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아산
    2025-09-03
    검색기록 지우기
  • 아들
    2025-09-03
    검색기록 지우기
  • 아이언
    2025-09-03
    검색기록 지우기
  • 눈빛
    2025-09-03
    검색기록 지우기
  • 은혁
    2025-09-0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9,165
  • [부고]

    ●당윤재(전 서울신문 제작국 부국장)씨 별세 해상(디자인픽업 대표)효상(엘스튜디오 실장)씨 부친상 3일 서울 동신병원, 발인 5일 오전 8시 (02)395-0865 ●김희완(전 서울시 정무부시장)씨 모친상 3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6일 오전 5시 30분 (02)3410-6916 ●정동준(전 전북도청 전산국장)씨 별세 용환(매일경제신문 편집부 차장)씨 부친상 홍상호(현대위아 이사)박형진(사업)이대규(〃)씨 장인상 2일 전북대병원, 발인 5일 오전 9시 (063)250-2450 ●조덕연(전 연합뉴스 비상계획관)씨 부친상 3일 충남 논산 백제병원, 발인 5일 오전 9시 (041)733-7955 ●류명하(금융감독원 수석검사역)씨 모친상 3일 구룡장례식장, 발인 5일 오전 9시 (041)837-8384 ●이영준(하나은행 부행장보)씨 모친상 3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5일 오전 7시 (02)3010-2292
  • [부고]

    ●김용식(전 한국가스안전공사 이사장)씨 별세 성훈(서울대 약대 교수·의약바이오컨버전스연구단장)씨 부친상 최익홍(미국 거주)이정호(㈜한국메리트특장 대표이사)씨 장인상 2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4일 오전 9시 (02)3410-6915 ●임민성(서울중앙지법 판사)씨 부인상 2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4일 오전 8시 (02)3010-2262 ●정용달(네크워크타임즈 대표)씨 모친상 2일 전주 대송장례식장, 발인 4일 오전 9시 (063)274-0815 ●신해용(프런티어자산운용 회장·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기용(프라임비뇨기과 원장)씨 모친상 강건진(명성세미트론 회장)장순호(전 숭덕공고 교감)씨 장모상 2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4일 오전 8시 (02)2258-5979 ●권광석(우리은행 아크로비스타지점장)광조(동원와인플러스 실장)씨 부친상 이승훈(울산대 강사)씨 장인상 2일 여의도성모병원, 발인 4일 오전 7시 (02)3779-1918 ●정수택(광주광역시 사회복지과장)준택(국민연금관리공단 장애인지원실 부장)남택(서울학원장)씨 부친상 2일 광주 무등장례식장, 발인 4일 오전 8시 (062)515-4488
  • 지구촌 북반구 ‘시베리아의 습격’…사망 속출·가스 비상

    이례적인 한파로 일본과 중국 북방은 물론 동유럽과 러시아까지 꽁꽁 얼어붙었다. 최저 섭씨 영하 30도를 넘나드는 혹한에 저체온증과 동상 등으로 인한 사망자가 속출하고, 러시아~동유럽 지역에서는 가스와 생활용품 공급에 비상이 걸렸다. 우크라이나와 불가리아, 루마니아 등 동유럽 곳곳에서는 2일(현지시간) 오전까지 적어도 16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고, 일본에서는 최고 3m가 넘는 눈폭탄 세례로 56명이 목숨을 잃었다. 온화한 지중해성 기후인 이탈리아에서도 이례적인 폭설이 내렸고, 지중해 북부의 프랑스 코르시카섬에서는 폭설로 전기공급이 중단됐다. 우크라이나 에너지부는 섭씨 영하 33도를 밑도는 한파가 급습해 최근 5일 동안 적어도 43명이 숨졌다고 밝혔다. 사망자의 대부분은 저체온증에 걸린 노숙자들이라고 당국은 밝혔다. 또 동상과 저체온증 등으로 500여명이 임시 시설에 수용돼 식수와 식량을 공급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우크라이나를 비롯한 동부 유럽의 겨울 기온은 통상 영하 15도 안팎 수준이다. 터키 북서부 흑해 연안의 항구도시 종굴다크 연안에서는 눈보라로 화물선이 침몰해 선원 11명 가운데 8명이 실종된 상태다. 러시아산 원유와 생활용품 운반 루트인 보스포러스 해협은 폭설로 이틀째 폐쇄되고 있다. 현재 7척의 유조선이 보스포러스 해협에 발이 묶여 있다고 현지 해안 경비대는 전했다. 불가리아 쪽 흑해는 58년 만에 결빙됐다. 불가리아와 이웃한 루마니아에서도 갑작스런 강추위에 20여명이 숨졌고, 폴란드에서는 일산화탄소 중독 등으로 5명이 희생됐다. 슬로베니아에서는 시속 180㎞의 강풍까지 동반돼 건축물 등이 파손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특히 러시아에 한파가 닥치는 바람에 유럽 지역은 가스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러시아의 국영 천연가스회사인 가즈프롬이 국내 가스 수요 급증에 따라 유럽에 대한 가스 공급량을 감축한 데 따른 것이다. 평상시 영하 20도 안팎인 모스크바와 주변 도시들은 최저 영하 30도 안팎의 이례적인 한파에 시름하고 있다. 이탈리아 관리들에 따르면 오스트리아 국경을 통해 이탈리아에 공급되는 러시아산 가스공급량이 평상시 대비 10% 줄었다. 유럽집행위원회(EC) 대변인은 지하 가스 비축분과 대체 루트 활용으로 수급에는 큰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유럽 각국은 향후 기상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기상 전문가들은 “시베리아 기단의 찬 공기가 밀려 내려오면서 동유럽 지역이 한파를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악의 경우 유럽 남동부 지역의 저온 현상이 독일 등지로 퍼질 수 있다고 유럽기상서비스네트워크는 경고했다. 일본 NHK 등에 따르면 2일 오전 현재 야마가타현에 358㎝, 아오모리에 133㎝, 도야마에 56㎝의 눈이 내리는 등 북서부 지역의 적설량이 평년의 2배를 넘고 있다. 아오모리현에서는 차량 100여대가 고립됐고, 아키타현 센보쿠시에서는 온천여관 주변에서 눈사태가 일어나 노천욕을 하던 손님 3명이 숨지기도 했다. 중국 북방지역에도 46년 만의 한파가 닥쳐 네이멍구(內蒙古)의 최저기온이 영하 46.9도까지 떨어졌고, 헤이룽장성 모허 현에서는 수은주가 영하 44.4도까지 내려갔다. 이에 따라 주민들은 외부 통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농작물 피해를 우려하고 있다. 박찬구기자 ckpark@seoul.co.kr
  • 자치단체 이색 노인 복지행정 2제

