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녀들이 쓰러진다… 스마트호미·테왁 보급 서둘러라
바다에서 삶을 캐는 제주 해녀들이 또 물질하다가 쓰러진다.
제주소방안전본부가 물질하던 해녀들의 심정지 등 안전사고가 꾸준히 발생함에 따라 18일 자로 ‘해녀 조업 중 안전사고 주의보’를 발령했다.
제주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 해녀 안전사고는 2019년 24건, 2020년 12건, 2021년 17건 등 총 53건 발생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중 심정지 사고가 22건(41.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낙상 11건(20.8%), 어지러움(현훈·훈통) 8건(15.1%)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별로는 70대 24건(45.3%), 80대 15건(28.3%), 60대 8건(15.1%) 등이었다.
지난해 기준 제주 해녀는 3437명으로 2020년말(3613명)보다 176명이 줄어 들었다. 이중 70세 이상이 2146명으로 62.4%를 차지하며, 사고 비율도 70세 이상이 73.6%로 높게 나타나는 등 고령자 사고 건수가 많아 더욱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지난달 25일에는 서귀포시 남원큰엉 앞바다에서 물질하던 70대 해녀가 심정지로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 구좌읍 9건(17%), 한림읍 7건(13.2%), 서귀포시 성산읍 7건(13.2%), 우도 6건(11.3%)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이 때문에 2020년부터 해녀들의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시범적으로 지급했던 무선위치발신기도 사실상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2020년에 제주시가 30대, 지난해 서귀포시가 25대를 각 어촌계에 지급한 이 기기는 스마트폰 위치 추적 앱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해 물 밖에서 해녀들의 조업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다. 삼다수 500㎖ 크기로 해녀의 테왁(물질을 할 때 몸이 잘 뜨도록 하는 동그란 공 모양)에 부착해 사용하며, 상단의 위치 발신 버튼을 누르면 스마트폰으로 애플리케이션에 위치 신호가 어촌계장에게 전송돼 해녀들의 조업 위치가 표시된다. 그러나 나홀로 조업을 지양시키고 그룹조업을 권고하는 상황에서 개인이 아닌 그룹의 한사람에게 지급되다 보니 사실상 긴급 상황때는 큰 효력을 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제주시는 포항공대 경북씨그랜트센터가 개발한 해녀 안전시스템인 스마트 호미와 스마트 테왁의 보급을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 테왁은 내부에 설치한 수중카메라와 인공지능을 이용해 해녀 잠수 습관이나 사고가 잦은 잠수지역을 관찰하고 위급상황에 외부로 경보를 보내는 시스템이다. 제주시 해양수산과 강지훈 주무관은 “스마트호미의 경우 호미 손잡이에 위치발신기를 달아 조업 중 긴급상황 발생시 누르면 사이렌이 울리는 보다 업그레이드된 제품으로 알고 있다”며 “코로나19로 연기된 현장 방문을 통해 올해안에 보급을 할 예정”이라며 “해녀들의 안전사고를 줄이는데 한몫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소방안전본부는 “잠수조업은 혼자서 하지 말고 동료와 함께하면서 서로의 안전을 확인해야 한다”며 “안전 장구를 착용하고 준비운동을 실시하는 등 잠수조업 안전수칙을 반드시 지켜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