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아산
    2025-09-02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9,161
  • ‘비리’ 서남대 퇴출 임박… “의대생 학위 취소”

    서남대학교가 300억원대 교비 횡령, 의료인 부실 양성, 가짜 교수진 임용, 허위 대학정보 공시 등 갖은 부정과 파행을 거듭해 오다 학교가 폐쇄될 처지에 놓였다. 서남대는 전북 남원과 충남 아산에 캠퍼스를 두고 있는 4년제 사립대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해 12월 서남대에 대해 실시한 특별감사 결과를 20일 공개했다. 감사 결과에 따르면 대학 설립자인 이홍하(73)씨는 전남 광주에 있는 서남대 부속병원 입원실에 법인기획실을 차리고 교비통장과 총장직인, 회계직원 도장을 넘겨받아 330억 4800여만원의 교비를 차명계좌로 빼돌려 가로챈 것으로 드러났다. 이씨는 교과부의 행정처분 등을 피하기 위해 대학이나 학교법인에 어떤 직함도 갖지 않고 직제에 없는 기획실을 통해 각 대학을 통제해 왔다. 전국에 학교법인 7개와 대학 6개를 갖고 있는 이씨는 이미 지난달 각 대학에서 모두 1000억원대의 교비를 횡령한 혐의로 구속기소된 상태다. 서남대는 임상실습 학점 이수 기준시간을 충족하지 못한 의대생에게 학점과 학위를 주는 등 의대 교육과정을 파행적으로 운영해 온 사실도 드러났다. 2009~2011년 부속병원에서 54개 과목의 임상실습교육 1만 3596시간을 운영한 것처럼 조작했지만 실제로는 병원에 외래환자와 입원환자가 부족해 8034시간에 그쳤다. 이 과정에서 최소 실습시간을 채우지 못한 의대생 148명에게 멋대로 학점을 부여하고 이 중 134명에게는 의학사 학위를 줘 졸업시켰다. 교과부는 134명에 대한 의학사 학위를 취소할 것을 대학 측에 요구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해당 졸업생의 학위가 취소될 경우, 보건복지부와 협의해 의사면허의 즉시 박탈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2012년 기준 신입생 충원율이 35.5%에 그치고 전체 학생의 41.7%가 휴학한 뒤 복학하지 않는 등 중도 탈락률이 높아 정부 재정지원 제한대학 지정이 우려되자 각종 정보를 허위로 공시했다. 지난해 4월 기준 재학생 수를 2222명에서 7407명으로, 재적학생 수는 3557명에서 7407명으로 부풀리고 휴학생 수는 1335명에서 0명으로 줄였다. 교직원 18명과 부속병원 간호사 7명을 가짜 전임교원으로 임용해 교원 임용률을 부풀리기도 했다. 교과부는 대학 측에 총장 김모(57)씨를 해임하고 이씨로부터 교비 횡령액 전액을 회수할 것을 요구했다. 총장 김씨에 대해서는 미자격 학생에 학위를 수여하는 등 고등교육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교과부는 최근 이씨가 설립한 한려대, 광양보건대, 신경대 등에 대한 특별감사를 마쳤으며, 다른 2개 대학에 대해서는 감사를 진행 중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대학의 정상적인 학사운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학교폐쇄 등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 [부동산 플러스] ‘동탄 KCC 스위첸’ 친환경 단지

    ‘동탄 KCC 스위첸’ 친환경 단지 KCC건설은 동탄2신도시 ‘동탄 KCC 스위첸’ 잔여 물량을 분양하고 있다. 지하 2~지상 29층 7개동 640가구 규모인 동탄 KCC 스위첸은 ▲84㎡A 402가구 ▲84㎡B 80가구 ▲84㎡C 158가구 등 모두 84㎡로 구성됐다. 단지 3면이 자연친화시설로 둘러싸여 있고, 건폐율이 11%, 조경면적이 45%로 주거환경도 쾌적하다. 2015년 2월 입주예정이다. 1588-5473. ‘아산 더샵 레이크시티’ 입지 탁월 포스코건설은 다음 달 충남 아산시 음봉면 월랑리에서 ‘아산 더샵 레이크시티’를 분양한다. 지상 12~23층 30개동 1914가구 대단지다. 전용면적 ▲72㎡ 300가구 ▲84㎡ 1244가구 ▲99㎡ 370가구로 구성됐다. 인근에 3000여가구 규모의 더샵 브랜드타운이 조성된다. 천안시 경계와 약 3.6㎞ 거리로 천안 도심 접근성이 쉽다. (041) 427-3000. ‘강남 2차 푸르지오 시티’ 분양 대우건설은 ‘강남 2차 푸르지오 시티’ 오피스텔과 상가를 동시 분양하고 있다. 오피스텔은 3.3㎡당 1100만원 선에 분양가가 형성돼 있고, 상가도 900만원대부터 계약이 가능하다. 강남 2차 푸르지오 시티는 강남보금자리지구 상권 중심부에 위치해 있어 유동인구 흡수에 유리하다. 입주는 2014년 10월 예정이다. (02) 562-7111.
  • [부고]