    자치단체 이색 노인 복지행정 2제

    의학발달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지자체의 복지행정도 세분화되고 있다. ‘80세 이상 노인전용 경로당’에 ‘우리마을 주치의제’ 도입 등 반짝이는 아이디어가 적지 않다. ■“안방까지 찾아가 치료해 드려요” #충남 아산시 송악면에서 홀로 사는 김모(87) 할머니는 오늘도 마을주치의를 손꼽아 기다린다. 일어서지 못할 정도로 관절염이 심하지만 고령이라 수술도 받지 못한다. 그런데 지난해부터 보건지소장이 직접 찾아와 치료를 해 줘 많이 나았다. 할머니는 “몸이 불편할 때면 수시로 전화를 걸어 물어보기도 한다. 기분도 쾌활해졌다.”고 말했다. #목이 뻣뻣해 고개를 움직이지 못했던 충남 청양군 장평면 유모(76) 할머니는 요즘 보건지소 한의사로부터 침을 맞는다. 할머니는 “침을 맞은 뒤 목이 잘 돌아간다. 허준이 따로 없다.”면서 “늙어서 가기 힘드니 더 자주 좀 오라.”고 활짝 웃었다.충남도가 자치단체 중 처음 도입한 ‘우리마을 주치의제’가 농어촌 주민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은 자기 집 ‘안방’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어 여간 좋아하지 않는다. 1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4월 마을 주치의제를 도입했다. 간호사 1명이 혈압을 체크하고 파스 등을 건네는 방문 간호와 달리 의사와 간호사로 구성된 진료진이 마을을 정기적으로 찾아가 진료는 물론 치료까지 해 주는 제도다. 송기력 도 주무관은 “65세 노인이 30%를 넘는 의료 사각지대 농어촌이 많기 때문에 시·군 협조 아래 정기적·집중적인 주민 건강관리가 필요해 도입했다.”고 말했다. 보건지소당 1개 마을씩 모두 166개 농어촌 마을에 매달 한 차례 이상 복수의 의료진들이 ‘주치의’로 방문하고 있다. 사업착수 후 지금까지 4만 2393가구, 주민 9만 3347명 가운데 3만 9120명이 내과, 한의과, 치과 등의 진료를 받았다. 진료만 하는 게 아니다. 컵쌓기, 노래교실, 레크리에이션 등 각종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주민들의 여가활동을 돕고 있다. 발 관리, 손마사지, 건강체조를 가르치고, 전립선 및 폭염 예방법 등도 알려준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어르신 노후생활 걱정 잊으세요” 충북도 내 제천시 등 6개 기초 지자체에서는 장수하는 노인들을 위한 다양한 복지시책을 편다. 제천시는 90세 이상 노인 500여명의 건강한 노후생활을 돕기 위해 간호사 9명, 물리치료사 1명, 사회복지사 1명 등 11명으로 장수어르신 건강관리팀을 구성해 운영한다고 1일 밝혔다. 이들은 월 2~4회 노인들을 방문해 기초 건강체크, 낙상 예방교육, 영양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중증 질환이 있는 노인의 경우, 매주 목요일 건강관리팀과 의사가 함께 방문해 진료를 해 주고 기저귀 등 의료용 소모품 41종을 무료로 제공키로 했다. 제천시는 또 올해부터 100세가 되는 노인들을 방문해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장수패와 욕창 방지매트 등 10만원 상당의 생필품을 전달하고 있다. 청원군은 ‘노년이 행복한 효도 청원 만들기’를 역점사업으로 정하고 올해부터 85세 이상 노인들에게 월 4만원의 장수수당을 지급한다. 대상은 1700여명이다. 83세 이상 노인들에게 매달 3만원의 장수수당을 지원하는 단양군은 올해부터 차등을 둬서 100세 이상 노인에게는 월 10만원의 장수수당을 지급하기로 했다. 현재 단양지역 100세 이상 노인은 11명이다. 보은군은 최근 1억 6000여만원을 들여 보은읍 삼산리에 80세 이상 노인들만 출입할 수 있는 산수경로당을 마련했다. ‘산수’는 나이 80세를 의미한다. 초고령자 전용 경로당답게 문턱을 모두 없앴고, 화재예방을 위해 가스레인지 대신 전기레인지를 달았다. 마을마다 경로당이 한두 개씩 있는데도 이런 시설을 따로 마련한 것은 60~70대 젊은 노인(?)들이 경로당을 드나들면서 나이 많은 노인들이 이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등 부작용이 있어서다. 영동군은 지난해부터 읍·면을 돌면서 80세 이상 노인들에게 점심을 대접해 주는 장수어르신 상차려드리기 사업을 하고 있다. 청주 남인우기자 niw7263@seoul.co.kr
  • 작년 지방9급 사회복지직 점수 살펴보니…

