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아동 절반 7세미만… 면식범 소행 72%
성폭력 피해 아동의 절반 이상이 7세 미만의 여자 어린이로 조사됐다. 성폭행 가해자 10명 중 7명 이상은 면식범으로 나타났으며, 구강성교 등 2가지 이상의 성폭력 피해를 당한 ‘중복피해’ 건수도 60%를 넘었다.
아동 성폭력 사건의 대부분이 피해자와 가해자의 진술에 의존하고 있어 피해 아동의 진술은 사건 해결에 힘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들을 위한 정부의 지원이 미비하고 수사당국의 거친 조사 등으로 피해 아동의 고통이 가중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 이유다.
4일 아동성폭력 전문상담기관인 서울 해바라기아동센터가 2004년 문을 연 뒤 지난해까지 5년간 상담한 1223건을 분석한 결과 전체 피해건수 중 7세 미만이 56%, 여자 어린이가 87.5%를 차지했다.
피해내용(중복 선택)으로는 성기추행이 56.1%(772건), 신체추행 51.7%(552건), 가해자 성기노출 29%(275건), 폭력을 동반한 협박·언어폭행 16.7%(249건), 강간 9.3%(134건) 순이었다. 센터측은 “성기 및 신체추행시 아동이 거부하면 팔다리를 묶는 등 폭력을 동반하거나 사건에 대해 입을 다물라고 협박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두 가지 이상의 중복피해를 당한 경우는 620건으로 57.4%에 달했다. 피해횟수는 1회가 41.2%(504건)였지만 10회 이상의 지속적 피해도 26%(319건)나 됐다. 2~9회의 중복피해는 129건(11%), 모른다는 응답은 20.8%(257건)였다. 피해자의 나이가 어려 성폭력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경우다.
면식범의 소행은 72%나 됐다. 피해장소도 피해자나 가해자의 집, 어린이집, 놀이터 등 대부분 아이들의 생활권에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피해기간 면에선 41.2%(504건)가 ‘정확히 모른다.’고 답했다. 2년 이상이라는 응답은 5.9%(72건)였다. 피해 여부를 타인에게 알리는 데 하루 이상 걸렸다는 응답도 전체의 65.8%(711건)를 차지했다. 이 때문에 응급처치를 통한 증거 확보 등 초동수사도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센터측은 “진술녹화제가 있긴 하지만 조사과정에서 반복진술을 강요하고 가해자의 페니스 크기를 묻는 등 강압적인 조사방법은 여전하다.”면서 “가뜩이나 심리적으로 불안한 피해아동들이 조사가 진행될수록 불만을 토로하거나 고통을 호소하는 등 진술능력이 낮아진다.”고 전했다.
때문에 형사소송 제기 과정에서 보호자들이 한계를 느껴 상담 건수 중 실제로 소송으로 이어지는 것은 10건 중 3~4건에 불과하다고 했다.
상황이 이렇지만 아동성폭력 예방 및 피해자 구제를 위한 지원 제도는 거의 낙제 수준에 가깝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아동성폭력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곳은 해바라기 아동센터가 유일하다. 그러나 16개 시·도당 1개 센터만 있는 데다 센터별로 연간 3억~5억원의 예산으로 운영은 물론 아동성폭력 예방·홍보사업까지 감당하는 실정이다.
신의진 연세대 의대 교수는 “정부와 관련기관, 전문가들의 연대를 강화해 예방은 물론 피해 아동의 인권과 복지문제까지 고려한 사태 해결을 시도하고 피해아동 부모에 대한 지원, 가해자 교육 등 근본적이고 총체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재연 김민희기자 oscal@seoul.co.kr