    ●김석규(전 주일대사)씨 부인상 우찬(고려대 경영대학원 교수)연수(인타크 대표)씨 모친상 신강균(MBC 베이징특파원)고규범(존슨&존슨 상하이지사)씨 장모상 19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2일 오전 9시 (02)3410-6920 ●이정채(전북대 치의학전문대학원 부교수)씨 부친상 20일 전남 영암 삼성장례식장, 발인 22일 오전 8시 (061)472-6600 ●정상일(여자프로농구 용인 삼성생명 코치)씨 장인상 20일 강북삼성병원, 발인 22일 오전 6시 (02)2001-1092 ●방영일(효성 미디어홍보팀 과장)씨 모친상 19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2일 오전 8시 30분 (02)3010-2236 ●정창렬(한양대 사학과 명예교수)씨 별세 윤정(대전성모여고 교사)윤경(역사비평사 직원)씨 부친상 구만옥(경희대 사학과 교수)씨 장인상 20일 한양대병원, 발인 22일 오전 9시 (02)2290-9462 ●구재완(전 서천군 산림조합장)씨 별세 기노(대진여고 교감)기중(미국 거주)기번(미국 거주)기창(중국 거주)명순(태양유치원 원장)씨 부친상 20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2일 낮 12시 (02)2227-7580 ●장윤호(유니마 대표이사)씨 별세 원석(유니마 전무이사)씨 부친상 19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2일 오전 9시 (02)2227-7560 ●조장희(충암중 교사)융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씨 모친상 윤순희(충암고 교사)고은강(서울과학기술대 교수)씨 시모상 20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2일 오전 8시 (02)2227-7556 ●김병우(전 전남대 의대 학장)씨 별세 치균(남부대 교수)대호(삼성화재 부장)씨 부친상 조현종(국립광주박물관 관장)씨 장인상 20일 전남대병원, 발인 23일 오전 9시 (062)220-6981 ●정경업(동아기술공사 부사장)씨 별세 혜원(구몬교육기획)씨 부친상 이영우(삼성생명 과장)씨 장인상 19일 여의도성모병원, 발인 22일 오전 5시 30분 (02)3779-2182 ●김덕진(국회사무처 사무관)씨 모친상 이연수(서울아산병원 원무팀 과장)씨 시모상 20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2일 오전 5시 (02)3010-2000
  • [주말의 경기]

    [주말의 경기]

    19일(토) ■프로농구 ●SK-전자랜드(잠실학생체) ●KCC-모비스(전주체 이상 오후 2시) ●동부-KGC인삼공사(오후 4시 원주 치악체육관) ■프로배구 ●러시앤캐시-LIG손해보험(오후 2시 아산 이순신체) ●IBK기업은행-GS칼텍스(오후 4시 화성체육관) ■여자농구 KDB금융그룹 챌린지컵 결승 국민은행-삼성생명(오후 4시 경북 경산체육관) 20일(일) ■프로농구 ●삼성-KCC(잠실체) ●KT-SK(부산 사직체 이상 오후 2시) ●KGC인삼공사-LG(오후 4시 안양체육관) ■프로배구 ●현대캐피탈-삼성화재(오후 2시 천안 유관순체) ●도로공사-KGC인삼공사(오후 4시 성남체육관) ■여자농구 올스타전(오후 2시 경산체육관)
  • [부고]

    ●원승관(동부화재 상무)한찬건(대우인터내셔날 전무)박호용(무애ENC)김강호(선교사)씨 장인상 18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1일 오전 9시 (02)2227-7584 ●리호승(수원 삼성 축구단 사무국장)씨 장모상 18일 의정부 성모병원, 발인 20일 오전 10시 (031)844-4040 ●김종민(프로야구 롯데자이언츠 선수)씨 조부상 18일 서울의료원, 발인 20일 오전 (02)2276-7695 ●이창성(전 성균관대 유림 사무총장)씨 별세 명우(사업)길우(중앙대 한국화과 교수)씨 부친상 오동근(약사)씨 장인상 18일 중앙대병원, 발인 20일 오전 8시 30분 (02)6299-2466 ●윤현걸(전 부산시청 서기관)씨 별세 기종(국민건강보험공단 부장)기언(퍼시스 상무)기창(LG CNS 과장)씨 부친상 정소영(광양중 교사)정나미(명일여고 교사)김민혜(난우초 교사)씨 시부상 18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0일 오전 7시 (02)3010-2237 ●박수영(SK텔레콤 수도권네트워크본부장 상무)씨 부친상 1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0일 오전 8시 (02)3010-2292
  • [프로배구] LIG 좀 이겨봤으면… 러시앤캐시는 괴로워