    작년 지방9급 사회복지직 점수 살펴보니…

    지난해 12월 치러진 사회복지직 9급 지방공무원 시험이 ‘반토막 합격선’ 지적을 받고있다. 1일 서울신문이 이 시험을 분석한 결과 경북 청도군 커트라인은 45점으로 나타났다. 과목별 과락(40점)을 간신히 넘은 수준이다. 수험생들 사이에서는 다른 직렬(합격선 70~80점)과의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공직 내부에서도 자질 미달자 임용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합격점이 40점대로 떨어진 곳은 4개 시·군이다. 청도를 비롯해 전남 광양(47점), 경기 양평(48.5점), 경기 평택(49점) 등도 반 토막 합격선을 기록했다. 일반 직렬 합격선과 비교해 30~40점 낮은 점수다. 청도군 시회복지직 합격선은 지난해 5월 치러진 지방 9급 공채의 이 지역 합격선(일반행정 79점, 사회복지 73점)과 비교해 무려 28~34점 차이가 난다. 4월 실시된 국가직 공채 합격선(일반행정 경북 지역 87점)과의 점수 차는 무려 42점이다. 50점대도 수두룩하다. 충남 아산시(50점) 등 22곳에 이른다. 지난해 지방직 전체 9급 채용 필기시험에서 합격선이 가장 낮았던 곳은 강원 지역(75점)이다. 하지만 이 점수면 이번 사회복지직 시험에서는 상대적으로 합격선이 높았던 서울·부산(각 76점), 광주(77점), 대구(72.5점), 인천·대전(70점) 등 특별·광역시 모집에서도 합격할 수 있다. 오히려 장애인·저소득층 구분모집 직렬의 합격선이 높았다. 합격선이 80점을 넘긴 지역 다섯 곳 가운데 세 곳이 장애인·저소득층 구분모집이다. 경남 창원시의 장애인모집 합격선은 80점, 저소득층모집 합격선은 81점이다. 이는 창원시 일반모집(77점)보다 높다. ☞<정책·고시·취업>최신 뉴스 보러가기 처음 실시된 지방 사회복지직 시험이라 난이도를 낮췄음에도 합격선이 추락하자 정부는 당혹해하면서도 40점 이상이면 법적인 합격 요건을 갖췄다고 해명했다. 지방직 6급 이하 공채에서는 과목당 40점 이상 득점하면 합격할 수 있다. 하지만 너무 급하게 채용 절차를 진행했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번 시험 실시가 확정된 것은 지난해 7월이다. 시험 불과 5개월 전에 결정됐다. 정부와 한나라당 당정협의 결과다. 행정안전부가 각 지자체와 협의해 채용 인원을 확정한 것은 시험 시행 2~3개월 전이다. 수험 전문가들은 “공무원 채용은 장기적인 인력충원 계획에 따라 신중하게 이뤄져야 하는데 이번 채용은 당리당략에 따른 선심성 정책을 무리하게 따라간 결과”라고 지적했다. 김태룡 상지대 행정학과 교수는“늘어난 복지 수요를 충족시키자는 취지는 좋았지만, 지원 규모를 예측하지 못한 결과”라며 “같은 직급 수험생들이 형평성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 수험생은 “85점 받고도 떨어졌는데, 45점으로 합격하다니 불공평하다.”고 말했다. 김양진기자 ky0295@seoul.co.kr
  • [부고]

