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철 견학단 안내원 김영례씨(사람들)
◎“수백만평 「철의 타운」손바닥보듯 훤하지요”/남편도 에너지부 근무… “쇳물부부”
수학여행단이 몰려드는 4,5,6월 석달간은 매일 출근한다. 그리고 3월 한달과 7월부터 12월까지 일곱달 동안은 이틀에 한번씩 나와 매일 상오 9시30분부터 하오 5시 30분까지 근무한다.
김영례씨(36)의 직업은 가정주부이지만 하루 최고 1만명이 몰려드는 포항제철에서 그녀는 이제 섭외요원으로서 없어서는 안될 존재이다.
포철과의 인연은 남편 채요석씨(40)가 포철에너지부에 근무하고 있는 것이 전부이고 자신은 국민학교에 다니는 두아들의 엄마로서의 역할이 더 크지만 김씨는 용광로화로의 시뻘건 쇳물앞에서 일하는 여느 현장직원 만큼이나 포철사람이 돼있다.
「철강 한국」을 일으킨 포철을 찾는 내방객은 하루평균 5천명에 이른다.
일반인들의 포철견학은 지난 70년부터 시작됐다. 산업현장 포철을 찾은 사람은 지난 77년 처음으로 1백만명을 넘어선 이래 86년 5백만명,89년 7백만명을 돌파했고 지난 14일 현재 8백32만명을 기록했다. 지난 한햇동안 81만3천명이나 포철을 다녀갔다. 이렇게 포철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지난 87년 11월부터 사원부인들이 섭외요원을 자청해 공장견학자들을 위한 안내에 나서기 시작했다.
김씨는 이런 섭외요원의 한사람이다. 2년전 직원부인들을 초청,공장견학때 이 제도가 있다는 것을 처음 알게됐고 당시 안내를 맡았던 섭외요원들의 모습이 무척 자랑스럽게 보였다.
그래서 지난 3월 섭외요원 공채때 남편과 아이들의 적극적인 성원을 등에 업고 포철의 「길잡이」가 됐다.
섭외요원으로 첫출근하던 날,설렘으로 들뜬 기분이었다.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어려움도 있었다. 아이들이 학교에서 돌아올때 기다려주지 못하고 가정주부라는 본연의 역할에 충실할 수 없는 것이 안타깝기도 했다.
그러나 그만한 불편은 곧 해소됐다. 아이들이 엄마의 활동을 이해했고 남편도 많은 조언과 격려를 아끼지 않았기 때문이다.
『내방객들이 공장견학을 하면서 감탄과 부러움 섞인 칭찬을 아끼지 않거나 현장안내에 대해 고맙다고 할 때 하루의 피곤함이 쉽게 사라집니다』
특히 해외교포들이 포철공장을 둘러보고 모국의 엄청난 발전상을 인정할 때 섭외요원들의 자부심과 보람이 크다고 말한다.
포철에서 김씨처럼 섭외요원과 가정주부의 1인2역을 맡고 있는 산업역군들은 포항 50명,광양 20명등 모두 70명이나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