    스포츠에 체력 말고도 심리적인 요소가 크게 작용한다는 것을 방증하는 게 바로 천적 관계다. 객관적인 전력에서는 뒤질 게 없는데도 이상하게 특정 팀만 만나면 배배 꼬인다. 다행인 점은 천적 관계가 일방적이지 않고 물고 물린다는 점이다. 프로배구 LIG손해보험에 현대캐피탈이 천적이라면 반대로 LIG는 러시앤캐시에 호랑이 같은 존재다. KEPCO를 꺾고 파죽의 4연승을 달린 지난 16일 경기 수원 실내체육관. 기분 좋은 승리를 거둔 러시앤캐시의 김호철 감독과 선수들에게서 나온 소감은 엉뚱하게도 “LIG를 꼭 꺾고 싶다”는 것이었다. 삼성화재, 현대캐피탈, 대한항공 등 올 시즌 상위팀들을 차례로 꺾은 러시앤캐시가 아직 한 번도 이겨보지 못한 팀이 공교롭게 LIG이기 때문이다. 역대 전적으로 봐도 4승16패로 러시앤캐시가 한참 밀린다. 러시앤캐시는 19일 홈인 충남 아산 이순신체육관에서 LIG와 4라운드 승부를 펼친다. 여기서도 승점 3을 챙긴다면 포스트시즌 진출까지도 넘보는 중대 전환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17일 현재 9승7패(승점 28)를 거두고 있는 LIG로서도 2위 싸움의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나아가 선두 삼성화재를 추격하기 위해 반드시 잡아야 할 경기여서 단단히 벼르고 있는 상황이다. 김 감독은 “19일 시합에서 온 힘을 다해 보겠지만 워낙 전력 차이가 커서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조심스러워했다. 그러면서도 “다른 팀은 다 이겨 봤는데 LIG만 꺾지 못했다. 그 팀만 생각하면 가슴이 답답하다”면서 “5~6라운드에서 이기면 LIG가 너무 큰 상처를 받을 것 같다. 이기더라도 빨리 이겨야 욕을 덜 먹지 않겠느냐”면서 4라운드 맞대결에서 승리하고 싶은 욕심을 에둘러 드러냈다. 주전 센터 신영석 역시 “이상하게 우리와 붙을 때 LIG 선수들이 펄펄 날았다. 하지만 이번에는 우리 홈에서 경기를 벌이고 또 승리 수당이 2배여서 우리 선수들의 눈빛부터 다를 것”이라고 투지를 불태웠다. 김민희 기자 haru@seoul.co.kr
  • 동반성장 지수 적용 지속적으로 확대

    동반성장위원회는 ‘박근혜 정부’가 경제민주화를 강조한 만큼 중소기업 전반으로 동반성장 지수를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유장희 동반성장위원장이 지난해 말부터 금융과 의료 분야를 동반성장 평가 대상으로 포함시키겠다고 나선 것도 같은 맥락이다. 17일 한 동반위 관계자는 “삼성·현대아산병원, 서울대병원, 신촌세브란스병원, 백병원 등 초대형 5대 병원의 보험급여 청구액이 44개 상위종합병원 청구액보다 35%나 많다”면서 “의료진과 환자 쏠림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대형병원과 지방병원의 관계, 절대 ‘을’일 수밖에 없는 3000여개 중소의료기기업체와 제약사들에 대한 대형병원의 횡포와 부당한 부담 등 의료 불균형 문제는 동반성장 지수로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민간위원회인 만큼 ‘종이호랑이’가 되지 않기 위한 위상 강화 노력도 병행될 것으로 보인다. 유 위원장은 “가장 타이트한(긴축적인) 조직으로 최대 효과를 내는 게 정답”이라고 말했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 [부고]

    ●김종남(전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씨 모친상 우희창(충남도 미디어센터장)씨 장모상 16일 대전 을지병원, 발인 18일 오전 10시 (042)611-3980 ●권해진(전 한국경제신문 독자서비스국 부장)태진(전 삼성물산 근무)국진(교사)정진(사업)씨 부친상 이병로(한화도시개발 감사)씨 장인상 16일 부산의료원, 발인 18일 오전 9시 (051)607-2655 ●조인재(안양교도소 주임)씨 부친상 문경록(현대증권 압구정WMC 차장)씨 장인상 16일 부산 성모병원, 발인 18일 오전 10시 (051)933-7486 ●윤경철(OBS 제작2팀장)씨 부친상 16일 고려대 안암병원, 발인 18일 (02)923-4442 ●김동찬(전 루셈 대표이사)씨 별세 16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18일 오전 7시 (02)2227-7556 ●이희환(언스트앤영 한영회계법인 전무이사)씨 모친상 16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19일 (02)2258-5940 ●조갑주(신송홀딩스 회장)규식(신송산업 사장)씨 모친상 손상배(신송식품 부회장)씨 장모상 조승현(신송식품 대표이사)승우(신송산업 이사)씨 조모상 15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8일 오전 7시 (02)3010-2230 ●김현주(광운대 미디어영상학부 교수)현민(대경기계기술 전무)씨 모친상 16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9일 오전 7시 (02)3010-2293 ●채정민(서울사이버대 입학처장)씨 부친상 16일 고려대 안암병원, 발인 18일 오전 8시 (02)923-4442
  • “중동 민주화·경제 위해 한국 등 동북아 역할 중요”