    ●박노영(전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씨 별세 원규(사업)현미(〃)씨 부친상 31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3일 오전 7시 30분 (02)3410-6901 ●김인식(전 대통령 경호실 차장)씨 부인상 동천(사업)씨 모친상 김태연(한국지엠 기획부문 상무)씨 장모상 31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3일 오전 7시 (02)3410-6914 ●유강희(중국 거주·선교사)장희(전 이화여대 부총장)관희(고려대 교수)씨 모친상 31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3일 오전 9시 30분 (02)3410-6915 ●나상곤(기획재정부 인사제도팀장)씨 부친상 1일 평촌 한림대성심병원, 발인 3일 오전 6시 (031)384-4634 ●정창덕(계룡건설 토목본부장)씨 부인상 1일 대전 건양대병원, 발인 3일 오전 7시 30분 (042)600-6660 ●이윤하(종근당 개발본부장)씨 부친상 31일 제주대병원, 발인 3일 오전 (064)717-2906 ●이찬수(전 오뚜기식품 전무)씨 별세 재덕(대웅제약 과장)씨 부친상 1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3일 오전 8시 30분 (02)3410-6916 ●한명현(전 한국여자프로골프투어 대표이사)씨 별세 장기영(학생)씨 모친상 1일 강남성모병원, 발인 3일 오전 8시 (02)2258-5979 ●이종원(전남의대 명예교수)씨 별세 근홍(자영업)우진, 명진, 경진(꼬마이치과 원장) 준한(조선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씨 부친상 이상용(강릉아산병원 건강검진센터) 민정준(전남의대 핵의학과 교수) 박재홍(꼬마이치과 원장)씨 빙부상 김명금, 정민아(베스트이비인후과 소아과 과장)씨 시부상 1일 광주 조선대병원 장례식장 2분향소, 발인 4일 오전 9시 (062)220-3352
  • ‘아산의학상’ 고규영 KAIST 교수

    아산사회복지재단(이사장 정몽준)은 제5회 아산의학상 수상자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고규영(54) 교수를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고 교수는 기존의 혈관내피 성장인자(VEGF) 이외에 또 다른 성장인자인 ‘안지오포이에틴2·Ang2’가 혈관의 새로운 생성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발견한 데 이어 두 인자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이중혈관 성장 차단제’를 개발하는 데 성공한 공로를 기려 수상자로 선정했다. 고 교수의 이 연구 결과는 2010년 8월 암 분야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캔서 셀’(Cancer Cell)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국내 연구진이 주도한 연구 업적이 ‘캔서 셀’지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된 것은 고 교수가 처음이었다. 시상식은 오는 9일 오후 6시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 [부고]

    ●박봉우(전 서울신문 판매본부 국장)씨 모친상 31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일 오전 8시 (02)3010-2263 ●지창주(미국 거주)은숙(광운대 교수)씨 모친상 곽병선(전 한국교육개발원장)정인대(SLS중공업 사장)씨 장모상 31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3일 오전 9시 (02)3410-6905 ●이상훈(경희사이버대 기획협력처 과장)씨 모친상 31일 경희의료원, 발인 2일 오전 6시 (02)958-9549 ●송윤섭(대진정공 대표)씨 부친상 31일 천안 단국대병원, 발인 2일 낮 12시 (041)550-7186 ●구본걸(새마을 감북동협의회장)본삼(CS유통 전무이사)본성(천성중 교사)씨 모친상 31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일 오전 8시 (02)3010-2265 ●이성환(금융감독원 수석검사역)씨 부친상 31일 청량리 성바오로병원, 발인 2일 오전 (02)958-2420 ●남호기(전력거래소 이사장)씨 부친상 31일 부산의료원, 발인 3일 오전 7시 (051)607-2653 ●허철(삼성전자 LCD사업부 수석연구원)근(다우케미컬 책임연구원)씨 부친상 이규림(한컴 매체팀장)씨 장인상 30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일 오전 8시 (02)2227-7556 ●김병묵(전 중앙대 산업대학장)씨 별세 봉규(청심한의원 원장)환규(사랑의샘 〃)윤혜(피아노학원 〃)은규(고백교회 전도사)씨 부친상 30일 평택 장례문화원, 발인 1일 오전 9시 (031)692-4884
  • [부고]

    ●김춘희(한국광고협회 전무이사)두희(사업)씨 모친상 29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월 1일 오전 6시 30분 (02)2227-7569 ●이해봉(한나라당 국회의원)씨 형님상 29일 경북대병원, 발인 2월 1일 오전 7시 30분 (053)420-6149 ●김진용(전 삼성전기 상무)진환(유엔-동북아 알앤디연구원장)진구(오케이애드컴 대표)씨 부친상 30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월 1일 오전 8시 30분 (02)3410-6918 ●윤경한(뉴질랜드 거주)양한(전 신한은행 인천본부장)씨 모친상 30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월 1일 오전 5시 (02)3010-2251 ●하성곤(미국 거주)성훈(신한생명 행복ACE지점장)씨 부친상 30일 분당 서울대병원, 발인 2월 1일 오전 8시 30분 (031)787-1506 ●서근원(인디자인 부장)덕원(아모레퍼시픽 과장)씨 부친상 안효명(SJC케미칼 대표이사)씨 장인상 이경주(현대자동차 과장)씨 시부상 30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월 1일 오전 5시 30분 (02)3010-2293 ●김명섭(한국오라클 전무)씨 부인상 30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월 1일 오전 10시 (02)3410-6914 ●박용훈(휴세코 회장·전 두산건설 부회장)씨 별세 세원(뱅크오브아메리카 이사)씨 부친상 이주학(코웰&리 대표)씨 장인상 김나영(영육영농조합법인 대표)씨 시부상 30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월 1일 오전 9시 30분 (02)3010-2631 ●민경욱(KBS뉴스9 앵커)경조(부영 건축부장)승훈(티이에이엠 대표)씨 부친상 박윤희(서울 성북구보건소 의약과장)씨 시부상 30일 이대목동병원, 발인 2월 1일 오전 7시 (02)2650-5121 ●정우광(국민대 신소재공학부 교수)씨 부친상 권혁찬(미래와희망산부인과의원 원장)씨 장인상 30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월 1일 오전 8시 (020)3410-6902 ●김갑수(현대해상 강북지역본부장)재수(캐나다 거주)덕수(사업)미현(미국 거주)씨 부친상 홍승일(미국 거주)씨 장인상 30일 수원 아주대병원, 발인 2월 1일 오전 5시 50분 (031)219-4111 ●이백만(전 청와대 홍보수석)씨 장모상 30일 의정부성모병원, 발인 2월 1일 오전 10시 (031)820-5056 ●김주열(두산건설 홍보팀 팀장)씨 모친상 29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월 1일 오전 6시 (02)3010-2292
  • [부고]

