 시간이 약 40분인 데 비해 이 장비는 25분까지 단축, 환자들의 대기시간을 줄였다고 의료원은 설명했다. VRI 프로젝트 연구진 선정 한국아스트라제네카(대표 톰 키스로치)는 최근 제5기 가상신약개발연구소(VRI) 프로젝트에 참여할 6개팀의 연구진을 선정했다. 올해 선정된 연구진은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김민선 교수 ▲서울대의대 신경과 노재규 교수 ▲연세대의대 생화학분자생물학교실 박상욱 교수 ▲서울대 화학과 박승범 교수 ▲고대구로병원 심혈관센터 서홍석 교수 ▲서울대의대 순환기내과 양한모 교수 등이다. 이들 연구팀은 1년 동안 4500만원의 연구기금을 지원받게 되며, 아스트라제네카 본사 연구진과도 학술교류 및 지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기회를 갖게 된다.
  • [부고] 이보식 전 산림청장 별세

    [부고] 이보식 전 산림청장 별세

    산림청장을 지낸 이보식 충남 태안 천리포수목원장이 22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73세. 이 원장은 위암으로 태안군보건의료원에 입원해 항암치료를 받아 왔으나 오전 7시 15분쯤 타계했다. 산림청에서 공직생활 대부분을 보낸 이 원장은 퇴임 후 2002 안면도 국제꽃박람회 조직위원회 사무총장과 2006년 금산 세계 인삼엑스포 조직위원장을 거쳐 지난해부터 천리포수목원장을 맡아 왔다. 유족으로는 부인 임정자씨와 아들 창휘(국제노동기구 베이징사무소 선임자문위원), 동휘(삼성생명), 딸 은경씨 등 2남 1녀.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발인 25일 오전 8시. (02)3010-2230.
  • [부고]

    ●손태원(손치과 원장)씨 모친상 우기종(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 기획단장)씨 장모상 김은희(전남대 경리과장)씨 시모상 22일 광주 조선대병원, 발인 24일 오전 9시 (062)231-8906 ●박성규(사업)문규(경남신문 편집부국장)관규(연합철강 과장)씨 모친상 조성환(부산중부경찰서장)김경중(교사)씨 장모상 22일 경남 마산합포 연세병원, 발인 24일 오전 10시 (055)223-1000 ●이윤희(전 KBS 심의실장)씨 별세 재웅(일본 거주·사업)씨 부친상 장진욱(유리치투자자문 상무)씨 장인상 21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4일 오전 8시 (02)3410-6920 ●이상규(한양대 국악과 명예교수)씨 별세 21일 한양대병원, 발인 24일 오전 8시 (02)2290-9457 ●김기태(프로야구 LG 트윈스 2군 감독)씨 장모상 22일 전주 뉴타운 장례식장, 발인 24일 오전 8시 (063)285-4002 ●박석준(전 동양공고 교감)씨 별세 성일(삼호정기 부장)근화(동양공전 사서)대하(니시무라레이스코리아 대표이사)씨 부친상 22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4일 오전 6시 (02)2227-7584 ●하한식(서예가)씨 별세 영근(전 LIG손해보험 부사장)영익(자영업)씨 부친상 예종길 박태경(LIG손해보험 부장)길경문(서울메트로)씨 장인상 22일 순천향병원, 발인 25일 오전 (02)792-1634 ●장규호(현대자동차 노조 대변인)씨 모친상 22일 전남 남원의료원, 발인 24일 오전 10시 (063)636-4016 ●김병욱(삼성전자 상무)병철(사업)도훈(교사)씨 모친상 성유경(마산세관 조사심사과장)씨 장모상 22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5일 (02)3410-6917 ●박재복(진주햄 회장)씨 별세 정진(씨티글로벌마켓증권 이사)경진(진주햄 부사장)씨 부친상 박리안(미국대사관 의전보좌관)씨 시부상 22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5일 오전 8시 (02)3010-2631
  • [부고]