    “중동 민주화·경제 위해 한국 등 동북아 역할 중요”

    “‘아랍의 봄’을 겪은 중동 지역은 정치·안보적 안정뿐 아니라 경제적 개혁이 없다면 민주주의를 이루기 어렵습니다. 한국 등 동북아 국가들이 중동의 민주화와 경제 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세계적인 중동 정치 전문가인 발리 나스르 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SAIS) 원장은 지난 14일 아산정책연구원(원장 함재봉)이 ‘아랍의 봄: 앞으로의 과제’라는 주제로 개최한 라운드테이블에 참석, 이렇게 밝힌 뒤 중동 문제 해결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공조 등을 강조했다. 나스르 원장은 미 국무부의 외교정책 자문위원으로 중동 정책 수립 과정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으며, ‘시아파의 부흥’, ‘부의 힘’ 등 저서를 통해 ‘아랍의 봄’의 가능성을 예견한 바 있다. 나스르 원장은 “‘아랍의 봄’ 이후에도 정치·안보적 불안으로 경제는 나아지지 않았다”며 “경제 구조조정과 민영화 등이 이뤄지지 않으면 민주주의도 실현될 수 없기 때문에 ‘경제 개혁과 민주화 실현’이라는 대중동 패키지가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이 같은 경험을 쌓은 한국 등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아랍의 봄’은 독재정권에 대한 피로와 젊은층이 60%가 넘는 인구 구조, 경제 침체 등이 겹쳐 발생했다”며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위성방송을 통한 민주주의 전파, 식량안보 불안 등도 영향을 미쳤지만, 독재정권이 견고한 나라들도 많아 더 지켜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민주주의 과정을 위한 리더십 부재, 극단적 이슬람 세력의 부상, 시리아 유혈 내전 등을 ‘아랍의 봄’ 이후 중동의 과제로 꼽았다. 시리아 문제에 대해서는 “이라크처럼 악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나스르 원장은 이란의 핵 개발 문제에 대해 “이란은 국제사회의 제재에 굴하지 않고 중국, 인도 등과의 석유 및 금융거래를 확대하면서 계속 버티고 있다”며 제재보다는 지속적 외교활동을 통한 해법을 제시했다. 김미경 기자 chaplin7@seoul.co.kr
  • [부고]

    ●박겸수(강북구청장)씨 부친상 14일 광주보훈병원, 발인 17일 오전 9시 (062)973-9161 ●기준(티케이케미칼 부회장)옥(금호터미널 대표)철(아시아나항공 상무)씨 부친상 14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17일 오전 8시 (02)2258-5940 ●성낙중(TJB 제작영상팀 차장)씨 부친상 15일 충북 옥천 옥천성모병원, 발인 17일 오전 6시 (043)732-6202 ●박승득(한주자산운용 대표이사)씨 부친상 15일 연세대세브란스병원, 발인 17일 (02)2227-7500 ●서경덕(성신여대 교수)씨 부친상 14일 보라매병원, 발인 17일 오전 9시 (02)836-6900 ●이지원(피알엔 대표이사)씨 모친상 15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17일 오전 8시 (02)2258-5940 ●여운영(춘천시 총무과장)씨 부인상 상훈(춘천소방서 방호구조과)씨 모친상 15일 강원대병원, 발인 17일 오전 6시 (033)258-9403 ●이효재(울산도시공사 사장)씨 장모상 14일 부산대병원, 발인 17일 오전 7시 011-562-1896 ●김재홍(연합뉴스 경남취재본부 기자)도완(부산진경찰서 수사과)씨 조모상 엄혜진(거제시청 문화공보과)씨 시조모상 15일 경북 경주 동산병원, 발인 17일 오전 7시 (054)770-9557 ●정민재(전 오비스 인베스트먼트 리서치 대표) 부친상 15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7일 오전 6시 (02)3010-2232 ●민우식(주식회사 마리온 대표이사)광식(주식회사 마리온 이사)씨 모친상 김춘성(주식회사 주식연구소 대표)이종찬(법무법인 에이스 변호사)김수찬(강남세브란스병원 피부과 과장)씨 장모상 15일 연세대세브란스병원, 발인 17일 오전 9시 (02)2227-7500 ●김초희(오렌지건설 대표이사)만홍(경남기업 상무)씨 모친상 김광수(덕산공구 대표)이태용(LG CNS 전문위원)씨 장모상 14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7일 오전 7시 (02)3010-2265 ●최명권(성우상사 대표이사)명헌(코밀 글로벌 회장)황정(엠에스 인터내셔널 팀장)씨 모친상 유성선(서울상사 대표이사)씨 장모상 14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7일 오전 7시 (02)3010-2631 ●전문덕(세라이트 코리아 대표이사)용덕(천곡교역 상사 부사장)호경(성균관대 겸임교수)씨 모친상 김웅순(지식경제부 R&D 전략기획단 팀장)김병기(충북대 교수)씨 장모상 15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7일 오전 8시 30분 (02)3410-6915 ●정의포(전 기업은행 남대문지점장)은포(사업)영포(사업)씨 부친상 15일 연세대세브란스병원, 발인 17일 오전 5시 (02)2227-7569 ●이연용(일신 이앤드씨 회장)씨 모친상 14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7일 오전 7시 (02)3410-6917 ●이대우(신한금융투자 부장)씨 별세 15일 서울대병원, 발인 17일 오전 5시 (02)2072-2091 ●홍덕표(녹야원 대표)장표(고재평 법무사무소 실장)진표(남양유업 실장)씨 모친상 문인섭(경기대 팀장) 장모상 15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17일 오전 8시 (02)2258-5940 ●김상우(서강·서정학원 이사장)씨 별세 김홍용(서정대 총장)정수(서영대 총장)씨 모친상 15일 광주 조선대병원, 발인 17일 오전 7시 (062)520-5012
  • [부고]

