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엽 “7인에 든 것만으로 제겐 1등”
“7인의 가수 안에 들었다는 것만으로 제 자신에겐 1등이나 마찬가지죠.” 가수 정엽(34). 요즘 그는 ‘나는 가수다’(이하 ‘나가수’)의 정엽으로 익숙하지만, 가요계에서는 4인조 남성 보컬 그룹 ‘브라운 아이드 소울’의 리더로 더 유명하다. ‘나가수’의 첫 탈락자라는 수식어가 다소 불편할 법도 하지만, 9년 차 가수의 내공은 전혀 흔들림이 없었다.
지난 5일 서울 논현동 녹음실에서 정엽을 만났다.
→가수 생활 9년 만에 ‘스타덤’이 뭔지 확실히 느꼈을 것 같다.
-팀보다 개인 섭외가 더 많아졌고, 생애 처음으로 CF 섭외도 들어오긴 했다.(웃음) 제 개인 블로그에 50~60대 분들까지 글을 올려주시고, 회사에도 응원하는 전화가 폭주해 참 신기하다. 지켜봐주는 분들이 많아졌다는 생각에 자극도 되고, 더 좋은 음악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단도직입적으로 물어보자. ‘나가수’에 출연한 이유가 뭔가.
-호기심이 가장 컸다. 출연 제의를 받았을 때 ‘왜 날 섭외했지?’하는 생각에 갸우뚱했다. 처음엔 일곱 명의 가수가 나오는데, 노래가 미션으로 주어진다는 말만 들었다. 음악 위주의 방송이라면 새로운 도전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서바이벌 방식이라는 것을 알았을 때는 부담감이 컸을 것 같은데. 인지도 면에서도 가장 불리하고.
-김범수씨가 나보다 한 살 어리지만, 가수 경력은 훨씬 길다. 즉, 나는 가장 후배 입장이었기 때문에 더 편했다. 많은 분들이 모르기 때문에 떨어져도 떨어진 것이 아니라는 생각에 부담감이 훨씬 덜했다. 그래서 더 긴장하지 않고 나름대로 무대를 즐기려고 했다. 나로서는 전혀 잃을 것이 없는 게임이었다.
→그러면 얻은 것은 뭔가.
-가수로서 새로운 무대 경험을 했다. 앞으로 음악 활동을 하고 음악적으로 승화시키는 데 좋은 자극이 될 것 같다.
→가수로서 ‘나가수’의 흥행 요인은 어디에 있다고 보나.
-좋은 무대를 보고 열광하는 것은 가수나 대중이나 똑같다고 생각한다. 아무래도 국내에서 내로라하는 가수들 중에 누군가는 탈락되어야 한다는 긴장감이 가장 크게 작용했던 것 같다. 하지만 가수들끼리는 섭외 단계부터 경연에 대해 큰 의미를 두지 않았다. 예를 들어 김건모라는 ‘국민 가수’에 대한 평가가 무슨 의미가 있겠나 싶었다. 방송이 나간 뒤 생각보다 시청자들의 반응이 뜨거워 분위기가 그렇게 된 것 같다.
→가수의 서열화에 대한 비판도 있었고, 실제로 김건모의 재도전 등 탈락을 둘러싸고 논란도 많았는데.
-물론 비판의 여지가 있을 수도 있지만, 상식적인 것에서 살짝 변형된 것이 이 프로그램의 인기 요인이 아닌가 싶다. 처음에 김건모씨가 탈락했을 때 출연자들도 너무 당혹스러웠다. 나는 오히려 김건모씨가 재도전을 결정한 것이 큰 용기라고 생각한다. 가수로서 재도전한다는 것은 그만큼 부담을 안고 가야 하기에 더 힘든 일이었을 것이다. 물론 시청자들의 입장에서는 기대가 컸기 때문에 실망도 컸던 것 같다.
→본인은 재도전에 응하지 않았는데.
-당연히 물러나야 한다고 생각했다. 누군가가 물러나야지 또다른 가수가 멋있는 무대를 꾸며줄 것이고, 그것이 시청자가 원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노래가 아쉬웠다거나 제대로 즐길 수 없었다면 모르겠는데, 편곡도 좋았고 나의 무대도 충분히 마음에 들었다. 후회나 아쉬움이 전혀 남지 않았다.
→주현미의 ‘짝사랑’이나 윤도현밴드(YB)의 ‘잊을게’는 솔(soul) 창법을 주로 구사해 온 정엽에게는 좀 불리한 미션이 아니었나.
-사실 처음에 미션곡을 받을 때 어느 정도 가수의 스타일이나 자기 생각이 반영된 곡 중에서 고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완전히 ‘복불복’ 게임이었다. 솔직히 두 곡 모두 난해하고 곤혹스러웠다. 하지만, 다른 가수들도 똑같은 선상에서 평등한 기회를 부여받고 선곡한 것이기 때문에 불편한 것은 다들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특별히 도전해보고 싶은 노래가 있었나.
-한영애씨의 ‘누구 없소’나 김건모씨의 노래를 해보고 싶었다. 가수로서 안 어울릴 것 같은데 잘할 수 있는 곡도 있고, 잘 어울릴 것 같아도 불편한 곡이 있게 마련이다.
→‘나가수’를 계기로 가요계 흐름이 ‘보는 음악’에서 ‘듣는 음악’으로 바뀌었다는 얘기가 있는데.
-한번에 가요계 패턴이 바뀔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런 인식이 서서히 스며들기를 바란다. 쉽게 타오른 관심은 쉽게 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나는 무대 위의 모든 가수들이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노래하면서 퍼포먼스를 하는 아이돌은 능력자라고 생각한다. 다만 가요계가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서로에게 자극을 주면서 다양하게 발전했으면 좋겠다.
→정엽이 생각하는 가수란 무엇인가.
-내가 하고 싶은 사랑과 이별을 대신 불러주는 사람이 아닐까. 사람들의 사랑이나 이별의 색깔은 다 다르지만, 결국에는 닮아있다고 생각한다. 가수는 다른 사람의 기쁨과 슬픔을 함께 느끼고, 그 공감대를 노래로 표현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브라운 아이드 소울’은 방송 출연을 일절 하지 않는 그룹으로 유명하다. 이번을 계기로 방향이 바뀐 것이 있나.
-방송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스트레스를 받는 멤버가 있어 방송 출연을 하지 않는 것이다. 불편하면 좋은 음악이 나올 수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개인 음반 활동은 각자의 판단에 맡겼다. ‘브라운 아이드 소울’은 내가 언제든지 돌아갈 수 있는 모체 같은 곳이다. 앞으로도 그룹 차원에서 방송 활동을 할 일은 없을 것 같다.
정엽은 오는 9월 포크록, 일렉트로니카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담긴 정규 앨범을 내고 콘서트를 열 계획이다. 회사에서는 흥행을 염두에 두고 5~6월에 앨범 발매를 제의했지만, 내실이 무너질 것 같아서 거절했다. 그때 가서 지금의 유명세가 사그라질 수도 있지만, 음악적인 부분만큼은 포기할 수 없었다는 정엽. 그가 우리가 찾던 진짜 ‘가수’의 모습이 아닐까.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