    ●박영철(신세계건설 대표)영호(사업)씨 모친상 29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31일 오전 9시 (02)3410-6917 ●이재의(전 주택은행 지점장)재기(동아대 교수)재립(전 SC제일은행 부장)재휘(희망약국 대표)재훈(특허청 특허심판원 심판장)씨 모친상 장수재(전 경찰공무원)이종석(전 삼성테크윈 과장)강용진(국립수산과학원 내수면연구소장)진대철(대연고 교사)씨 장모상 28일 창원병원, 발인 31일 오전 7시 (055)287-5101 ●이광택(함께일하는재단 상임이사)씨 부친상 28일 부산 대동병원, 발인 2월 1일 오전 7시 30분 (051)550-9981 ●정연준(변호사)연철(사업)씨 모친상 김명준(씨티신문사 광고마케팅국장)한창호(한창호소아청소년과 원장)씨 장모상 27일 대구 가톨릭병원, 발인 31일 오전 7시 (053)655-4501 ●강춘식(피엠시에스지 대표이사)호식(KBS 광고국 부장)대식(그린맥스 대표)씨 모친상 29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31일 오전 5시 (02)3010-2231 ●조성하(동아일보 여행전문기자)경숙(숭의초 교사)씨 모친상 김문기(부원 R&C 대표)씨 장모상 28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31일 오전 7시 (02)2227-7547 ●김성수(연세의료원 비서실장)씨 장인상 29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31일 오전 6시 30분 (02)2227-7597 ●서상철(전 방송위원회 정책실장)상환(KSIS 대표)씨 모친상 최임순(전 언남중 부장교사)씨 시모상 서민규(중앙대 교수)성규(고려대 〃)씨 조모상 29일 분당 서울대병원, 발인 31일 오전 9시 (031)787-1512 ●이윤석(연세대 교수)용석(IBM 이사)종석(대림대 교수)씨 부친상 29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31일 오전 8시 (02)2227-7587 ●동호림(GS건설 토목해외영업Ⅱ담당 상무)학림(IBK경제연구소장)씨 부친상 김옥배(전 전북대 교수)씨 장인상 29일 분당 서울대병원, 발인 2월 1일 오전 9시 (031)787-1510 ●한완호(현대증권 법인영업2부장)성순(타임프로덕션 제작팀)씨 모친상 강효헌(타임프로덕션 제작팀)씨 장모상 김혜경(보평초 교사)씨 시모상 29일 대구전문장례식장, 발인 31일 오전 (053)965-7105 ●이장수(수원시 토지관리과 그린벨트팀장)씨 부친상 조헌모(전 MBC 논설위원)심덕선(중앙대 교수)씨 장인상 29일 수원 연화장, 발인 31일 오전 8시 (031)218-8790 ●이완덕(외환펀드서비스 대표이사)씨 모친상 29일 이대목동병원, 발인 31일 오전 7시 30분 (02)2650-2741 ●김준탁(제일조은약국 대표)정탁(JT통상 〃)경탁(합전 〃)씨 모친상 29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31일 오전 11시 (02)3010-2236
  • [메디컬 팁]

    ●서울아산병원 신장이식 3000건 달성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 신장이식팀(팀장 한덕종 교수)은 1990년 6월 첫 수술 이후 21년 7개월 만에 신장이식 3000건을 달성했다고 최근 밝혔다. 의료팀은 당뇨합병증으로 투석까지 받던 옥모(33)씨에게 지난 6일 신장 한쪽과 뇌사자의 췌장을 동시에 성공적으로 이식함으로써 3000건의 대기록을 달성했다. 의료진은 그동안 다양한 기록을 새로 썼다. 아시아권 장기이식센터 중 유일하게 4년 연속 연간 200건 이상의 신장이식을 시행했으며, 장기이식 후 생존율도 미국 스탠퍼드대·미네소타대 등과 대등한 1년 98%, 5년 95%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또 뇌사자 신장·췌장 동시 이식 성공(1992), 생체 신장·췌장 동시이식 성공(2006) 등도 의미 있는 기록으로 꼽힌다. 한 교수는 “현재 연간 200건 이상의 신장이식수술을 하는 병원은 세계적으로 10곳에 불과하다.”면서 “더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근 가천의대길병원장 취임 가천의대길병원 이근 신임 병원장이 최근 취임했다. 이 병원장은 취임식에서 “각종 경제지표들이 의료 환경의 위축을 예고하고 있다.”며 “직원들이 힘을 모아 낭비적 요소를 줄이기 위한 선진형 토털케어시스템을 완성하자.”고 당부했다. 외과 및 응급의학과 전문의인 이 원장은 철원 길병원장과 서해권역응급의료센터 소장 및 진료부원장, 기획부원장을 지냈으며 대한응급의학회 이사장, 인천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 의무분과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BK동양성형→BK성형외과 개명 BK동양성형외과가 ‘BK성형외과’로 병원 명칭을 바꿨다. 병원 측은 “의료 관광 활성화로 ‘성형 한류’가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세계시장에서 보다 글로벌한 브랜드를 정착시키기 위해 ‘아름다움은 곧 한국’(Beauty Korea)이라는 의미의 BK성형외과로 개명했다.”면서 “한층 향상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홈페이지(http://www.bkhospital.com/)도 단장했다.”고 밝혔다. ●한미약품 몽골 제약사와 수출계약 한미약품(대표 이관순)은 몽골 최대 제약회사인 MEIC사와 일반의약품 13종에 대한 수출 계약을 최근 체결했다. 대상 품목은 정장제 메디락과 임산부 종합영양제 프리비, 빈혈치료제 훼로맥스 등이다. MEIC는 허가 절차를 거쳐 올 하반기부터 현지 시판을 시작할 계획이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향후 전문의약품으로 협력 관계를 확대하는 방안을 MEIC와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 유한킴벌리 ‘숲 가꾸기’ 나선다

