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쌍방울야구단 인수
국내 굴지의 재벌그룹 SK가 법정퇴출 위기의 쌍방울구단을 전격 인수,프로야구에 뛰어든다.
문화관광부 유진룡 공보관은 6일 “SK 손길승회장이 이날 박지원 장관과의전화통화에서 쌍방울을 인수해 프로야구에 참여하겠다는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프로야구가 쌍방울의 퇴출로 침체를 더할 것으로 우려,이날 손회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쌍방울 인수를 권유했다.그동안 쌍방울 인수를검토했다가 인수 가격과 연고지 등의 조건이 맞지 않아 포기했던 손회장은박 장관의 적극 권유와 한국야구위원회(KBO)가 연고지를 옮겨주고 인수 가격도 대폭 낮출 수 있다는 뜻을 밝힘에 따라 구단을 인수키로 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써 7개 구단으로의 파행 운영이 우려되던 프로야구는 8개팀 양대리그로 새천년 페넌트레이스를 펼치게 됐다.또 91년 창단한 쌍방울 구단은 9시즌을 끝으로 문을 닫는 비운을 맞게 됐다.
SK는 우선 쌍방울 채권단과 직접 인수협상을 벌이고 조건이 맞지 않으면 KBO가 쌍방울을 법정 퇴출시킨 뒤 새로 제8구단 창단을 통해프로야구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SK는 인수 가격을 최대한 낮추고 구단 연고지도 전북이 아닌 수원으로 정할 것으로 알려져 인수에 적지 않은 어려움도 예상된다.
KBO는 쌍방울이 예정대로 7일 구단매각을 위임해오면 SK와 구체적인 참여절차와 인수 조건을 논의할 예정이다.KBO는 또 SK의 올 시즌 리그 참여를 돕기 위해 SK로 옮길 쌍방울 선수들의 해외 전지훈련 등에 KBO 기금으로 훈련비를 지원하고 나중에 SK와 정산할 방침이다.
김민수기자 kimms@ ** 단숨에 '스포츠 빅4' 부상‘재계 빅4’에서 ‘스포츠 빅4’로-.
‘011’을 앞세워 정보통신 업계의 총아로 떠오른 SK가 프로야구 쌍방울 인수를 선언,축구와 농구에 이어 3대 프로스포츠에서 모두 구단을 갖게 됐다.
SK 이름을 내건 프로야구팀은 당장 이번 시즌부터 현대,삼성,LG와의 재계라이벌전에 당당히 뛰어들 수 있다.한국야구위원회(KBO)는 늦어도 2월15일까지 새 구단이 창단되면 4월5일 시작되는 정규시즌 합류에 차질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까지 스포츠마케팅은 삼성과 현대,LG의 ‘시장 독과점’ 양상을 띠어왔다.따라서 SK가 상대적으로 열세를 느껴온 것이 사실.SK는 프로축구에는 83년 출범과 함께 참가했고 97년 7월 SK나이츠로 프로농구에 뛰어들었으나 지금까지 프로야구와는 인연을 맺지 못했다.
SK는 프로축구를 통해 스포츠 팬들의 시선을 잡기 시작,지난해 바이코이아컵 정규리그에서 3위를 차지했고 올 프로농구에서도 인기스타들을 앞세워 선두권을 지키고 있다.현재 SK는 스포츠단 1년 운영비로 축구단에 35억원,농구단에 70억원을 쓰고 있다.프로야구팀 운영비는 60∼70억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SK는 프로야구단 운영을 통해 회사 광고효과의 극대화를 노리는 것은 물론스포츠 선발주자들을 눌러놓겠다고 벼르고 있다.
송한수기자 onekor@ ** SK 연고지 수원이전 놓고 진통일듯SK의 연고지는 수원(?).
6일 재계 4위인 SK그룹이 프로야구 참여의 뜻을 밝힘에 따라 SK가 원하는연고지 수원을 놓고 협상과정에서 논란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KBO는 지난해 9월 이사회에서 쌍방울 인수를 원하는 기업이 연고지 이전을희망할 경우 현행 지역연고제에서 예외적으로 도시연고를 인정하기로 했다.
따라서 SK는 자신들이 마음대로 연고지를 고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져 있다.
현재 SK는 최종건 창업주의 고향이자 전신인 선경의 터전이 됐던 수원을 염두에 두고 있다.
수원은 인천과 경기도,강원도를 지역 연고로 삼고 있는 현대의 제2구장이다.현대는 최근 신생팀이 수원을 연고지로 택할 경우 미련 없이 수원을 떠나서울로 연고지를 옮기고 싶다는 뜻을 내비치고 있다.그러나 현대의 서울 이전은 기득권 수호를 위한 LG·두산과의 마찰이 예상된다.또 SK와 현대의 이동 논의는 삼성의 수원 이동을 부추겨 SK와 불협화음도 예상된다.수원은 삼성전자·삼성전기·삼성전관 등 삼성 계열사들이 일찌감치 자리해 ‘삼성 타운’이 형성된 곳.게다가 삼성은 블루윙스 축구단과 썬더스 농구단을 수원연고로 창단,내심 야구단의 연고지 이전까지 벼르고 있어 SK의 수원 입성이순탄하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김민수기자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