    ●양승훈(전 노동부 직업안전국장)씨 별세 계유(전 삼안 전무)계희(전 노동부 근로감독관)계석(사업)영배(전 제주은행)웅석(전 삼호물산 지점장)승희(서일대 유아교육과 교수)씨 부친상 김훈규(사업)조상훈(준의학연구소 소장)씨 장인상 20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3일 오전 7시 (02)2227-7566 ●이병우(세무사)씨 별세 상원(SK에너지 고문)상엽(히로세코리아 대표이사)씨 부친상 20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3일 오전 7시 (02)3010-2237 ●최병림(전 마산 중앙고 교사)성림(새길교회 목사)태림(일레븐건설 전무)현숙(창원 명지여고 교사)양림(KB투자증권 감사실장)씨 모친상 20일 삼성창원병원, 발인 22일 오전 7시30분 (055)290-6289 ●김상택(전 부산 동호여상 교사)유택(사업)수임(울산 무룡고 교사)상목(LG화학 부장)상학(김영삼 전 대통령 비서관)씨 모친상 김임곤(수인당한의원 원장)씨 장모상 21일 경남 거제백병원, 발인 23일 오전 8시 (055)636-0099 ●최기용(한길안과병원 원장)씨 모친상 윤재동(성보화학 부회장)박욱화(피부과 원장)씨 장모상 20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23일 오전 9시 (02)2258-5973 ●이명구(예비역 육군 소장)씨 부인상 대성(연세대 교목실 교수)인성(남양주우리병원 재활의학과장)씨 모친상 21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3일 오전 9시 (02)2227-7580 ●곽노선(한국금융학회 간사·서강대 교수)씨 부친상 21일 대전 을지대병원, 발인 23일 오전 8시 (042)471-1651 ●심영기(연세SK병원 원장)정연(강남대 교수)현기(서울신한의원 원장)문기(평택신한의원 〃)호기(고려대 연구교수)씨 부친상 조은석(서울북부지검 차장검사)씨 장인상 21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3일 오전 7시 (02)3410-6915 ●김해중(YTN 미디어사업국 사업1팀장)씨 모친상 21일 경남 창원 진해연세병원, 발인 23일 오전 8시30분 (055)548-7761 ●조래현(국세청 대변인실 조사관)씨 장인상 21일 뉴타운장례식장, 발인 23일 오전 7시 (02)909-2899 ●박경래(사업)항래(KIST 국제협력실장)씨 모친상 이병진(사업)최선우(교사)최홍영(미소지앤성형외과 원장)씨 장모상 21일 광주 그린장례식장, 발인 23일 오전 (062)250-4410
  • [부고] 설원봉 대한제당 회장

    [부고] 설원봉 대한제당 회장

    설원봉 대한제당 회장이 20일 오전 숙환으로 별세했다. 62세. 대한전선 창업자인 고 설경동 회장의 2남 2녀 가운데 막내로 1983년부터 대한제당 경영을 맡아 왔다. 경영을 맡은 뒤 1956년 회사 창업 이래 단 한 차례의 노사분규도 겪지 않은 전통을 이어와 노사관계의 새 패러다임을 제시한 경영인으로 평가받는다. 외환위기 당시 무감원, 무감봉, 무분규의 ‘3무 경영’으로 위기를 극복한 성과를 인정받아 2003년 산업자원부로부터 금탑산업훈장을 받았다. 유족으로는 부인 박선영씨와 설윤호 대한제당 부회장 등 1남 1녀가 있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이며 발인은 22일 오전 9시. (02)3010-2631.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 [부고]

    ●박찬본(전 국민은행 부행장)씨 장인상 19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1일 오전 8시 (02)3410-6915 ●안수연(HSBC)해연(메리어트)씨 부친상 이민(대구지검 서부지청 검사)씨 장인상 19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1일 오전 9시 (02)3010-2292 ●전형철(SK건설 부장)형국(자영업)수경(선일여고 교사)씨 부친상 홍창희(스포츠조선 편집팀장)씨 장인상 19일 일산 백병원, 발인 21일 오전 9시 (031)919-0899 ●정이성(제니엘 부사장·전 서울대병원 행정처장)풍영(대구시 서울사무소장)규영(자영업)씨 모친상 권오복(자영업)엄봉호(회사원)심상만(한국폴리텍대 교수)씨 장모상 18일 서울대병원, 발인 21일 오전 6시30분 (02)2072-2022 ●진두성(3·15의거기념사업회 이사·4·19민주혁명회 경남지부장)씨 별세 18일 경남 창원 마산의료원, 발인 21일 오전 9시 (055)249-1402 ●박기권(국제저축은행 은행장)인권(사업)순혜(부산 금양중 교사)씨 모친상 장영주(전 한전 인사부장)나현(기술신용보증기금 팀장)씨 장모상 김귀혜(부산 금사중 교사)허영남(부산 금정초 〃)씨 시모상 18일 진주 경상대병원, 발인 21일 오전 9시 (055)750-8651 ●김풍길씨 별세 풍철(MBC 글로벌사업본부 부국장)씨 형님상 18일 미국 별세, 빈소 서울장례식장, 발인 미정 (02)868-5000 ●문성호(새벽통상 대표이사)윤성(MKC 〃)씨 부친상 정원배(한라공조 부사장)김대원(미국 거주)씨 장인상 1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1일 오전 9시 (02)3010-2231 ●신봉향(이화외고 교감)씨 모친상 조규철(대기상사 대표)신승식(지비에스덕신 대표이사)씨 장모상 신제춘(국민은행 대리)씨 조모상 19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1일 오전 10시 (02)3010-2235 ●정도화(전 경상대 미술교육과 교수)씨 별세 연찬(엔젤인포 이사)연훈(한국씨티은행 과장)씨 부친상 1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1일 오전 5시30분 (02)3010-2294 ●신원건(동아일보 영상뉴스팀 차장)씨 부친상 이장원(평택 굿모닝병원 부원장)이민석(사업)씨 장인상 19일 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발인 21일 오전 8시 (02)440-8923
  • 울산시·경주시도 부산 생활권으로

