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목조 건축과정 보여 드립니다”
경복궁 근정전, 충남 예산 수덕사 대웅전, 경북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강원도 강릉 객사문 등 국보급 문화재를 한자리서 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중요무형문화재 74호 신응수(67) 대목장이 ‘광화문 제모습 찾기’ 공사에 맞춰 2일부터 31일까지 첫 개인 작품 전시회 ‘오래된 궁궐, 새로운 궁실(宮室)’전을 연다. 충북 청원에서 중학교 졸업 직후인 열여섯살에 상경, 전통 건축의 길로 들어선 지 50여년 만이다.
신 대목장이 도편수로 중건을 지휘한 경복궁의 흥례문 회랑에서 열리는 이 전시회에는 경복궁 근정전과 흥례문, 숭례문, 수덕사 대웅전, 부석사 무량수전, 강릉 객사문 등을 2분의1,5분의1,10분의1 등 다양한 크기로 축소해 만든 국보급 전통 건축물 12점의 모형과 각종 건축 부재 20여점이 선보인다.
모형이라고 우습게 보면 안 된다.1월부터 시작된 광화문 모형 작업의 경우 광화문을 10분의1로 축소(높이 2m×1.8m)했는데 만드는 비용만 1억원이 들었다. 전시 부재 가운데는 3t이 넘는 것도 있다. 모형이나 부재의 재질은 모두 최상급 소나무인 금강송. 전통건축 홍보를 위해 광화문 모형을 조립, 해체하는 작업을 주 2회 시연하며 관람객들은 대패로 기둥을 깎아 기념품으로 만들어 가져갈 수도 있다.
신 대목장은 “목조 건축은 외관의 아름다움 못지않게 정교한 건축 과정 또한 중요한데 완성된 건축물에선 외관밖에 볼 수 없는 아쉬움이 있다.”며 “전통 건축의 전 과정과 부재 하나하나의 소중함을 보여주기 위해 전시회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김규환기자 kh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