    ●최병일(이화여대 교수·한국경제연구원장)한상범(LG디스플레이 사장)씨 장인상 14일 대구 모레아장례식장, 발인 16일 오전 (053)801-9999 ●조왕래(전 서울 광진구청 건설교통국장)씨 별세 현모(Happy Tuk 대표이사)현락(수원지법 판사)씨 부친상 14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6일 오전 7시 30분 (02)3410-6902 ●이종현(충남도의원)씨 부친상 13일 충남 당진 중앙장례예식장, 발인 16일 오전 9시 30분 (041)358-3000 ●백용흠(코스콤 부산센터운영팀장)백휘(쌍용건설 상무)씨 장인상 14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6일 오전 6시 40분 (02)3010-2238 ●이주노(KBS 전주총국 촬영기자)씨 장인상 14일 전주 뉴타운장례식장, 발인 16일 오전 9시 (063)285-4447 ●정태영(하이티넘홀딩스 대표)찬영(전 한국오가논 상무)한영(커리어뱅크 대표)씨 부친상 이명희(고양 화중초 교감)조홍숙(인천 부현동초 교사)씨 시부상 14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16일 오전 9시 (02)2227-7580 ●이상갑(부산시의원)씨 장인상 13일 부산 전문장례식장, 발인 16일 오전 5시 30분 (051)312-4441
  • [부고]

    ●이옥균(전 국방과학연구소 비상기획실장)기균(경성대 교수)씨 모친상 12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5일 오전 9시 (02)3410-6915 ●김영호(하이병원 원장)씨 부친상 강승조(영창마케팅 실장)박현배(수민정형외과 실장)임재헌(이트레이드증권 전무)이수원(TBWA 전무)씨 장인상 12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5일 오전 8시 (02)3410-3151 ●박준현(경북일보 부사장)씨 모친상 12일 경주 동국대병원, 발인 15일 오전 8시 (054)776-9411 ●박승란(서울 용암초 교감)미희(한국소비자원 책임연구원)승표(사업)씨 모친상 이운창(서울지방국세청 조사과장)이용구(KT 부장)씨 장모상 12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5일 오전 6시 (02)3410-6914 ●박종익(강원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씨 부친상 조영준(제2작전사령부 과장)씨 장인상 오귀영(이원의료재단 원장)씨 시부상 12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5일 오전 7시 30분 (02)3010-2291 ●장태규(전 금호생명 국장)현규(SBS 노사협력팀장)씨 부친상 이용찬(정금사 대표)김재권(유니켐 전무)씨 장인상 13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15일 오전 7시 (02)2227-7594 ●박원배(전 양천초 교장)씨 별세 강석(전 우리은행 홍보실장)강진(성수공고 교사)씨 부친상 백학래(사업)김정송(사업)신돈영(연성대 교수)이상백(사업)씨 장인상 박성윤(AK플라자 주임)씨 조부상 13일 서울성모병원, 발인 15일 오전 5시 30분 (02)2258-5940
  • [부동산 플러스]

