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이 ‘대륙성고기압’? 미세먼지 근본대책 손놓는 중국
“마스크 없이 외출 금지”
지난 16일 폐막한 제12기 전국인민대표대회의 핵심 논의 과제 중 하나는 베이징을 비롯한 중국 대기 미세먼지, 즉 스모그 문제였다. 제4차 전체회의 첫 기자회견이 열린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푸잉(傅瑩) 대변인은 ‘징진지(京津冀, 베이징에서 톈진, 허베이 성 일대를 일컫는 말)’ 스모그 문제 해결 방안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대해 “전인대) 환경자원보호위원들(이하 자보위)은 스모그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가 많아 웃을 일이 없는 상황이다.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큰 책임감을 가지고 있다”고 답했다.
자보위원들의 이 같은 우려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3월에 접어든 이후 베이징 일대의 미세먼지는 더욱 심각한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환경부는 오는 22일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권에 들어갈 때까지 베이징 일대에는 심각한 미세먼지가 지속될 것이라며, 미세먼지 ‘황색경보’를 발령하고, 외부 활동을 자제할 것을 권유하는 문자를 이 일대 거주민들에게 지난 16일 일괄 전송했다.
문제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여전히 오는 22일 대륙성 고기압이 상황을 개선해 줄 것이라는 안일한 기대만을 내비치고 있는 상황이다.
급기야 17일 오전, 베이징 일대는 초미세먼지 치수 320㎍/㎥을 기록했다. 환경부 기준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 100㎍/㎥을 이상일 경우, 호흡기, 심질환자, 노약자, 영유아는 장시간 무리한 실외 활동을 할 수 없으며, 200㎍/㎥ 이상에서는 건강한 성인 남녀라도 실외 활동을 자제, 300㎍/㎥을 넘어설 경우, 실외는 물론 실내에서의 활동도 제한적으로 할 것을 권고하는 수준이다.
더욱이 중국사회과학원(中國社會科學院)은 지난해 같은 기간(3월) ‘징진지’ 일대에서 화창한 하늘을 볼 수 있었던 날은 단 4일에 불과했으며, 미세먼지 지수 200㎍/㎥을 넘어선 날은 무려 24일에 달했다는 통계를 공개, 문제의 심각성을 고조시킨 바 있다.
미세먼지 농도 300㎍/㎥을 넘어선 17일 베이징 일대의 시야는 15m 전망의 건물조차 희미하게 보이는 수준으로, 온라인상에는 ‘미세먼지 지수가 높아 운전 중 사고가 날 확률이 그만큼 높아졌지만, 교통경찰의 시야도 그만큼 어두워, 사고를 낸 차량을 쉽사리 잡을 수 없을 것’이라는 우스갯소리가 네티즌들 사이에서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상황이다.
언제부터인지, 베이징 일대에 거주하는 시민들은 외출 시 필수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 마스크의 종류도 가벼운 천으로 제조된 방진 마스크부터, 최근에는 탄광에서 착용해오던 위해물질 분진을 모두 필터링 해 준다는 특수 마스크까지 각양각색이다. 정부의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에 대한 베이징 시민들의 절박한 목소리가 더욱 첨예해지는 이유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