    “우리 강산 푸르게 푸르게”를 외치며 30년 가까이 국유림에 나무를 심어 온 유한킴벌리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숲 가꾸기에 나선다. 유한킴벌리는 숲과 관련된 비영리재단(NGO) 3곳과 협약을 맺고 1년간 23억원을 들여 국내외에서 다양한 조림사업을 벌인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서울 마포구 성산동에 위치한 숲센터에서 최규복 유한킴벌리 대표와 최열 생명의숲 공동대표, 최현섭 동북아산림포럼 이사장, 양병이 서울그린트러스트 이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양해각서(MOU) 교환식이 열렸다.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 [부고]

    ●최택상(전 우리투자증권 경영지원본부 부사장)씨 모친상 27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9일 오전 7시 (02)3410-6917 ●이경근(삼우 상무)명근(SK브로드밴드 기업사업부문장)씨 부친상 정이열(사업)씨 장인상 27일 대구 가톨릭대병원, 발인 29일 오전 9시 (053)657-4600 ●유재원(한국외대 그리스·불가리아어과 교수)씨 부인상 27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30일 오전 7시 30분 (02)3410-6901 ●박주미(KBS 스포츠취재부 기자)씨 조모상 26일 부산보훈병원, 발인 29일 오전 8시 (051)601-6793 ●이재일(SBS아트텍 디자인팀 부장)씨 별세 27일 일산 동국대병원, 발인 29일 9시 30분 010-9670-3344 ●유명수(서울 중부수도사업소 계장)씨 모친상 손영환(수출입은행 아시아부 팀장)씨 장모상 27일 고려대 안암병원, 발인 29일 오전 7시 (02)923-4442 ●이상열(다다에프앤비 대표이사)씨 모친상 최차용(서울대 명예교수)박기봉(비봉출판사 대표)씨 장모상 2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9일 오전 8시 (02)3010-2294
  • 아부다비 두번째 환자 신장이식 위해 한국에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아부다비의 32세 여성 환자가 신장 이식을 받기 위해 한국을 찾는다. 지난해 1월 아부다비보건청과 국내 4개 의료기관이 환자송출 계약을 체결한 이후 두 번째 환자다. 복지부는 26일 아부다비보건청이 서울아산병원에 여성 환자의 신장 이식을 의뢰했다고 밝혔다. 이 환자는 오랜 당뇨에 따른 잦은 혈액 투석 탓에 이식후 거부반응 위험이 큰 고위험군 환자로 미국 병원으로부터 수술이 어렵다는 판정을 받았다. 아부다비보건청은 신장 이식을 위해 공여자가 함께 방문했고, 환자치료 비용 등으로 15만 달러를 승인했다고 설명했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 [부고]

    ●김기홍(강서구의원)씨 모친상 26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8일 오전 9시 30분 (02)2227-7556 ●김진식(전 충북도 농정국장)씨 장모상 26일 청주 하나노인전문병원, 발인 28일 오전 10시 (043)237-6786 ●김원태(아시아나항공 재무담당 상무)용태(자영업)경태(〃)연태(〃)평태(〃)씨 모친상 김선(영종국제물류고 교사)씨 시모상 26일 광주 그린장례식장, 발인 28일 오전 8시 30분 (062)250-4411 ●이광호(전 국민은행 상무이사)광수(엠아이비전 CEO)씨 모친상 26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8일 오전 6시 30분 (02)3410-6916 ●박병진(세계일보 차장)대진(라이프휘트니스)씨 부친상 정현익(한국프랜지 부장)씨 장인상 26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8일 낮 12시 (02)3010-2252 ●현승준(연세대 교수)승윤(한국경제신문 경제부장)승엽(제프런 대표)씨 부친상 26일 제주 부민장례식장, 발인 28일 오전 7시 (064)742-5000 ●박승권(한일농원 대표)승덕(가톨릭대 교직원)씨 부친상 신황호(부영그룹 홍보이사)씨 장인상 김경숙(태봉초 교사)씨 시부상 25일 철원 길병원, 발인 27일 오전 9시 (033)450-3241 ●여영택(시인·전 경북문인협회장)씨 별세 홍상(고려대 교수)용상(가야랜드 대표이사)필상(전 평화산업 전무이사)씨 부친상 26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9일 오전 5시 (02)3410-3151 ●홍철화(전 정일학원 회장)씨 별세 성민(정일홀딩스 대표)성은(단국대 교수)씨 부친상 도진명(퀄컴 사장)씨 장인상 오혜영(한국청소년상담원 교수)씨 시부상 26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8일 오전 9시 30분 (02)3410-6902 ●전병석(문예출판사 대표)병민(한국정책연구원 고문)병영(아이픽스 대표)병환(서해문화아카데미 이사장)병엽(G.C.P㈜ 부사장)병위(목사)씨 모친상 한영구(전 외교안보연구원 교수)씨 시모상 26일 충남 홍성의료원, 발인 29일 오전 9시 (041)630-6244
  • “中, 핵 실험로 사고 석달째 은폐”