    포스코 ‘아산 더샵 레이크시티’ 포스코건설은 다음달 충남 아산시 음봉면 월랑리에서 ‘아산 더샵 레이크시티’를 분양한다. 지상 12~23층 30개동 1914가구 대단지다. 전용면적 ▲72㎡ 300가구 ▲84㎡ 1244가구 ▲99㎡ 370가구로 구성됐다. 인근에 2004년 공급한 1288가구 규모의 ‘더샵 레이크사이드’와 함께 3000여 가구 규모의 더샵 브랜드타운이 조성된다. 천안시 경계와 약 3.6㎞ 거리로 천안 도심 접근성이 용이하다. (041)427-3000. KCC 상암스튜디오 분양 KCC건설이 서울 상암DMC 인근에 ‘KCC상암 스튜디오 380’ 오피스텔을 분양한다. 전용면적 기준 ▲20㎡ 312실 ▲23㎡ 52실 ▲38㎡ 13실 등의 소형으로 구성됐다. 3.3㎡당 분양가는 900만원대로 주변 시세 대비 3.3㎡당 약 100만원가량 저렴하다. 상암DMC는 2015년까지 800여개 기업, 6만 8000여명이 입주할 예정이다. 지하철 6호선 ‘마포구청역’이 도보 2분이면 이용 가능하다. 입주는 2014년 12월 말 예정이다.(02)376-7977. 서초 롯데캐슬 프레지던트 분양 롯데건설이 ‘서초 롯데캐슬 프레지던트’(조감도) 아파트를 선착순 분양한다. 서초동 삼익2차 아파트를 재건축한 서초 롯데캐슬 프레지던트는 전용면적 ▲84㎡ ▲119㎡ ▲149㎡ 총 280가구로 구성됐다. 서초역 주변 정보사부지의 터널 개통과 부지 개발이 예정돼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예술의 전당, 국립국악원등도 인접해 있다. 입주는 2014년 11월 예정이다. (02)522- 0082.
  • 전북 초등학교 5곳 졸업생이 없다

    올해 전북도 내 초등학교 5곳은 졸업생을 배출하지 못한다. 11일 전북도교육청에 따르면 익산 금성초교를 비롯한 5개 초교는 졸업생이 단 1명도 없고 개야도초교 등 3개 초교는 졸업생이 1명뿐인 것으로 조사됐다. 고창 아산초교는 개교 80년 역사상 처음으로 졸업식을 열지 못하게 됐다. 특히 군산 무녀도초, 비안도초, 선유도초 등 섬지역 학교 3곳은 모두 졸업생이 없다. 무녀도초는 2년째 졸업생이 없다. 졸업생이 1명인 개야도초, 어청도초 등도 섬지역에 있다. 이는 저출산과 이농 현상 등의 영향으로 학생 수가 매년 줄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지난해 도내 초교 재학생은 11만 2715명으로 2011년 12만 599명보다 7884명이 줄었다.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 지방자치비리단체장…종합감사 결과 190건 적발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자신의 측근을 승진시키려고 근무성적평정(근평)을 조작한 사실이 감사에서 적발됐다. 특정인을 채용하기 위해 자격 기준을 마음대로 바꾸는 것도 예사였다. 감사원은 지난해 5~6월 60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종합감사 결과를 10일 공개했다. 인사, 인허가, 계약 등 지자체의 고질 비리에 초점이 맞춰진 감사에서는 190건의 위법·부당 사례가 무더기로 적발됐다. 감사 결과 지자체장의 제 사람 심기 인사 비리는 도를 넘어섰다. 대전 중구청장은 2010~2011년 세 차례나 측근 인사 두 명의 근평 순위를 높이도록 지시했다. 근평위원회의 심의절차 없이 구청장 지시대로 승진후보자 순위가 정해졌고, 그 결과 5급이던 한 측근은 2010년 9위에서 이듬해 4위로 올라 4급으로 승진했다. 감사원은 대전 중구청장 등 9명을 직권남용, 업무상 배임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광주광역시장의 ‘엿장수 맘대로 인사’도 들통났다. 2010년 광주시장은 옛 비서 A씨를 지방계약직 나급으로 채용하려고 A씨의 조건에 맞춰 자격 기준을 바꿨다. 경기도 이천시장도 근평위원회를 열지도 않은 채 2008~2011년 8차례나 5급 직원들의 근평 순위를 마음대로 매겼다. 인허가 비리도 복마전이었다. 광역단체가 기초단체에 도시관리계획 변경을 부당하게 지시하거나, 토지를 용도 변경해 특정업체에 개발 이익을 몰아주는 짬짜미 병폐가 고질적이었다. 전 아산시장은 2010년 골프장 설치가 금지된 농림지역을 계획관리지역으로 바꿨고, 부산시는 2011년 롯데건설이 아파트를 건설할 수 있도록 도시관리계획을 변경해줬다. 황수정 기자 sjh@seoul.co.kr
  • [프로배구] 드림식스 러시에 인수기업 러브콜

