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범 실명·신분 인터넷 게재 명예훼손인가 아닌가/사례로 본 논란
성폭력 사건의 피해자들은 대부분이 가해자들로부터 명예훼손으로 역고소를 당해왔다.
은밀한 장소에서 증인이 없게 마련인 성폭력사건의 특성상 증거 불충분 등의 이유로 기각되기가 쉬운데,그러면 가해자는 피해자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하게 마련이었다.단숨에 피해자가 가해자의 위치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하물며 강간혐의로 형을 선고받은 후에도 “내가 강간을 한 것은 사실이라 해도 나의 사회적인 신분을 드러낸 것은 분명 명예훼손이다.”며 당당한 가해자들도 적잖다.지난 6월,헌법재판소가 청소년보호위원회의 성범죄자의 신상공개 행위가 합헌이라는 결정을 내린 후에도 이런 주장은 여전하다.
지난달 29일 서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교육장에서 열린 ‘성폭력 가해자에 의한 대구 명예훼손재판 분석토론회’는 앞으로 성폭력 사건을 둘러싼 명예훼손범죄의 선을 분명하게 그어야 한다는 당위성을 알렸다는 의미에서 눈길을 모았다.
●사실을 적시했는가
2000년 5월,대구 K대학 L교수가 조교를 성폭행한 사건은 법원에서 교수의 유죄가 입증돼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형이 확정됐다.이에 불복한 교수가 상고했으나 기각됐다.
이어 같은 해 7월,대구 K대학 K교수가 자신의 연구실에서 학생을 성추행한 사건이다.K교수는 구속됐으나 쌍방이 합의해 고소가 취소됐다.
그런데 두 피해자를 도왔던 대구여성의 전화연합 대표가 명예훼손으로 고소당했다.그뒤 1심에서 200만원,2심에서 100만원의 벌금형을 선고받았고 현재 사건은 대법원에 계류 중이다.
피해자를 도왔던 대구여성의 전화연합은 이 내용을 홈페이지에 올리는 과정에서 가해자의 이름과 신분이 드러나도록 했고,가해자 L·K교수는 명예훼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특히 L교수가 문제삼는 것은 경주로 조교를 불러,‘고량주를 먹인 후 강간’했는데 홈페이지에 ‘마취약을 술에 타먹이고 강간했다.’고 잘못 올린 대목이다.
●가해자의 명예를 인정하라?
이 사건을 맡아온 이춘희 변호사는 “검찰과 법원이 성폭력 피해자의 고통 정도를 일반 범죄와 동일시하는 것이 문제이며 피해자 구조활동을 하는 여성단체의 기능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부족하다.”면서 “평소 술에 잘 취하지 않았던 피해자가 그날은 술을 마시고 7시간이나 정신을 잃었던 것은 술에 마취약을 넣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었던 일이었기 때문에 이를 ‘허위적 사실’이라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가톨릭대 박선영 교수는 “민주 국가에서 개인의 언론출판의 자유(또는 표현의 자유)는 원초적 기본권으로서 다른 어떤 기본권보다 우월한 지위를 누린다.”고 지적하며 “앞으로 이렇게 시민단체가 명예훼손처벌을 받는다면 시민단체조차 도움을 구하는 피해자를 거절하는 일이 생길 것이다.”고 우려했다.
그는 “잘못을 저지르고도 공론화를 피하기 위해 피해자나 피해자를 돕는 시민단체를 명예훼손으로 제소한 사실이 정당성을 잃었다고 인정되면 오히려 피해자와 시민단체는 가해자에게 부당제소로 인한 손해배상을 요구할 수도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인숙 변호사는 “실명을 거론한 것을 명예훼손이라 말하는 것과 관련해 같은 가해자로 인해 제2의 피해자가 발생하는 것을 막고,동료 교수들이 괜한 오해를 받는 것을 막기 위해서도 실명 공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허남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