    중국 베이징 교외에 있는, 고속 증식로 개발을 위한 실험로(CEFR, 출력 2만㎾) 터빈 건물내에서 지난해 10월 사고가 일어난 사실이 일본원자력연구개발기구의 조사로 밝혀졌다고 산케이신문이 25일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일본원자력연구개발기구는 한국의 원자력 관계자로부터 “중국의 실험로가 멈춘 것 같다.”는 정보를 입수한 뒤 조사 끝에 지난 7월 실험로가 발전을 개시한 직후 발전기가 있는 터빈 건물내에서 사고가 발생해 점검작업이 정지된 사실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25일 현재까지 사고 사실을 공표하지 않아 자세한 사고 내역은 알려지지 않은 상태다. 중국의 실험로는 후쿠이현 쓰루가시의 고속 증식로 ‘몬주’ 처럼 열을 식히는 냉각재로 액체 나트륨을 사용하고 있다. 연료는 농축 우라늄이지만 2015년에는 우라늄·플루토늄 혼합 산화물(MOX) 연료를 사용해 증식 실험을 시작할 예정이었다. 정지된 실험로는 러시아산으로, 베이징에서 서쪽으로 약 60㎞의 군사시설내에 들어서 있다. 원자로를 보호하는 격납 용기가 없고 중앙 제어실에 운전원의 휴식용 침대가 있는 등 안전 관리 수준이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일어나자 국내의 원자력 발전 시설을 점검했으며, 지난해 5월 13기의 검사를 끝냈다. 도쿄 이종락특파원 jrlee@seoul.co.kr
  • [부고]

    ●윤해관(미주제강 회장)씨 장인상 25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7일 오전 8시 30분 (02)3010-2231 ●김홍범(LG생명과학 영업기획담당)씨 모친상 박성주(도서출판 지누 대표)씨 시모상 25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27일 오전 9시 (02)2258-5969 ●마광수(대한하키협회 부회장)광철(풍생고 체육부장)씨 부친상 24일 분당 서울대병원, 발인 27일 오전 6시 (031)787-1510 ●민홍석(변호사·인하대 로스쿨 교수)씨 별세 25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7일 낮 12시 30분 (02)3410-6908 ●김호룡(해피랜드F&C 이사)씨 부친상 25일 이대목동병원, 발인 27일 오전 7시 (02)2650-2750 ●성대경(KBS 라디오센터장)씨 장모상 24일 인하대병원, 발인 27일 오전 9시 (032)890-3195 ●차근철(KBS 시청자사업부 수원센터운영팀 부장)씨 부친상 24일 수원 연화장, 발인 28일 오전 5시 (031)218-8781 ●한기문(전 삼양통상 부사장)씨 별세 승훈(광원물산 대표)씨 부친상 송석용(사업)이종율(〃)안영기(우정침대 대표)허성기(GS칼텍스 부장)씨 장인상 24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7일 오전 5시 (02)3010-2232 ●신창승(예림프로덕션 감독)진호(한국자동차기술인협회 기획이사)씨 부친상 이진효(리오인쇄사 대표) 송상훈(포브스코리아·이코노미스트 대표)씨 장인상 25일 서울 을지병원, 발인 27일 오전 8시 (02)970-8444 ●한상복(한라학원 원장)상미(안흥중 교사)씨 부친상 김인영(자영업)곽노현(대원과학대 교수)김운기(삼성전자 부장)원윤식(NHN 홍보팀장)씨 장인상 25일 강원 횡성장례식장, 발인 27일 오전 9시 30분 (033)344-4449
  • 심장·간 파먹는 거대한 ‘괴물 빅캣’ 습격

