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잦은 두통 우울증 부를 수도
소아, 청소년기의 두통은 매우 흔한 질환이다. 유치원 연령에서 약 3분의1 이상이, 초등학교 시기에는 절반 이상이 자주 두통을 호소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그 중에서도 통증이 매우 심한 ‘편두통’의 발병률은 초등학생이 약 3%, 중학생은 7%로 학교생활에 지장을 주고 삶의 질을 악화시키는 사례가 많다. 아이가 두통을 호소하면 대부분의 부모는 대수롭지 않게 여기기 쉽다. 하지만 한 대학병원 연구결과 반복적인 두통이 문제행동이나 우울증, 불안감 등 심리적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생 절반이상 자주 두통 호소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이건희 교수팀은 2006년 1월부터 지난해 7월까지 병원에서 입원 또는 통원치료를 받은 9세 이상의 반복성 두통환자 120명과 두통이 없는 소아 33명을 대상으로 심리검사를 실시한 결과, 두통을 앓고 있는 소아가 그러지 않은 소아에 비해 문제행동, 불안·우울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은 소아청소년기의 반복되는 두통과 관련해 사회적 적응, 정서 및 행동 문제 등의 전반적인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153명의 대상자들에게 ‘아동청소년행동평가척도 검사’를 실시했다. 검사는 아동의 위축정도를 평가하는 ‘내재화점수’, 공격성을 평가하는 ‘외현화점수’, 전체적인 문제행동 정도를 수치화한 ‘총문제행동점수’ 등 크게 3개 분야로 나눠져 있다. 두통환자는 편두통 환자 88명, 긴장성두통 환자 32명 등으로 분류됐다.
검사결과 총문제행동점수는 편두통군 56.2점, 긴장성 두통군 54.0점으로 38.3점인 정상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내재화점수도 편두통군 59.8점, 긴장성 두통군 57.4점, 정상군 40.1점으로 역시 두통환자군에서 점수가 높았다. 외현화점수도 편두통 54.0점, 긴장성 두통 51.3점, 정상군 42.4점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상태불안척도 검사’에서는 편두통을 앓는 소아는 36.3점, 긴장성 두통이 있는 소아 36.3점, 정상군 25.3점으로 두통환자군에서 눈에 띄게 불안도가 높았다. 또 지속적으로 불안감을 느끼는 경향인 ‘특성불안척도’ 역시 각각 33.6점,34.6점,26.9점 등으로 역시 두통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우울증을 평가하기 위한 ‘소아우울척도’는 각각 14.8점,14.5점,9.1점 등으로 두통환자군의 우울감 역시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교수는 “행동장애나 심리적인 문제가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두통을 일으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면서 “반대로 극심한 두통이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소아청소년들의 이런 복합적인 상황이 학업에 지장을 초래하고 짜증스러운 성격이 형성돼 집중력과 대인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풀이했다.
●심리적 문제가 두통 유발·악화시킬 수도
전문가들은 소아청소년기의 반복성 두통환자에게 단순한 두통 증상 치료뿐만 아니라 가정, 학교 등에서 행동장애나 불안·우울감 등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가정에서는 형제간의 갈등, 특정한 형제에 대한 부모의 편애, 이혼 등 부모간의 갈등, 맞벌이 부부의 자식에 대한 관심 저하, 과중한 학업, 수면부족, 비만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학교에서는 학우 간의 문제,‘왕따’, 질병으로 인한 잦은 결석, 성적저하 등의 요소가 영향을 미친다. 이런 복합적인 요소가 작용하면서 환자는 극심한 두통을 느끼지만 의외로 많은 부모들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거나 꾀병으로 여기는 사례가 많다. 상황이 악화되면 환자는 신경질이나 짜증을 내고 본인이 아픈데 이해해 주지 않는다며 억울한 감정만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부모는 환자의 두통에 관심을 갖고 이해해 주고 병원에서 뇌 방사선검사만 할 것이 아니라 간단한 심리검사 등을 시행해 두통을 야기할 수 있는 원인을 찾아야 한다. 드물게 극심한 행동장애나 정신적인 불안·우울감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대수롭잖게 생각하거나 꾀병으로 여기지 말아야
유·소아의 경우 두통이 심하지 않아도 주기적인 복통, 구토, 어지럼증이 동반되는 사례가 많다. 즉 소아 두통환자는 성인과 다르게 다양한 증상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끈기 있는 문진(묻고 답하는 진료법)과 진찰이 필수적이다. 청소년 시기 여학생에게는 두통이 더욱 다양한 증상으로 이어진다. 극심한 두통과 더불어 구역, 짜증이 심하고 매우 어지럽거나 귀에서 소리가 들리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집중력이 심하게 떨어지거나 걸을 때 비틀거리기도 하고 심하면 실신하는 경우도 있다. 또 눈앞이 갑자기 안보이거나, 손발이 저리기도 하고 말이 잘 안 나오는 복합적인 증상을 호소하기도 한다.
이 교수는 “이런 증상이 오래 지속되면 학업에 지장을 주는 것은 물론 성격변화와 위축 등 행동장애나 심리적인 문제도 야기될 수 있다.”면서 “따라서 사소한 두통이라고 해도 반복적으로 나타날 경우에는 병원에서 전문적인 상담이나 진료를 받아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