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수술보다 장기처방 이끌어야
우리나라는 그동안 세상의 변화에 빠른 적응력을 발휘하며 급속한 성장을 이루어 왔다. 사람의 장점은 곧 단점이라고 했던가. 지속가능한 정책이나 제도를 만들기보다 그때그때 임기응변 식으로 대응해 왔던 우리 성장방식의 단면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사례가 바로 요즘 세간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세종시, 4대강, 외국어고 사태가 아닌가 한다.세종시, 4대강, 외국어고 관련 기사들을 보면 최근 수술 과정에서의 부주의로 인해 환자가 생명을 잃는 사건이 발생한 성형수술을 떠올리게 된다(‘성형수술 사망환자 1명 패혈증 원인균 검출 확인’, 9월29일). 우리나라에서는 정책집행 과정에서 성형수술을 하는 것처럼 갑작스러운 변화를 시도하기 때문에 많은 부작용을 낳게 된다.세종시는 지난 정부의 결정이 이번 정부에서 논란이 되는 경우이다. 지난 정부에서 국가발전과 지역균형발전의 해결책으로 채택한 세종시가 이번 정부에서는 장애요인으로 여겨진다. 우리나라의 미래가 세종시 건설 또는 수정에 의해서만 좌우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세종시 건설 또는 수정에 매달리는 모습은 성형수술을 해야만 아름다워질 수 있다는 강박증을 보여 준다.세종시에 대한 보도는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핵심적인 논쟁점들은 대부분 반영되었다. ‘기로에 선 세종시’ 특집 기사(10월19일), 김동률 연구위원의 칼럼 ‘돼지를 잡아야 신뢰가 생긴다’(10월13일), 사설 ‘여야정 세종시 향배 차분한 논의를’(9월8일), ‘세종시 설득력 있는 정부 대안 내놓길’(10월17일) 등으로 이어졌다.4대강은 이번 정부에서 제안된 사업이다. 국가발전과 지역균형발전의 장애요인으로 4대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4대강의 정비와 주변 지역의 개발을 성장 동력으로 삼은 것이다. 한번 한 수술을 되돌릴 수 없듯이 한번 변화시킨 자연은 회복할 수 없다. 주변 지역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나 문화유적지에 대한 조사를 제대로 시행한 다음 사업을 진행해야 자연유산과 문화유산을 후손에 떳떳하게 남겨 줄 수 있을 것이다.임재해 교수의 ‘하회마을을 기어코 봇물에 가두려는가?’(7월14일), 허증수 교수의 ‘4대강 사업, 필요조건과 충분조건’(9월17일)과 같은 칼럼과 사설 ‘4대강 사업 논란, 정부가 앞장서 풀어야’(10월8일), ‘4대강 사업 예산, 보다 정교하게 다듬어야’(10월13일) 등은 언론이 공론장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에 충분했다.이러한 논의의 결과로 ‘4대강 하회보 백지화될 듯’(7월25일), ‘4대강 16개보, 둔치보다 낮은 저수로에 설치’(8월25일) 등의 수정안이 제시되었다.외국어고 문제는 우리 교육정책의 방향과 관련하여 보다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없던 학교를 만드는 일도 그렇겠지만 있던 학교를 없애거나 변화시키는 일은 교육이 갖고 있는 장기지향적인 특성을 고려한다면 성형수술하듯 쉽사리 결정해서는 안 된다.‘외국어고 폐지 공방 봇물…해법 논란’(10월20일), ‘도마위에 오른 외국어고’ 특집기사(10월21일), 사설 ‘외고개혁 없이 교육 정상화 어렵다’(10월19일), 함혜리 논설위원의 칼럼 ‘外高, 실패한 모델 아니다’(10월24일) 등을 통해 외국어고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루었다.세상의 변화가 빠를수록 침착한 문제 진단과 방향제시가 절실해진다. 세종시, 4대강, 외국어고 문제처럼 정답을 찾기 어려운 사안일수록 언론이 논쟁의 장을 마련하여 가장 바람직한 대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성형수술하듯 즉흥적인 대응책만을 내놓는 정치권에 경종을 울리고 장기적인 전망에서 해결책을 제안하는 언론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