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의 아픔 함께 나누자/조중신(여성칼럼)
전과9범인 동네아저씨에게 국민학교6학년때 성폭행을 당한 후유증으로 심한 정서불안에 빠진 여중생이 있었다.어떻게해서 그렇게 됐는지 그 이유를 알게된 부모는 경악과 분노로 당장에 그 가해자를 죽이고 싶은 심정이었다.고소를 해야하나,그 과정에서 아이가 더 상처를 받으면 어쩌나,흉포한 상대방이 어떻게 대응해올지 망연한 중에 평소 존경해오던 동네어른을 찾아가 의논을 하였다.그분은 생업도 잠시 미루고 그 부모를 진정시켜 함께 우리 상담소를 찾으셨다.어떻게 그 아이가 상처를 극복하고 정상적인 생활을 해나갈 수 있을지를 묻고 또한 범행을 저지르고 다녀도 보복이나 행패가 두려워 신고조차 꺼리는 동네사람들의 무력감은 어떻게 풀어야 할지도 차근차근 물어 오셨다.
성폭력상담소에서 상담을 해오면서 이 세상이 이토록 살벌하고 각박하지만 이처럼 이웃의 아픔을 외면하지 않고 자기일처럼 나서서 도우려는 분들을 만나게 될때 감동과 함께 희망을 느끼게 된다.
피해여성들을 위해 사려깊게 진찰해주고 치유를 도와주는 산부인과·정신과 의사선생님들,수사와 고소절차를 도와주는 경찰및 법률분야 자문위원들,그밖에 학계·인권단체 여러분들과 인생의 세금이라며 용돈을 쪼개어 꼬박꼬박 후원해 주시는 분들,힘든 일도 마다않고 시간과 정성을 바쳐 봉사하는 분들….이 분들의 자발적인 헌신과 봉사는 이 사회를 살만한 곳으로 바꾸는 힘이 되고 있다.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누는 푸짐한 이웃들이다.
그러나 아직 우리 사회는 공동선을 위해 학식과 전문기술,물질을 서로 나누도록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유도하지 못하고 있다.서구와 일본에서는 사회봉사가 어릴때부터 생활화되고 봉사활동중 사고도 보험으로 보장되며 자원봉사자들도 직업인들이 받는 복지혜택을 당당히 누릴 수 있다.우리도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확산과 함께 운영체계가 확립돼야 한다.「나눔의 활성화」만이 시민의식고양과 사회에 대한 신뢰회복을 앞당길 수 있는 지름길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