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특별법 피해자보호 미흡”/여연주최 3개법안 문제점 토론회
한국여성단체연합 성폭력특별법제정추진특별위원회(위원장 신혜수)는 「성폭력특별법안,무엇이 쟁점인가」에 대한 공개토론회(15일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를 개최,각 정당과 여성계가 각각 내놓은 성폭력특별법안의 문제점들을 짚어 봤다.
현재 민자당과 민주당,여성계가 내놓은 3개 성폭력특별법안의 쟁점이 되고 있는 부분은 ▲성폭력의 개념정의 ▲친고죄 규정의 존폐 ▲피해자의 보호시설 등.
성폭력 개념정의에 대한 여성계안은 자기 의사에 반하는 모든 강제적 성행위를 「성적 자기결정권의 침해」에 포함하고 있다.반면 민자당안과 민주당안은 여성의 순결이데올로기를 강조하는 현행형법의 「정조에 관한 죄」규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친고죄 존폐여부는 여성계안과 민주당안은 친고죄를 폐지하고 피해자 의사에 반해 처벌하지 않는 「반의사 불벌죄」를 신설. 민자당안에서는 고소기간을 6개월에서 1년으로 늘리고 직계존속에 대한 고소제한을 철폐했다. 그리고 중강제추행,직장내 성폭행,지하철·극장등 공공장소에서의 성추행,음란전화등을 모두친고죄로 규정토록 했다. 피해자의 보호시설에 있어 여성계안과 민주당안은 기존 성폭력관련 단체가 신고,등록만 하면 활동할 수 있도록 돼있다. 반면 민자당안은 성폭력피해자 보호시설에 대한 법인허가와 정부허가를 수반토록 하고 있다.
토론에 참석한 이영자교수(성심여대 사회학과)는 『법은 법이론적 체계를 따지기전에 현실에 맞게 만들어져야 한다』고 지적하고 『이중적인 성규범이 저변에 깔려있는 우리 사회 성문화의 문제점을 수용하는 법안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교수는 또 『성관계의 기본인 부부생활에서 강간이 묵인된다면 사회에서 건강한 성문화가 자리잡을 수 없으므로 아내강간등 가정내의 성폭력을 법안에 포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종걸변호사는 『정당안은 성폭력범죄에 대한 형량을 상향조정하는 정도이고 성폭력의 다양한 유형을 담고 있지 못하다』고 비판하고 『성폭력 피해자의 보호조항에 있어서도 민자당안과 민주당안은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아 미흡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