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승」을 죽인 여인(사설)
『내가 죽인건 짐승이다』.이 말로 살인죄가 정당화될 수는 없을지 모른다.그러나 30년을 살면서 21년 동안 별러온 원한을 그 한마디는 충분히 압축하고 있다.그것은 절규도 아니고 비명도 아니었다고 한다.어눌하게 더듬는 희미한 목소리로 『사람을 죽인게 아니라,짐승을 죽였습니다』고 뱉어놓았다고 한다.그 한마디에는,같은 피해를 입은 모든 여성들의 피멍이 배어 있는 것같다.
겨우 9살때,이웃집아저씨의 탈을 쓴채 「짐승」이었던 남자에게 성폭행을 당했던 김부남씨는 21년만에 가해자를 찾아가 살해를 했다.그 살인죄때문에 법정에 섰고,구형공판을 받았다.그자리에서 남긴 「최후진술」의 한마디가 우리의 분노를 다시한번 끓어오르게 한다.
아직 선고공판이 남았으므로 판결은 미지수지만 법아닌 인륜의 재판으로라면 이 여인을 나무랄 수는 없다.어린날의 그 상처때문에 김씨의 30년생애는 죽음과 진배없는 것이 이미 되어 버렸다.창백하고 우울하고 웃을줄 모르는 소녀시절을 보냈고 두번씩이나 결혼했지만 「가정」도 만들수 없었다.「남자와 함께사는 일」을 할 수 있는 기능이 폐쇄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사회와도 이웃과도 적응할 수 없이 감내할 수 없는 인생을 살아온 그가 끝내 「짐승」을 찾아 끝장을 내고 만 것은,그의 온전한 정신이 한일이 아닐 것이다.상처입은 정신이 질환상태에서 저지른 일일 것이다.
이사건이 던지는 시사는 그의 죄가 어떤 형양에 마땅한가에 있는 것이 아니다.성폭행이라는 파렴치하고 무도한 행위가 「딸」들에게 얼마나 가혹한 상처를 남기는지,여성들을 어떻게 망가뜨리는지를 보여주는 구체적이고 확실한 실례를 보여주었다는데 있다.여론이,법운용의 공정성에 편향적 영향을 입히는 일에는 우리도 찬성할 수 없지만,이런 실증들이 있을때 사회적 의지가 보여줄 일은 있다는 것을 밝혀두고 싶다.
속으로 병들어 폐인이 되면서도,「당한 일」에 대해서 입도 뻥끗 못하며 살아야하는 우리의 사회적 분위기를 극악하게 이용하여 수도없이 죄를 짓고 다니는 흉악범들이 우리사회에는 날로 창궐하고 있다.그 피해자들의 상당수가 김씨처럼 황폐해진 일생을 살아가고 있다.그러므로 김씨가 저지른 개인적 응징이 잠재적 「짐승」을 예방하는 것에 기여할지도 모른다.그렇게 된다고 해도 그것이 김씨에게 잃어진 인생을 되돌려주지는 못한다.다만 이것을 우리의 공동의 상처를 다스리는 것으로,사회적기여의 빌미를 찾을 수 있을지 모른다.
그런뜻에서는 그의 변호인이 진술한 주장에 우리는 공감한다.「재범의 위험성」에나 내리는 치료감호처분보다는 가족과 선의의 이웃이 그의 재활을 도울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피해자가 모두 스스로 응징을 벼르며 비수를 품고 다니는 세상 또한 있어서는 안될 일이므로 유사한 일이 재현되는 것은 우리도 크게 경계한다.그저 짐승같은 흉악범이 감소되도록 노력하고 단속하고 지혜를 발휘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면 불행중 다행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