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메이크 드라마 빛과 그늘
방송가의 한 트렌드로 자리잡은 리메이크 드라마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특히 만화나 소설 원작과 달리, 드라마를 다시 드라마로 옮기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관점이 뚜렷이 갈린다.‘원 소스 멀티 유스’라는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는 당연한 추세로 읽는가 하면, 이미 검증된 작품을 이용해 쉽게 시청률을 확보하려는 안일한 제작 태도라는 비판도 만만찮다. 지난 7일 밤 12시 첫 방송된 케이블채널 tvN의 ‘쩐의 전쟁-디 오리지널’(극본 김진수, 연출 이정표)은 지난해 평균 시청률 30.5%를 기록한 SBS TV ‘쩐의 전쟁’을 리메이크한 드라마다.
이 작품은 제목에서 드러나듯, 원작 만화(작가 박인권)에 한층 충실한 드라마임을 내세우고 있다. 제작은 ‘쩐의 전쟁’을 만든 이김프로덕션이 다시 맡았다.
이미 방영된 드라마를 다시 드라마로 제작하는 경우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1987년 방영됐다 2006년 리메이크된 ‘사랑과 야망’,1992년 방영에 이어 지난해 첫 방영된 ‘겨울새’ 등 김수현 작가의 작품을 비롯해 다수의 드라마들이 다시 드라마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쩐의 전쟁-디 오리지널’처럼 바로 다음해에 리메이크되는 경우는 드물었다. 대중문화평론가 이영미씨는 “영화 등으로 장르를 바꾸는 경우가 아님에도 이렇게 금방 다시 드라마로 리메이크되는 것은 공중파와 케이블의 수용층과 작품경향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새 트렌드 vs 안일한 제작태도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기대감과 우려가 교차한다.‘쩐의 전쟁-디 오리지널’ 연출을 맡은 이정표 PD는 “금나라 캐릭터에 치중한 지상파 드라마와 달리, 매회 완결되는 에피소드들을 통해 사채업체 ‘머니 박스’ 네 사람의 이야기를 골고루 그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심야 성인층을 타깃으로 하는 케이블 드라마라는 점에서 선정성을 염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악덕 사채업자의 성폭행이나 룸살롱에서의 향락 장면 등 자극적인 내용이 적잖이 포함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이김프로덕션 관계자는 “현 세태를 반영하는 리얼리티를 살리기 위해 지상파에서 미처 살리지 못한 부분들을 가미할 생각이지만, 표현수위가 우려할 정도는 아닐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리메이크 드라마가 홍수를 이루는 것은 시청률을 안전하게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본을 적게 들이면서도 양질의 작품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 2일 MBC ‘겨울새’가 7회 앞당겨 조기 종영한 데서도 보듯, 탄탄한 원작이 반드시 흥행을 보증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사랑과 야망’ 2006년판이 30회가 연장되며 81회로 종영할 정도로 인기를 끈 것과는 또 다른 양상.
이영미씨는 “‘사랑과 야망’이 현대적 재해석 가능성이 풍부했다면,‘겨울새’는 낡고 상투적인 설정 때문에 많은 비판을 받아야 했다.”면서 “리메이크 드라마의 성패는 시대와 코드가 맞느냐 여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단순한 원작의 재탕이나 우려먹기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 日드라마 ‘꽃보다 남자´ 등 리메이크작 줄줄이 대기
현재 ‘꽃보다 남자’‘신이시여 조금만 더’ 등 해외 드라마들도 국내에서의 리메이크를 위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일본 드라마 ‘백색거탑’을 리메이크한 MBC ‘하얀거탑’처럼 또 하나의 걸작을 꿈꾸고 있는 것. 그러나 이 드라마들이 소재 고갈에 따른 편법, 검증된 원작에 편승한 시청률 안전주의라는 비판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 무엇보다 원작 못지않은 작품성과 완성도를 확보하는 일이 급선무다.
강아연기자 aret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