    한국배구연맹(KOVO)이 관리구단인 남자부 러시앤캐시 드림식스 매각을 위해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10일 관계자들에 따르면 연맹은 늦어도 프로배구 포스트시즌이 시작하는 3월 중순까지 드림식스의 새 주인을 찾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인수 기업을 물색하고 있다. 개막 후 8연패를 당했던 드림식스가 그 뒤 6승1패의 가파른 상승세를 타면서 2~3개 기업도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올 시즌 네이밍스폰서로 나선 러시앤캐시도 인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드림식스는 모기업 우리캐피탈을 2011년 전북은행이 인수할 때 배구단 운영을 포기하면서 2년째 KOVO의 관리를 받고 있다. 연맹의 자구 노력과 함께 올 시즌 드림식스의 연고지인 충남 아산시의 움직임도 주목받고 있다. 홈 코트인 서울 장충체육관이 리모델링 공사에 들어가면서 드림식스는 아산 이순신체육관에 임시로 둥지를 틀었다. 아산시는 드림식스를 계속 유치해 배구 바람을 일으키겠다는 각오로 지역에서 공장을 가동 중인 여러 기업을 설득해 컨소시엄 형태로 구단을 운영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드림식스로선 새 주인을 맞을 절호의 기회인 셈이다. 지난해 11월 취임한 구자준(LIG손해보험 회장) 연맹 총재도 드림식스 매각을 우선 과제로 꼽은 뒤 기업 물색에 열의를 보이고 있다. 그는 친분이 있는 재계 인사들을 만나 의사를 타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맹의 한 관계자는 “강원랜드와의 매각 협상이 성사 직전 좌초된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며 “포스트시즌이 시작하기 전까지 작업을 완료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민희 기자 haru@seoul.co.kr
  • 수도자 꿈꾸던 청년 6명에 새 삶 주고 떠나

    수도자 꿈꾸던 청년 6명에 새 삶 주고 떠나

    가톨릭 수도자를 꿈꾸던 21세 청년이 불의의 사고로 뇌사 상태에 빠진 뒤 6명에게 새 삶을 주고 세상을 떠났다. 김동진(세례명 프란치스코·서울예술종합대 음악 전공)씨는 지난 6일 성당 복사단과 함께 강원도로 겨울 스키캠프를 갔다가 갑자기 쓰러졌다. 처음엔 가볍게 여겼지만 점차 두통이 심해져 강릉 아산병원으로 후송됐고 이곳에서 뇌출혈 진단을 받았다. 7일 새벽 혼수상태에서 서울성모병원 중환자실로 옮겨져 집중 치료를 받았지만 나아지지 않았고, 8일 저녁 병원 장기이식센터 뇌사판정위원회는 김씨에 대해 뇌사 판정을 내렸다. 아버지 김명수씨는 “둘째 아들을 잃게 되어 가슴이 아프지만 평소 동진이가 가톨릭 수도자가 되고 싶다고 밝혀 왔고 다양한 봉사활동 등 베풀 줄 아는 아이였기 때문에 장기기증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김씨 장기는 9일 오후 5시 서울성모병원 이식외과 문인성·김지일 교수를 비롯한 각 장기 수혜 병원 의사들의 집도로 적출됐으며 심장, 간장, 췌장, 신장 2개, 각막 2개가 기증됐다. 췌장과 신장 1개는 환자 1명에게 동시에 이식돼 6명이 새 생명을 얻었다. 뼈, 피부 등 인체조직 기증도 이뤄졌다. 어머니 김혜란씨는 “아들이 또 다른 모습으로 세상 속에 살아 있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 [부고]

    ●주태규(전 한화그룹 상무)씨 모친상 구평회(미국 거주)유장준(엔엑스케이 사장)씨 장모상 9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1일 오전 9시 (02)3010-2294 ●신준호(광양기업 과장)씨 부친상 윤동섭(아시아나항공 선임기장)이주석(순천제일대 전자정보통신과 교수)이동원(MBN 보도국 국차장 겸 산업부장)오준화(현대자동차 부장)씨 장인상 9일 순천병원, 발인 11일 오전 8시 (061)727-4441 ●이근식(전 경민대 교목실장)씨 별세 혁(한국인터넷진흥원 책임컨설턴트)진(음악학원 원장)림(남서울중 교사)씨 부친상 황민우(자영업)이창수(신목고 교사)씨 장인상 9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11일 오전 7시 (02)2227-7566 ●이상윤(자영업)상내(자영업)상주(CJ제일제당 부장)씨 부친상 정태화(한국전력공사 구리남양주지회 위원장)윤중률(진흥기업 부장)씨 장인상 9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11일 오전 6시 (02)2227-7587 ●권기선(정진실리콘 대표이사)기출(정진실리콘 이사)씨 모친상 9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11일 오전 7시 10분 (02)2227-7550 ●우종하(아펙스전자 회장)종철(새누리당 정무특보)씨 모친상 9일 강북삼성병원, 발인 11일 오전 6시 (02)2001-1096 ●김영수(티센크룸머티어리얼코리아 전무이사)건수(현대오일뱅크 자문역)씨 부친상 조성상(예비역 육군 준장)씨 장인상 9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11일 오전 9시 (02)3010-2292
  • 아산재단, 올해 1724명에 장학금 50억 지원