    최근 영국에서 거대한 ‘괴물 빅캣’(Big cat)이 잇따라 동물들을 죽인 충격적인 사건이 벌어졌다고 영국 일간지 더 선이 26일 보도했다. 영국 잉글랜드 서남부 코츠월드 지역에서 벌어진 이 사건으로 왈라비(작은 캥거루처럼 생긴 오스트레일리아산 동물) 3마리가 숨진 채 발견됐다. 이곳에서 농장을 운영하는 주민의 말에 따르면, 지난 6일 뼈가 거의 들어나고 장기들이 주위에 흩어진 채 죽어있는 왈라비 3마리가 우드체스터 지역 인근에서 처음 발견됐다. 이틀 뒤에는 우드체스터 공원 내에서 사슴이 죽은 채 발견됐으며, 사슴의 심장과 신장, 간이 사라져 있었다. 10일에도 이와 비슷한 형태의 사슴 시체가 잇따라 발견됐다. 동물 전문가들은 이것이 검은 표범이나 퓨마 등 몸집이 큰 고양잇과 동물의 소행인 것으로 추측하고 있지만, 빅캣의 정확한 종(種)이나 이를 추정할 만한 증거를 찾아내지는 못한 상태다. 빅캣 전문가인 프랭크 턴브릿지(65)는 “정체를 알 수 없는 빅캣이 2m가 넘는 담장을 넘어 동물들을 공격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다. 워릭대학교의 로빈 앨러비 박사는 “현재 죽은 사슴과 왈라비에게서 추출한 DNA를 토대로 조사중”이라면서 “잔인하게 동물들을 죽이는 ‘미지의 빅캣’ 존재를 확인할 수 있길 희망한다.”고 전했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 이번엔 ‘누리로’ 열차가…기관사 실수로 아산역 정차안해

    설 연휴 뒤 첫 출근일인 25일 ‘누리로’ 열차가 정차역에 멈추지 않고 그대로 통과해 출근 시간대 이용객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오전 7시 15분쯤 신창발 용산행 누리로 1726열차가 아산역에서 멈추지 않고 통과했다. 예정보다 6분가량 늦게 아산역 승강장에 진입한 열차는 아산역에 정차하지 않고 지나쳤으며, 승강장에서 500m 떨어진 터널 안에서 5분가량 정차했다가 그대로 서울 방향으로 운행했다. 역측은 열차를 타지 못한 승객 40여명에게 “뒤따라오는 KTX나 전동열차를 이용해 달라.”고 안내했지만, 출근이 늦어진 승객들이 ‘빨리 다른 조치를 취하라.’고 항의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일부 승객은 “안내방송이나 안내하는 역무원이 없어 제시간에 출근하지 못하고 지각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코레일은 “기관사가 실수로 정차역을 지나친 뒤 급제동해 터널 안에서 멈췄지만 관제실과 협의해 후진하지 않고 이용객에게 후속 열차 이용을 안내하도록 했다.”면서 “환불을 요청하는 승객에게는 전액 환불 조치했다.”고 해명했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 [생각나눔 NEWS] 수련의 분만 참관…현장교육? 인권침해?

    [생각나눔 NEWS] 수련의 분만 참관…현장교육? 인권침해?

    아이를 출산할 때 수련의가 참관하는 것을 두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임산부들은 불쾌감을 감추지 못한다. 분만 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의료진을 제외한 제3자에게 자신의 치부를 보여야 한다는 사실이 수치스럽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의료계는 “예비 산부인과 의사들에게는 단순한 교육일 뿐”이라며 “문제 될 것 없다.”는 입장이다. 주부 이모(33)씨는 지난 3일 서울의 모 산부인과에서 딸을 출산하면서 큰 충격을 받았다. 의사 어깨너머에서 한 남성이 우두커니 서서 분만 과정을 지켜보고 있었기 때문이다. 남편은 분만실 밖에서 출산을 기다리고 있었지만 수술실의 긴장된 분위기 탓에 그가 누구인지도 묻지 못했다. 이씨는 나중에야 그 남자가 수련의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씨는 “당시 수치심을 견디기 어려웠다. 마치 동물원의 원숭이가 된 듯했다.”고 털어놓았다. 해당 병원은 이씨에게 사전에 동의를 구하지 않은 점에 대해서 사과했지만 이씨는 이미 마음에 큰 상처를 받은 뒤였다. 사실, 이런 사례는 수련병원 산부인과에서는 흔한 일이다. 김형완 인권정책연구소 소장은 “미국·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의료진의 필요에 따른 일방적인 수련의 참관을 허용하지 않고 있는데, 우리는 교육이라며 관행화돼 있다.”면서 “명백한 프라이버시 침해”라고 지적했다.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는 “환자의 진료비를 일부 지원하는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반드시 임산부의 동의를 구한 뒤 참관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산부들은 대부분 수련의 참관을 반대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양승조 민주통합당 의원실은 “임신·출산 정보를 나누는 인터넷 카페 해피마미를 대상으로 최근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96.7%가 수련의가 참관하려면 사전에 임산부의 동의를 구해야 한다고 응답했다.”면서 “‘수련의 진료실 출입에 대한 환자의 서면동의’ 법안을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양 의원의 관련 개정법안 발의는 의료계의 반발로 무산된 상태다. 의료계 역시 반발하고 있다. 분만 과정 참관이 의사들에게는 필수적인 교육이라는 것이다. 김암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수련의는 곧 산부인과 의사가 될 사람이며, 신분이 의사에 준하기 때문에 수치심을 느끼는 대상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신정호 대한산부인과학회 사무총장은 “임산부가 수련의 참관을 거부하면 미래 세대가 희생될 수밖에 없다.”면서 “응급상황에서는 동의를 구할 여유조차 없다.”고 주장했다. 이영준·한세원기자 apple@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