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공장총량제 조기 완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정부조직 개편 후속으로 기업환경 개선을 위한 수도권 공장총량제와 대기업집단 지정제도 폐지·완화 등 강도 높은 규제개혁 작업에 돌입한다.
또 중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비자제도를 일본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새만금 간척지는 내부 산업용도 비율을 70%까지 높여 ‘경제중심도시’로 개발한다.<서울신문 1월16일자 3면 보도>
인수위 박형준 기획조정분과 의원은 17일 “규제개혁은 정부조직 개편 이후 인수위가 가장 중점을 두고 추진할 부분”이라면서 “경제, 투자 활성화를 가로막는 각종 규제들을 선별한 뒤 구체적으로 합리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짤 것”이라고 밝혔다.
이동관 대변인은 “국가경쟁력강화특위 규제개혁태스크포스(TF)를 중심으로 작업 중이며 향후 호흡이 긴 규제개혁은 청와대가 주도권을 갖고 작업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인수위는 금융, 교육, 방송통신 분야는 물론 공장 설립, 외국인 투자, 토지 이용 등 경제사회 전 분야에서 글로벌 기준에 어긋나거나 시대에 뒤처진 행정·정책 규제들을 대거 수술대에 올릴 예정이다.
무엇보다 재계가 애타게 바랐던 수도권공장총량제, 대기업집단지정제, 금산분리 등 핵심규제의 완화 내지 폐지를 우선적으로 추진해 기업들의 숨통을 틔워줄 방침이다.
특히 94년 도입된 수도권공장총량제의 전면 재검토는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의 ‘기업친화적’ 행보와 맞닿아 있어 조기에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금산분리, 출자총액제한제 폐지, 법인세율 인하, 지주회사 규제 완화, 중소기업 금융 및 상속세제 개편, 농지전용규제 등의 완화도 신속히 추진할 대상으로 분류된다.
IPTV(인터넷TV) 도입 등 방송통신 관련 진입 규제도 다음달 중 구체적인 완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인수위는 경제 성장과 금융관련 분야를 중심으로 규제 틀을 기존 ‘포지티브 시스템’에서 ‘네거티브 시스템’으로 패러다임을 바꾸고 규제일몰제 등도 도입해 규제 완화의 실효성을 높일 방침이다.
인수위는 정부 내 8000여개 행정·정책 규제 가운데 우선 정비 대상으로 ▲금융, 국토이용, 건설, 산업, 통신 등 기업규제 ▲지방자치, 초·중등·대학교육 규제 ▲조직·인사·예산을 비롯한 행정기관 내부 규제 등 2320건을 선정했다.
아울러 인수위는 중국 관광객 비자 발급 시스템을 대폭 개선하기로 했다.▲복수 비자 발급대상 확대 ▲중국인 단기상용비자 개선 ▲중국 청소년 수학여행단의 영사관 확인 절차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한편 인수위는 새만금 간척사업과 관련, 당초 정부안을 180도 바꿔 농지 비율을 30%로 낮추는 대신 산업용지 비율을 최대 70%로 높이기로 했다.
이영표기자 tomcat@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