    아산사회복지재단(이사장 정몽준)은 올해 아산 장학생 1700여명을 선발해 지원한다고 7일 발표했다. 아산재단은 부모의 사업 실패나 가족의 질병 및 재난·재해 등으로 학업 중단 위기에 처한 대학생 80명에게 등록금을 전액 지원하는 ‘SOS 장학제’를 올해 신설했다. SOS 장학생은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또 가정 형편이 어려워 지역 공부방에서 독학하고 있는 저소득층 고등학생 500명에게는 이(e)러닝(인터넷 강의)을 제공한다. 봉사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자신의 전공 지식과 재능을 공부방 청소년 등 소외된 이웃과 나누는 대학생들을 위한 ‘재능나눔장학생’도 수혜 대상을 올해 대폭 늘렸다. 2011년 신설해 70명에게 장학 혜택을 부여한 데 이어 올해 60명을 늘려 총 130명을 선발, 대학 등록금 전액을 지원한다. 이 밖에 재단은 장애인 대학생들을 위한 ‘다솜장학생’, 군경·소방관 자녀들을 위한 ‘MIU 장학생’ 등 다양한 장학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재단은 “대학생 629명, 고교생 835명, MIU 230명 등 모두 1724명의 장학생을 선발해 다음 달 중 50억원을 전달한다”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재단 홈페이지(www.asanfoundation.or.kr)에 나와 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 “46년만에 밤샘폐지 환영… 삶의 질 180도 바뀔 듯”

    “46년만에 밤샘폐지 환영… 삶의 질 180도 바뀔 듯”

    7일 오전 6시 30분 울산 북구 현대자동차 명촌정문. 차량과 오토바이, 자전거 등을 이용한 근로자들의 출근 행렬이 꼬리를 물고 이어졌다. 1967년 창사 이후 46년 만에 ‘밤샘근무’ 대신 ‘주간 연속 2교대 근무’에 나서는 현대자동차 근로자들의 모습에는 생기가 돈다. 출근길에 만난 김모(47·울산 남구)씨는 “평소보다 1시간 일찍 출근하면 되는데 늦지 않으려고 새벽부터 준비했더니 조금 힘들다”면서 “그래도 밤샘근무가 사라져 너무 좋다”고 말했다. 현대자동차는 이날부터 기존의 주·야간 근무 대신에 주간 2교대 근무제를 도입, 시범 운영을 거쳐 오는 3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울산·아산·전주공장 근로자 3만여명은 이날 오전 7시부터 1조(오후 3시 40분까지)와 2조(오후 3시 40분~다음날 오전 1시 30분)로 나눠 주간 2교대 근무를 실시했다. 현대차 노사는 주간 2교대로 근무 시간이 축소됨에 따라 시간당 생산 대수를 늘리고 공장 비가동시간의 일부를 작업 시간으로 조정해 기존의 생산 능력을 유지할 계획이다. 또 생산량 향상을 위해 3000억원 규모의 설비 투자를 병행할 방침이다. 주간 2교대 근무는 근로자들 삶의 패턴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자동차업계 근로자들은 그동안 밤샘 야간근무로 가족과 어울리는 시간을 갖기 쉽지 않았다. 가족들은 야간 근무를 마치고 퇴근해 잠을 자는 근로자를 깨우지 않으려고 집안에서 발소리조차 제대로 내지 못했다. 이런 생활의 패턴이 확 바뀐다. 맞벌이 근로자는 퇴근해서 집안일도 도울 수 있게 됐다. 이모(42·울산 남구)씨는 “밤샘 근무로 나빠진 건강도 챙기고,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도 많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최모(53·울산 북구)씨는 “이제는 동료들과 등산도 하고, 회사 문화센터에서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도 찾아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회사 관계자는 “심야근로 폐지로 직원들의 건강 증진은 물론 늘어난 여가 시간을 활용한 자기계발 및 취미활동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이 기대된다”면서 “시범운영을 통해 미비점과 개선사항을 보완하는 등 차질없이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또 근로자들의 생활패턴 변화가 예상되면서 외식, 레저, 의료, 유흥업계도 발 빠른 준비작업에 들어갔다. 실제로 현대차 인근 지역인 북구 명촌동 일대 상가는 근로자들의 여가생활 확대로 인한 소비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한편 그룹사인 기아차도 현대차와 함께 올해 주간 2교대를 시행한다. 완성차업체의 주간 2교대 시행으로 국내 산업계에 직·간접적인 영향도 예상된다. 자동차 협력업체 모임인 금속사용자단체는 모기업인 자동차 완성차 업체의 주간 2교대 도입에 맞춰 1년 정도의 유예 기간을 두고 오는 2014년 3월까지 주간 2교대를 순차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주간 2교대제는 자동차 업계뿐 아니라 우리 산업 전반에 새로운 근무환경 변화의 바람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