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TV 선택 해 보세요…수신료 차등
이달중 케이블 TV를 종류별로 묶어 보는 채널선택제(티어링,tiering)가 서울 지역에도 도입된다.현재 서울에서는 케이블 가입 신청을 하면 모든 채널을 전부 보게 돼있다.따라서 자녀교육 등에 악영향을 끼치는 외설·폭력프로그램을 차단하고 싶어도 봉쇄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서울지역 15개 종합유선방송국(SO)은 최근 문화관광부로부터 채널선택제에관한 수신자 이용약관 변경승인을 받고 수신료 조정 등 세부 작업에 들어갔다.이 제도는 부산 경남 등 일부 지역에서 지난 1월부터 실시하고 있으며,대구 광주 등 다른 지역으로도 조만간 확산될 전망이다.
서울지역 SO들이 운영할 방안은 크게 4가지.▒지상파 및 국내 위성방송 11개,KTV,아리랑TV,지역채널 등 총 14개 채널로 짜여진 국민형 ▒국민형에 대교방송,HBS,재능방송,YTN,OUN 등 5∼8개 채널을 더한 보급형 ▒국민형과 보급형에 나머지 15개 채널중 3개 이하의 채널묶음을 추가하는 선택형 ▒케이블 28개 전 채널을 볼 수 있는 기본형 등이다.
수신료는 국민형이 월 4,000원,보급형이 월 5,000원 선에서 지역별로 조금씩 조정될 것으로 보인다.선택형은 한묶음당 월 3,000원씩 추가되며,기본형은 1만5,000원 이하.유료채널인 캐치원은 국민형을 제외한 나머지 형태의 선택 품목으로 월 7,800원씩을 더 내야한다.
이번에 채널선택제를 실시하는 SO는 서서울,동대문,동부,북부,미래,노원,은평,마포,한국통신,강서,구로,한강,동작,관악,강동 등이며 나머지 6개사도 곧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李順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