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준호 감독 “엄마란 무엇인가 가식없이 보여주고 싶었죠”
칸 영화제(현지시간 24일 폐막)에서 첫선을 보인 영화 ‘마더’가 드디어 ‘모국’의 관객들과 28일 만난다. 이에 앞서 21일 서울 용산의 한 카페에서 만난 ‘마더’의 봉준호(40) 감독은 국내 개봉에 대한 기대를 감추지 않았다. “칸에서는 불어, 영어 자막으로 틀었어요. 유능한 자막팀의 훌륭한 자막이었죠. 하지만 어쩔 수 없이 증발되는 뉘앙스가 있기 마련이잖아요. 특히 한국인들만이 캐치할 수 있는 요소가 있죠. 그런 장면이 나오면 ‘아, 이거 빨리 한국사람들한테 보여 주고 싶다.’는 생각이 절로 들더라고요.”
칸에서 외국 언론들은 ‘히치콕식 살인 미스터리’, ‘알모도바르 풍의 멜로드라마’ 같은 수사를 빌려 그의 영화를 격찬했다. 이에 대한 봉 감독의 소감은 영화만큼이나 재기넘쳤다. “저로서는 당연히 영광이죠. 전 제가 아직 ‘히치콕 왼쪽 두번째 발가락의 때’만도 못하다고 생각하니까요. 알모도바르와의 비교는 의외이긴 했어요. 알모도바르가 ‘내 어머니의 모든 것’ 등에서 어머니, 여인에 대한 이야기를 다뤄서 그런 얘기를 하는 것 같아요.”
‘마더’는 어머니의 심리와 행동에 초점을 맞춘 영화이다. 약재상에서 일하는 어머니(김혜자)는 어수룩한 아들 도준(원빈)이 살인범으로 몰리자, 누명을 벗기기 위해 홀로 사투를 벌인다. 봉 감독은 “되도록 잡설 없이 엄마란 무엇인가, 모정 혹은 모성은 무엇인가에 최대한 강하게 집중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제목을 심플하게 ‘마더’로 지은 것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 근데 왜 ‘어머니’나 ‘엄마’가 아닌 ‘마더’냐고? “‘어머니’는 막심 고리키의 소설이 연상되기도 하고, 고루하고 딱딱한 느낌이 들었죠. ‘엄마’가 원초적인 느낌이 있어서 좋았는데, 고두심 주연의 영화 ‘엄마’(2005년)가 이미 있었죠. 어머니와 엄마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고른 차선책이 ‘마더’였어요.”
‘마더’에서 관객들은 한번도 아버지의 모습을 볼 수 없다. 마치 태초부터 없었던 것처럼 아버지는 부재한다. 대신 어디론가를 혈혈단신으로 가는 어머니의 외로운 이미지가 화면을 가득 채운다. 하지만 눈썰미가 탁월한 사람이라면, 딱 한번 아버지의 형상을 눈치챌 수 있다. 빛이 투과되는 사진의 뒷면으로 살짝 비쳐지는 것이다. 거의 못본 거나 진배없는 수준. 봉 감독은 “엄마와 아들 관계에 집중하고 싶어서 대사로건 뭐로건 아버지가 단 한번도 언급되지 않도록 했다. 일부러 설정을 많이 열어 놨다.”고 설명했다.
“봉준호의 모든 영화에는 ‘무언가를 뒤쫓는 인간의 뜀박질 장면’이 나온다.”(이용철 평론가) 전작 ‘플란다스의 개’, ‘살인의 추억’, ‘괴물’ 등이 그랬고 ‘마더’도 예외가 아니다. ‘쫓고 쫓기는’ 장면이 항상 등장하는 것에 대해 감독은 “본능적인 것 같다. 두 가지 입장을 다 좋아한다.”고 말했다. “쫓길 때의 공포감을 더 좋아해요. 대학교 때였나. 당시 비디오 테이프를 많이 수집했어요. 어느 날 중고 비디오 판매점에 들렀다가 주인이 자고 있는 모습을 봤어요. 순간 조용히 ‘죠스’와 ‘블루벨벳’을 뽑아서 가게를 나왔어요. 가슴 조마조마하며 걸어가는데 뒤에서 ‘부웅~’ 스쿠터 소리가 들렸어요. 미친 듯이 막 뛰었죠. 그러기를 한 3분쯤 지났을까. 스쿠터가 제 앞을 가로질러서 그냥 지나가더군요. 중국집 배달원이었죠.”
그의 영화에서 또 하나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약자들의 몸부림이다. ‘살인의 추억’의 백광호(박노식), ‘괴물’의 강두(송강호), ‘마더’의 도준…. 이들은 모두가 사회에서 흔히 ‘비정상’이라 일컫는 결함을 지닌 인물들이다. “약자들의 드라마에 관심이 많아요. 약자들에게선 강렬한 감정이 나오죠.”
작품에 감도는 건 팽팽한 서스펜스만이 아니다. 성적인 긴장도 강하게 뇌리에 남는다. 스물 여덟 도준은 “너 아직 여자랑 자본 적 없지?”라는 친구의 놀림에 “엄마랑 잤다.”고 답한다. 정작 화면에서 보여지는 건 모자가 나란히 누워 자는 장면 이상이 아니다. “섹스냐 아니냐 여부는 중요한 문제는 아닌 것 같아요. 사실 했으리란 생각도 들진 않고요. 한국적 관점에서 봤을 때, 모자란 아들이 어머니 옆에서 자는 것은 포용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을 것 같아요. 도준과 엄마는 섹스로부터 배제된 남녀인 반면, 마을은 오히려 섹스가 과잉된 면을 보이죠. 성적인 긴장을 단순히 모자에 국한시키지 말고 전체적인 맥락에서 봤으면 좋겠어요.”
극장을 나서면서 느끼는 건 말 그대로 ‘복합적인 감정’이다. 이는 감독의 말에 따르면, 광기 내지 본능의 영역으로 내몰린 엄마가 아들을 위해 저지른 행위에 대해 도덕적 잣대로 판단을 내리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봉 감독은 “관객들이 이 영화를 보고 자신의 엄마에 대해서 한번 더 생각해 보거나, 본인이 엄마나 여성이라면 ‘나라면 저럴 수 있을까.’ 한번쯤 생각하게 된다면 되게 기쁠 것 같다.”고 말했다.
차기작은 프랑스 만화를 원작으로 한 ‘설국열차’. 혹시 아버지에 관한 영화를 만들 생각은 없을까. “‘괴물’ 때 본격적이진 않지만 조금 다뤘다고 생각해요. 강두(송강호)나 희봉(변희봉)을 통해서…. 아직 구체적인 충동을 느낀 건 없는데, 언젠가 그런 날이 올 수도 있겠죠. 나중에 다루게 된다면 역시 세게 한번 해봐야겠죠.”(웃음)
글 강아연기자 arete@seoul.co.kr
사진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