    경부고속철도(KTX 2단계·부산~동대구)가 새달 1일 완전 개통되면 울산·경주 지역민들의 부산 활동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정차역 8곳 지역민 593명 설문 부산발전연구원(이하 부발연)은 19일 KTX 2단계 완전개통 영향 및 대응방안’이란 보고서를 통해 KTX가 완전개통되면 울산·경주 지역민들의 부산 활동이 개통 전보다 2.4배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 울산, 경주, 대구, 김천·구미, 대전, 천안·아산, 서울 등 KTX 정차역이 있는 8개 지역민 593명을 대상으로 5개 분야(관광레저·쇼핑·교육·의료·공연)에 대한 활동별 비중 변화를 설문조사한 결과 울산과 경주 지역민의 경우 부산에서의 활동이 2.4배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김천·구미 주민 서울보다 부산 찾을 듯 또 김천·구미, 대전, 천안·아산 지역민의 부산 활동은 지금보다 1.4배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민의 서울 활동은 1.3배 증가해 서울에 비해 부산에서의 활동 증가율이 다소 높았다. 서울 등 다른 정차역과 비교할 때 부산은 관광·레저, 쇼핑 부문이 강점으로 꼽혔다. 근거리인 울산, 경주 주민들에게는 부산의 쇼핑·의료·교육 부문이 서울보다 경쟁력이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부산시민의 서울 활동도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부산 사람들 서울활동 늘 것 현재 부산 사람들 중 서울에서 활동하는 사람과 서울 사람들 중 부산 활동자 비율은 17.2% 대 1.2%이지만 2단계 개통 후에는 26% 대 3.4%로 격차가 더 벌어져 서울 집중현상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 하는 활동 중 공연문화활동 증가폭이 11.2%로 가장 크고 다음이 관광레저활동(9.9%), 의료활동(9.2%) 순으로 조사됐다. 완전개통에 맞춰 한국철도공사는 서울~부산 요금을 5만 1800원(평일기준)으로 3900원 인상할 계획이지만 부산발전연구원은 1900원 인상이 적정하다고 분석했다. KTX 2단계 구간이 개통되면 각 구간별 소요시간은 ▲서울~부산 2시간 18분 ▲부산~울산 16분 ▲부산~경주 23분 ▲부산~대구 38분으로 크게 단축된다. 부산 김정한기자 jhkim@seoul.co.kr
  • [인사]

    ■한겨레신문 △디지털미디어본부 모바일에디터 박병수 ■경기신문 △편집국장 이준구 ■한전산업개발 ◇전보 <본사 처장>△기획 윤정선△관리 최인규△영업 한우순<본사 실장>△기획조정 이종찬△발전운영 황정권<지사장>△남서울 박종하△경기인천 박충한△대구경북 김억조△부산 송찬신△경남 양세철<지점장>△북부 김용신△서부 송광진△고양 최병용△구리 강석진△강남 양희수△강릉 최원철△수원 최승원△안산 박현섭△광명 손진화△평택 박우양△부천 장현종△동대전 이상원△천안 김도원△서대전 정인수△아산 전병하△당진 이강열△전주 김진상△김해 이경찬△마산 염재석<발전사업처장>△보령 이범혁△당진 박수봉<발전사업처 운영실장>△태안 조규산△하동 박재선△당진 최우용<발전사업소장>△동해 천경연△서천 이상두△영동 김동배
  • 전립선암 재발 환자 호르몬 치료 긍정적

    서울아산병원 비뇨기과 김청수 교수팀은 전립선암이 재발한 환자 104명을 대상으로 ‘생식샘 호르몬(Gn-RH)’ 제제의 일종인 ‘류프로렐린’을 12주간 투여한 결과, 97.8%에서 4주만에 남성호르몬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억제되는 등 삶의 질이 뚜렷하게 개선됐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임상에는 국산 류프로렐린 성분 약물인 ‘로렐린데포’ 주사제가 사용됐으며, 12주간 투여 후 삶의 질과 테스토스테론, 전립선 특이항원(PSA) 변화 등을 측정·평가했다. 그 결과, 96.6%의 환자에서 12주째까지 테스토스테론 억제 효과가 유지됐으며, 주간 빈뇨 등의 배뇨증상이 개선됐다고 연구팀은 평가했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